KR20100134716A - 개선된 BiOCl 안료 - Google Patents

개선된 BiOCl 안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716A
KR20100134716A KR1020107024524A KR20107024524A KR20100134716A KR 20100134716 A KR20100134716 A KR 20100134716A KR 1020107024524 A KR1020107024524 A KR 1020107024524A KR 20107024524 A KR20107024524 A KR 20107024524A KR 20100134716 A KR20100134716 A KR 2010013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bismuth oxychloride
pigments
iron oxide
bism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카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카탈리스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카탈리스트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스프 카탈리스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13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18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uncoated and unlayered plate-lik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core coated with only one layer having a high or low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4Oxide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3/063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87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bismuth oxychloride, magnesium fluoride, nitrides, carbides, borides, lead carbonate, barium or calcium sulfate, zinc sulphide, molybdenum disulphide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40Interference pigments comprising an outermost surface coating
    • C09C2200/402Organic protective coating
    • C09C2200/407Organosilicon materials, e.g. silanes,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10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 C09C2220/106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comprising only a drying or calcination step of the finally coated pig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개선된 광 안정성을 나타내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의 결정 상에 수화 철 산화물의 불연속 코팅을 갖는다. 상기 안료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을 성장시키고, 여기에 가수분해가능한 철 염을 부가하고, 이어서 상기 철 염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된다.

Description

개선된 BiOCl 안료 {Improved BiOCl Pigment}
진주박 안료 또는 무지개빛 안료로도 알려진 이펙트(effect) 안료는 잘 알려져 있다. 이 안료는 사용되는 대상물의 표면 또는 내부에 진주빛 또는 무지개빛 광택을 부여하는 라미나형 또는 플레이트형 안료이다. 공지된 이펙트 안료로는 천연 물질, 예를 들어 진주박, 고기 비늘로부터 얻어지는 구아닌과 하이포크산틴의 혼합물, 및 다양한 합성 물질을 들 수 있다. 시판품 중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이펙트 안료는 이산화티탄-코팅된 운모 및 산화철-코팅된 운모이다. 화장용 및 산업용 둘 다의 용도로 개발된 다른 합성 이펙트 안료로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및 탄산 납 등의 물질을 들 수 있다.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는 다수의 분야에서 이펙트 안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는 손톱 에나멜 및 립스틱과 같은 화장제 중의 안료로서 사용되며, 안료 플라스틱 및 페인트에도 사용된다. 함수 수산화티탄으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코팅된 운모 안료를 코팅하는 것은 미국 특허 제3,980,49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산화아연으로 산화금속-코팅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를 코팅하는 것은 미국 특허 제5,344,488호에 기술되어 있다. 운모 기재 상에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및 이산화티탄을 동시침전시키는 것은 미국 특허 제3,822,141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2,995,459호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를 비롯한 합성 진주박 기재를 Cd, Mn, Co, Fe 및 Sb의 술피드, 몰리브데이트, 텅스테이트, 크산테이트 및 디티아존과 같은 불용성 금속 화합물 착색제와 조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주의사항 부분에는 무작위적으로 침전되어 형성된 비배향성 코팅이 안료의 광택을 없앤다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958,125호는 1.8 이하의 굴절율을 갖는 무색 코팅 및 예로서 산화철과 같은 반사 흡수 코팅의 1층 이상의 패킷(packet)을 갖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일 수 있는 기재 기초의 안료를 개시한다. 그러나, 산화철 코팅된 생성물은 코팅에서 산화철 덩어리를 형성하지 않고는 건조시킬 수 없다. 이는 안료가 페이스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지만, 다른 용도에서는 물론 중요하다.
