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422A -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 Google Patents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422A
KR20100133422A KR1020107022664A KR20107022664A KR20100133422A KR 20100133422 A KR20100133422 A KR 20100133422A KR 1020107022664 A KR1020107022664 A KR 1020107022664A KR 20107022664 A KR20107022664 A KR 20107022664A KR 20100133422 A KR20100133422 A KR 2010013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methyl
pyrazol
amino
benzene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718B1 (ko
Inventor
위르겐 볼쯔
마틴 페트
롤프-페터 험멜
마티아스 뮐러
토마스 마이어
베른트 뮐러
Original Assignee
4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4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4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13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Vir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로브로마이드, 메탄술포네이트, 헤미 에탄-1,2-디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및 2-나프탈렌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E)-N-(2-AMINO-PHENYL)-3-{1-[4-(1-METHYL-1H-PYRAZOL-4-YL)-BENZENESULFONYL]-1H-PYRROL-3-YL}-ACRYLAMIDE SALTS}
본 발명은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약 산업에서 사용되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에 관한 것이다.
세포의 전사 조절은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 하나의 기본 원리는 히스톤 단백질, 즉 히스톤 8량체 코어 복합체를 형성하는 히스톤 단백질 H2A/B, H3 및 H4의 번역후 변형에 의한 조절이다. 리신 잔기에서 아세틸화 또는 메틸화 및 세린 잔기에서 포스포릴화에 의한 이러한 복잡한 N-말단 변형은 소위 "히스톤 코드"의 일부를 이룬다(문헌[Strahl & Ellis, Nature 403, 41-45, 2000]). 간단한 모델로, 양전하를 띠는 리신 잔기의 아세틸화는 음전하를 띠는 DNA에 대한 친화성을 감소시켜, 전사 인자가 들어가기 쉽게 된다.
히스톤 아세틸화 및 탈아세틸화는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HAT) 및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에 의해 촉진된다. HDAC는 전사 억제인자 복합체와 회합하여 크로마틴을 전사 불활성의 침묵 구조로 바꾼다(문헌[Marks et al. Nature Cancer Rev 1, 194-202, 2001]). 그 반대는 전사 활성인자 복합체와 회합되어 있는 HAT에 대해 들어맞는다. 지금까지 3가지의 상이한 부류의 HDAC, 즉 주로 핵 안에 위치하고 트리코스타틴 A(TSA)에 의한 억제에 민감한 I군(HDAC 1-3, 8)(Mr=42-55 kDa), TSA 감응성을 나타내는 II군(HDAC 4-7, 9, 10)(Mr=120-130 kDa), 및 NAD+ 의존성과 TSA 무감응성에 의해 구별되는 III군(Sir2 동족체)이 기술된 바 있다(문헌[Ruijter et al. Biochem. J. 370, 737-749, 2003; Khochbin et al. Curr Opin Gen Dev 11, 162-166, 2001; Verdin et al. Trends Gen 19, 286-293, 2003]). HDAC 11(Mr=39 kDa)이 최근 클로닝되었는데, I군 및 II군 구성원과 상동성을 나타내었다(문헌[Gao et al. J Biol Chem 277, 25748-25755, 2002]). HAT 및 HDAC는 세포 내 전사 인자 및 플랫폼(platform) 단백질과 함께 거대한 복합체로 존재한다(문헌[Fischle et al. Mol Cell 9, 45-47, 2002]). 놀랍게도, 유전자 340개 및 TSA(기준 HDI로서)의 시차 표시 분석에 근거하여 추정하였을 때 모든 유전자의 약 2 %만이 히스톤 아세틸화에 의해 조절된다(문헌[von Lint et al. Gene Expression 5, 245-253, 1996]). 다발성 골수종 세포에서의 SAHA를 사용한 신규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전사 변화는, 예컨대 세포자멸 또는 증식의 조절에 중요한 별개의 기능성 유전자 부류로 나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Mitsiades et al. Proc Natl Acad Sci 101, pp540, 2004]).
