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875A -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875A
KR20100133875A KR1020090106520A KR20090106520A KR20100133875A KR 20100133875 A KR20100133875 A KR 20100133875A KR 1020090106520 A KR1020090106520 A KR 1020090106520A KR 20090106520 A KR20090106520 A KR 20090106520A KR 20100133875 A KR20100133875 A KR 20100133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platform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window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735B1 (ko
Inventor
주-웬 린
추안-웨이 리
추-치에 린
Original Assignee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3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장치의 처리 유닛이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고, 다시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해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한다. 제1응용프로그램이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실행될 때,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제1윈도우 관리자가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한다. 제1응용프로그램은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하고,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제2윈도우 관리자가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화면구역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숫자가 탄력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APPLICATION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운영 체제는 대부분 하나의 운영 체제 커널(kernel)과 하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platform)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은 일반적으로 메모리 관리 모듈, 프로세스 실행 제어(process execution control) 모듈, 여러 가지 하드웨어 장치의 구동 모듈, 전원 관리 모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해 전자 하드웨어 장치에서 순조롭게 실행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윈도우 관리자(window manager), 자원 관리자(activity manager), 응용프로그램 모니터(application monitor) 및 응용프로그램 종결 자(application terminator)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기능은 응용프로그램 실행 상태 및 실행되는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있다.
현재 대다수 컴퓨터는 마이크로 소프트 사의 윈도우 운영 체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소수 컴퓨터는 LINUX운영 체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핸드폰 혹은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인터넷 장치들이 보편화되면서 점점 더 많은 전자장치들이 윈도우스 운영 체제 및 LINUX운영 체제 이외의 운영 체제를 사용하고 있다. 각 운영 체제들은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운영 체제는 기능적인 면에서 매우 강한 반면 비교적 많은 자원이 필요하며, 전자장치의 전력 소모량도 커지게 된다. 이에 반해 일부 운영 체제는 비교적 적은 자원을 사용하게 되지만 기능적인 면에서 제한을 받게 된다. 이 외에도 많은 업체들이 동일한 운영 체제 커널 상에서 각자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운영 체제 혹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서로 다른 윈도우 관리자(window manager)를 사용하게 되고, 소프트웨어 업체는 서로 다른 윈도우 관리자에 대해 자신 만의 전용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고, 그로 인해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이 다른 윈도우 관리자의 영역을 넘어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윈도우 관리자에 대해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은 제2윈도우 관리자 상에서 실행되지 못하게 된다. 그로 인해 기존의 기술 상에서 만약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 개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수 있는 혜택을 누리려면, 즉 예를 들어 자원 소모가 비교적 적은 운영 체제 하에서 기능이 비교적 강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해당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된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사용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저장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은 운영 체제 커널(kernel),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1윈도우 관리자(window manag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2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유닛이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고, 다시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한다.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한다. 그동안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하고,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할 때 화면구역의 매개변수를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 조작 명령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수신된 조작 명령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조작 명령에 의해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명령은 커서 위치 데이타, 클릭 명령(click), 드래그 명령 혹은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상기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장치에 적용 가능한 컴퓨터-구현 시스템(computer-implemented system)은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운영 체제 커널(kernel)을 포함한다.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1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2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은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상기 전자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한다. 그동 안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하고,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할 때 화면구역의 매개변수를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수신한 조작 명령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해당 조작 명령에 의해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 명령은 커서 위치 수치, 클릭 명령(click), 드래그 명령 혹은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포함한다. 우선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고, 이어서 상기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1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2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해당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할 때 상기 화면구역의 매개변수를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더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조작 명령을 수신했을 때,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해당 조작 명령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해당 조작 명령에 의해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 명령은 커서 위치 수치, 클릭 명령(click), 드래그 명령 혹은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일한 전자장치 상에서 여러 종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소프트 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숫자가 탄력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 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함께 사용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그 기술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사용중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 display unit), 저장 유닛(12, storage unit), 처리 유닛(13, process unit) 및 입력 유닛(19)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12)은 운영 체제 커널(kernel)(14),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 제1응용프로그램(17) 및 제2응용프로그램(18)을 저장한다.