적용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안료를 2-히드록시 벤조페논 및 희토류 금속과 같은 물질로 코팅하여 이펙트 안료에 대해 자외선 안정성 또는 내후 견뢰성을 부여하였다 (미국 특허 제5,149,369호 참조). 그러나, BiOCl 안료 자체를 코팅한 결과,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의 우수한 광도 및 분산성을 달성하면서 생성물의 광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얼마간의 자연 광택 및 광도가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외관 (광도) 및 큰 분산성을 갖는 개선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 및 이러한 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개선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용성 비스무트 염을 클로라이드 존재하에 가수분해한 다음, 생성된 결정을 수화 철 산화물(hydrous iron oxide)로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는, 수화 철 산화물의 불연속 표면 코팅을 갖는 개선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철 코팅은 철의 양에 따라 금색 내지 암갈색 (샴페인) 범위의 색상을 나타내어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크게 개선된 자외선 광 안정성을 부여하며, 광 암색화 (photo darkening)를 방지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에 따라,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을 임의의 통상의 방식으로 성장시킨 다음, 수화 철 산화물로 불연속적으로 코팅한다.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은 가용성 비스무트 화합물을 산 조건하에 클로라이드 공급원과 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임의의 가용성 비스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물질은 비스무트 니트레이트이다. 비스무트 염은 일반적으로는 불용성 비스무트 화합물의 조기 가수분해 및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산 수용액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용액은 일반적으로 상용성 광물 또는 다른 강산을 함유한다. 염산, 및 염산과 질산의 혼합물은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로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편리하다. 산도를 목적하는 범위내, 일반적으로 약 pH 1에서 유지하고, 적합한 염기를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 동안 형성되는 산을 중화시킴으로써 비스무트 화합물을 가수분해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염기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특히 수산화나트륨이지만, 히드록실 이온의 다른 가용성 공급원, 예를 들어 강한 염기성 아민 또는 우레아와 같은 염기 전구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약 50 ℃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가용성 비스무트 염 용액 및 염기를 수성 산 용기로 펌핑한다. 임의의 바람직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 크기는 사용되는 비스무트 용액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생성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에 가수분해가능한 철 공급원을 부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철은 수용성 철 염, 예를 들어 염화 제2 철 및 황산 제2 철의 수용액 형태로 제공된다. 이어서, 생성된 슬러리의 pH를 조정하여 상기 철 염이 가수분해되고,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의 표면상에 코팅되도록 한다. 임의의 적합한 염기를 사용해서 pH를 조정할 수 있으며, 비스무트 화합물의 가수분해의 경우에서와 같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특히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pH가 약 2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75 내지 3.25의 범위가 되도록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환경의 pH를 변화시켜 수화 철 산화물을 형성시킨다. 철의 가수분해는 주변 온도 내지 약 100 ℃,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8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슬러리에 첨가되는 철 용액의 양은 이펙트 안료의 목적하는 색상에 따라 달라진다. 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 색상은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철 염의 양은 목적하는 색상에 따라 다르며 슬러리 중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40 중량%의 범위일 것이다. 이로써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 상에서 안료의 총 중량의 약 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40 중량%인 수화 철 산화물 코팅이 형성된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를 단리하기 전에 수화 철 산화물을 침전시킨 결과, 연속 코팅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팅은 매끄러운 연속 코팅이 아니라 오히려 가수분해된 철이 다수의 작은 덩어리로 농축되며, 이에 따라 BiOCl 상에 불연속 코팅을 형성시킨다. 이는, 달리 말하면, BiOCl 이펙트 안료의 고유의 광도가 계속 보이게 되며 실질적으로 보유된다. 또한, 불연속 코팅으로 인해 최종 생성물이 산화철 덩어리의 형성 없이 건조될 수 있다.
수화 철 산화물의 침전 말기에, 생성된 안료를 안료가 형성된 용액으로부터 임의의 편리한 방식으로 회수한다. 예를 들어, 안료는 여과할 수 있으며,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을 때까지 물로 세척한다. 또는, 침강 및 경사분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가열 또는 공기 건조에 의해 안료를 건조시킬 수 있지만, 수화 철 산화물을 산화철로 전환시키는 온도는 피해야 한다.