히스톤 단백질이 아닌 기질이 존재한다. HDAC의 경우, 이들은 p53 및 TFII E/와 같은 전사 인자, 또는 Hsp90과 같은 샤페론을 포함한다(문헌[Johnstone & Licht, Cancer Cell 4, 13-18, 2003]). 따라서, HDAC의 올바른 이름은 리신-특이성 단백질 데아세틸라제일 것이다. 이러한 발견의 결과, HDAC의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아세틸화를 조절함으로써 크로마틴 구조 및 유전자 전사 뿐만 아니라, 단백질 기능 및 안정성에 작용한다. 단백질 아세틸화에서의 HDAC의 이러한 작용은 또한 HDI를 사용한 치료에 의한 즉각적인 유전자 발현을 이해하는데 중요할 수도 있다(문헌[von Lint et al. Gene Expression 5, 245-253, 1996]). 이와 관련하여, 암유전자 형질변환, 세포자멸 조절 및 악성 세포 성장에 관련된 단백질이 특히 중요하다.
다른 공개문헌에는 암 발달에 있어서 히스톤 아세틸화의 증요함이 강조되어 있다(문헌[Kramer et al. Trends Endocrin Metabol 12, 294-300, 2001; Marks et al. Nature Cancer Rev 1, 194-202, 2001]). 이들 질환으로는 하기 (i) 내지 (vi)이 있다:
(i) 암의 소인인 루빈스타인-타이비 증후군과 관련된 HAT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CBP)의 돌연변이(문헌[Murata et al. Hum Mol Genet 10, 1071-1076, 2001]),
(ii) PML-레티노산 수용체 α 융합 유전자에 의한 급성 전골수세포 백혈병(APL)에서 전사 인자에 의한 HDAC1 활성의 이상 점증(문헌[He et al. Nat Genet 18, 126-135, 1998]),
(iii) 비호지킨 림프종의 과발현된 BCL6 단백질에 의한 HDAC 활성의 이상 점증(문헌[Dhordain et al. Nuceic Acid Res 26, 4645-4651, 1998]), 및 마지막으로
(iv)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AML-ETO 융합 단백질에 의한 HDAC 활성의 이상 점증(AML M2 아형; 문헌[W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 10860-10865, 1998]). 이 AML 아형에서, HDAC1 활성의 점증은 수시로 분화 차단 및 암유전자 형질변환인 유전자 침묵을 일으킨다.
(v) 쥐에서 HDAC1 유전자를 결여시킨 결과, HDAC1은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p21waf1 및 p27kip1을 억제함으로써 배아 줄기세포 증식에서 중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Lagger et al. Embo J. 21, 2672-2681, 2002]). p21waf1은 많은 암세포주에서 HDI에 의해 유도되기 때문에, HDAC1은 또한 암세포 증식의 결정적인 요소일 것이다. HeLa 세포에서의 초기 siRNA 기반 유전자 억제 실험이 이 가설을 지지한다(문헌[Glaser et al. 310, 529-536, 2003]).
(vi) 최근 문헌[Zhu et al. Cancer Cell 5, 455-463, 2004]에 보고된 바와 같이 기능성 샘종증 대장 폴립증(APC) 단백질의 손실에 의해 wnt/β-카테닌/TCF 신호전달 경로의 구성 활성화가 이루어질 때 HDAC2가 과발현된다.
분자 수준에서, 트리코스타틴 A(TSA)와 같은 다양한 HDAC 억제제에 관한 공개된 많은 데이터에 의하면, 많은 암 관련 유전자가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로는 상향 조절되는 p21waf1, 시클린 E, 변환 성장 인자 β(TGFβ), p53 또는 폰 힙펠-린도우(VHL) 종양 억제 유전자가 있고, Bcl-XL, bcl2, 저산소증 유도 인자 (HIF)1α,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및 시클린 A/D는 HDAC 억제에 의해 하향 조절된다(문헌[Kramer et al. Trends Endocrin Metabol 12, 294-300, 2001]). HDAC 억제제는, 예로서 뎁시펩티드에 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주기 내 G1 및 G2/M에서 세포를 정지시키고 S기 세포를 격감시킨다(문헌[Sandor et al. British J Cancer 83, 817-825, 2000]). HDAC 억제성 화합물은 p53 및 카스파제 3/8 비의존성 세포자멸을 유도하고, 광범위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VEGF 및 HIF1α의 하향조절에 관련될 수도 있는 혈관형성 방지 활성이 기술되었다. 요약하자면, HDAC 억제는 상이한 분자 수준에서 종양 세포에 작용하고, 다수의 세포 단백질이 표적이 된다.
