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650B1 - 에이치빔 보강구 - Google Patents

에이치빔 보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650B1
KR100982650B1 KR1020090073935A KR20090073935A KR100982650B1 KR 100982650 B1 KR100982650 B1 KR 100982650B1 KR 1020090073935 A KR1020090073935 A KR 1020090073935A KR 20090073935 A KR20090073935 A KR 20090073935A KR 100982650 B1 KR100982650 B1 KR 10098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
contact block
reinforcing plate
block
adjustm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0102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826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09007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bstract

에이치빔 보강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허용응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이격배치되며,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밀착블럭과, 밀착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밀착블럭의 간격을 가변시켜 에이침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간격조정부를 포함하고, 간격조정부는 밀착블럭 사이에 구비되는 조정축 및 조정축의 조작에 의해 밀착블럭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밀착블럭에 형성된 가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이치빔, 밀착블럭, 간격조정부, 비틀림방지부

Description

에이치빔 보강구{REINFORCING DEVICE OF H-BEAM}
본 발명은 에이치빔 보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이치빔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 플랜지를 지지함으로써, 에이치빔의 허용응력을 증대시키는 에이치빔의 보강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건설토목 형장에서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에이치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치빔은 웹을 중앙에 두고, 웹의 일단에 제1플랜지, 웹의 타단에 제2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전체적으로 영문자 H형을 이룬다.
일반적인 에이치빔은 작업 현장에서 말뚝, 기둥, 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세장비가 큰 구조재이므로 에이치빔이 보와 같은 횡부재로 사용될 경우에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하 '수직하중' 이라 함)에 대한 허용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의 필요성이 생긴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에이치빔은 대형 압연기를 이용해 열간압연에 의해 양산되는 것이 보통인바, 그 형태를 작업현장에서 임의로 바꾸기가 곤란하므로, 수직하중에 대한 더 큰 허용응력이 요구될때는 보다 더 큰 치수의 에이치빔을 사용하여야 함으로 재료비의 상승으로 시공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밀착블럭을 에이치빔의 홈에 구비하고, 간격조정부에 의해 밀착블럭의 간격을 가변시켜 에이치빔의 플랜지를 지지함으로써, 에이치빔의 허용응력을 증대하는 에이치빔 보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간격조정부에 의해 밀착블럭의 간격이 조정됨으로 에이치빔에서의 착탈이 용이하여 작업환경에 따라 수직하중에 대해 보다 큰 허용응력이 요구될 시 신속하게 적용 가능한 에이치빔 보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이격배치되며,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밀착블럭과, 밀착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밀착블럭의 간격을 가변시켜 에이침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간격조정부를 포함하고, 간격조정부는 상기 밀착블럭 사이에 구비되는 조정축 및 조정축의 조작에 의해 밀착블럭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밀착블럭에 형성된 가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블럭의 외측면에는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측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정축의 중앙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파지부를 중심으로 조정축의 양단 둘레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가변브라켓에는 조정축의 양단이 치합되도록 가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블럭에는 에이치빔의 웹과 접하는 보강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플레이트에는 상호 연결되어 밀착블럭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틀림방지부는 일측 보강플레이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끼움편과, 끼움편이 끼워지도록 타측 보강플레이트의 끝단에 형성된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는 조작너트 조임방식에 의한 가압블럭의 승하강으로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에이치빔의 착탈이 용이하며, 보강 요구시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에 따라, 에이치빔의 교체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어 공수를 줄이고 비용절 감의 효과를 지닌다.