이후에, 생성된 수화 철 산화물 코팅된 BiOCl 이펙트 안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처리해서 다양한 유형의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예를 들어, 필터 케이크를 건조시켜 첨가된 분산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분말화된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필터 케이크를 캐스터유 또는 광유 등의 오일로 플러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래 물로 습윤된 안료를 오일로 습윤된 안료로 만들 수 있다.
생성된 수화 철 산화물 코팅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는 이미 알려진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가 사용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화장제, 및 페인트 및 코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중의 다수의 결정은 종래의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보다 더 균질하여 광도와 증가된 광 안정성을 조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상기 물질을 자동차 페인트의 광 색상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 금속 외관을 형성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선명한 색도가 요구되는 모든 유형의 자동차 및 산업용 페인트 분야, 특히 유기 칼라 코팅 및 잉크 분야에서 무한한 용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안료를 덩어리 상태로 또는 스타일링제로서 사용하여 모든 유형의 자동차 및 비-자동차 운송수단을 분무 도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안료를 모든 점토/포마이커/목재/유리/금속/에나멜/세라믹 및 비-다공성 또는 다공성 표면 상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분말 코팅 조성물 중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장난감 산업 또는 가정용으로 적합한 플라스틱 제품에 혼입시킬 수 있다. 이 안료를 섬유에 주입하여 의류 및 카펫트류에 새로운 미적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안료를 사용해서 신발, 고무 및 비닐/대리석 바닥재, 비닐 사이딩(siding), 및 다른 모든 비닐 제품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색상은 모든 유형의 취미 모형제작(modeling hobbies)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용한 상기 언급한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예로는 프린트 잉크, 손톱 에나멜, 래커,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물질, 천연 수지 및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몇몇 비-제한적 예로는 폴리스티렌 및 그의 혼합 중합체,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혼합물, 폴리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고무; 및 비스코스 및 셀룰로스 에테르,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소재의 필라멘트를 들 수 있다.
다양한 안료 분야에 대한 충분한 도입을 위해서는, 문헌 [Temple C. Patton, editor, The Pigment Handbook, volume II, Applications and Market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73)]을 참조한다. 또한, 예를 들어 잉크에 대해서는 문헌 [R. H. Leach, editor, The Printing Ink Manual, Fourth Edition, Van Nostrand Reinhold (International) Co. Ltd. , London (1988)]에서 특히 282면 내지 591면을 참조하고, 페인트에 대해서는 문헌 [C.H. Hare, Protective Coatings, Technology Publishing Co., Pittsburgh (1994)]에서 특히 63면 내지 288면을 참조한다. 상기 문헌들에서는 소정량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잉크, 페인트 및 플라스틱 조성물, 제제 및 비히클에 대한 교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안료는 오프셋 리소그래피 잉크에서 10 내지 15%의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겔화 및 비겔화 탄화수소 수지, 알키드 수지, 왁스 화합물 및 지방족 용매를 함유하는 비히클이다. 안료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아크릴 격자, 유착제, 물 또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안료와 함께 자동차 페인트 제제 중에서 1 내지 10%의 수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안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중의 플라스틱 색상 농축물에서 20 내지 30%의 수준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화장제 분야에서, 상기 안료는 눈 부위 및 모든 외부 부위에 사용하거나 세정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료는 헤어 스프레이, 페이스 파우더, 다리-메이크업, 곤충 퇴치용 로션, 마스카라 케이크/크림, 손톱 에나멜, 손톱 에나멜 제거제, 방향 로션, 및 모든 유형 (겔 또는 액상)의 샴푸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면도 크림 (에어로졸, 브러시리스(brushless) 및 래더링(lathering)용 농축물), 피부 광택용 스틱, 피부 메이크업, 헤어 그룸(groom), 아이 섀도우 (액체, 포마드, 파우더, 스틱, 프레스드 또는 크림), 아이 라이너, 콜로뉴(cologne) 스틱, 콜로뉴, 콜로뉴 연화제, 버블 배쓰, 바디 로션 (보습제, 세정제, 진통제, 수렴제), 애프터 쉐이브 로션, 애프터 배쓰 밀크 및 선스크린 로션에 사용할 수 있다.