흥미롭게도, HDAC 억제제는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약리학적 활성은 또한 그의 항암 활성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수버로일아닐라이드 히드록삼산(SAHA)이 유방암 세포주의 분화, 예를 들어 유지방 막 구형 단백질(MFMG), 유지방 구형 단백질 및 지질의 재합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Munster et al. Cancer Res. 61, 8492, 2001]).
화학요법제 및 표적 특이성 암 약물과 HDAC 억제제의 상승작용이 점점 합리적인 것으로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승작용은 SAHA와 키나제/cdk 억제제 플라보피리돌의 경우(문헌[Alemenara et al. Leukemia 16, 1331-1343, 2002]), CML 세포에서 LAQ-824와 bcr-abl 키나제 억제제 글리벡(Glivec)의 경우(문헌[Nimmanapalli et al. Cancer Res. 63, 5126-5135, 2003]), SAHA 및 트리코스타틴 A(TSA)와 에토포사이드(VP16), 시스플라틴 및 독소루비신의 경우(문헌[Kim et al. Cancer Res. 63, 7291-7300, 2003]), LBH589와 hsp90 억제제 17-알릴-아미노-데메톡시-겔다나마이신의 경우(17-AAG; 문헌[George et al. Blood online, Oct.28, 2004])에 밝혀졌다. 또한 HDAC 억제는 유방암 및 전립선암 세포에서 이들 종양을 항호르몬 치료에 재감작시킨다는 가능성으로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재발현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Yang et al. Cancer Res. 60, 6890-6894, 2000; Nakayama et al. Lab Invest 80, 1789-1796, 2000]).
다양한 화합물 부류 중 HDAC 억제제는 4가지의 가장 중요한 부류, 즉 (i) 히드록삼산 유사체, (ii) 벤즈아미드 유사체, (iii) 환상 펩티드/펩톨라이드 및 (iv) 지방산 유사체로서 문헌에 기술되었다. 공지의 HDAC 억제제에 대한 포괄적인 요약이 최근 공개되었다(문헌[Miller et al. J Med Chem 46, 5097-5116, 2003]). 이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의 특이성에 대하여는 한정된 데이터만이 공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히드록사메이트계 HDI는 I군 및 II군 HDAC 효소에 대하여 특이성이 아니다. 예를 들어, TSA는 HDAC 1, 3, 4, 6 및 10을 억제(약 20 nM의 IC50 값)하는 반면, HDAC8은 0.49 μM의 IC50으로 억제되었다(문헌[Tatamiya et al. AACR Annual Meeting 2004, Abstract #2451]). 그러나, II군 효소 HDAC6에 대하여 선택적인 실험용 HDI 투바신(Tubacin)과 같은 예외가 있다(문헌[Haggart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0, 4389-4394, 2003]). 또한, 벤즈아미드 HDI의 I군 선택성에 대한 데이터가 나오고 있다. MS-275는 I군 HDAC1 및 3을 각각 IC50 0.51 μM 및 1.7 μM로써 억제하였다. 대조적으로, II군 HDAC 4, 6, 8 및 10은 각각 100 μM, 82.5 μM 및 94.7 μM 보다 큰 IC50 값으로써 억제되었다(문헌[Tatamiya et al., AACR Annual Meeting 2004, Abstact #2451]). 지금까지 HDAC I군 또는 II군 효소 또는 밝혀진 하나의 동종효소에 대한 특이성이 치료 효능 및 지수에 있어서 보다 우수할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HDAC 억제제, 즉 SAHA(메르크 인코포레이티드), 발프로산, FK228/뎁시펩티드(글로스터 파마슈티컬스/NCI), MS275(버렉스/쉐링), NVP LBH-589(노바티스), PXD-101(토포타겟/큐라젠), MGCD0103(메틸진 인코포레이티드) 및 피발로일옥시메틸부티레이트/피바넥스(타이탄 파마슈티컬스)를 사용한 암의 임상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들 연구는, 최근 말초 T-세포 림프종 환자(문헌[Plekarz et al. Blood 98, 2865-2868, 2001]) 및 SAHA에 의한 광범위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문헌[Kelly et al. J. Clin. Oncol. 23, 3923-3931, 2005])에서 FK228/뎁시펩티드로에 대한 부분 및 완전 반응에 의해 강조된 임상 효능의 첫번째 증거를 밝혔다.
