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756A - 에이치빔 보강구 - Google Patents

에이치빔 보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756A
KR20100133756A KR1020090052457A KR20090052457A KR20100133756A KR 20100133756 A KR20100133756 A KR 20100133756A KR 1020090052457 A KR1020090052457 A KR 1020090052457A KR 20090052457 A KR20090052457 A KR 20090052457A KR 20100133756 A KR20100133756 A KR 2010013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lock
contact portion
tight contact
hol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179B1 (ko
Inventor
서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09005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1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bstract

에이치빔 보강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밀착부 및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하여 에이치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이치빔, 밀착부, 길이가변부, 가압블럭, 조작부

Description

에이치빔 보강구{REINFORCING DEVICE OF H-BEAM}
본 발명은 에이치빔 보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이치빔의 측면 홈에 길이가 가변되는 밀착부를 삽입하여 허용응력을 증대시키는 에이치빔 보강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건설토목 형장에서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에이치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치빔은 웹을 중앙에 두고, 웹의 일단에 제1플랜지, 웹의 타단에 제2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전체적으로 영문자 H형을 이룬다.
일반적인 에이치빔은 작업 현장에서 말뚝, 기둥, 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세장비가 큰 구조재이므로 에이치빔이 보와 같은 횡부재로 사용될 경우에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하 '수직하중' 이라 함)에 대한 허용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의 필요성이 생긴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에이치빔은 대형 압연기를 이용해 열간압연에 의해 양산되는 것이 보통인바, 그 형태를 작업현장에서 임의로 바꾸기가 곤란하므로, 수직하중에 대한 더 큰 허용응력이 요구될때는 보다 더 큰 치수의 에이치빔을 사용하여야 함으로 재료비의 상승으로 시공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임방식에 의해 길이기 가변되는 구조에 의해 착탈이 용이하여 작업환경에 따라 수직하중에 대해 보다 큰 허용응력이 요구될 시 신속하게 적용 가능한 에이치빔 보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밀착부 및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하여 에이치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부의 외측면은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측면에 접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부는 에이치빔의 웹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부는 에이치빔의 홈에 구비되고,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길이가변부는 밀착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승하강되어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압블럭 및 가압블럭에 구비되어 가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블럭은 에이치빔의 웹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블럭은 밀착부에서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밀착부에 가압블럭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ㄷ'형상의 가이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밀착부 또는 상기 가압블럭에 형성되는 T자 홈부와, T자홈부에 삽입되도록 가압블럭 또는 밀착부에 형성되는 T자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작부는 가압블럭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과, 관통홀에 삽입되어 하단부가 가압블럭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는 승하강볼트 및 승하강볼트의 상단부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하강볼트를 승하강시키는 조작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볼트의 하단부에는 승하강볼트보다 면적이 큰 다각형상의 헤드가 형성되고, 승하강볼트에는 승하강볼트와 가압블럭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 가 결합되며, 관통홀의 상단부, 하단부 각각에는 헤드 또는 고정너트가 수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에이치빔의 웹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밀착부 및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하여 에이치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부의 외측면은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측면에 접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부는 에이치빔의 홈에 구비되고,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길이가변부는 밀착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승하강되어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압블럭 및 가압블럭에 구비되어 가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블럭은 에이치빔의 웹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블럭은 밀착부에서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밀착부에 형성되어 가압블럭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ㄷ'형상의 가이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밀착부에 형성되는 T자 홈부와, T자홈부에 삽입되도록 가 압블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T자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작부는 에이치빔의 웹에 형성된 연통홀과,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가압블럭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과, 관통홀과 연통홀을 관통하고,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양 끝단이 관통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축 및 조작축의 양 끝단에 각각 치합되고, 조임에 의해 가압블럭을 에이치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작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는 조작너트 조임방식에 의한 가압블럭의 승하강으로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에이치빔의 착탈이 용이하며, 보강 요구시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에 따라, 에이치빔의 교체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어 공수를 줄이고 비용절감의 효과를 지닌다.
