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711A -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711A
KR20100133711A KR1020090052401A KR20090052401A KR20100133711A KR 20100133711 A KR20100133711 A KR 20100133711A KR 1020090052401 A KR1020090052401 A KR 1020090052401A KR 20090052401 A KR20090052401 A KR 20090052401A KR 20100133711 A KR20100133711 A KR 2010013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alt
weight
comparative exampl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564B1 (ko
Inventor
이승기
서유미
유영경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9005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 수상 성분;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 수상 성분;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소금 및/또는 설탕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 및/또는 설탕이 재결정화된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들에 의한 각질 제거, 피부 유연감, 혈행 촉진 효과 및 제형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고, 소금 및/또는 설탕의 포화 용액 내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이 보습 기능을 나타내며,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세정 효과와 헹굼성이 우수하고, 또한 젤 형태로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소금, 설탕, 스크럽, 계면활성제

Description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Scrub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lt and/or sugar}
본 발명은 수상성분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혼합액에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을 용해시켜 얻은 소금 및/또는 설탕의 과포화 용액을 만든 후 이를 교반시키거나 함으로써,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과, 소금 및/또는 설탕의 포화 용액을 함께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수상성분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혼합액에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을 용해시켜 얻은 소금 및/또는 설탕의 과포화 용액으로부터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들에 의한 각질 제거, 피부 유연감, 혈행 촉진 효과 및 제형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고, 과포화 용액으로부터의 소금 및/또는 설탕의 재결정화로 남은 소금 및/또는 설탕의 포화 용액 내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을 함유함으로써 보습 기능을 나타내는 바디 스크럽(scrub)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디 스크럽용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거품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세정 효과와 헹굼성이 우수하고, 또한 젤 형태로 사용 편리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있어서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표피(epidermis)는 피부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실질적인 방어 기제를 가지며, 뿐만 아니라 피부 내의 수분을 일정량으로 유지시켜 주는 보습 유지 작용을 가지는데, 이는 표피부의 최외각에 일정량의 각질부가 존재해야만 위의 언급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피부가 받는 자극은 다양하며, 그 예로는 대기의 계절적 특징인 강한 바람, 혹서, 혹한 등의 자연적인 자극들과 대기 오염 물질, 산성비, 자외선 등과 같은 환경적인 자극들이 있으며, 이들은 물리, 화학적 자극들로 구분 지을 수도 있다. 이러한 자극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대표적인 기제가 각질에서의 방어이다.
피부의 각질의 형성은 표피 최하층에서부터 증식하여 서서히 표피 최외각으로 상승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표피층에서 분리되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피부 각화 (Keratinization)라 부른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의 이상과 급작스런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피부의 방어 기제를 능가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각질층의 각질이 정상적인 주기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거나 혹은 떨어져 나가는 주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피부 톤이 일정치 않게 되어 피부가 거칠고, 칙칙해 보이게 된다. 또한 얼굴의 경우 색조 화장을 하였을 때 불균일한 각질층 때문에 화장이 고르지 않게 보이고, 소위 말하는 들떠 보이는 듯한 화장이 이루어진다.
최근 문헌에 의하면 소금은 피부의 천연 보습인자 성분으로 각광을 받고 있 던 요소 (urea) 보다도 피부의 보습 효과 및 피부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다고 발표되고 있고, 피부의 노폐물의 흡착, 제거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된다.
또한, 소금을 화장료에 스크럽제 용도로 배합하여 각질 제거 효과를 부여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소금의 피부 노폐물 제거, 부종의 감소, 혈액 순환의 목적 및 특성에 따라 무기염류를 배합한 화장료(바수계폴리올 중유형)가 알려져 있으며, 다른 예로는 유중수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의 빙점을 낮추어 저온 보존 안정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거나, 샴푸나 바디클렌저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서 마이셀 (micelle)의 성장을 촉진하여 점도를 증가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J.Phy.Chem. B, 2000, 104, 2260-2264).
천연 소금을 다량 사용한 스크럽 제형 연구로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1996-021004호, 제10-2007-0091758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들은 비수계(물을 포함하지 않는 제형)로서 물을 이용하지 않고 극성 용매인 폴리올을 이용한 액정 유화 방법으로 소금을 과량 사용해서 스크럽 기능을 부여하고 있는데, 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 물을 이용한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유화물의 경우 소금 성분이 해리되어 계면활성제의 용해도를 현격히 감소시키게 되므로 소금을 과량 사용 할 수 없는 큰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기존의 폴리올 중 유화물에 사용되었던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경우 통상 거품성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종류보다 거품력이 적으며, 이들은 단 지 유화 안정화제 역할로만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올중유형 제형의 스크럽은 사용 시, 물과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세정 효과 및 헹굼성이 크게 떨어지며, 사용 후 물을 과량 사용하여 다시 헹궈낸다든지 다시 한번 별도의 세정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들 폴리올중유형 제형은 다량의 오일들을 함유하고 있어 실제 소금에 의한 보습 효과 측정이 무의미하다.