최근의 공개문헌은 또한 암이 아닌 질환에서 HDAC 억제제의 가능한 의학적 용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질환으로는 전신성 홍반 루푸스(문헌[Mishra et al. J Clin Invest 111, 539-552, 2003; Reilly et al. J. Immunol. 173, 4171-4178, 2004]), 류마티스 관절염(문헌[Chung et al. Mol Therapy 8, 707-717, 2003; Nishida et al. Arthritis & Rheumatology 50, 3365-3376, 2004]), 염증성 질환(문헌[Leon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 2995-3000, 2002]) 및 헌팅톤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문헌[Steffan et al. Nature 413, 739-743, 2001; Hockl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0(4), 2041-6, 2003])이 있다.
암 화학요법은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암 세포 및 다수의 유사분열 중인 세포가 우선적으로 사멸된다는 개념을 근거로 하여 확립되었다. 표준의 암 화학요법 약물은 기본 세포 과정 및 분자, 즉 RNA/DNA(알킬화제 및 카르바밀화제, 플라틴 유사체 및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대사(이 종류의 약물을 항대사물질이라고 함), 및 유사분열 방추체(안정화 및 불안정화 투불린 억제제)를 표적으로 삼아 예정된 세포 사멸("세포자멸")을 유도하여 종국에는 암 세포를 사멸시킨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제(HDI)는 분화 및 세포자멸 유도 활성을 갖는 신규한 부류의 항암제를 구성한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를 표적으로 삼으로써, HDI는 히스톤(단백질) 아세틸화 및 크로마틴 구조에 작용하여, 복잡한 전사 재프로그램화, 예를 들어 종양 억제 유전자의 재활성화 및 암유전자의 억제를 유도한다. 코어 히스톤 단백질의 N-말단 리신 잔기의 아세틸화에 작용하는 것 외에, 열충격 단백질 90(Hsp90) 또는 p53 종양 억제 단백질과 같은 암세포 생물학에 중요한 비히스톤 표적이 존재한다. HDI의 의학적 용도는,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신경 퇴행 모델에서의 효능이 밝혀졌기 때문에, 항암 요법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벤조일 또는 아세틸 치환된 피롤릴 프로펜아미드는 HDAC-억제제로서 공개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반면에, 아실 기의 연결은 피롤 스캐폴드(scaffold)의 2 또는 3 위치이다(문헌[Mai et al. Journal Med. Chem. 2004, Vol. 47, No. 5, 1098-1109; 또는 Ragno et al., Journal Med. Chem. 2004, Vol. 47, No. 5, 1351-1359]). 또한, 피롤릴 치환된 히드록삼산 유도체는 US 4960787호에 리폭시게나제 억제제로서 또는 US 6432999호에 시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로서 기술되어 있다.
HDAC 억제제라고 하는 다양한 화합물들은 WO 01/38322호; 문헌[Journal Med. Chem. 2003, Vol. 46, No. 24, 5097-5116; Journal Med. Chem. 2003, Vol. 46, No. 4, 512-524; Journal Med. Chem. 2003, Vol. 46, No. 5, 820-830; Current Opinion Drug Discovery 2002, Vol. 5, 487-499]에 보고되어 있다.
환자가 잘 허용되고, 더 효능있는 신규한 HDAC 억제제에 대한 당업계의 여전한 요구에 대하여, WO 2006/097474호에는 종래 기술의 화합물과는 상당히 다르고 놀랍고도 특히 유리한 특성을 갖는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신규한 N-술포닐피롤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세틸아미드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이 좋은 예이다.