화장제 분야의 검토를 위해서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 [Cosmetics: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Eds: M. S. Balsam and Edward Sagarin, Wiley-Interscience (1972) and deNavarre, The Chemistry and Science of Cosmetics, 2nd Ed., Vols 1 and 2 (1962), Van Nostrand Co. Inc., Vols 3 and 4 (1975), Continental Press]을 참조한다.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를 하기에 기술하였다. 이들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를 통해서, 달리 지시하지 않는다면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이고, 모든 부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외관(광도) 및 큰 분산성을 갖는 개선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이펙트 안료 및 이러한 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1
충분량의 농축 염산을 탈염수 용기에 도입하여 생성 용기의 pH가 약 1이 되게 하였다. 용기를 약 70 ℃로 가열한 다음, 염산 및 0.2 g/ml 비스무트 니트레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 400 ml를 용기에 5 ml/분의 속도로 펌핑하였다. 동시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용기에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 동안 형성된 산을 중화시켰다.
약 80분 후, pH를 3으로 조정하고, 염화 제2 철의 39% 수용액을 수성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 슬러리에 분당 1 ml의 속도로 도입하면서, 동시에 20%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3 ml/분의 속도로 가하여 pH를 상기 값에서 유지하였다.
약 15분 후, 생성된 안료를 회수하고, 광 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는 상등액을 침강시켜 제거함으로써 슬러리의 수상에 존재하는 결정을 제1 농축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이어서, 결정을 케톤 에스테르 및 방향족 용매로 구성된 유기상에 플러싱한 다음, 60 중량%의 결정 함량으로 유기 가용성 수지에 분산시켰다. 이후, 분산된 결정을 아크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베이킹 에나멜에 혼입시켜 에나멜 중 결정의 양이 에나멜 중의 총 수지 고형분의 1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에나멜 분산액을 냉간압연 처리된 본더라이트(Bonderite) 40, 및 로우 필름 제조용 양극 전착 프라이머로 프라이밍된 광택이 나는 강철 패널 상에 분무하였다. 건조된 필름 두께가 약 0.0023 내지 0.0028 cm (약 0.9 내지 1.1 mils)의 범위가 되도록 웨트 온 웨트 (wet on wet) 코팅을 적용하였다. 이후, 약 0.0038 내지 0.005 cm (약 1.5 내지 2 mils)의 건조 필름 두께의 아크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투명 코팅으로 하였다. 이후, 패널을 강제 공조(forced air) 오븐에서 250 ℉에서 30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부분적으로 매스킹된 패널을 클리블랜드(Cleveland) 챔버에 넣고, 상기 패널을 8 시간의 크세논 광 및 4 시간의 물 응축의 교대 사이클에 1 주일 동안 노출시켜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패널 외관의 변화는 CIE L*a*b* 값을 측정하여 특성화하였다. 이 시스템은 문헌 ["The Measurement of Appearance", 2nd ed., Hunter and Harold, editors, John Wiley & Sons, 1987]에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L*로 표시되는 광-암 성분, a*로 표시되는 적색-녹색 성분, 및 b*로 표시되는 황색-청색 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E*로 표시되는 색상 차이는 하기 방정식을 사용해서 계산한다.
DE*=[ (DL*)2 + (Da*)2 + (Db*)2]1/2
식 중, DL*, Da* 및 Db*는 패널의 노출된 섹션과 노출되지 않은 섹션 사이의 L*, A* 및 b* 값의 차이를 나타낸다. DE*의 값이 높을수록, 패널의 노출된 섹션과 노출되지 않은 섹션 사이의 외관에서의 변화는 더 커진다. 반대로, 낮은 DE*는 광 안정성의 증가를 나타낸다. 나안으로 관찰시 1 미만의 DE*는 일반적으로 분명하지 않다.
이 실시예의 안료를 사용하는 패널의 DE*는 2 미만이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지만 수화 철 산화물 코팅이 없는 BiOCl 안료를 사용해서 제조된 상응하는 대조군 패널의 DE*는 8이었다.
