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653A -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 Google Patents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653A
KR20100133653A KR1020090052316A KR20090052316A KR20100133653A KR 20100133653 A KR20100133653 A KR 20100133653A KR 1020090052316 A KR1020090052316 A KR 1020090052316A KR 20090052316 A KR20090052316 A KR 20090052316A KR 20100133653 A KR20100133653 A KR 2010013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all plate
frame
beam girder
e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9449B1 (en
Inventor
김근택
Original Assignee
김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택 filed Critical 김근택
Priority to KR102009005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449B1/en
Publication of KR2010013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6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tension frame for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tendon using the tension frame are provided to complete curing-densification work for manufacturing a beam girder within a short time. CONSTITUTION: A tension frame for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comprises a first wall plate(100), a second wall plate(200), a fixing unit(300), a plurality of tendon guide pipes(400), a one-end support section(150), and other-end support unit.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an interval. The fixing unit fixes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together. Both ends of the tendon guide pipes are opened to insert tendons. The one-end support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ne-end support holes(151) in which one end of the tendons are placed. The other-end support unit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tendons.

Description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본 발명은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긴장재의 삽입 및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하루에 양생-경화까지 끝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마다 신규의 빔 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교량의 제작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frame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s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tension memb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insertion and installation of the tension member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until curing-curing per day.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s that can be finished, which allows for the creation of new beam girders every day, further reducing the overall fabrication air of the bridge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operator's workloa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ing frame for manufacturing girders and a method of installing tension members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대(500)와 교각(510)에 콘크리트 빔 거더(520)의 양단부가 놓여지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교각(500)과 교각(510)에 콘크리트 빔 거더(520)의 양단부가 놓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 빔 거더(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횡방향에서 바라보았을때 다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콘크리트 빔 거더(52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 등으로 슬래브(5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래브(530)위에 아스팔트가 포장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방호벽, 난간등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he bridge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In more detail, both ends of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are placed on the alternating 500 and the pier 510, and both ends of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are placed on the pier 500 and the pier 510. It is installed to build. Here,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concrete beam girders 520 are installed side by side when viewed in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he slab 53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by the method of pouring concrete, Asphalt is paved on this slab 530, In addition, a barrier, a railing, etc. are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중에서, 콘크리트 빔 거더(520) 자체에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ridge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itself is provided with a pre-stressing function.

부언하면, 슬래브(530), 아스팔트 포장, 방호벽, 난간, 빔 거더(520)를 포함한 자중과 같은 사하중 및 주행 차량에 의한 활화중에 의해 콘크리트 빔 거더(520)에는 전체가 하방향으로 활 모양처럼 휘어지는 인장응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인장응력이 소멸되지 않은 이상 콘크리트 빔 거더(520) 및 슬래브(530)에 균열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교량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is bowed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due to slab 530, asphalt pavement, firewall, railings, dead weight such as self-weight including beam girder 520 and active by vehicle. Tensile stress is generated, and cracks are generated in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and the slab 530 unless such tensile stress is dissipated, resulting in the failure of the bridge.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빔 거더(520) 자체에, 사하중이나 활화중의 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인장응력을 소멸시키고, 역방향의 응력을 미리 가하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기능이 부여하게 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PC 강선(Prestressed Concrete 강선 또는 인장강선)(이하, '긴장재'라 칭함)을 통해서 빔 거더(520)에 긴장력을 도입하면, 빔 거더(520) 전체가 상방향으로 활 모양처럼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빔 거더(520)의 상면에는 인장응력이 발생되고, 빔 거더(520)의 하면에는 압축응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빔 거더(520)를 교량에 적용하게 되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520)의 자체 자중, 슬래브, 방호벽, 난간, 아스팔트 포장과 같은 사하중 및 주행 차량에 의한 활하중에 의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520) 하면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이 허용인장응력 이내가 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빔 거더(520) 및 슬래브(530)에 균열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교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concrete beam girders 520 themselves are provided with a pre-stressing function that dissipates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action of dead load or active, and pre-stresses the reverse stress in advance. When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beam girder 520 through the PC steel wire (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 or tensile steel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nsion material'), the entire beam girder 520 bows upward. do. That is, tensile stress is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girder 520, and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am girder 520. When the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520 is applied to the bridge, the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520 is prestressed by its own weight, slab, firewall, railings, dead loads such as pavement and live loads by the driving vehicle.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is within the allowable tensile stress,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concrete beam girder 520 and the slab 530, thereby serving as a bridge.

이와 같이, 빔 거더(520)와 같이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에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인가하는 방식은 크게 포스트 텐션(post-tention) 방식과 프리-텐션(pre-tention) 방식으로 대발할 수 있다.As such, the method of applying pre-stressing to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structure, such as the beam girder 520, can be largely performed by a post-tension method and a pre-tention method. have.

전자는 쉬스관과 철근을 조립한 후, 쉬스관이 조립된 철근을 거푸집내에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쉬스관에 긴장재를 삽입하여 긴장시킴과 동시에 그 긴장재의 단부를 부재의 양단부에 그라우팅을 병행함과 아울러 정착수단을 이용하여 정착한 다음, 정착부에 무수축 몰탈로 마감처리하는 공정으로 진행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포스트 텐션 방식을 이용한 빔 거더(520)의 제작 방법은 별도의 쉬스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빔 거더의 제작 공정이 길어짐과 아울러 단위 빔 거더마다 긴장재의 개수대로 정착수단이 사용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서 볼때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The former assembles the sheath pipe and the reinforcing bar, installs the steel bar assembled with the sheath pipe in the formwork, and then casts the concrete, and after curing the concrete, inserts the tension material into the sheath pipe and tensions the end of the tension material. It refers to a method in which the grouting is carried out at both ends of the member and fixed by using a fixing means, and then the finish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non-shrink mortar on the fixing unit.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eam girder 520 using the post tension method, as a separate sheath pipe is installed and grouting is per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eam girder is lengthened, and fixing means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nsion members per unit beam girder. Because it is used, there was an inefficient problem in terms of economics.