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은 윈도우 관리자(151, window manager),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자(152, application launch), 제1응용프로그램 종결자(153) 및 제1통지 관리자(1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은 제2윈도우 관리자(161),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자(162), 제2응용프로그램 종결자(163) 및 제2통지 관리자(16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자들(152, 162)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 종결자들(153, 163)는 응용프로그램을 종결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지 관리자들(154, 164)는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하거나 발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 기 윈도우 관리자들(151, 161)는 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은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에 대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상에서만 실행되며, 이와 동일한 이치로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에서만 실행된다. 상기 입력 유닛(19)은 사용자가 조작 명령(192)을 입력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며, 커서 제어장치, 키보드, 버튼세트 혹은 터치형 제어 장치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명령(192)은 커서 위치 데이타, 클릭 명령(예: 좌측 단일 클릭 명령, 우측 단일 클릭 명령, 좌측 더블 클릭 명령, 우측 더블 클릭 명령), 드래그 명령 혹은 문자 입력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처리 유닛(13) 상기 저장 유닛(11)에서 운영 체제 커널(14)을 읽어 들여 실행하고, 이어서 다시 운영 체제 커널(14)을 통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및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을 실행한다.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및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은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므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및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은 동시에 실행될 수 있고, 실행자 사이에 소통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 서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치들을 공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되고,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에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의 바탕화면 영상(159)이 표시되고,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표시되지 않게 되며, 상기 바탕화면 영상(159) 상에 제1응용프로그램(17) 아이콘(172)이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 유닛(19)을 조작하여 바탕화면 영상(159) 상의 커서(19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커서(191)를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프로그램 상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입력 유닛(19)의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상술된 상기 입력 유닛(19) 제어 기술과 멀티 쓰레드 방식의 실행 기술은 본 기술 영역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151)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11)에 표시되는 화면구역(171)을 제어한다.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은 실행된 후,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으로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 실행 통지하고, 상기 제2통지관리자는(164)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통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이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16)으로 통지할 때, 화면구역(171)의 파라미터도 함께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161)에게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이 실행된 후,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161)는 수신 받은 상기 화면구역(171)의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 상(181)을 상기 화면구역(171)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이 동작을 실행하여 상기 화면영상(181)에 변화가 발생했을 때 상기 화면구역(171) 역시 변화된 화면영상으로 갱신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172)을 클릭하면, 상기 바탕화면 영상(159) 상에 화면구역(171)이 나타나며, 상기 화면구역(171)내의 영상은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 실행 시 생성되었던 화면영상(181)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면영상(181)은 복수 개의 제어버튼(button)(182~184) 및 수치입력부(185)를 갖추고 있다. 사용자가 제1응용프로그램(17)에 대해 조작 명령을 입력하면, 즉 예를 들어 커서(191)를 제어버튼(183) 상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입력 유닛(19)의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문자를 상기 수치입력부(185) 상에 입력시키면,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17)은 상기 조작 명령(커서 위치, 버튼 누름 상태, 입력된 문자)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 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18)은 해당 조작 명령에 따라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실행될 수 있으며, 본 특허 청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을 켰을 때, 우선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시킨 후, 다시 사용자가 제1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시키고 이어서 순서에 의해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운영 체제 커널(14),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 및 제2소프트웨어 플랫 폼(16)으로 컴퓨터-구현 시스템(computer-implemented system)을 구성하고, 그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컴퓨터-구현 시스템의 기능은 상기 단락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내용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과 종래의 다중 윈도우 컴퓨터의 다른 점은 종래의 다중 윈도우 컴퓨터는 동일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 하나의 윈도우 관리자를 사용해서 복수 개의 응용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식이지만 이 경우 모든 응용프로그램이 반드시 동일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어야만 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대폭 증가시켰다.
도 4는 본 발명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단계(41)에서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고, 이어서 단계(42)에서 상기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하며, 그 중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1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2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계(43)에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한다. 이어서 단계(44)에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한다. 마지막으로 단계(45)에서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해당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응용프로그램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상에서 실행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각각 나눠서 운영될 수 있다. 단계(51)에서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1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단계(52)에서, 제1윈도우 관리자는 제1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결정하게 되고, 즉 도 2에서는 화면 구역(171)이 이에 해당된다. 이어서 단계(53)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은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를 하며, 즉 응용프로그램 실행 통지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다음 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단계(54)를 실행하게 된다.
단계(561)에서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 통지 수신 여부를 판단한 후, 만약 단계(53)에서 전송해 온 응용프로그램 실행 통지 내용이 있다면, 단계(57)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단계(58)에서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해당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15)의 바탕화면 영상(159) 상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이 생성시킨 화면영상(181)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단계(562)를 실행하게 된다.