안료의 샘플을 니트로셀룰로스 래커에 현탁시키고, 이를 박막으로서 통상의 흑색 및 백색 드로다운(drawdown) 카드에 적용하고, 건조시켰다. 필름은 만졌을 때 매끄러운 느낌이 들었으며, 상기 카드의 흑색 부위와 백색 부위의 필름의 외관 사이에서의 시각적인 분명한 차이는 없었다.
비교 목적을 위해, BiOCl이 코팅 전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되고 연속 코팅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수화 철 산화물 코팅된 BiOCl 안료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동일한 니트로셀룰로스 래커 중에 본 발명의 안료와 동일한 농도로 현탁시키고, 동일한 두께의 박막으로서 드로다운 카드에 적용하고, 건조시켰다. 산화철이 덩어리를 형성하였으며, 필름은 사포 (sandpaper)와 유사한 조직을 가졌다. 카드의 흑색 부위와 백색 부위의 필름의 외관 사이에는 매우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실시예 2
충분량의 농축 염산을 탈염수 용기에 도입하여 생성 용기의 pH가 약 1이 되게 하였다. 용기를 약 70 ℃로 가열한 다음, 염산 및 0.2 g/ml 비스무트 니트레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 400 ml를 용기에 5 ml/분의 속도로 펌핑하였다. 동시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용기에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 동안 형성된 산을 중화시켰다.
약 80분 후, pH를 3으로 조정하고, 염화 제2 철의 39% 수용액을 수성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 슬러리에 분당 1 ml의 속도로 도입하면서, 동시에 20%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3 ml/분의 속도로 가하여 pH를 상기 값에서 유지하였다. 약 15분 후, 생성된 안료를 회수하고, 120 ℃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안료를 60 중량%의 결정 함량으로 유기 가용성 수지에 분산시켰다. 이후, 분산된 결정을 아크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베이킹 에나멜에 혼입시켜 에나멜 중 결정의 양이 에나멜 중의 총 수지 고형분의 1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에나멜 분산액을 냉간압연 처리된 본더라이트 40, 및 로우 필름 제조용 양극 전착 프라이머로 프라이밍된 광택이 나는 강철 패널 상에 분무하였다. 건조된 필름 두께가 약 0.0023 내지 0.0028 cm (약 0.9 내지 1.1 mils)의 범위가 되도록 웨트 온 웨트 코팅을 적용하였다. 이후, 약 0.0038 내지 0.005 cm (약 1.5 내지 2 mils)의 건조 필름 두께의 아크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투명 코팅으로 하였다. 이후, 패널을 강제 공조 오븐에서 250 ℉에서 30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평가를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이 실시예의 안료를 사용하는 패널의 DE*는 1.8이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지만 수화 철 산화물 코팅을 함유하지 않는 BiOCl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상응하는 대조군 패널의 DE*는 8이었다.
실시예 3
충분량의 농축 염산을 탈염수 용기에 도입하여 생성 용기의 pH가 약 1이 되게 하였다. 용기를 약 70 ℃로 가열한 다음, 염산 및 0.2 g/ml 비스무트 니트레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 400 ml를 용기에 5 ml/분의 속도로 펌핑하였다. 동시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용기에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 동안 형성된 산을 중화시켰다.