그러나, WO 2006/097474호에 개시된 화합물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용해도 및/또는 높은 흡습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이후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신규한 염이 본 발명에 이르러 합성되었는데, 이는 놀랍게도 자유 염기보다 우수한 용해 거동을 나타내고, WO 2006/097474호에 개시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보다 높은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들 염은 상이한 다형체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또한 약물의 더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의 일반적인 양상으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공지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에 비하여, 개선된 용해 거동 및 더 낮은 흡습성을 특징으로 하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임의의 염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상으로, 본 발명은 히드로브로마이드, 메탄술포네이트, 헤미 에탄-1,2-디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및 2-나프탈렌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상은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톨루엔술포네이트 염이다. 예상외로, 이 염은 공지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에 비하여, 높은 용해도 이외에, 특히 높은 용해 속도 및 향상된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따라서 생체내에서 보다 우수한 약물동태학적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제3 양상으로, 본 발명은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히드로브로마이드, 메탄술포네이트, 헤미 에탄-1,2-디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및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염의 임의의 다형체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각각의 분말 X선 회절도, 특히 이들의 각각의 분말 X선 회절도의 주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부분 비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2는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다형체 A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3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다형체 B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4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5는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6은 부분 비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7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8은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헤미 에탄-1,2-술포네이트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9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벤젠술포네이트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0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A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1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B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2는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C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3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D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4는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E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5는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F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6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G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7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다형체 H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8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다형체 A+B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9는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다형체 A+B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도 20은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다형체 C의 XRPD 패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염은, 이 화합물의 자유 염기를 바람직한 산을 함유하는 적합한 용매(예컨대,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테르(예: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 염소화 탄화수소(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 또는 저분자량의 지방족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키거나, 상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바람직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염은 여과, 재침전, 부가 염의 비용매에 의한 침전에 의해 얻어지거나, 또는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얻어진 염은 알칼리화 또는 산성화에 의해 자유 화합물로 변환할 수 있고, 그 다음 추가의 염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약리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염을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된 반응 조건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과정(예컨대 적정 또는 NMR-방법)에 따라 결정된, 염에 함유된 개개의 산 음이온의 양은 자유 염기 약 0.1 내지 약 5 몰당량, 더 정확하게는 약 0.3 내지 약 3 몰당량, 더 정확하게는 약 0.6 내지 약 2.4 몰당량의 범위일 수 있다.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결정질 염은, 임의의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혼합물을, 유기 용매(예컨대,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콜, 또는 아세톤과 같은 케톤) 또는 유기 용매의 혼합물, 또는 이들과 물의 혼합물, 또는 물만을 포함하는 용액 내의 산으로 결정화하거나 재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형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비제한적으로 용매 (재)결정화, 비용매에 의한 침전, 고속 증발, 저속 증발, 고속 냉각, 저속 냉각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의 용매화물 또는 특히 수화물은 자체 공지의 방식으로, 예컨대 적당한 용매의 존재하에 제조될 수 있다. 수화물은 물로부터 또는 물과 극성 유기 용매(예를 들어,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또는 케톤(예: 아세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은 이들 용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용매화물 및 수화물을 포함하고, 모든 결정질, 반정질 또는 비정질 형태를 포함한다. 결정질 형태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제한함이 없이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시예
아래에 제공된 XRPD(X선 분말 회절) 측정은 투과로 수행되었다(U=40 ㎸, I=30 ㎃, Cu-Kα).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부분 비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3.82 g을 물 38 ㎖에 현탁시키고, 암모니아 수용액(25 %) 2.7 ㎖를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물 19 ㎖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3.09 g)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1
결정질 다형체 A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19.2 밀리몰) 10.0 g을 THF 300 ㎖와 Na2CO3 수용액(8 %) 375 ㎖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수성 상을 분리하고 THF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여 물 235 ㎖로 처리하고 이 혼합물의 유기 부분을 증발시켰다. 이로써, 자유 염기가 갈색을 띤 고체로서 분리되었다. 수용액을 따라 버리고, 잔사를 THF 120 ㎖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60(메르크) 100 g에 흡착시키고, 실리카겔-60(메르크) 470 g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였다. 이 화합물을 CHCl3/MeOH(20:1)로 용리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조심스럽게 증발시켰다. 무색의 고체 6.00 g이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2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2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2