이에, 최근에는 미리 거푸집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시킨 후, 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경화(양생)와 함께 부재와 긴장재의 정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 긴장재를 절단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대폭 단축시킴과 아울러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을 적게 들임으로써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후자의 프리-텐션(pre-tention)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tension member is installed in advance in the formwork to tension, and then cast concrete in the formwork, the hardening (cure) of the concrete and the settling of the member and the tension material at the same time, and after the curing of the concrete, the tension material is cut Thus, the latter pre-tention method has been used, which greatly shorten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t low cost in economic terms.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의 제작을 위한 기술로, 본 출원인이 2006년 07월 21일자 특허 출원하여, 2007년 10월 31일자 특허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773907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which is being actively applied recently, the applicant filed a patent on July 21, 2006 and registered a patent on October 31, 2007 Patent No. 10-07739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종래 기술은,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대에 관한 내용으로, 바닥면 및 좌,우측면이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작대 본체와; 이 제작대 본체의 좌,우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과; 제작대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지고, 거푸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긴장재의 양 단부가 고정되는 긴장재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fabrication table for fabricating a pre-tension beam, comprising: a fabrication body main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and left and right surfaces integrally forme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ormwork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production stand; It is provided with the tension member fixing frame which i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e production stand main body, and the both ends of the tension member provided through the formwork are fix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구성중 긴장재 고정프레임은 복수의 제1 긴장재 통과공이 형성되고, 제작대 본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고정되는 제1 판재와; 이 제1 판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1 긴장재 통과공에 대응되는 제2 긴장재 통과공이 형성된 제2 판재와, 제1,2 판재를 연결하는 한쌍의 플랜지와, 제2 판재의 내측으로 제2 긴장재 통과공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어 있다.The tension member fixing frame of the prior art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tension member through-holes, the first plate member is fix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base body; A second plat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memb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second tension member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nsion member through hole; a pair of flange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It is comprised by the some rib which partitions a 2nd tension material through-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긴장재 고정프레임은 제작대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다부에 각각 설치되며, 제1, 제2 판재에 각각 형성된 제1,2 긴장재 통과공으로 긴장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제2 판재의 외측에서 정착구로 고정하여 프리-텐션 빔을 거푸집에서 제작하기 전에 긴장재를 설치하는 것이다.The tension member fixing fram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both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main body of the fabrication table, and the tension member fixing frames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 at the outside of the second plate member while the tension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member through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The tensioner is then installed before the pre-tension beam is made from the formwork.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긴장재 고정프레임은, 긴장재를 제1 판재의 제1 긴장재 통과공에 삽입한 후 이 제1 긴장재 통과공에 대응되는 제2 판재의 정해진 위치의 제2 긴장재 통과공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역으로 제2 판재의 제2 긴장재 통과공에 삽입한 후 제2 긴장재 통과공에 대응되는 제1 판재의 정해진 위치의 제1 긴장재 통과공에 삽입되도록 하는 작업이 쉽지 않아, 긴장재 포지셔닝(positioning) 작업속도가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tension member fixing frame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passes the second tension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nsion member through hole after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nsion member through hole of the first plate. It is not easy to insert the ball into the second tension material through hole of the second plate, and then to insert it into the first tension material through hole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l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nsion material through hole, Positioning the tension material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그리고, 종래 기술에 개시된 긴장재 고정프레임에는 제1 판재의 제1 긴장재 통과공과, 제2 판재의 제2 긴장재 통과공의 개수가 수십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빔 거더에 필요한 수십개의 긴장재를 동시에 상호 정해진 위치의 제1,2 긴장재 통과공에 신속하게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수십개의 긴장재를 일일이 상호 정해진 위치의 제1, 2 긴장재 통과공에 삽입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있었으며, 이러한 폐단은 빔 거더의 제작 공기가 늦어지는 악영향으로 작용하였으며, 교량의 제작 공기가 늦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Since the tension member fixing frame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is formed such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tension member through holes of the first plate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tension member through holes of the second plate is dozen, the dozens of tension members required for the beam girder are simultaneously determin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quickly insert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material through-holes in the position, and dozens of tension materials ha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material through-holes in the mutually defined position. The production air acted as a late effect, and the production air of the bridge acted as a fac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긴장재의 삽입 및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하루에 양생-경화까지 끝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마다 신규의 빔 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교량의 제작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 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work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tension material to finish curing-curing in one day, thereby producing a new beam girder every da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tension frame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tension member using the same,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air of the bridge as a whole, and greatly reduce the worker's work load. The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은, 제1 벽판과; 상기 제1 벽판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면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벽판과; 상기 제1 벽판과 제2 벽판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제2 벽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긴장재가 인입되어 인출되도록 하며,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와; 상기 제1 벽판과 제2 벽판중 어느 한 벽판에 구비되고,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일단부가 걸쳐지는 다수의 일단부 지지공이 배열 형성된 일단부 지지 영역부와;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가 관통됨과 아울러 걸쳐지도록 지지하는 타단부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긴장재가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안내를 받아가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긴장재의 삽입 및 설치를 보다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빔 거더의 제작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tension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all plate; A second wall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so that the spaced stat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is maintained;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 guide pipes which allow the tension member to be drawn in and withdrawn, and open at both ends; One end supporting area portion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the tension guide pipe is inserted to be slidably movable, and a plurality of end support holes are arranged to extend at one end of the tension guide pipe. Wow; 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while receiving the guide of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The install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furthermore, the manufacturing air of the beam girder can be shorten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타단부 지지수단은, 제1 벽판과 제2 벽판 사이의 공간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와; 제1 벽판과 제2 벽판중 일단부 지지 영역부가 형성되는 벽판과 마주는 벽판에 형성되며, 가로부재들의 적층 상태 일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일정한 크기의 개방부 를 포함하며, 다수의 가로부재들 사이 마다 형성된 각각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여 일단부 지지 영역부가 형성되는 벽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상기 일단부 지지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중 다수의 가로부재에 의해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간의 상하 이격 간격을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외면과 거의 동일하게 하면 긴장재의 삽입 과정에서 긴장재 안내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장재의 삽입 완료후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supporting means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up and down.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installed;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is formed on the wall plate facing the wall plate is formed in one end of the support region portion, the horizontal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of a constant size to make a part of the stacked state of the horizontal member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one end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wall plate in which one end support region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pace formed therebetween, and the tension guide pip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It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nd if the upper and lower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o be almost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tension guide pipe can not only prevent the tension guide pipe from being releas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but also after the tension member is completed Guide pipes can be easily remov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인 타단부 지지수단은, 제1 벽판과 제2 벽판중 일단부 지지 영역부가 형성되는 벽판과 마주하는 벽판중 상기 일단부 지지공과 맞대응되는 위치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타단부가 걸쳐지도록 하는 다수의 타단부 지지공이 배열 형성된 타단부 지지 영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제1 벽판과 제2 벽판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인장프레임을 설치할 때 설치 방향에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supporting means of another embodiment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ng the wall plate is formed one end support region of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support hole of the wall plate, the tension guide pipe is inserted so as to be slidably moved and includes a second end support reg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other end support holes arrang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guide pipe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are made of the same structure, when the worker installs the tension frame, the operator can freely install it without being particularly limited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타단부 지지 영역부와 해당 벽판은 한 몸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support region and the wall plate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타단부 지지 영역부와 해당 벽판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빔 거더의 채용되는 긴장재의 개수 및 배열 위치에 대한 설계 사항이 변경될 경우에 이 변경된 설계 사항맞게 새롭게 타단부 지지공이 형성된 타단부 지지 영역부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타단부 지지공의 변형되어 더 이상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삽입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신규의 타단부 지지 영역부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supporting region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separately, and are fixed by fixing means. When the design details of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nsion members of the girder are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ther end support area where the other end support hole is newly formed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changed design matters. Even if it is no longer possible to insert the tension guide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placed with a new end support area.