한편, 천연의 스크럽제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설탕을 과량 포함하는 스크럽제 화장료 조성물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64312호 및 특허출원 제10-2007-0044437호에서 개시되었으며, 이에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아니하여 세정 및 헹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그 결과 이중 세안 및 다른 세정 제품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과 물,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은 아직 없었으며, 그 이유로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이 물에 해리되어 거품성 계면활성제의 용해도를 현격히 감소시키게 되므로 제형의 점도를 떨어뜨려 좋은 사용성을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를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화장품이 받쳐주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의 필링 제품의 시장동향은 웰빙 트렌드(well-being trend)와 홈필링(home peeling)이 인기를 끌고 있어, 앞으로는 천연 스크럽제를 사용하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스크럽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물을 이용하는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유화물 화장료에 소금 및/또는 설탕 성분이 포함되었을 때, 이들 소금 및/또는 설탕 성분이 물에 해리되어 거품성 계면활성제의 용해도를 현격히 감소시키게 되므로 소금 및/또는 설탕을 과량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주계면활성제로 기포와 세정능력이 뛰어난 기능을 하고, 양쪽성계면활성제는 보조계면활성제로서 마일드한 기포력과 음이온계면활성제와 혼합을 통해 제형의 안정화와 자극 정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폼부스팅 역할과 점증 효과를 극대화시킨다는 점,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소금 및/또는 설탕이 과포화 후 재결정화되면 소금 및/또는 설탕 성분이 해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원발명의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이 함께 용해된 수상 성분에 소금 및/또는 설탕을 과 용해시켜 재결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이,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성분이 해리되지 않고, 제형의 점도 및 거품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스크럽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 수상 성분;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소금 및/또는 설탕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 및/또는 설탕이 재결정화된 입자 상태로 존재하여 스크럽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소금 및/또는 설탕의 과포화 용액으로부터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들에 의한 바디 스크럽(scrub) 기능, 피부 유연감, 혈행 촉진 효과 및 제형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고, 과포화 용액으로부터의 소금 및/또는 설탕의 재결정화로 남은 소금 및/또는 설탕의 포화 용액 내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에 의한 보습 기능이 뛰어나며, 거품성 계면 활성제인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세정 효과와 헹굼성이 우수하고, 또한 젤 형태로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스크럽제인, 과포화 용액으로부터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과,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천연 스크럽제인, 과포화 용액된 후, 재결정화된 입자상태로 존재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과,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 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ⅰ) 소금 10 ~ 85 중량부; (ⅱ)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ⅳ) 양쪽성 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ⅴ)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ⅶ) 폴리올 0.5 ~ 2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소금이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이 재결정화되어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설탕 20 ~ 85 중량부; (ⅱ)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ⅳ) 양쪽성 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ⅴ) 비이온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ⅶ)폴리올 0.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설탕이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소금 10 ~ 85 중량부; (ⅱ) 설탕 20 ~ 85 중량부; (ⅲ)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ⅳ) 음이온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ⅴ) 양쪽성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ⅶ)비이온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ⅷ) 폴리올 0.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소금 및 설탕이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 및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금이 천일염, 암염, 정제염, 사해염, 죽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입자 크기가 0.01mm ~ 5.0mm의 범위인 것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상 성분이 정제수, 미네랄이 포함된 해양 심층수, 온천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포스페이트, 알킬 타우레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린, 디메틸베타인, 코코베타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설타인,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20 의 알킬이고, R2, R3 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4CO기는 탄소수 8내지 20의 알콕시이고, n 은 0 또는 1이다.
[화학식 3]
R5O(CH2CH2O)mH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페닐이고, m 은 3 내지 50 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과 같은 폴리글리세린과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톨,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소르비톨, 전분 분해물 유래 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전신맛사지용, 전신클렌징용, 얼굴마사지용, 얼굴클렌징용 및 두피마사지용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스크럽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 수상 성분;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소금 및/또는 설탕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 및/또는 설탕이 재결정화된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소금 및/또는 설탕의 물에 대한 용해성 때문에, 소금 및/또는 설탕을 스크럽제로 이용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제조가 어려운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여, 거품성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상 성분에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을 용해시킨 과포화 용액으로부터 재결정화시킨 소금 및/또는 설탕에 의한 각질 제거 효과 (실험예 1)와 피부의 혈행 촉진 효과(실험예 2),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자극감이 적은 효과를 가진다 (실험예 5, 실험예 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금 및/또는 설탕의 재결정화 이후 남은 포화 용액 내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의 뛰어난 수분 보유능에 의한 보습 효과(실험예 7)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을 스크럽제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젤 형태를 유지하는 제형 및 경시 안정성 (실험예 3), 사용시 느낌, 세정력, 헹굼성 및 마사지 효과 등 (실험예 4)이 뛰어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스크럽제로서,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 수상 성분;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소금 및/또는 설탕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 및/또는 설탕이 재결정화된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수중유형 제형을 제공한다.