또한, 각 부품이 분리 가능함으로 불량부품 발생시 해당부품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100)는 크게 한 쌍의 밀착블럭(110)과, 간격조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밀착블럭(110)은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에이치빔(10)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에이치빔(10)은 웹(12)을 중앙에 두고, 웹(12)의 양단에 플랜지(14)가 일체 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전체적으로 영문자 H형을 이룬다.
밀착블럭(110)는 이격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밀착블럭(110)의 외측면은 에이치빔(10)의 플랜지(14) 내측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부재(115)가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재(115)는 엠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밀착블럭(110)은 간격조정부(13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간격조정부(130)의 작동에 의해 밀착블럭(110)간의 이격거리가 가변되어 에이치빔(1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4)를 가압시킨다.
간격조정부(130)는 밀착블럭(110)의 사이에 구비되는 조정축(132) 및 조정축(132)의 조작에 의해 밀착블럭(110)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밀착블럭(110)에 형성된 가변브라켓(135)을 포함한다.
조정축(132)의 중앙부에는 파지부(133)가 형성되고, 파지부(133)의 중심으로 조정축(132)의 양단 둘레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134)이 형성되며, 가변브라켓(135)에는 조정축(132)의 양단이 치합되도록 가변홀(136)이 형성된다.
즉, 양측이 가변홀(136)에 치합되어 결합된 조정축(132)을 중앙에 형성된 파지부(133)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조정축(132)의 양단 둘레의 나사산(134)이 각각 반대로 형성됨에 따라 조정축(132)의 회전에 의해 밀착블럭(110)의 간격이 가변되는 것이다.
이때, 파지부(133)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조정축(132)의 회전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밀착블럭(110)에는 에이치빔(10)의 웹(12)과 접하는 보강플레이트(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밀착블럭(110)과 보강플레이트(120)에 의해 에이치빔(10)의 홈에 'ㄱ'자 형상으로 접함으로 보다 많은 면적이 접해 조정축(132)의 회전시 양측의 밀착블럭(110)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에이치빔 보강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100)는 제1실시예의 보강플레이트(120)에 연장 형성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조정축(132)의 회전시 밀착블럭(11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1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틀림방지부(140)는 일측 보강플레이트(120)의 끝단에 형성되는 끼움편(142)과, 끼움편(142)이 끼워지도록 타측 보강플레이트(120)의 끝단에 형성된 끼움홈부(144)를 포함한다.
즉, 끼움편(142)과 끼움홈(144)이 수평으로 결합됨에 따라 조정축(132)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지려는 밀착블럭(110)이 비틀어지지 않고, 비틀어짐이 방지됨에 따라 밀착블럭(110)의 간격조정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조립 및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조정축(132)에 양단에 밀착블럭(110)의 가변브라켓(135)을 결합하고, 이처럼 결합된 에이치빔 보강구(100)를 에이치빔(10)의 측면 홈에 삽입한다.
에이치빔(10)의 홈에 삽입된 밀착블럭(110)은 외측면이 플랜지(14)의 내측면에 접하고, 보강플레이트(120)는 웹(12)에 접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정축(132)의 파지부(133)를 파지하여 조정축(132)을 회전시키게 되면, 조정축(132)의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134)과 이와 치합된 가변브라켓(135)의 가변홀(136)에 의해 밀착블럭(110)을 서로를 밀어내게 되어 밀착블럭(110)이 에이치빔(10)의 플랜지(14)를 가압하게 되어 에이치빔(10)의 허용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밀착블럭(110)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115)가 형성되고, 밀착블럭(110)에 에이치빔(10)의 웹(12)과 접하는 보강플레이트(120)가 형성되어 마찰력 향상됨으로 조정축(132)의 회전시 밀착블럭(110)이 상호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밀착블럭(110)의 간격 가변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100)는 보강플레이트(120)에 비틀림방지부(140)가 구비되어 조정축(132)의 회전시 밀착블럭(110)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즉, 보강플레이트(120)에 서로 끼워지는 끼움편(142)과 끼움홈부(144)가 형성되어 그 결합에 의해 보강플레이트(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조정축(132)의 회전에 의해 밀착블럭(110)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힘을 방지함으로써, 밀착블럭(110)의 간격가변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건설토목 형장에서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에이치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이치빔 보강구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에이치빔 보강구 110 : 밀착블럭
115 : 미끄럼방지부재 120 : 보강플레이트
130 : 간격조정부 132 : 조정축
133 : 파지부 134 : 나사산
135 : 가변브라켓 136 : 가변홀
140 : 비틀림방지부 142 : 끼움편
144 : 끼움홈부