그리고,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일단부 지지공과 타단부 지지공 상호간으로 긴장재 안내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파이프 유도수단이 제1 벽판과 제2 벽판 사이의 공간부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일단부 지지공 및 타단부 지지공 상호간으로의 삽입을 원할하게 실시할 수 있다.And, and the pip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tension guide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one end support hole and the other end support hole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wall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wall plate, 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insert the tension guide pipe into one end support hole and the other end support hol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 유도수단은,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가로부재들 사이 마다 형성된 각각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여 제1 벽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단부 지지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제2 벽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타단부 지지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중 다수의 가로부재에 의해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간의 상하 이격 간격을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외면과 거의 동일하게 하면 긴장재의 삽입 과정에서 긴장재 안내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장재의 삽입 완료후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ipe guide means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of the pre-ten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are stack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up and down,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e first wall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ne end support ho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space formed between them, the second wall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ther end support hol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a configuration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by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and if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In addition, the tension guide pipe can be easily You can remove it.

그리고,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는 해당 벽판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n, one end supporting region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all plat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와 해당 벽판은 한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ort region and the wall plate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와 해당 벽판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빔 거더의 채용되는 긴장재의 개수 및 배열 위치에 대한 설계 사항이 변경될 경우에 이 변경된 설계 사항맞게 새롭게 일단부 지지공이 형성된 일단부 지지 영역부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일단부 지지공이 변형되어 더 이상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삽입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신규의 타단부 지지 영역부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one end of the support region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constituting the tensioning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hereby, the beam If the design details of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tensioning members of the girder are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ne end support area portion with the new one end support hole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changed design matter. Even when it is impossible to insert the tension guide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placed with a new other end support reg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일단부 지지공은 무리지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nd support holes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group.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는 제1 벽판과 제2 벽판간의 이격 간격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부 지지공 및 타단부 지지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긴장재의 개수 및 배열 위치가 달라지게 설계된 새로운 타입의 빔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guide pipe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the one end support hole and the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typ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support means, which can be reused by repeating the tension guide pipe when producing a new type beam girders designed to vary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ension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는 일단부 지지공과 타단부 지지수단에 일체가 되게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긴장재의 인장시 가해지는 외력을 견더 제1 벽판과 제2 벽판이 일정 간격 이격된 더욱 공공히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긴장재의 개수 및 배열 위치가 달라지지 않은 단일 종류의 빔 거더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제작할 경우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삽입 및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hole 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is installed to be integrally, there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Tension material in case of continuously repeating single beam beam girder that does not change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ension material while maintaining the more common spac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having to proceed with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guide pip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은, 제1 벽판과 제2 벽판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제2 벽판 각각의 하면을 연결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of th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tens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maintain the separation stat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of at leas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ttom plate for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구성하는 바닥판의 하면에는, 주행레일과 접촉하면서 이에 대해 위치 이동하여 인장프레임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전후진 구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인장프레임과 빔 거대 제작대 사이의 긴장재 삽입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 긴장재 삽입 작업 공간내에서 다수 인원의 작업자가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전측으로 긴장재의 최초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후측으로 인출되는 긴장재를 인장프레임에 최후로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후진 구동수단의 실시예로 주행륜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인장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tensioning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tensioning frame forward and backward by contacting with the running rails This ensures a sufficient space for inserting the tension member between the tension frame and the beam mega workbench, thereby allowing a large number of workers to insert the tension member into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beam girders.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work efficiency of inserting the tension member drawn out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eam girders into the tension fram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using the driving wheel as an embodiment of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the operator can move the tension frame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그리고, 본 발명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은, 다수의 긴장재를 인장하는 인장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빔 거더 제작대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내에 긴장재를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방법에 있어서, 긴장재의 배열 위치 및 개수에 대응 하여 구비된 다수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갖는 인장프레임을 빔 거더 제작대의 전후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설치하는 인장프레임 설치단계와; 다수의 긴장재를 빔 거더 제작대의 전측에 설치된 인장프레임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내로 삽입한 후,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내부를 가로질러 거푸집의 후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긴장재 삽입단계와;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후측으로 돌출된 긴장재의 일단부가 긴장재 안내 파이프내로 일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작업단계와; 포지셔닝 작업단계를 실시한 후, 빔 거더 제작대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된 인장프레임을 빔 거대 제작대의 전후측 단부에 밀착되도록 인장프레임을 위치 이동시키는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포함하며, 인장프레임 설치단계, 긴장재 삽입단계, 포지셔닝 단계,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진행한 후, 긴장재 인장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인장프레임과 빔 거대 제작대 사이의 긴장재 삽입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 긴장재 삽입 작업 공간내에서 다수 인원의 작업자가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전측으로 긴장재의 최초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후측으로 인출되는 긴장재를 인장프레임에 최후로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이용하여 긴장재의 삽입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어 빔 거더의 제작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The tension membe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beam girder installed in the beam gir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fore proceeding the tensioning step of tension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In the tension member installation method for installing a tension member in a reinforcing structure, a tension frame for installing a tens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tension guide pipe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number of tension members,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beam gir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stallation step; A tension member insertion step of insert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into a tension member guide pipe of a tension frame installed at a front side of the beam girder frame, and the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side of the formwork across the interior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beam girder; A positioning operation step of collectively inserting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for the beam girder into the tension guide pipe; After performing the positioning operation step, the tension frame position movement step of positioning the tension fram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eam girders, respectively, the tension frame position movement step,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After the tension material insertion step, positioning step, and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the tension material tension step is carried out, thereby inserting the tension material by securing a sufficient space for the tension material insertion between the tension frame and the beam giant platform In the working space, a large number of worker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itial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into the front side of the beam girder reinforcement structure, and finally insert the tension member drawn out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beam girder into the tension frame.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and long by using tension guide pipe Can proceed smoothly inserted material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production of the beam girder air.