물이 포함된 수중유형 제형 내에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가 물에 해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소금 및/또는 설탕을 다량으로 용해시켜 과포화 용액을 만든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를 형성하고, 재결정화 이후 남는 포화 용액 중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에 의한 천연 보습 효과를 가지며,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다량으로 포함하여 세정력을 개선한 스크럽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 포함된 수중유형 제형 내에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는 물에 해리되는 현상으로 인해 스크럽제의 역할을 하기 힘들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 호두 껍질과 같은 불용성 물질은 피부에 자극감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제형 내에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이 포함될 경우 거품성 계면활성제의 용해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제형의 점도가 저하되고, 세정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금이 용해되지 않는 폴리올을 용제로 사용하는 폴리올중유형 제형 역시 유화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비이온 및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거품력이 적고, 세정효과 및 헹굼성이 크게 떨어지며, 사용 후 물을 과량 사용하여 헹구거나, 추가로 세정 제품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과량의 소금 및/또는 설탕을 용해시켜 과포화에 의하여 재결정화된 입자를 형성하고, 재결정화 이후 남은 포화 용액 중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는 소금 및/또는 설탕에 의한 부드러운 각질제거 효과와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다량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 비율을 발견하였고, 이 기술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제거 효과 및 사용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ⅰ) 소금 10 ~ 85 중량부; (ⅱ)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ⅳ) 양쪽성 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ⅴ)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ⅶ) 폴리올 0.5 ~ 2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소금이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이 재결정화되어 입자로 존재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ⅰ) 설탕 20 ~ 85 중량부; (ⅱ)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ⅳ) 양쪽성 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ⅴ) 비이온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ⅶ)폴리올 0.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설탕이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로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ⅰ) 소금 10 ~ 85 중량부; (ⅱ) 설탕 20 ~ 85 중량부; (ⅲ)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ⅳ) 음이온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ⅴ) 양쪽성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ⅶ)비이온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ⅷ) 폴리올 0.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소금 및 설탕이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 및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로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각질 제거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으며, 화학적인 각질 제거 방법은 단백질 분해 효소와 같이 수분과 온도를 적절히 작용시켜 각질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교소체 (desmosome)를 분해시켜 제거하는 방법과 알파-히드록시산이나 베타-히드록시산 등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유기산들은 농도를 증가시켜 피부에 바를 경우 피부가 따끔거리거나 민감해지는 부작용이 있다.
물리적 각질 제거제인 스크럽제는 천연계로는 살구씨, 호두껍질, 아몬드씨, 복숭아씨 등을 가루로 만든 식물성 스크럽과 게 껍질, 달걀 껍질 등을 가루로 만든 동물성이 있다. 합성계는 유기계와 무기계로 구분되며 유기계는 나이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이 있고, 무기계에는 실리카, 알루미나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을 함유한 스크럽 화장료는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스크럽제 자체의 단단함으로 인해 피부 맛사지 효과 보다는 스크럽제가 피부에 대해 이질감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때 거부감을 느끼는 등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피부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모가 있는 경우가 많아 스크럽을 사용할 때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발생시키며, 특히 눈에 들어갈 경우에는 각막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스크럽제들은 스크럽의 효과만 있을 뿐 그 외의 보습 효과 내지는 피부 미용 효과는 없으며 또한 연약한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과다한 자극을 주어 피부에 부작용을 주는 등 오히려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 스크럽제인 소금은 무기염으로 생체 내에 존재하는 염으로서 체액의 삼투압 유지와 조직 대사, 생체 리듬 조절 등에 깊이 관여하며, 특히 염화나트륨은 높은 삼투압에 의한 피부 노폐물 제거, 부종의 감소 및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소금은 천일염, 암염, 정제염, 사해염, 죽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구조적으로 NaCl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0.01mm ~ 5.0mm의 범위인 것에서 선택된다. 소금 입자의 크기가 0.01mm 미만인 경우에는 스크럽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입자 크기가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상처가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금은 10 ~ 85 중량부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15 ~ 50 중량부로 함유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40 중량부로 함유된다. 소금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중유형에서 용해되어 스크럽 효과가 떨어지며, 85 중량부 초과일 경우 사용감이 나빠 도포 시 피부에 자극을 주며, 제형의 안정도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된 소금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이 재결정화된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 스크럽제인 설탕은 물에서 과포화된 이후 결정이 형성됨으로써 제형 내에서 스크럽제 역할을 하게 되며, 설탕의 용해도가 소금보다 높기 때문에 스크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시에는 소금보다 많은 양이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설탕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 ~ 85 중량부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25 ~ 65 중량부로 함유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0 중량부로 함유된다. 설탕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중 유형 제형에서 용해되어 스크럽 효과가 떨어지며, 85 중량부 초과일 경우 사용감이 나빠 도포 시 피부에 자극을 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된 설탕은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 용해된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금 및/또는 설탕의 물에 대한 과포화도를 이용하여, 과 용해된 소금 및/또는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를 형성하여 스크럽 역할을 하는 수중유형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금 및 설탕의 재결정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체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용해도는 용매 100g에 대해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을 말하여, 용매로는 보통 물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에 고체를 녹이면 낮은 온도에서보다 더 많은 양의 고체용질을 녹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용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온도를 다시 천천히 내리면 용해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용질은 다시 석출되면서 결정을 이룬다. 