만약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실행되면,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입력 장치의 조작 명령을 직접적으로 수신 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계(54)에서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조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만약 입력되었다면, 단계(55)에서 해당 조작 명령을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전송하게 된다. 단계(562)에서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조작 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만약 수신되었다면, 단계(59)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이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도 2(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커서(191)를 이동시켜 상기 화면영상(181) 중의 제어버튼을 클릭했을 때,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커서 위치 및 클릭 명령(예: 좌측 단일 클릭 명령, 우측 단일 클릭 명령, 좌측 더블 클릭 명령, 우측 더블 클릭 명령)을 수신하게 되고,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해당 커서 위치 및 클릭 명령을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커서 위치에서 사용자가 클릭한 제어버튼(183)을 판단해 내고, 다시 클릭 명령에 의거하여 해당 제어버튼(183)과 서로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순서(591)에서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실행 동작에 의거하여 화면영상을 갱신하고, 즉 제1응용프로그램의 화면구역을 갱신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실 행될 수 있으며, 본 특허 청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을 켰을 때, 우선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시킨 후, 다시 사용자가 제1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시키고 이어서 순서에 의해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에서 전자장치의 전원을 켠 후,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고, 이어서 단계(62)에서 상기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하며, 여기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제1윈도우 관리자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계(63)에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한다.
단계(64)에서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시키며, 이어서 단계(65)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실제적으로는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을 가동시킨 후, 상기 운영 체제 커널로 통지를 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은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실행되는 상황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 외에도,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가동된 후,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화면구역의 상관 파라미터들을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계(66)에서 제2윈도우 관리자는 제2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생성된 화면영상을 해당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된다.
상술된 운영 체제 커널(kernel)의 비교적 바람직한 예는 Linux 커널이며, 많은 업체들이 Linux 커널에 의거하여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X-window플랫폼 및 Android플랫폼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고 업체들도 이러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의거하여 개별적인 응용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전자장치 상에서 여러 종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부팅 속도는 빠르지만 응용프로그램이 비교적 적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사용하고 비교적 많은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인 전자장치를 사용할 때 부팅 속도가 빠른 장점과 함께 더욱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누릴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특허 신청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특허 신청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특허 신청 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인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 어 방법은 사용자가 동일한 전자장치 상에서 여러 종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숫자가 탄력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중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구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응용프로그램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상에서 실행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전자장치 11:디스플레이 유닛
12:저장 유닛 13:처리 유닛
14:운영 체제 커널 15: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151:제1윈도우 관리자 152:제1응용프로그램 실행자
153:제1응용프로그램 종결자 154:제1통지 관리자
159:바탕화면 영상 16:제2소프트웨어 플랫폼
161:제2윈도우 관리자 162:제2응용프로그램 실행자
163:제2응용프로그램 종결자 164:제2통지 관리자
17:제1응용프로그램 171:화면구역
172:아이콘 18:제2응용프로그램
181:화면영상 182~184:제어버튼
185:수치입력부 19:입력 유닛
191:커서 192:조작 명령
41~45:순서 흐름 51~59, 561, 562,591:순서 흐름
61~66:순서 흐름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유닛;
    운영 체제 커널(kernel), 제1 윈도우 관리자를 구비하는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제2 윈도우 관리자를 구비하는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한 후,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하여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하고,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할 때 상기 화면구역의 매개변수를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 조작 명령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수신된 조작 명령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조작 명령에 의해서 동작을 실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명령은 커서 위치 데이타, 클릭 명령(click), 드래그 명령 또는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상기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전자장치에 적용가능한 컴퓨터-구현 시스템으로서,
    제1윈도우 관리자를 구비하는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제2윈도우 관리자를 구비하는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상기 전자장치상에서 상기 제1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운영 체제 커널을 포함하고,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하고,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는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상기 화면구역에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할 때 화면구역의 매개변수를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은 수신된 조작 명령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조작 명령에 의해서 동작을 실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명령은 커서 위치 데이타, 클릭 명령(click), 드래그 명령 또는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상기 운영 체제 커널 내에서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13.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으로서,