그리고, 본 발명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에서, 인장프레임 설치단계는 인장프레임의 하부측에 설치된 전후진 구동수단이 작업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인장프레임과 빔 거대 제작대 사이의 긴장재 삽입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 긴장재 삽입 작업 공간내에서 다수 인원의 작업자가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전측으로 긴장재의 최초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의 후측으로 인출되는 긴장재를 인장프레임에 최후로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후진 구동수단의 실시예로 주행륜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인장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us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is such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ension frame is coupled with the traveling rail installed in the workshop. This ensures a sufficient space for inserting the tension member between the tension frame and the beam mega workbench, thereby allowing a large number of workers to insert the tension member into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eam girders.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working efficiency of finally inserting the tension member drawn out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eam girders into the tension fram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using the driving wheel as an embodiment of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the operator can move the tension frame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그리고, 본 발명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에서, 인장프레임 설치단계는, 긴장재의 배열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인장프레임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삽입 설치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와 긴장재 인장 단계 사이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인장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이로 인해 긴장재의 개수 및 배열 위치가 달라지게 설계된 새로운 타입의 빔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using the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is to insert the tension guide pipe into the tension fram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the tension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guide pipe installation step, and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guide pipe removal step for removing the tension guide pipe from the tension frame between the tension frame position shifting step and the tension tension tension step. In the case of fabricating a new type of beam girder with different numbers and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beams, the tension guide pipe may be repeatedly reused.

본 발명에 따르면, 긴장재의 삽입 및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하루에 양생-경화까지 끝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마다 신규의 빔 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교량의 제작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work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to finish curing-curing in one day,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new beam girder every day, furthermore, to greatly increase the production air of the bridge as a whole. It can reduce the work load of the worker can be greatly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tension frame for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nd a tension material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지시선 "C-C"부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지시선 "D-D"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E-E"부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F-F"부의 단면도이며,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의 설치 방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ure 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FIG. 6 is a rear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 4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arrow “B”,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CC” shown in FIG. 4, and FIG. 8 is a leader line shown in FIG. 4. "DD" is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arrow" arrow in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 FIG. 11 is a rear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 9 in the direction of arrow "B",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EE" shown in FIG. 9, and FIG. City on Fig. 9 A leader line "F-F" portion cross-sectional view, FIGS. 14 to 19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method of the tend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본 발명에 의한 인장프레임(TF)은,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과, 고정수단(300)과,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와,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타단부 지지수단(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긴장재의 삽입 및 설치 작업 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하루에 양생-경화까지 끝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마다 신규의 빔 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교량의 제작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 tension frame T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wall plate 100,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 fixing means 300,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and the one end portion supporting region 150. An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the other end support means 25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insertion and installation work of the tension material can be finished until the curing-curing in a day, thereby producing a new beam girder every da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air of the bridge as a whole,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면대응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여기서,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어느 하나는 긴장재(500)의 인장시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후측 단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역할을 한다. Here, any one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stage 600 when the tension member 500 is tensioned to support.

고정수단(300)은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 제2 벽판(100)(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적어도 제1, 제2 벽판(100)(200) 각각의 하면을 연결하는 바닥판(310)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300 serves to fix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100 and 20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maintained, and the first wall plate ( The bottom plate 3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100 and 20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wall plate 2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mainta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은 사각 형상의 구조를 채용하였는데,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구조에 따라 고정수단(300)은 바닥판(310) 이외에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 각각의 상면에 연결 고정되는 상판(330)과,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양측부에 연결 고정되는 측판(320)을 더 구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as shown in FIGS. 4 to 8, the first wall plate 100 having such a sha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wall plate 200 and the fixing means 300 in addition to the bottom plate 310, the top plate 3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and The side wall 320 which is connect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further provided to more effectively maintain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이때, 전술한 제1 벽판(100), 제2 벽판(200), 바닥판(310), 상판(330) 및 바 측판(320)중 서로 인접하여 접촉되는 부분은 용접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 고정하여,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대략 직육면체의 박스 구조가 되도록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first wall plate 100,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 bottom plate 310, the upper plate 330 and the bar side plate 320 of the above-mentioned contact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terconnected by using a welding method It is fixed and formed so that it may becom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tructure so that an empty space part may be formed inside.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는 빔 거더의 프리스트레스에 필요한 긴장재(500)의 수량만큼 다수개가 필요하고, 긴장재(500)가 인입되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양단이 개방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requir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tension material 500 required for the prestress of the beam girder, serves to pull the tension material 500 is drawn in, with a structure having a constant length open at both ends. consist of.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는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어느 한 벽판에 구비되고,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일단부가 걸쳐지는 다수의 일단부 지지공(151)이 배열 형성된다.One end of the support region 150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inserted into the slide movement and the tension guide pipe 400 The one end portion of the support hole 151 is formed is arranged over the end of the.

마지막으로, 타단부 지지수단(250)은,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타단부가 관통됨과 아울러 걸쳐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Lastly, the other end supporting means 250 serves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so as to pass therethrough.