결정질 다형체 B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0.0 g을 물 200 ㎖와 에탄올 100 ㎖에 현탁시켰다. 암모니아 수용액(25 %) 8.7 ㎖를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 10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16.4 g)가 얻어졌다. 이 고체(10.0 g)를 에탄올 200 ㎖에 현탁시키고, 10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8.8 g)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3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3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3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따뜻한 메탄올 20 ㎖ 내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0.50 밀리몰) 225 ㎎에 메탄올 내 HCl의 용액(메탄올을 4 N HCl수성 4 ㎖에 첨가하여 최종 100 ㎖가 되게 함; 0.16 밀리몰/㎖)(3.13 ㎖, 0.05 밀리몰)을 적가하였다. 즉시, 황색을 띤 오일이 분리되었다. 디에틸 에테르(10 ㎖)를 첨가함으로써,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졌다. 생성된 고체를 밤새 건조시켰다. 수득량: 248 ㎎(102 %); 황색을 띤 고체; 융점: 150-164 ℃, 소결. 이 화합물은 0.91 HCl/몰을 함유하였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4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4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4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E)-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로일아미노)-페닐]-카르밤산 3급-부틸 에스테르 5.0 g을 THF 90 ㎖와 물 7.5 ㎖에 현탁시켰다. 수성 염산(37 %) 7.5 ㎖를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6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THF 2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3.7 g)가 얻어졌다. 이 화합물은 1.82 HCl/몰을 함유하였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5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5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5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히드로브로마이드
THF 4 ㎖ 내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0.21 g에 THF 4 ㎖ 내 48 % HBr(169 ㎕, 1.5 밀리몰) 0.169 ㎖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고체가 분리되었고, 이를 디에틸에테르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결정질 고체를 분리하고 밤새 건조시켰다. 수득량: 287 ㎎(100 %); 융점: 200 ℃, 소결. 이 화합물은 1.86 HBr/몰을 함유하였다.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부분 비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500 ㎎, 물 10 ㎖ 및 메탄올 1 ㎖를 130 ℃로 가열하였다. 메탄술폰산 0.435 ㎖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거의 용해시켰다. 그 다음, 혼합물을 즉시 얼음욕에서 냉각시켰다. 냉각하는 동안, 갈색을 띤 고체가 분리되었다. 이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였다. 뒤를 이어, 생성된 고체를 수집하고 건조시켰다. 자유 염기 대 메탄술폰산의 몰비는 1:0.95였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6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6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6
결정질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250 ㎎, 물 5 ㎖, 메탄올 0.5 ㎖ 및 메탄술폰산 0.112 ㎖를 130 ℃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후, 고체를 수집하고 건조시켰다. 자유 염기 대 메탄술폰산의 몰비는 1:0.66였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7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7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7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헤미 에탄-1,2-술포네이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1.00 g을 물 20 ㎖에 현탁시켰다. 물 5 ㎖ 내 에탄디술폰산 수화물 512 ㎎을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1.09 g)가 얻어졌다. 자유 염기 대 에탄술폰산의 몰비는 1:0.5였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8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8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8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벤젠술포네이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1.65 g을 물 30 ㎖에 현탁시키고, 벤젠술폰산 642 ㎎을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26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2.04 g)가 얻어졌다. 자유 염기 대 벤젠술폰산의 몰비는 1:0.99였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9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9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09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
결정질 다형체 A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5.0 g을 메탄올 150 ㎖에 현탁시키고, p-톨루엔술폰산 수화물 2.38 g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고유속 여과하였다. 여액을 체적 50 ㎖로 진공 농축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 고체(5.4 g)로서 A형 다형체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0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0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0
결정질 다형체 B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100.0 g을 이소프로판올 800 ㎖에 현탁시켰다. 이소프로판올 200 ㎖ 내 p-톨루엔술폰산 수화물 46.8 g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139.4 g)로서 B형 다형체를 얻었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1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1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1
결정질 다형체 C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의 B형 다형체 1.0 g을 메탄올 10 ㎖에 현탁시키고, 6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825 ㎎)로서 C형 다형체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2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2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2
결정질 다형체 D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5.0 g을 MIBK 75 ㎖에 현탁시키고, p-톨루엔술폰산 수화물 2.34 g을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6.6 g)로서 D형 다형체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3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3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3
결정질 다형체 E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의 B형 다형체 1.0 g을 메탄올 9 ㎖와 물 1 ㎖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 고체(826 ㎎)로서 E형 다형체를 얻었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4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4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4
결정질 다형체 F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의 A형 다형체 200 ㎎을 에틸메틸케톤 1.8 ㎖ 및 물 0.2 ㎖에 현탁시키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 고체(101 ㎎)로서 F형 다형체를 얻었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5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5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5
결정질 다형체 G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4-술포네이트의 C형 다형체 1.00 g을 아세톤 9 ㎖와 물 1 ㎖에 현탁시키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 고체(867 ㎎)로서 G형 다형체를 얻었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6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6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6
결정질 다형체 H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15.6 밀리몰) 7.0 g을 아세톤과 물의 5:1 혼합물 126 ㎖에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을 모든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가열 환류시켰다. 고온의 용액을 유리 섬유 여과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기를 고온의 용매 혼합물 4 ㎖로 세척하였다. 여액들을 합하였다. 용매 107 ㎖를 진공 중에서 증류하였고, 그 동안 자유 염기가 다시 결정화되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키지 않고 사용하였다.