약 80분 후, pH를 3으로 조정하고, 약 5% 양의 염화 제2 철의 39% 수용액을 수성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 슬러리에 도입한 다음, pH가 10이 될 때까지 20%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1 ml/분의 속도로 적절하게 가하였다. 이 pH에서 약 15분 동안 유지한 다음, 생성된 안료를 회수하고, 120 ℃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안료는 다음과 같이 파우더 아이 섀도우로 제제화할 수 있었다:
하기 물질들을 완전히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성분 중량부
멀탈크(Mearltalc) TCA(등록상표)(탈크) 18
멀마이카(Mearlmica)(등록상표) SVA (운모) 20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5
실리카 2
클로이소네(Cloisonnee)(등록상표) 레드 424C 20
(적색 Ti02-코팅된 운모)
클로이소네(등록상표) 바이올렛 525C 13
(보라색 Ti02-코팅된 운모)
클로이소네(등록상표) Nu-앤티크 블루 626CB 2
(Ti02-코팅된 운모/산화철-코팅된 운모)
클로이소네(등록상표) 세리스 플람베(Cerise Flambee) 550Z 2
(산화철-코팅된 운모)
보존제 및 항산화제 적정량
이어서, 옥틸 팔미테이트 7부 및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1부를 가열 및 혼합하여 균일화하고, 이 시점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분산액으로 분무하고, 혼합을 계속하였다. 혼합된 물질을 분쇄한 다음, 클로이소네 레드 424C 5부 및 코팅된 BiOCl 5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분말의 아이 섀도우가 얻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충분량의 농축된 염산을 탈염수 용기에 도입하여 생성된 용기의 pH가 약 1이 되도록 하였다. 용기를 약 70 ℃로 가열한 다음, 염산 및 0.2 g/ml 비스무트 니트레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 400 ml를 용기에 5 ml/분의 속도로 펌핑하였다. 동시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용기에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 동안 형성된 산을 중화시켰다.
약 80분 후, pH를 3으로 조정하고, 약 5% 양의 염화 제2 철의 39% 수용액을 수성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 슬러리에 도입한 다음, pH가 10이 될 때까지 20%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1 ml/분의 속도로 적절하게 가하였다. 이 pH에서 약 15분 동안 유지한 다음, 생성된 안료를 회수하고, 120 ℃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안료는 다음과 같이 립스틱으로 제제화할 수 있었다:
하기 나열된 성분들을 기재된 양으로 가열된 용기에 넣고, 온도를 85 ± 3 ℃로 상승시켰다.
중량부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2.75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1.25
비즈왁스(Beeswax) 1.00
세레신 왁스(Ceresine Wax) 5.90
오조케리트 왁스(Ozokerite Wax) 6.75
미세결정질 왁스 1.40
올레일 알콜 3.00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7.50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0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5.00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알콜 아디페이트 2.00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 2.5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2.00
알로에 베라 1.00
캐스터유 37.50
레드 6 레이크 0.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0
페녹시에탄올, 이소프로필파라벤 및 부틸파라벤 1.00
항산화제 적정량
코팅된 BiOCl 13부 및 카올린 1부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모든 BiOCl이 잘 분산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필요하다면 방향제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5 ± 5 ℃에서 주형에 붓고, 냉각시키고, 립스틱으로 플레임화(flamed)하였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생성물에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자동차 또는 산업용 페인트에 사용하기 위한 수화 철 산화물로 표면이 코팅된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결정을 포함하는 이펙트(effect) 안료의 용도.
KR1020107024524A 2002-05-14 2003-05-12 개선된 BiOCl 안료 KR201001347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43,902 US6579357B1 (en) 2002-05-14 2002-05-14 BiOC1 pigment
US10/143,902 2002-05-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87A Division KR101018511B1 (ko) 2002-05-14 2003-05-12 개선된 BiOCl 안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716A true KR20100134716A (ko) 2010-12-23

Family

ID=22506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524A KR20100134716A (ko) 2002-05-14 2003-05-12 개선된 BiOCl 안료
KR1020047018287A KR101018511B1 (ko) 2002-05-14 2003-05-12 개선된 BiOCl 안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87A KR101018511B1 (ko) 2002-05-14 2003-05-12 개선된 BiOCl 안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79357B1 (ko)
EP (1) EP1511813B1 (ko)