본 발명에 의한 타단부 지지수단(25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 사이의 공간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251)와;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가 형성되는 벽판과 마주는 벽판에 형성되며, 가로부재(251)들의 적층 상태 일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일정한 크기의 개방부(252)를 포함하며, 다수의 가로부재(251)들 사이 마다 형성된 각각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여 일 단부 지지 영역부(150)가 형성되는 벽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단부 지지공(251)이 다수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 to 8, the other end supporting means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in the space part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1 installed in a stack;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formed on the wall plate facing the wall plate where the one end support area portion 150 is formed, the constant so that a part of the laminated state of the horizontal member 251 is visible from the outside One end support ho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wall plate including an opening 252 having a size, and the one end support region 150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1. A plurality of 251 is 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타단부 지지수단(250)은 다수의 가로부재(251)에 의해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251)간의 상하 이격 간격을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외면과 거의 동일하게 하면 긴장재(500)의 삽입 과정에서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장재(500)의 삽입 완료후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The other end support means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tension guide pipe 400 in a horizontal state by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1, the tension member to the vertical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1. When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ipe 400 can not only prevent the tension guide pipe 400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500, but also the tension guide pipe 400 after completion of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500 You can easily remove it.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타단부 지지수단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가 형성되는 벽판(제1 벽판(100)을 지칭함)과 마주하는 벽판(제2 벽판(200)을 지칭함)중 일단부 지지공(151)과 맞대응되는 위치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타단부가 걸쳐지도록 하는 다수의 타단부 지지공(252A)이 배열 형성된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타단부 지지수단을 구비하게 되면,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인장프레임(TF)을 설치할 때 설치 방향에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13, one end of the support region portion 150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formed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s movabl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supporting hole 151 of the wall plate (referred to as the first wall plate 100) (referred to as the second wall plate 200) that is facing the wall plate.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region portion 250A having a plurality of other end supporting holes 252A arranged to be inserted in addition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When provided with the other end support mean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made of the same structure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when the operator installs the tension frame (TF) It can be installed freely without any restriction.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와 해당 벽판은 한 몸체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벽판은 제2 벽판(200)을 지칭하며, 도 11에 도시된 라인 "L"은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와 제2 벽판(200)을 구분하는 구분선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end support area portion 250A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become one body as shown in FIG. 11. Here, the wall plate refers to the second wall plate 200, and the line “L” illustrated in FIG. 11 is a dividing line that separates the other end supporting area portion 250A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그리고, 본 발명은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와 해당 벽판(제2 벽판(200)을 지칭함)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빔 거더의 채용되는 긴장재(500)의 개수 및 배열 위치에 대한 설계 사항이 변경될 경우에 이 변경된 설계 사항맞게 새롭게 타단부 지지공(252A)이 형성된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타단부 지지공(252A)이 변형되어 더 이상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삽입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신규의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supporting area portion 250A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referring to the second wall plate 200) are made separately and fixed by the fixing means 300. Therefore, when the design matters for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tension members 500 employed in the beam girder are changed, the other end support area portion 250A in which the other end support holes 252A are newly formed is adapted to the changed design matt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placed, even if the other end support hole (252A) is deformed no longer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placed with the new other end support area portion (250A). .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지지공(151)과 타단부 지지공(252A) 상호간으로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파이프 유도수단이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 사이의 공간부에 더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일단부 지지공(151) 및 타단부 지지공(252A) 상호간으로의 삽입을 원할하게 실시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2, the pipe guide means for inducing 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wall plate 100 between the one end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hole (252A). ) 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reby, the tension guide pipe 40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one end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hole 252A.