수분 함량 42 %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자유 염기, 15.6 밀리몰) 12.0 g을 실온에서 2-프로판올 53 ㎖와 물 107 ㎖의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p-톨루엔 술폰산 일수화물(18.8 밀리몰) 3.6 g을 2-프로판올 32 ㎖와 물 8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자유 염기의 현탁액에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실온에서 추가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결정화에 사용한 용매 혼합물 5 ㎖로 세척하고, 40 ℃에서 18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켰다. 수득량: 9.43 g;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한 수분 함량: 2.7 %.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7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7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7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결정질 다형체 A+B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2.00 g을 이소프로판올 40 ㎖에 현탁시켰다. 나프탈렌-2-술폰산(70 %) 1.46 g을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이소프로판올 2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2.72 g)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8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8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8
결정질 다형체 A+B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2.00 g을 이소프로판올 40 ㎖에 현탁시켰다. 나프탈렌-2-술폰산(70 %) 1.46 g을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2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의 고체(2.82 g)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19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19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19
결정질 다형체 C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1.00 g을 메탄올 15 ㎖에 현탁시켰다. 나프탈렌-2-술폰산(70 %) 1.46 g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여과하였다. 여액에 종결정을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회백색 고체(1.28 g)가 얻어졌다.
이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 20에 실질적으로 요약하고 도 20에 실질적으로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20
상업적 유용성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중요한 약리학적 특성 및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상업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이들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활성 및 기능의 억제와 관련된 특성에 의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란, 기질 단백질 내의 리신 잔기의 ε-아세틸 기에 대한 활성을 갖는 효소를 뜻한다. HDAC 기질은 히스톤 H2A, H2B, H3 또는 H4 단백질 및 동종체이지만, 히스톤이 아닌 기질 단백질, 예를 들어(비제한적) 열충격 단백질 90(Hsp90), 투불린 또는 종양 억제 단백질 p53이 존재한다. 특히, 히스톤 데아세틸라제는 상기 기질 단백질 내의 리신 잔기의 ε-아세틸 기의 가수분해를 촉진하여, 리신의 자유 아미노 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에 의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란, 1종 이상의 HDAC 동종효소,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즉 HDAC 1, 2, 3 및 8(I군) 및 HDAC 4, 5, 6, 7, 9 및 10(II군), HDAC 11, 및 NAD+ 의존성 III군(Sir2 동족체) 중에서 선택된 동종효소의 활성 및 기능을 억제함을 뜻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억제율은 약 50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0 %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억제는 특정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군(예컨대, HDAC I군 효소), 가장 병태생리학적으로 관련있는 동종효소의 선택(예컨대, HDAC 1, 2, 3 효소) 또는 하나의 동종효소(예컨대, HDAC 1 효소)에 특이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에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와 상호작용하여 그의 