또한, 각 부품이 분리 가능함으로 불량부품 발생시 해당부품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 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가이드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100)는 크게 밀착부(110) 및 길이가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이치빔(10)은 웹(12)을 중앙에 두고, 웹(12)의 양단에 플랜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전체적으로 영문자 H형을 이룬다.
이러한 에이치빔(10)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밀착부(110)가 삽입된다.
밀착부(110)는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블럭(112)으로 이루어지며, 밀착부(110)의 외측면은 에이치빔(10)의 플랜지(14) 내측면에 접하는 가압면(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밀착블럭(112)으로 이루어진 밀착부(110)는 길이가변부(12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이격거리가 가변되어 에이치빔(1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4)를 가압시킨다.
길이가변부(120)는 밀착부(110)의 중앙에 구비되고, 승하강되어 밀착부(110) 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압블럭(130) 및 가압블럭(130)에 구비되어 가압블럭(130)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가압블럭(130)은 에이치빔(10)의 웹(12)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밀착블럭(112)의 내측면은 가압블럭(130)에 대응되도록 웹(12)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블럭(13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가압블럭(130)이 에이치빔(10)의 웹(12)방향으로 진행되면 밀착부(110)인 밀착블럭(112)이 양측으로 벌어져 에이치빔(10)의 플랜지(14)를 가압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블럭(130)은 밀착부(110)에서 가이드부(15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가이드부(150)는 밀착부(110)에 형성되는 T자홈부(152)와 T자홈부(152)에 삽입되도록 가압블럭(1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T자돌기부(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밀착부(110)는 한 쌍의 밀착블럭(112)으로 이루어져 밀착블럭(112)의 각 내측면에는 T자홈부(152)가 형성되고, 가압블럭(130)의 양측면에는 T자홈부(152)에 삽입되도록 T자돌기부(154)가 형성되어 가압블럭(130)이 밀착블럭(112)을 상호 연결하면서, 가압블럭(130)이 안내되는 구조를 지닌다.
T자홈부(152)와 T자돌기부(154)의 위치는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며,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하다.
그리고, 가이드부(150) 또한 에이치빔(10)의 웹(12)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0')는 밀착부(110)에 가압블럭(13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ㄷ'자 형상의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작부(140)는 가압블럭(1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41)과, 관통홀(141)에 삽입되어 하단부가 가압블럭(130)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가압블럭(130)의 상부로 노출되는 승하강볼트(143) 및 승하강볼트(143)의 상단부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하강볼트(143)를 승하강시키는 조작너트(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하강볼트(143)의 하단부에는 승하강볼트(143)보다 면적이 큰 다각형상의 헤드(144)가 형성되고, 승하강볼트(143)에는 승하강볼트(143)와 가압블럭(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145)가 결합되며, 관통홀(141)의 상단부, 하단부 각각에는 헤드(144) 또는 고정너트(145)가 수용되는 안착부(142)가 형성된다.
즉, 헤드(144)는 관통홀(1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착부(142)에 안착되고, 고정너트(145)는 승하강볼트(143)에 치합되어 관통홀(141)의 상단부에 형성된 안착부(142)에 안착됨으로써, 가압블럭(130)과 승하강볼트(143)의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조작너트(146)의 하부에는 양측 밀착블럭(112)에 걸쳐지며, 중앙에 승하강볼트(143)가 관통되도록 홀을 형성한 조작플레이트(147)가 구비된다.
이는 조작너트(146)의 조임력에 의해 승하강볼트(143)가 승하강하여 가압블럭(130)이 승하강되게 하는 구성이다.
즉, 조작너트(146)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볼트(143)가 상하부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승하강볼트(143)와 고정연결된 가압블럭(130)이 상하부로 이동되면서 밀착블럭(1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조립 및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가이드부(150)에 의해 에이치빔(10)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밀착블럭(112)을 이격시켜 각각의 가압면(114)이 플랜지(14)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가압블럭(130)을 밀착블럭(112) 사이에 개재한다.