상기 파이프 유도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2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가로부재(253)들 사이 마다 형성된 각각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벽판(100)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단부 지지공(151)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 벽판(200)에는 가로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 지지공(252A)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로써, 다수의 가로부재(253)에 의해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253)간의 상하 이격 간격을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외면과 거의 동일하게 하면 긴장재(500)의 삽입 과정에서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장재(500)의 삽입 완료후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ipe guide means, as shown in Figure 10, 11 and 12,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3 are stack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up and dow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A plurality of end supporting holes 151 are formed in the first wall plate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paced space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253, and in the second wall plat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other end supporting holes 252A is formed. Thus,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may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by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3, and if the vertical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500,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may be easily remov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500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는 해당 벽판(여기서는, 제1 벽판(100)을 지칭함)의 중앙에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대략 각진 "∪"자형 단면 구조를 갖는 빔 거더 제작대(600)내에 설치된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설치 위치에 맞대응하여 긴장재(500)를 직진 삽입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one end support region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all plate (here referred to as the first wall plate 100), because the beam girder having a substantially angled "∪" 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This is to straightly insert the tension member 500 in respons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s installed in the manufacturing table 600.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해당 벽판(여기서는, 제1 벽판(100)을 지칭함)은 한 몸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ne end support area part 150 and the said wall board (referred to here as the 1st wall board 100) by this invention are formed in one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해당 벽판(여기서는, 제1 벽판(100)을 지칭함)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빔 거더의 채용되는 긴장재(500)의 개수 및 배열 위치에 대한 설계 사항이 변경될 경우에 이 변경된 설계 사항맞게 새롭게 타단부 지지공(252A)이 형성된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타단부 지지공(252A)이 변형되어 더 이상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삽입이 불가능할 경우에 도 신규의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ne end portion support area portion 150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herein, referred to as the first wall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separately and fixed by the fixing means 300. Therefore, when the design matters for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tension members 500 employed in the beam girder are changed, the other end support area portion 250A in which the other end support holes 252A are newly formed is adapted to the changed design matt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placed, even if the other end support hole (252A) is deformed no longer the insertion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placed with the new other end support area (250A) hav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일단부 지지공(151) 및 타단부 지지공(252A)은 무리지어 배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ne end supporting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hole 252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group.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는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간의 이격 간격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 및 타단부 지지수단(2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이 되게 구성할수 있다. 이로 인해 긴장재(500)의 개수 및 배열 위치가 달라지게 설계된 새로운 타입의 빔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guide pip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 one end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It may be configured to be a detachable type detachably coupled to the means (250). Because of this, when producing a new type beam girder designed to vary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nsion member 500 it can be reused by repeating the tension guide pipe 400.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는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과 타단부 지지수단(250)(250A)에 일체가 되게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로 인해 긴장재의 인장시 가해지는 외력을 견더 제1 벽판과 제2 벽판이 일정 간격 이격된 더욱 공공히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긴장재의 개수 및 배열 위치가 달라지지 않은 단일 종류의 빔 거더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제작할 경우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의 삽입 및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길이는 도 12에 도시된 도면에 적용할 경우에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의 폭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면 된다. 그리고, 도 7에 적용할 경우에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하면 된다. 그 이유로는 도 1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긴장재의 설치 완료후, 인장프레임(TF)를 구성하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정착구(미도시)를 설치한 다음 실질적으로 긴장재를 긴장하게 되는데, 이 정착구는 긴장재의 인장 완료후 이 인장 상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정착구의 설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ixed to the one end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250 (250A), thereby to withst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when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Inserting and removing the tension guide pipe when continuously and repeatedly manufacturing a single type of beam girder that can maintain the wall plate and the second wall plate mo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ension materials are not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have to proceed. Here, the length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width interval of the one end support region 150 and the other end support region 250A, when applied to the drawing shown in FIG. What is necessary is not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area part 150. 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lying to FIG. 7,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one end portion support region portion 150. For this reas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9,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tension member is completed, a tension memb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support region portion 150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TF is provided, and then the tension member is substantially removed. This anchorage, which serves to fix the tension state after completion of tensioning of the tension member, is to prevent the installation of the anchorage.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310)의 하면에는, 주행레일(316)과 접촉하면서 이에 대해 위치 이동하여 인장프레임(FT)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전후진 구동수단(315)이 구비된다. 인장프레임(TF)과 빔 거대 제작대(600) 사이의 긴장재 삽입 작업공간(S1)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 긴장재 삽입 작업 공간내에서 다수 인원의 작업자가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전측으로 긴장재의 최초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후측으로 인출되는 긴장재(500)를 인장프레임(TF)에 최후로 삽입하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후진 구동수단(315)의 실시예로 주행륜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인장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14, the bottom plate 310, the front and rear advancing the front and rear driving the tension frame (FT) in contact with the running rail 316 is moved in position Drive means 315 is provided. By securing a sufficient tension material inserting space (S1) between the tension frame (TF) and the beam giant fabrication table 600, a large number of workers in the tension material inserting work space to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s (7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the first insertion, and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last insertion of the tension member 500 drawn out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s to the tension frame (TF). In addition, by using the driving wheel as an embodiment of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315, the operator can move the tension frame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다음으로, 다수의 긴장재(500)를 인장하는 인장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빔 거더 제작대(600)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내에 상기 긴 장재를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방법을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before proceeding the tensioning step of tensioning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500, the tension member installa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long member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eam girder fabrication 600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9.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 설치방법은, 크게 인장프레임 설치단계와, 긴장재 삽입단계와, 포지셔닝 작업단계와,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포함한다.The tension member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a tension material insertion step, a positioning operation step, and a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먼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에 배근할 긴장재(500)의 배열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된 다수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갖는 인장프레임(TF)을 상기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후측(610)620)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설치하는 인장프레임 설치단계를 실시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4 and 16, a tens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tension guide pipes 400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number of tension members 500 to be reinforced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s. Tensile fram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TF) to the front and rear sides (610, 620)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table 6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상기 인장프레임 설치단계를 진행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긴장재(500)를 상기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측에 설치된 인장프레임(TF)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내로 최초로 삽입한 후, 상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전측(710)을 통해 순차 삽입한 후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내부를 가로질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후측(720)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긴장재 삽입단계를 실시한다.After proceeding with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as shown in Figure 14,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of the tension frame (TF)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eam girders 600,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500 After the first insertion into the beam girders, the beam girders are sequentially inserted through the front side 710 of the beam girder reinforcement structure 700 and then across the interior of the beam girder reinforcement structure 700, as shown in FIG. 16. A tension member insertion step is per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side 720 of the rebar structure 700.

다음으로, 긴장재 삽입단계를 진행한 후, 상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후측(720)으로 돌출된 상기 긴장재(500)의 일단부가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도 17 및 도 18참조)내로 일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작업단계를 실시한다.Next, after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500 protruding to the rear side 720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the beam girder is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FIGS. 17 and 18). Positioning operations are carried out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 a batch.

상기 포지셔닝 작업단계를 실시한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후측(610)(620)에 각각 구비된 인장프레임(TF)을 상기 빔 거 대 제작대(600)의 전후측 (610)(620) 단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장프레임(TF)을 위치 이동시키는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측(610) 단부에 인장프레임(TF)를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은 도시하지 않았다.After performing the positioning operation step, as shown in Figure 19, the tension frame (TF) provid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610, 620)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table 600, the beam giant fabrication table ( A tension frame position shift step of shifting the tension frame TF is per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end of the front and rear sides 610 and 620 of 600. Here, the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frame T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ront side 610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table 600 is not show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인장프레임 설치단계, 긴장재 삽입단계, 포지셔닝 단계,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진행한 후, 상기 긴장재 인장 단계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긴장재 인장단계는 도 1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긴장재의 설치 완료후, 인장프레임(TF)를 구성하는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정착구(미도시)를 설치한 다음 실질적으로 긴장재를 긴장하게 되는데, 이 정착구는 긴장재의 인장 완료후 이 인장 상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정착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어서 상세한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tension member tension step after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the tension material insertion step, positioning step, the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Although the tension member tension step is not shown in FIG. 19,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tension member is completed, a fixture (not show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support region 150 constituting the tension frame TF is substantially installed.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and this anchorage serves to fix the tension state after completion of tensioning of the tensioner. This anchorage is a commonly used techniqu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is omitted.

한편, 긴장재 인장단계의 후공정으로,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외측에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 후, 이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타설-양생단계를 실시하여 빔 거더를 제작한 다음, 빔 거더의 외부로 노출된 인장 상태의 긴장재(500)를 절단하는 디-텐션 단계를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as a post-process of the tension member tension step, after installing the formwork (not shown) on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 the concrete is placed and cured in this form to perform the beam-girder step After fabrication, a de-tensioning step of cutting the tension member 500 in the tension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eam girder is performed.