JP (1) JP4790262B2 (ko)
KR (2) KR20100134716A (ko)
CN (1) CN1323116C (ko)
AT (1) ATE307172T1 (ko)
AU (1) AU2003232118A1 (ko)
DE (1) DE60301967T2 (ko)
WO (1) WO2003097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507B1 (en) * 2002-08-19 2003-06-24 Engelhard Corporation BiOCl pigment
GB2420501B8 (en) * 2003-06-26 2007-11-14 Playtex Products Inc A coating composition and articles coated therwith
US7033614B2 (en) * 2003-08-27 2006-04-25 Emd Chemicals, Inc. (Previously Em Industries) Bismuth oxychlor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rinsing
US20050113487A1 (en) * 2003-11-25 2005-05-26 Engelhard Corporation Masterbatch precursor
CA2558484C (en) * 2004-03-08 2012-03-06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70022907A1 (en) * 2004-11-23 2007-02-01 Basf Catalysts Llc Colored Masterbatch Precursor
US8475846B2 (en) * 2010-03-09 2013-07-02 Basf Corporation Colored micaceous pigments having bismuth oxychloride appearance and performance effects
JP5977533B2 (ja) * 2012-02-21 2016-08-24 石原産業株式会社 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396725B (zh) * 2013-08-06 2015-08-12 信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仿真铜涂料及其生产工艺
CN103769175B (zh) * 2014-03-04 2015-09-23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复合光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263017B (zh) * 2014-09-24 2016-01-27 南阳市凌宝珠光颜料有限公司 一种铁系列水晶效果颜料的制备方法
TWI804491B (zh) 2017-03-20 2023-06-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顏料粉末及製造彼之方法
CN111454590A (zh) * 2020-04-07 2020-07-28 上海毅旺塑胶颜料有限公司 一种塑胶专用无流痕珠光颜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5459A (en) 1957-11-26 1961-08-08 Faberge Inc Method for coloring nacreous materials and products and compositions provided thereby
US3822141A (en) 1970-10-08 1974-07-02 Whittaker Corp Coated pearlescent product
US3788871A (en) * 1971-03-22 1974-01-29 Whittaker Corp Pearlescent pigment
US3980491A (en) 1974-03-07 1976-09-14 The Mearl Corporation Bismuth oxychloride-mica nacreous pigments with enhanced luster and dispersibility
US5149369A (en) 1991-02-08 1992-09-22 Mearl Corporation Bismuth oxychloride nacreous pigment having improved weather fastness and the production thereof
DE4120747A1 (de) 1991-06-24 1993-01-07 Merck Patent Gmbh Pigmente
US5958125A (en) 1996-07-05 1999-09-28 Schmid; Raimund Goniochromatic luster pigments based on transparent, nonmetallic, platelet-shaped substrates
DE19746067A1 (de) * 1997-10-17 1999-04-22 Merck Patent Gmbh Interferenzpigmente
JP4786011B2 (ja) * 2000-03-29 2011-10-05 株式会社 資生堂 酸化鉄−ビスマス化合物複合顔料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US6475273B1 (en) * 2000-09-26 2002-11-05 Engelhard Corporation Color effect materials and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1813A1 (en) 2005-03-09
KR101018511B1 (ko) 2011-03-03
EP1511813B1 (en) 2005-10-19
DE60301967T2 (de) 2006-07-20
KR20050006254A (ko) 2005-01-15
AU2003232118A1 (en) 2003-12-02
WO2003097750A1 (en) 2003-11-27
DE60301967D1 (de) 2006-03-02
CN1653139A (zh) 2005-08-10
ATE307172T1 (de) 2005-11-15
JP2005526168A (ja) 2005-09-02
JP4790262B2 (ja) 2011-10-12
US6579357B1 (en) 2003-06-17
CN1323116C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5264B2 (en) Multi-layer effect pigment
KR102195249B1 (ko) 안료
EP1444299B8 (en) Interference pigments
KR101018511B1 (ko) 개선된 BiOCl 안료
WO2006088761A2 (en) Multilayer effect pigment
US6616745B1 (en) Black pearlescent pigments
KR20050006253A (ko) 시변각 간섭 안료
KR101140125B1 (ko) BiOCl 안료
EP1697468B1 (de) Gefärbte metallpigmen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verwendung der gefärbten metallpigmente in kosmetika und kosmetikum
US6572695B1 (en) BiOCI pigment
EP1940971B2 (en) Multilayer effect pi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