이러한 방법을 재결정화(recrystallization)라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상 성분은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중유형 제형의 외부상을 형성하며, 정제수, 미네랄이 포함된 해양 심층수, 온천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상 성분은 1 ~ 40 중량부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5 ~ 35 중량부로 함유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0 중량부로 함유된다. 수상 성분이 1 중량부 미만으로 배합될 경우 다른 성분인 폴리올 또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점도가 높아져 사용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고, 또한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배합될 경우 소금 및/또는 설탕을 용해시켜 스크럽으로서의 역할을 저해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타우레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8 내지 20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내지 18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라우릴 포스페이트, 나트륨 메틸 팔미토일 타우레이트, 코코일 설포석시네이트, 옥실렌화 라우릴 알코올 설포석시네이트의 디소듐 염,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나트륨 라우로일 에테르 설페이트, 나트륨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옥시에틸렌화 나트륨 데실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0.5 ~ 30 중량부 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5 중량부로 함유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로 함유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배합될 경우 거품 생성량이 적고, 세정력이 떨어지며, 점도가 낮아 제형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또한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배합될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린, 디메틸베타인, 코코베타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설타인,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8 내지 20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내지 18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0.5 ~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5 중량부로 함유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 ~ 12 중량부로 함유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감을 완화시키지 못하며, 또한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점도에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3
(상기 화학식1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20 의 알킬이고, R2, R3 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다.)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4CO그룹은 탄소수 8내지 20의 알콕시이고, n 은 0 또는 1이다.)
R5O(CH2CH2O)mH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페닐이고, m 은 3 내지 50 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0.5 ~ 2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부로 함유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 ~ 15 중량부로 함유된다. 비이온계면활성제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점도가 낮아 소금이 과량 포함되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세정력이 저하되며, 거품력이 저하된다. 또한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과 같은 폴리글리세린과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톨,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소르비톨, 전분 분해물로부터 유래된 당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올은 0.5 ~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5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폴리올이 0.5 중량부 미만으로 배합될 경우 사용 후 건조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많은 본원 발명의 제형에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천연 스크럽제인 소금 및/또는 설탕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 예컨대 오일류,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스크럽 목적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다양한 화장품 성분 및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사지 로션,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클렌징 폼, 클렌징 팩, 바디워시, 바디샴푸, 바디스크럽, 배스오일, 배스솔트, 버블배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 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팩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크럽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신맛사지용, 전신클렌징용, 얼굴맛사지용, 얼굴클렌징용 및 두피전용 마사지 화장료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 소금 및/또는 설탕의 포화 용액 및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각질 제거 효과, 피부 유연감, 피부 노폐물 제거 및 세정 효과, 혈행 촉 진 효과, 우수한 헹굼성 및 우수한 사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 소금 및/또는 설탕의 포화 용액 및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했을 때 물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 호두껍질과 같은 불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과포화에 의하여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피부 각질 및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일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5 : 소금 및/또는 설탕 및 다량의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 비율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상 성분인 정제수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첨가한 후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모든 공정은 실온 공정이며, 필요시 40℃까지만 가온한다. 여기에 스크럽제로 소금 15 중량부 (실시예 1), 소금 30 중량부 (실시예 2), 소금 50 중량부 (실시예 3), 설탕 50 중량부 (실시예 4), 소금 30 중량부와 설탕 20 중량부 혼합물 (실시예 5)을 각각 투입하여 혼합 후, 폴리올인 글리세린, 첨가제로 색소, 향료, 구연산,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을 투입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소금 및/또는 설탕이 과량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표 1의 각 성분의 함량은 g으로 표시된다.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암모늄라우레스 설페이트 7.5 7.5 7.5 7.5 7.5 7.5 7.5 7.5 5.5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5.0 5.0 5.0 5.0 5.0 5.0 - 5.0 1.5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2.5
소금 15.0 30.0 50.0 - 30.0 30.0 30.0 30.0 30.0
설탕 - - - 50.0 20.0 - - - -
폴리에틸렌 - - - - - - - - -
호두껍질가루 - - - - - - - - -
올리브오일 - - - - - 5.0 - - -
색소(황색 4호)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원료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암모늄라우레스 설페이트 5.5 7.5 7.5 7.5 - - - - -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1.5 5.0 5.0 - 5.0 - 5.0 - -
코카마이드디이에이 2.5 10.0 10.0 - - 10.0 10.0 - -
소금 30.0 - - 30.0 30.0 30.0 30.0 30.0 -
설탕 - - - - - - - - 50.0
폴리에틸렌 - 10.0 - - - - - - -
호두껍질가루 - - 10.0 - - - - - -
올리브오일 - - - - - - - - -
색소(황색 4호)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 to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 -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1-7 : 화장료 조성물 제조>