여기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과 인장프레임(TF) 사이의 공간(S2)에 있는 긴장재(500)를 절단하는 디-텐션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 19, the de-tensioning step of cutting the tension member 500 in the space S2 between the beam girder structure 700 and the tension frame TF is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은 인장프레임 설치단계에서, 인장프레임(TF)의 하부측에 설치된 전후진 구동수단(315)이 작업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316)과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allowing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means 315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ension frame (TF) coupled to the running rail 316 installed in the workplace in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그리고, 본 발명은 인장프레임 설치단계에서, 상기 긴장재(500)의 배열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프레임(TF)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삽입 설치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와 상기 긴장재 인장 단계 사이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0를 상기 인장프레임(TF)으로부터 제거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실시한다.And, in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as shown in Figure 14 and 17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tension member 500,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s inserted into the tension frame (TF).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tension guide pipe, and between the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and the tension tension step, as shown in Figure 19, to remove the tension guide pipe 4000 from the tension frame (TF)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moving the tension guide pipe.

여기서,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측(610) 단부에 밀착된 인장프레임(TF)를 밀착시킨후,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은 도시하지 않았다.Here, after closely contacting the tension frame (TF)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ront side 610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table 600, the drawing showing a state of removing 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not shown.

따라서, 본 발명은, 긴장재의 삽입 및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하루에 양생-경화까지 끝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마다 신규의 빔 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교량의 제작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perform the work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to finish curing-curing in one day,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new beam girder every day, and furthermore, to produce the air of the bridge as a whole. It can greatly reduce the work load of the worker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콘크리트 빔 거더가 구비된 교량의 횡단면도.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bridge with a concrete beam gird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의 길이 방향을 측면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shown in FIG.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교량에서 교각과 교각 사이에 콘크리트 빔 거더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rete beam girder installed between the piers and the piers in the bridges shown in FIGS. 1 and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nsion frame for fabricating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FIG. 5 is a front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 4,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A”; FIG.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후면도.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ure 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지시선 "C-C"부의 단면도.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C-C" shown in FIG. 4; FIG.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지시선 "D-D"부의 단면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D-D” shown in FIG. 4. FIG.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Figure 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nsion frame for produc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 9,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A”; FIG.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인장프레임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후면도.FIG. 11 is a rear view of the tension frame shown in FIG. 9,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B”; FIG.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E-E"부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E-E" shown in FIG. 9;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F-F"부의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F-F" shown in FIG. 9; FIG.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의 설치 방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14 to 19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ens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1 벽판100: first wall plate

150 :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 one end support region portion

200 : 제2 벽판200: second wall plate

300 : 고정수단300: fixing means

400 :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 tension material guide pipe

Claims (18)