이때, 가압블럭(130)에는 조작부(140)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조작부(140)의 조립을 살펴보면, 가압블럭(13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홀(141)에 승하강볼트(143)를 삽입한다. 승하강볼트(143)의 하단에는 헤드(144)가 형성되어 관통홀(141)의 안착부(142)에 안착되어 승하강볼트(143)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후, 승하강볼트(143)의 상단부에 고정너트(145)가 치합되고, 관통홀(141)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142)에 안착되어 승하강볼트(143)와 가압블럭(130)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140)가 조립된 가압블럭(130)은 가이드부(150,150')에 의해 양측의 밀착블럭(112)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너트(146)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작플레이트(147)에 의해 조작너트(146)의 위치가 유지되면서, 조작너트(146)의 조임력에 의해 승하강볼트(143)가 상승된다.
승하강볼트(143)의 상승에 의해 가압블럭(130)이 상승하므로써, 밀착블럭(112)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밀착블럭(112)의 가압면(114)이 에이치빔(10)의 양측 플랜지(14)를 가압하게 된다.
이는 가압블럭(130)이 웹(12)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므로 상승에 의해 밀착블럭(112)의 간격을 벌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이치빔(10)의 타측 홈에도 에이치빔 보강구(100)을 장착하면 된다.
이로 인해, 밀착블럭(112)이 플랜지(14)를 가압하여 에이치빔(10)의 수직하중에 대한 허용응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B-B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200)는 에이치빔(10)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에이치빔(10)의 웹(12)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밀착부(210) 및 밀착부(210)의 길이를 가변하여 에이치빔(1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4)를 가압하는 길이가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밀착부(210)는 에이치빔(10)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제1밀착 부(210a)와, 에이치빔(10)의 타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제2밀착부(210b)로 이루어지고, 제1밀착부(210a)와 제2밀착부(210b)는 길이가변부(220)에 의해 연동되어 제1밀착부(210a), 제2밀착부(210b)의 길이가 동시에 가변된다.
제1밀착부(210a)와 제2밀착부(210b)는 각각 한 쌍의 밀착블럭(212)으로 이루어지므로, 길이가변부(220)에 의해 동시에 연동되어 밀착블럭(212)의 간격이 가감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길이가변부(220)는 밀착부(210)의 중앙에 구비되고, 승하강되어 밀착부(21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압블럭(230) 및 가압블럭(230)에 구비되어 가압블럭(230)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부(240)를 포함한다.
즉, 제1밀착부(210a)와 제2밀착부(210b) 각각에는 가압블럭(230)이 구비되고, 가압블럭(230)은 조작부(240)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것이다.
조작부(240)는 에이치빔(10)의 웹(12)에 형성된 연통홀(242)과, 연통홀(242)과 연통되도록 가압블럭(2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44)과, 관통홀(244)과 연통홀(242)을 관통하고,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양 끝단이 관통홀(244)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축(246) 및 조작축(246)의 양 끝단에 각각 치합되고, 조임에 의해 가압블럭(230)을 에이치빔(10)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작너트(248)를 포함한다.
이때, 가압블럭(230)은 에이치빔(10)의 웹(12)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밀착블럭(212)의 내측면은 가압블럭(230)에 대응되도록 웹(12)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블럭(230)은 밀착부(210)에서 가이드부(25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제2실시예의 가이드부(250)는 가압블럭(230)의 형상에 따라 에이치빔(10)의 웹(12)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그 형상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조립 및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에이치빔(10)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밀착블럭(212)을 이격시켜 각각의 가압면(214)이 플랜지(14)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가압블럭(230)을 밀착블럭(212) 사이에 개재한다.
가압블럭(230)과 밀착블럭(212)은 가이드부(25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가압블럭(230)의 관통홀(244)과 에이치빔(10)의 연통홀(242)을 통해 조작축(246)이 관통되며, 조작축(246)의 양 끝단에 조작너트(248)를 조립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246)의 양끝단에 조립된 조작너트(248)를 조여주게 되면, 조작너트(248)의 조임력에 의해 조작너트(248)가 가압블럭(230)을 에이치빔(10)의 웹(12)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가압블럭(230)의 이동에 의해 밀착블럭(212)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밀착블럭(212)의 가압면(214)이 에이치빔(10)의 양측 플랜지(14)를 가압하게 된다.
이는 가압블럭(230)이 웹(12)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한 쌍의 밀착블럭(212)의 간격을 벌리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밀착블럭(212)이 플랜지(14)를 가압하여 에이치빔(10)의 수직하중에 대한 허용응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건설토목 형장에서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에이치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가이드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B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에이치빔 보강구 110 : 밀착부
112 : 밀착블럭 114 : 가압면
120 : 길이가변부 130 : 가압블럭
140 : 조작부 141 : 관통홀
142 : 안착부 143 : 승하강볼트
144 : 헤드 145 : 고정너트
146 : 조작너트 147 : 조작플레이트
150, 150' : 가이드부 152 : T자홈부
154 : T자돌기부
200 : 에이치빔 보강구 210 : 밀착부
210a : 제1밀착부 210b : 제2밀착부
212 : 밀착블럭 214 : 가압면
220 : 길이가변부 230 : 가압블럭
240 : 조작부 242 : 연통홀
244 : 관통홀 246 : 조작축
248 : 조작너트 250 : 가이드부