비교예는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되었으며, 실시예 2와 동일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성 성분인 올리브오일을 추가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1),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만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2),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3),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도록 한 조성물 (비교예 4),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5)을 제조하였다(표 1 참고).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스크럽제인 소금 및/또는 설탕을 대신하여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6)과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7),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8),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9),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0),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성분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3)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제거, 피부 혈행 촉진 효과, 보존 안정성의 효과, 사용성, 자극 실험 및 수분 보유능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각질 제거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이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1,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 및 비교예 8 내지 비교예 11, 기존의 각질제거제를 사용한 비교예 6, 비교예 7,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3의 제품들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질제거효과를 보았다. 성인 남· 여 20명을 대상으로 제품들에 대한 각질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먼저 피시험자에게 DHA(Dihydroxyacetone)를 함유한 Instabronze 10% 용액을 1일 2회, 2일간 1.5 x 1.5 cm2 넓이로 팔 안쪽에 도포하여 피부에 있는 표피를 갈색으로 염색하였다. 염색이 된 이후에 시료를 1일 2회, 40ul의 제형을 염색된 부위에 도포하고 2분간 충분히 마사지하여 피부색의 변화를 통해 각질제거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색의 변화는 Colorimeter(CR300 Minolt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DHA 적용 완료 후, 시험물질들을 1차 및 2차 적용 후에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피부색 변화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샘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L Value
평균값
1.15 3.00 1.56 3.25 1.85 3.50 1.54 3.49 1.69 3.40 1.45 1.75 1.56 1.84 1.65 1.95 1.56 1.90
샘플명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1차
적용
2차
적용
△L Value
평균값
1.54 1.85 0.56 1.12 0.45 0.89 1.56 1.75 1.50 1.71 1.46 1.65 1.56 1.94 1.56 1.96 1.54 1.95
표 2 및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소금 15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1), 소금 30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2), 소금 50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3), 설탕 50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4), 소금 30 중량부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5)는 실시예 2와 동일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성 성분인 올리브오일을 추가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1),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만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2),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3),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도록 한 조성물 (비교예 4),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5),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화장료 (비교예 6) 및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비교예 7),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8),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9),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0),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성분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3)에 비해 피부의 밝기 측정값의 색차인 △L value가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실험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와 함께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의 각질제거효과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혈행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혈행촉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1,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 및 비교예 8 내지 비교예 11, 기존의 각질제거제를 사용한 비교예 6, 비교예 7,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3의 제품들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혈류량 측정시험을 실시였다. 시험 방법으로는 피부 혈류량 측정장치 (Perifoux, Perimed사)를 이용하여 성인 남· 여 20명의 하박부에 지름 3㎝크기의 원을 그린 후 제품 사용 전, 후의 혈류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시료의 혈류량 상승률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5
상기 식에서, A는 도포전 혈류량 평균값(mV), B는 도포 30분 후 혈류량 평균값(mV)이다.
샘플명 도포전 평균값(A)
(mV)
도포후 30분후 평균값 (B)
(mV)
혈류량상승(%)
실시예1 28 36 17.9
실시예2 28 38 25.0
실시예3 28 39 35.7
실시예4 28 38 25.0
실시예5 28 38 28.6
비교예1 28 32 14.3
비교예2 28 33 17.8
비교예3 28 32 14.3
비교예4 28 31 10.7
비교예5 28 30 7.1
비교예6 28 31 10.7
비교예7 28 30 7.1
비교예8 28 31 10.7
비교예9 28 30 7.1
비교예10 28 30 7.1
비교예11 28 34 21.4
비교예12 28 33 17.8
비교예13 28 32 14.3
상기 표 3의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스크럽제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소금 30 중량부와 설탕 2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실시예 5는 실시예 2와 동일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성 성분인 올리브오일을 추가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1),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만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2),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3),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도록 한 조성물 (비교예 4),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5),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화장료 (비교예 6) 및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비교예 7),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8),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9),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0),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성분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3)에 비해 피부의 혈류량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실험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와 함께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적용했을 때 현저한 혈류량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경시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1,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 및 비교예 8 내지 비교예 11, 기존의 각질제거제를 사용한 비교예 6, 비교예 7,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3의 제품들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경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시 안정성 시험을 위해 제품 제조 직후 투명용기에 담아 실온,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6개월간 정치하여 경시 안정성을 시험하였고, 점도의 경우 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 6rod, 20rpm, 2min, 30℃에서 측정하였다. 그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점도의 단위는 cp이다.