제1 벽판(100)과;A first wall plate (100); 상기 제1 벽판(100)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면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벽판(200)과;A second wall plate (20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plate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제2 벽판(2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00)과;Fixing means (300)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200) so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wall plates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s (200) is maintained; 상기 긴장재(500)가 인입되어 인출되도록 하며,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와;A plurality of tension member guide pipes 400 which allow the tension member 500 to be drawn in and drawn out, and both ends of which are opened;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어느 한 벽판에 구비되고,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일단부가 걸쳐지는 다수의 일단부 지지공(151)이 배열 형성된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It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s inserted into the slide movement and the number of the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s spread over One end supporting region 150 formed with one end supporting hole 151 arranged therebetween;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타단부가 관통됨과 아울러 걸쳐지도록 지지하는 타단부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ension frame for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so as to pass 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단부 지지수단(250)은,The other end support means 250,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 사이의 공간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 격된 상태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351)와;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351 stacked o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vertically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상기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가 형성되는 벽판과 마주는 벽판에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251)들의 적층 상태 일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일정한 크기의 개방부(252)를 포함하며,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formed on the wall plate facing the wall plate is formed in the one end support area portion 150, a part of the stacked state of the horizontal member 251 is visible from the outside Including a constant size opening 252, 상기 다수의 가로부재(251)들 사이 마다 형성된 각각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가 형성되는 벽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A plurality of one end support holes 151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wall plate in which the one end support region part 150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1. Tensile frame for fabricat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단부 지지수단은,The other end support means,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중 상기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가 형성되는 벽판과 마주하는 벽판중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과 맞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의 타단부가 걸쳐지도록 하는 다수의 타단부 지지공(252A)이 배열 형성된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tension member guides a position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support hole 151 among the wall boards facing the wall plate on which the one end support area portion 150 is formed. The pipe 400 is slidably inserted and includes the other end supporting area portion 250A in which a plurality of other end supporting holes 252A are arranged so as to cover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guide pipe 400. Tensile frame for fabricat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와 해당 벽판은 한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other end support area portion (250A) and the wall plate is a tension frame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bod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타단부 지지 영역부(250A)와 해당 벽판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other end supporting area portion (250A)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is made separately, the tensioning frame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300).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과 타단부 지지공(252A) 상호간으로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파이프 유도수단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 사이의 공간부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Pip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tension guide pipe 400 to be inserted between the one end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hole 252A.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Tensile frame for the production of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stalled in the sec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파이프 유도수단은,The pipe guide means,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253)로 이루어지며,I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3 are stack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up and down, 상기 다수의 가로부재(253)들 사이 마다 형성된 각각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벽판(100)에는 가로 방향으로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 벽판(200)에는 가로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 지지공(252A)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A plurality of one end supporting holes 151 are formed in the first wall plate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paced spac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53,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Th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other end support hole (252A)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는 해당 벽판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one end support region 150 is a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all plate.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상기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해당 벽판은 한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one end portion supporting region 150 and the wall plate is a tension frame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s, characterized in that one body.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상기 일단부 지지 영역부(150)와 해당 벽판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수단(5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one end portion supporting area 150 and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is made separately, the tension frame for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the fixing means (50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일단부 지지공(151)은 무리지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plurality of end support holes 151 are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group arrang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는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간의 이격 간격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The tension guide pipe 4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 및 타단부 지지수단(2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manufactur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typ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ne end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25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는 상기 일단부 지지공(151)과 타단부 지지수단(250)에 일체가 되게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s a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hole 151 and the other end support means 250 is installed to be fix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수단(300)은,The fixing means 300, 상기 제1 벽판(100)과 제2 벽판(200)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제2 벽판(100)(299) 각각의 하면을 연결하는 바닥판(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It includes a bottom plate 310 connecting at least a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 100, 299 so that the spaced state of the first wall plate 100 and the second wall plate 200 is maintained. Tensile frame for fabricating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s.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바닥판(310)의 하면에는, 주행레일(316)과 접촉하면서 이에 대해 위치 이동하여 인장프레임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전후진 구동수단(31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The pre-stressed prestressing method of the bottom plate 310 is provided with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316 for contacting the traveling rail 316 and moving the position relative thereto to drive the tension frame back and forth. Tension frame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beam girders. 다수의 긴장재(500)를 인장하는 인장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빔 거더 제작대(600)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내에 상기 긴장재를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방법에 있어서,In the tension member installation method of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beam girder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eam girder 600, before proceeding the tensioning step of tension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500, 상기 긴장재(500)의 배열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된 다수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갖는 인장프레임(TF)을 상기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후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설치하는 인장프레임 설치단계와;Tensile frames (TF) hav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tension member 5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beam girder production table 600 A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상기 다수의 긴장재(500)를 상기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측에 설치된 인장프레임(400)의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내로 삽입한 후, 상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후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긴장재 삽입단계와;After inserting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500 into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of the tension frame 40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600, the interior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the beam girder A tension member insertion step of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the beam girder; 상기 빔 거더용 철근구조물(700)의 후측으로 돌출된 상기 긴장재(500)의 일단부가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내로 일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작업단계와;A positioning operation step of allowing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500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700 for the beam girder into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collectively; 상기 포지셔닝 작업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빔 거더 제작대(600)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된 인장프레임(TF)을 상기 빔 거대 제작대(600)의 전후측 단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장프레임(TF)을 위치 이동시키는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포함하 며,After performing the positioning operation step, the tension frame (TF)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eam giant stand 600,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eam girder fabrication table 600. Including a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of moving the position, 상기 인장프레임 설치단계, 긴장재 삽입단계, 포지셔닝 단계,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를 진행한 후, 상기 긴장재 인장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After 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the tension member insertion step, positioning step, the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the tension member tension tension using the tension frame for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tension tension step. How to install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인장프레임 설치단계는,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상기 인장프레임(TF)의 하부측에 설치된 전후진 구동수단(315)이 작업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316)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Using the tension frame for 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means 315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ension frame (TF) is coupled to the running rail 316 installed in the workplace. Installation method of tension material.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상기 인장프레임 설치단계는, 상기 긴장재(500)의 배열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인장프레임(TF)에 긴장재 안내 파이프(400)를 삽입 설치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The tension frame installation step further includes a tension member guide pipe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guide pipe 400 in the tension frame TF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tension member 500, 상기 인장프레임 위치 이동단계와 상기 긴장재 인장 단계 사이에, 상기 긴장재 안내 파이프를 상기 인장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는 긴장재 안내 파이프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을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Between the tension frame position moving step and the tension member tension step, the tension guide pipe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tension guide pipe from the tension frame further comprises a pre-tension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fabrication tension Installation method of tension member using frame.
KR1020090052316A 2009-06-12 2009-06-12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KR101109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16A KR101109449B1 (en) 2009-06-12 2009-06-12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16A KR101109449B1 (en) 2009-06-12 2009-06-12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653A true KR20100133653A (en) 2010-12-22
KR101109449B1 KR101109449B1 (en) 2012-01-31

Family

ID=4350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316A KR101109449B1 (en) 2009-06-12 2009-06-12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4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75B1 (en) * 2016-06-13 2016-12-09 이호석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Memb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t
CN114808705A (en) * 2022-02-28 2022-07-2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Prestress tension operation platform with protection fac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854A (en) * 1980-05-26 1981-12-19 Sanyo Electric Co Ltd Control circuit for air conditioner
KR100767388B1 (en) * 2006-09-26 2007-10-1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Segment girder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KR100858397B1 (en) * 2007-04-20 2008-09-11 (주)삼현피에프 Fixing system used in prestressed concrete beam having block-out upper portion at end thereof and method of applying prestress thereon u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75B1 (en) * 2016-06-13 2016-12-09 이호석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Memb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t
CN114808705A (en) * 2022-02-28 2022-07-2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Prestress tension operation platform with protection fac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449B1 (en)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51768A5 (en)
JP2015151768A (en) Change-over method of concrete slab for highway road, and change-over pc slab by the method
KR101214602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rail-type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shearing connector rail, and method for the same
JP593789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ox girder bridge
JP2013036205A (en) Construction method for joining wall balustrade of bridge
KR101184773B1 (en) Constructing method of cable bridge using free cantilever method
KR2015005170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Members without Prestressing Bed
KR101934405B1 (en)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77922B2 (en) Mobile suspension support
KR101347113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shearing pocket-type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JP2013155514A (en) Pre-stressed concrete truss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orm device
NO150263B (en) PROCEDURE AND FORM FOR CASTING OF CONCRETE PLATES OF MODULAR CONSTRUCTION ON A FOUNDATION SUPPORT
KR101152444B1 (en) The pre-stress concrete bim and that making method using a pre-tensioning construction
KR101264577B1 (en) Steel frame concre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109449B1 (en) Tension Frame for Manufactyr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Girder of Pretension Type, and Method for Installing Tendons using Tension Frame
KR101242842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JP2008214959A (en) Hollow floor slab unit for prefabricated bridge, hollow floor slab for prefabrica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hollow floor slab bridge
KR101270947B1 (en) Deck repairing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precast concrete slab
JP6308502B2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tension slab in overhang construction
KR20190010357A (en) Precast PSC beam girder that can be made long-term by step construction
KR101293548B1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precast beam
KR102059463B1 (en) Pretension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90407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tension member
JP6889010B2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2209530B1 (en) Manufacturing Metho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using Self Reaction Bed And Rahmen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