    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하여 제1 윈도우 관리자를 구비하는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2 윈도우 관리자를 구비하는 제2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하여, 상기 제1윈도우 관리자가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구역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에게 제2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윈도우 관리자를 통하여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생성되는 화면영상을 해당 화면구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지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역의 매개변수를 제2윈도우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조작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조작 명령을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조작 명령에 따라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명령은 커서 위치 데이타, 클릭 명령(click), 드래그 명령 또는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상기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하여 멀티 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background processing)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090106520A 2009-06-12 2009-11-05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105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119839A TW201044255A (en) 2009-06-12 2009-06-12 Electronic device, computer-executable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TW098119839 2009-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75A true KR20100133875A (ko) 2010-12-22
KR101105735B1 KR101105735B1 (ko) 2012-01-17

Family

ID=4157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520A KR101105735B1 (ko) 2009-06-12 2009-11-05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318770A1 (ko)
EP (1) EP2261799A1 (ko)
JP (1) JP2010287205A (ko)
KR (1) KR101105735B1 (ko)
TW (1) TW2010442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54B1 (ko) * 2011-03-31 2013-10-01 주식회사 리코시스 3차원 테마를 표현하는 커버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843665B2 (en) * 2011-05-27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US10417018B2 (en) 2011-05-27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on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US9158550B2 (en) * 2011-06-16 2015-10-13 Vmware, Inc. Caching based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TWI465918B (zh) * 2011-12-20 2014-12-21 Acer Inc 無縫工作狀態轉移之方法和系統
JP2014010691A (ja) * 2012-06-29 2014-01-2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57184A1 (en) * 2012-11-30 2014-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of user notification window display
US20140351833A1 (en) * 2013-05-26 2014-11-27 Min-Lee Teng Multi-computing environment operating on a single native operating system
TWI564781B (zh) * 2013-06-07 2017-01-01 Insyde Software Corp In the mobile operating system of the application window method and apparatus
BR112019026121A2 (pt) * 2017-06-16 2020-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ração de interface com o usuário baseada em regras
CN110785741B (zh) * 2017-06-16 2024-04-26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生成用户界面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58A (ja) * 1991-07-01 1993-01-22 N T T Data Tsushin Kk サーバ・クライアント型ウインドウシステム
JPH10161861A (ja) * 1996-11-29 1998-06-19 Nec Corp ウィンドウマネージャ切替プログラム
US7523415B1 (en) * 1999-06-24 2009-04-21 Porter Swain W Exclusive use display surface areas and persistently visible display of contents including advertisements
US7051288B2 (en) * 2001-02-15 2006-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duct for a java-based desktop to provide window manager services on UNIX
US20070067769A1 (en) * 2005-08-30 2007-03-22 Geisinger Nile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ross-platform hardware support for computer platforms
US7814307B2 (en) * 2006-03-16 2010-10-12 Microsoft Corporation Fast booting a computing device to a specialized experience
KR100957020B1 (ko) * 2007-10-17 2010-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기종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방법 및 스마트폰
JP2009175795A (ja) * 2008-01-21 2009-08-06 Fuji Xerox Co Ltd 表示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44255A (en) 2010-12-16
KR101105735B1 (ko) 2012-01-17
JP2010287205A (ja) 2010-12-24
US20100318770A1 (en) 2010-12-16
EP2261799A1 (en)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735B1 (ko) 전자장치,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88688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environments in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20110016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8248373B2 (en) Contextual control of dynamic input device
US20120192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multip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with a single gesture input
CN109857303B (zh) 交互控制方法及装置
US20120173986A1 (en) Background synchronization within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KR20120044347A (ko) 멀티-환경 운영 체제
JP200633091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107286A1 (en) Virtual input device system
CN109710343B (zh) 计算机桌面的窗口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60020486A (ko) 터치패드 조작 및 더블 탭 주밍을 위한 독립적 히트 테스팅
US10467023B2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active splash screen in embedded environments
US7831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the display of windows in a processing system
US20100229114A1 (en) User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rtual Machine
CN101923484A (zh) 电子装置、计算机可执行系统、及应用程序显示控制方法
CN112764615B (zh) 悬浮球控制方法及装置
US10162602B2 (en) Method for handling user-level events for programming an application
CN114546612A (zh) 一种系统模式切换方法及电子设备
US20170277311A1 (en) Asynchronous Interaction Handoff To System At Arbitrary Time
RU2574205C2 (ru) Опер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множеством сред
CN115756369A (zh)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20080006967A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우선 선점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