조건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온 1개월
점도 10,850 13,500 17,500 12,700 15,600 12,600 14,200 4,500 8,750
6개월
점도 9,650 12,900 16,200 12,200 15,200 9,300 5,500 3,950 6,850
4℃ 1개월
6개월
40℃ 1개월
6개월
45℃ 1개월
6개월 ×
Cycling (-4℃~40℃;2회/1일) 1개월
6개월 ×
조건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실온 1개월
점도 17,600 15,600 14,800 13,200 12,600 14,200 14,200 12,600 14,200
6개월 × ×
점도 10,000 9,800 8,800 4,500 5,000 5,500 4,500 6,750 5,500
4℃ 1개월
6개월 × ×
40℃ 1개월
6개월 × × × ×
45℃ 1개월
6개월 × × × × ×
Cycling (-4℃~40℃;2회/1일) 1개월
6개월 × × × × × ×
○ : 양호, △ : 보통, × : 분리, 측정불가 (스크럽제 분리)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소금 15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1), 소금 30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2), 소금 50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3), 설탕 50 중량부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4), 소금 30 중량부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실시예 5)는 실시예 2와 동일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성 성분인 올리브오일을 추가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1),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만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2),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3),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도록 한 조성물 (비교예 4),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5),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화장료 (비교예 6) 및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스크럽제로 사용한 화장료 (비교예 7),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8),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9),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0),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2)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성분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3)에 비해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만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도록 한 비교예 4, 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5,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비교예 6과 천연계 스크럽제로 호두껍질가루를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크럽제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성분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3은 실온,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 모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형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든 온도 조건 및 시간 경과에 의해서도 점도 변화가 거의 없는 안정한 젤 형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3은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아 낮은 점도를 형성하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보다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거품안정제 및 점도강화제로 역할을 하는 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가 비교예 3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실험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와 함께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사용성 평가
상기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1,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 및 비교예 8 내지 비교예 11, 기존의 각질제거제를 사용한 비교예 6, 비교예 7,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3의 제품들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0-40세의 연령층으로 하여 남녀 지원자 각 25명을 실험 대상자로 선발하여, 1일 1회 사용하여 5일 경과한 뒤에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 화장료에 대한 사용감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효과는 다음과 같은 5 등급으로 나누었다.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3은 사용성 평가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 사용감 비교 >
1 : 매우 나쁨 2 : 나쁨 3 : 보통 4 : 좋음 5 : 매우 좋음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사용 시
Foam 형성력
4.0 4.1 4.0 4.0 4.1 2.3 2.5 2.6 2.1 2.3 2.9 2.9 2.4 2.5 2.4 2.7
사용 시
느낌
4.1 4.2 3.9 4.0 4.1 2.8 2.8 2.9 2.5 2.7 2.5 2.6 2.5 2.6 2.6 2.7
사용 후
느낌
4.0 4.3 4.1 4.2 4.3 3.3 2.8 2.5 2.8 2.5 2.4 2.5 2.7 2.5 3.3 2.6
세정효과 4.1 4.2 4.1 4.0 4.1 2.0 2.3 2.5 2.6 2.5 2.6 2.8 2.3 2.3 2.0 2.3
헹굼성 3.8 3.9 3.9 3.8 3.7 2.1 2.0 3.0 2.9 3.0 2.9 2.8 2.1 2.0 2.1 2.0
마사지 효과 3.9 4.3 4.3 4.3 4.2 2.5 3.4 3.3 3.2 2.5 2.4 2.0 2.5 2.4 2.5 2.4
평균 3.98 4.17 4.05 4.05 4.08 2.50 2.63 2.80 2.68 2.58 2.62 2.60 2.42 2.38 2.48 2.45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럽제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와 스크럽제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는 모든 사용감 비교 항목에서 유상성분인 오일이 첨가된 비교예 1, 양쪽성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2,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비교예 4,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각각 낮추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 대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5 및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비교예 6,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첨가한 비교예 7,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0,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1 보다 우수함을 나타냈다.
특히, 유상성분인 오일이 첨가된 비교예 1의 실험 결과를 통해 조성물 내에 오일을 다량 함유할 경우 거품력, 헹굼성 등 전반적인 사용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 대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에도 거품력 부족 및 헹굼성 측면에서 낮은 점수 받아 사용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 비교예 8 내지 비교예 11의 사용감 평가 점수가 낮게 평가된 것을 통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가운데 1종만을 선택하여 사용했을 경우 또는 2종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경우, 3종을 모두 소량 사용하여 혼합했을 경우 모두 사용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대한 사용성 평가 실험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는 사용 후의 느낌과 마사지 효과에서 폴리에틸렌, 호두껍질가루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럽제에 비해 그 사용 느낌이 우수하고, 세정 효과와 헹굼성에서도 피검자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와 함께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했을 때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자극감 비교 - 주관적 평가
상기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감 비교를 위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3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극감에 대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감 비교를 실시하면서 사용감 이외에 자극에 대한 설문을 따로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자극의 정도는 상(자극이 높음), 중(보통), 하(자극 없음)로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목 자극정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자극 정도에 대한 설문에 대해, 스크럽제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스크럽제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는 피부에 스크럽제로 도포하여 사용했을 때, 자극정도가 없는 '하’의 평가를 받았다.