Claims (6)

  1. 에이치빔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이격배치되며,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밀착블럭;
    상기 밀착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블럭의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에이침빔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압하는 간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밀착블럭 사이에 구비되는 조정축; 및
    상기 조정축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밀착블럭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상기 밀착블럭에 형성된 가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측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하며;
    상기 밀착블럭에는 에이치빔의 웹과 접하는 보강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밀착블럭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비틀림방지부는 상기 일측 보강플레이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끼움편;
    상기 끼움편이 끼워지도록 상기 타측 보강플레이트의 끝단에 형성된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축의 중앙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정축의 양단 둘레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브라켓에는 상기 조정축의 양단이 치합되도록 가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보강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73935A 2009-08-11 2009-08-11 에이치빔 보강구 KR10098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35A KR100982650B1 (ko) 2009-08-11 2009-08-11 에이치빔 보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35A KR100982650B1 (ko) 2009-08-11 2009-08-11 에이치빔 보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650B1 true KR100982650B1 (ko) 2010-09-16

Family

ID=4301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35A KR100982650B1 (ko) 2009-08-11 2009-08-11 에이치빔 보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65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38A1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01071B1 (ko) * 2012-11-07 2014-05-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14242B1 (ko) * 2012-11-07 2014-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20150104063A (ko) 2015-08-17 2015-09-14 (주)스마텍엔지니어링 T형 보강장치를 이용한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방법 및 방지구조
KR20150003393U (ko) 2015-08-17 2015-09-14 (주)스마텍엔지니어링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를 위한 t형 보강장치
KR101591405B1 (ko) * 2014-08-05 2016-02-0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철골보의 횡좌굴방지보
CN105604241A (zh) * 2015-12-24 2016-05-25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用钢构加强横梁
KR200481789Y1 (ko) 2015-11-18 2016-11-10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지축과 받침대를 구비하여 h형강의 좌굴과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t형 보강장치
KR20180000013U (ko) * 2016-06-22 2018-01-02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토목공사용 스티프너 잭
KR20190131340A (ko)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에이치빔 이격장치
KR102191745B1 (ko) 2020-06-11 2020-12-16 주식회사 에스씨티앤씨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빔 보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28Y2 (ko) * 1987-01-08 1993-03-11
JPH0849344A (ja) * 1994-08-05 1996-02-20 Sekisui House Ltd 梁の補強部材
JPH10183863A (ja) * 1996-12-25 1998-07-14 Nippon Kogen Concrete Kk 構造部材の荷重点補強治具
KR20040060276A (ko) * 2002-12-30 2004-07-06 유각열 빔 보강용 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28Y2 (ko) * 1987-01-08 1993-03-11
JPH0849344A (ja) * 1994-08-05 1996-02-20 Sekisui House Ltd 梁の補強部材
JPH10183863A (ja) * 1996-12-25 1998-07-14 Nippon Kogen Concrete Kk 構造部材の荷重点補強治具
KR20040060276A (ko) * 2002-12-30 2004-07-06 유각열 빔 보강용 잭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38A1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01071B1 (ko) * 2012-11-07 2014-05-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14242B1 (ko) * 2012-11-07 2014-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CN104812973A (zh) * 2012-11-07 2015-07-29 朝鲜大学校产学协力团 H型钢柱补强装置及使用其的h型钢柱补强方法
KR101591405B1 (ko) * 2014-08-05 2016-02-0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철골보의 횡좌굴방지보
KR20150104063A (ko) 2015-08-17 2015-09-14 (주)스마텍엔지니어링 T형 보강장치를 이용한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방법 및 방지구조
KR20150003393U (ko) 2015-08-17 2015-09-14 (주)스마텍엔지니어링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를 위한 t형 보강장치
KR200481789Y1 (ko) 2015-11-18 2016-11-10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지축과 받침대를 구비하여 h형강의 좌굴과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t형 보강장치
CN105604241A (zh) * 2015-12-24 2016-05-25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用钢构加强横梁
KR20180000013U (ko) * 2016-06-22 2018-01-02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토목공사용 스티프너 잭
KR20190131340A (ko)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에이치빔 이격장치
KR102191745B1 (ko) 2020-06-11 2020-12-16 주식회사 에스씨티앤씨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빔 보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650B1 (ko) 에이치빔 보강구
CA3022754C (en) Apparatus for prestressing concrete floor of inclined shaft wall
KR101594762B1 (ko) 특히 모든 면을 강제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한 연결 방법 그리고 연결 장치
PE20140369A1 (es) Fibra de acero para reforzar hormigon o mortero que tiene un extremo de anclaje con al menos dos secciones dobladas
DK202070392A1 (en) System for controlling bolt pretensioning
IT201800001751A1 (it) Morsetto perfezionato per il montaggio di cavi ad un elemento di supporto
JP2016164452A (ja) 張力調節装置及びブレース
JP4073392B2 (ja) 仮設部材支持用具
JP2020066991A (ja) 対向鉄筋のグラウトレスカップリング機構および該機構に準じたグラウトレススリーブ脚付き定着金物
KR101480823B1 (ko)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CN203462758U (zh) 建筑施工用对称拉杆装置
KR101534188B1 (ko) 텔레스코픽 푸쉬풀 프롭
JP5787400B2 (ja) 鉄塔の斜材交換装置
WO1999036642A1 (en) Connecting elongate members
EP3508770B1 (en) Clamp apparatus and method of use or manufacture thereof
KR101141179B1 (ko) 에이치빔 보강구
JP2019535969A (ja) エラストマー体および締め付けボルトを有する加圧シール
KR20030080366A (ko) 철근 연결구
KR102116261B1 (ko) 송전철탑
KR20020005313A (ko) 철근이음장치
JP5327779B2 (ja) 鉄筋の定着構造
JP2006274566A (ja) 構造物用引張り材および鋼撚り線用接続具
US2383864A (en) Concrete form tie
KR101259316B1 (ko)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EP2977520B1 (de) Vorrichtung zum lage- und winkelgenauen positionieren und verankern eines spannsta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4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217

Effective date: 2018091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812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018

Effective date: 201905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