Claims (20)

  1.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에이치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은 상기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측면에 접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에이치빔의 웹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에이치빔의 홈에 구비되고,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는 상기 밀착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승하강되어 상기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압블럭; 및
    상기 가압블럭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럭은 상기 에이치빔의 웹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럭은 상기 밀착부에서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밀착부에 상기 가압블럭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ㄷ'형상의 가이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밀착부 또는 상기 가압블럭에 형성되는 T자 홈부;
    상기 T자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압블럭 또는 상기 밀착부에 형성되는 T자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압블럭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압블럭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는 승하강볼트; 및
    상기 승하강볼트의 상단부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볼트를 승하강시키는 조작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볼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하강볼트보다 면적이 큰 다각형상의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볼트에는 상기 승하강볼트와 상기 가압블럭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가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의 상단부, 하단부 각각에는 상기 헤드 또는 상기 고정너트가 수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2.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에이치빔의 웹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에이치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은 상기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측면에 접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에이치빔의 홈에 구비되고,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는 상기 밀착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승하강되어 상기 밀착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압블럭; 및
    상기 가압블럭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럭은 상기 에이치빔의 웹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럭은 상기 밀착부에서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밀착부에 형성된 상기 가압블럭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ㄷ'형상의 가이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밀착부에 형성되는 T자 홈부;
    상기 T자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압블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T자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에이치빔의 웹에 형성된 연통홀;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압블럭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을 관통하고,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축; 및
    상기 조작축의 양 끝단에 각각 치합되고, 조임에 의해 상기 가압블럭을 에이치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작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KR1020090052457A 2009-06-12 2009-06-12 에이치빔 보강구 KR10114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57A KR101141179B1 (ko) 2009-06-12 2009-06-12 에이치빔 보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57A KR101141179B1 (ko) 2009-06-12 2009-06-12 에이치빔 보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56A true KR20100133756A (ko) 2010-12-22
KR101141179B1 KR101141179B1 (ko) 2012-05-02

Family

ID=4350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457A KR101141179B1 (ko) 2009-06-12 2009-06-12 에이치빔 보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38A1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01071B1 (ko) * 2012-11-07 2014-05-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28Y2 (ko) * 1987-01-08 1993-03-11
JPH10231694A (ja) 1997-02-18 1998-09-02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継手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38A1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01071B1 (ko) * 2012-11-07 2014-05-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CN104812973A (zh) * 2012-11-07 2015-07-29 朝鲜大学校产学协力团 H型钢柱补强装置及使用其的h型钢柱补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179B1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129A (ko) 파이프 배관 용접용 정렬 지그장치
KR100982650B1 (ko) 에이치빔 보강구
KR101141179B1 (ko) 에이치빔 보강구
CN101487489B (zh) 使用劈开的螺纹紧固件加预应力的装置
DE102016206456A1 (de) Kombination, umfassend ein Gehäuse und einen Flansch, und Anordnung
JP2010019072A (ja) H形鋼のボルト継手接合部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US20020119362A1 (en) Fuel cell plate with variable thickness sealing beads
EP1875110A1 (de) Flachdichtung, insbesondere zylinderkopfdichtung
KR101986181B1 (ko)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CN211850107U (zh) 一种高度可调式摩擦阻尼器
CN109982944B (zh) 耐磨组件和形成耐磨组件的方法
KR101575569B1 (ko) 프로파일용 연결구 구조
CN111720397A (zh) 一种安装位置可调的抗剪防滑移连接副及方法
EP0770784B1 (de) Klemmverbindung
EP1870625B1 (de) Fluidsystem
KR101498343B1 (ko) 그라운드 앵커 두부 정착 시스템
KR101783468B1 (ko) 탄소판을 이용한 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가설교량용 긴장장치
KR20160000817U (ko) 무용접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의 결합구조
CN107881918A (zh) 一种用于钢桥梁面板与u型肋装配的施工方法
CN208854830U (zh) 用于将压力缸连接到连续工作式压力机的梁的装置
CN213204147U (zh) 一种地下连续墙接头防渗漏装置
CN212775099U (zh) 一种抗剪防滑移连接副
JP6927024B2 (ja) ブレース材及び/又は梁材の架構への接合構造
KR102048600B1 (ko) 피스톤 유지 장치 및 방법
KR101775131B1 (ko) 긴장/재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탄소판 긴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