유상성분인 오일이 첨가된 비교예 1, 양쪽성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2,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은 자극정도가 '중’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첨가한 비교예 7과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비교예 4는 자극정도에 대한 평가로‘중’을 받았으며,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비교예 6과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 대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5는 자극정도가 높은 '상’의 평가를 받았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는 자극정도에 대한 평가로‘중’을 받았으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10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 성분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내지 비교예 13은 자극정도가 높은 '상’의 평가를 받았다.
상기와 같은 설문평가 결과를 통해,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소금 및/또는 설탕을 이용한 스크럽제의 자극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 이유는 소금과 설탕이 피부에 도포되어 스크럽제로 사용하는 중에 물에 용해되어 자연스럽게 녹아 없어져 피부 자극에 영향을 덜 끼치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자극감 비교 - 폐쇄 첩포 시험 평가
상기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감 비교를 위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3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극감에 대한 폐쇄 첩포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폐쇄 첩포 시험 방법을 병행하여 양팔 하박부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1% 농도)를 각각 24시간 부착한 후 제거하여 피부자극을 체크하였다. 이 실험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제품 피부자극효과
실시예1 0.8
실시예2 0.9
실시예3 0.9
실시예4 0.8
실시예5 1.0
비교예1 1.4
비교예2 2.0
비교예3 1.8
비교예4 1.7
비교예5 1.7
비교예6 1.9
비교예7 1.8
비교예8 1.8
비교예9 1.7
비교예10 1.9
비교예11 1.8
비교예12 2.5
비교예13 2.4
<피부자극 판정기준>
0: 자극 없음, 1: 미약한 자극, 2: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경미한 자극, 3: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자극, 4: 강한 자극
폐쇄 첩포 시험 결과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는 유상성분인 오일이 첨가된 비교예 1, 양쪽성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2,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비교예 4,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낮추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정제수 대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5 및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비교예 6,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첨가한 비교예 7,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10,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 성분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3 보다 낮은 자극수치를 보였다.
특히, 양쪽성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2는 스크럽제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 보다 약간 높은 자극 정도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극수치를 나타낸 것은 일반적으로 음이온계면활성제만 사용 시 피부 자극 정도는 높아지며, 양쪽성계면활성제를 일정 함량 혼합 투입 시 자극 정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3은 재결정화된 소금 또는 설탕입자를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했을 때, 거품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완충작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자극수치가 높게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7> 수분보유능 측정
상기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감 비교를 위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3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분보유능 측정을 통한 보습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보유능을 통한 보습효과는 25℃, 상대 습도 60%로 유지된 항온항습실에서 성인 남· 여 15명을 대상으로 제품들에 대한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먼저 피시험자를 30분 이상 항온 항습실에서 휴식을 시킨 후, 하박부 안쪽의 4㎝× 4㎝ 면적 부분에 제품을 도포하기 전 및 도포 후 2분간 충분히 마사지한 다음 헹구어 낸 후 시간에 따른 수분 보유능을 피부 수분 측정장치인 코네어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독일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코네어미터는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이 보유하는 수분의 양과 피부의 수분 보유 능력을 측정하는 기계로서 도포 전 수분보유량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샘플명 수분 보유량
사용전 30분 3시간
실시예1 25.7 40.8 38.1
실시예2 24.8 41.6 39.2
실시예3 24.3 42.5 36.6
실시예4 24.2 40.3 37.9
실시예5 25.3 41.2 38.3
비교예1 23.5 35.1 30.2
비교예2 25.7 34.5 31.6
비교예3 24.5 34.4 32.1
비교예4 24.3 35.4 29.1
비교예5 25.6 33.4 29.1
비교예6 23.8 27.6 23.5
비교예7 24.1 28.9 25.3
비교예8 25.7 26.6 24.5
비교예9 24.3 27.6 25.5
비교예10 25.3 28.9 26.5
비교예11 25.7 29.9 25.2
비교예12 23.5 28.9 24.3
비교예13 24.5 29.8 25.3
표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샘플을 적용한 후 30분 및 3시간까지의 수분 보유량은, 스크럽제로 소금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스크럽제로 설탕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스크럽제로 소금과 설탕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5 모두 비교예인 유상성분인 오일이 첨가된 비교예 1, 양쪽성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2,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과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비교예 4,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낮추고 용제를 수상 성분인 물 대신 폴리올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5, 합성계 스크럽제인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비교예 6, 천연계 스크럽제인 호두껍질가루를 첨가한 비교예 7,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과 수상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10,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 및 수상 성분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소금을 포함하는 비교예 1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과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3에 비해 샘플 적용 후 30분 및 3시간 측정 결과 모두 탁월한 수분 보유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대한 수분보유능 측정 실험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크럽제로서 과포화 후 재결정화된 소금 및/또는 설탕 입자와 함께 거품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했을 때 우수한 수분보유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소금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실시예 2) 및 소금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실시예 3)에 의한 각질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4)

  1. (ⅰ) 소금 10 ~ 85 중량부; (ⅱ)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ⅳ) 양쪽성 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ⅴ)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ⅶ) 폴리올 0.5 ~ 2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ⅰ) 설탕 20 ~ 85 중량부; (ⅱ)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ⅳ) 양쪽성 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ⅴ) 비이온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ⅶ)폴리올 0.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
  3. (ⅰ) 소금 10 ~ 85 중량부; (ⅱ) 설탕 20 ~ 85 중량부; (ⅲ) 수상 성분 1 ~ 40 중량부; (ⅳ) 음이온계면활성제 0.5 ~ 30 중량부; (ⅴ) 양쪽성계면활성제 0.5 ~ 20 중량부; (ⅶ)비이온계면활성제 0.5 ~ 25 중량부; 및 (ⅷ) 폴리올 0.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소금이 재결정화된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탕은 상기 수상 성분 중에 과포화 용해된 후, 과포화 용해된 설탕이 재결정화되어 입자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 암염, 정제염, 사해염, 죽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입자 크기가 0.01mm ~ 5.0mm의 범위인 것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 해양 심층수, 온천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포스페이트, 알킬 타우레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린, 디메틸베타인, 코코베타인, 코카아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설타인,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20 의 알킬이고, R2, R3 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35667842-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4CO기는 탄소수 8내지 20의 알콕시이고, n 은 0 또는 1이다.
    <화학식 3>
    R5O(CH2CH2O)mH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페닐이고, m 은 3 내지 50 의 정수이다.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과 같은 폴리글리세린과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톨,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소르비톨, 전분 분해물 유래 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신맛 사지용, 전신클렌징용, 얼굴마사지용, 얼굴클렌징용 및 두피마사지용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크럽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KR1020090052401A 2009-06-12 2009-06-12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01A KR101117564B1 (ko) 2009-06-12 2009-06-12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01A KR101117564B1 (ko) 2009-06-12 2009-06-12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11A true KR20100133711A (ko) 2010-12-22
KR101117564B1 KR101117564B1 (ko) 2012-03-13

Family

ID=4350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401A KR101117564B1 (ko) 2009-06-12 2009-06-12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348A (ko) 2014-12-22 2016-06-30 코웨이 주식회사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CN107280991A (zh) * 2017-06-12 2017-10-24 上海宏度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卸妆用组合物及制备方法
KR20200144191A (ko) * 2019-06-17 2020-1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210043548A (ko) * 2019-06-17 2021-04-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102399544B1 (ko) * 2021-12-20 2022-05-19 주식회사 더마룹 소금을 통해 스크럽 기능을 강화한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WO2024085331A1 (ko) * 2022-10-21 2024-04-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소금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86B1 (ko) * 2015-05-29 2016-12-12 곽민선 천일염을 이용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5461A (ko) 2017-07-06 2019-01-16 최병규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69763B1 (ko) 2017-07-06 2018-06-21 최병규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5598A (ko) 2019-05-22 2020-12-03 최병규 손발톱 무좀 예방 및 개선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428B1 (ko) * 1994-12-24 1998-10-15 성재갑 소금이 다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JP2004083569A (ja) * 2002-07-05 2004-03-18 Suzuki Yushi Kogyo Kk 鉱物油、動植物油および塗料などによる汚れ用洗浄剤
KR101206985B1 (ko) * 2005-03-15 2012-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348A (ko) 2014-12-22 2016-06-30 코웨이 주식회사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CN107280991A (zh) * 2017-06-12 2017-10-24 上海宏度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卸妆用组合物及制备方法
KR20200144191A (ko) * 2019-06-17 2020-1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210043548A (ko) * 2019-06-17 2021-04-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102399544B1 (ko) * 2021-12-20 2022-05-19 주식회사 더마룹 소금을 통해 스크럽 기능을 강화한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WO2024085331A1 (ko) * 2022-10-21 2024-04-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소금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64B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64B1 (ko)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N106236613A (zh) 一种净润清透泡泡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14246812B (zh) 一种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5993857A (en) Cosmetic skin cleanser based on natural active substances
CN107397686A (zh) 一种连续自发泡组合物及其应用
CN109864933A (zh) 一种不含硅油的儿童头发清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50007551A (ko)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
CN109394560A (zh) 一种氨基酸洁面膏及其制备方法
CN113332174A (zh) 一种液晶乳化体系氨基酸洁肤膏及制备方法
CN111494275B (zh) 一种适合婴幼儿的眼部无刺激的洗涤用品及其制备方法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EP0930870B1 (en) Preparation protecting skin from mechanical irritation
CN110269815A (zh) 含有油莎草根油的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062156B1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318008B (zh) 一种沐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3008894A (ja) アミノ酸系界面活性剤を含むクレンジングフォーム化粧料組成物
CN112336662B (zh) 一种舒缓沐浴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664687B (zh) 护肤型净颜卸妆膏及其制备方法
KR102203167B1 (ko)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CN111214389A (zh) 一种后发泡卸妆泡泡组合物气雾剂及其制备方法
JP3587701B2 (ja) 保湿用の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の組成物
KR20180017722A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JP2001072574A5 (ko)
JP2002179528A (ja) ピーリング化粧剤およびピーリング石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