활성, 특히 그의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와 관련하여 "머리기(head group)"는 효소의 활성 부위, 예컨대 Zn2+ 이온과 상호작용하게 되는,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내의 잔기를 나타낸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는 효소 활성의 다양한 방식 및 출처의 생화학적 검정으로 결정된다. HDAC 활성은 핵 또는 세포 추출물로부터 유도되거나, 대장균, 곤충 세포 또는 포유동물 세포의 밝혀진 HDAC 동종효소의 이종 발현에 의해 유도된다. HDAC 동종효소는 다중단백질 복합체에서 활성이고 동종이량체 및 이종이량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인간 암세포(예를 들어, 인간 자궁경부암 세포주 HeLa)로부터 유도된 핵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핵 추출물은 I군 및 II군 효소를 함유하지만, I군 효소에 많다. 재조합 HDAC 동종효소의 발현을 위하여는, HEK293 세포와 같은 포유동물 발현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HDAC 동종효소는 단백질과 친화성 표지(예: FLAG 항원결정 인자)의 융합으로서 발현된다.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표지된 단백질은 단독으로 정제되거나 또는 내인성 단백질(예컨대, 다른 HDAC 동종효소 및 보조활성제/플랫폼 단백질)과의 복합체로서 정제된다. 생화학적 검정은 잘 설명되어 있고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기질로서, 히스톤 단백질, 히스톤 단백질로부터 유도된 펩티드 또는 기타 HDAC 기질, 및 아세틸화된 리신 모방체가 사용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혼합된 HDAC 기질은 형광단 7-아미노메틸쿠마린(AMC)과 결합된 트리펩티드 Ac-NH-GGK(Ac)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 및 조직 내의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활성을 억제하여 기질 단백질의 과아세틸화를 일으키고, 기능적 결과로서,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의 유도 또는 억제, 단백질 변성의 유도, 세포 주기 정지, 분화 유도 및/또는 세포자멸 유도를 일으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의 세포내 활성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 특히 단백질 과아세틸화, 전사 억제 및 활성화, 세포자멸, 분화 및/또는 세포독성의 유도와 관련된 임의의 세포 작용을 포함한다.
용어 "세포자멸의 유도" 및 유사한 용어는 임의의 화합물과 접촉한 세포에서 예정된 세포 사멸을 실행시키는 그 화합물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세포자멸"이란, 상기 접촉한 세포 내의 복잡한 생화학적 사건, 예를 들어 시스테인 특이성 단백질분해효소("카스파제")의 활성화 및 크로마틴의 분절화로 정의된다. 그 화합물과 접촉한 세포의 세포자멸 유도가 반드시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의 억제와 결합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식의 억제, 분화의 유도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는 이상 세포 성장을 하는 세포에 특이적이다. "세포독성"이란 일반적으로 시험관내에서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암세포의 증식을 저지하고/저지하거나 세포자멸성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뜻한다.
"분화의 유도"란 G0에서의 가역성 또는 비가역성 세포 주기 정지 및 임의의 특수화된 정상 세포 유형 또는 조직에 전형적인 유전자 부분집합의 재발현(예컨대, 유지방 단백질 및 포유동물 암종 세포 내 지방의 재발현)을 일으키는 세포 재프로그램화의 과정으로서 정의된다. "세포독성"이란 일반적으로 시험관내에서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암세포의 증식을 저지하고/저지하거나 세포자멸성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뜻한다.
세포 증식, 세포자멸 또는 분화의 정량 검정법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세포 증식과 관련된 대사 활성은 알라마 블루/레자주린 검정(Alamar Blue/Resazurin assay)(문헌[O'Brian et al. Eur J Biochem 267, 5421-5426, 2000])을 사용하여 정량화되고, 세포자멸의 유도는 롯슈(Roche)에 의해 상용화된 세포 사멸 검출 엘리사(ELISA)에 의한 크로마틴 분절화의 측정에 의해 정량화된다. HDAC 기질의 과아세틸화의 결정을 위한 세포 검정법의 예는 특정 항체를 사용하는 코어 히스톤 아세틸화를 웨스턴 블로팅에 의해 측정하거나, 개개의 반응성 프로모터 또는 프로모터 요소(예컨대, 반응성 요소로서 p21 프로모터 또는 sp1 부위)를 사용하는 정보제공 유전자 검정에 의해, 또는 마지막으로 코어 히스톤 단백질에 대한 아세틸화 특이성 항체를 사용하는 영상 분석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그의 HDAC 억제 활성, 항증식 활성 및/또는 세포자멸 유도 활성 때문에 상업적으로 적용가능한데, 그에 반응성인 질환,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 종양의 억제,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이 필요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투여함으로써 세포 종양을 억제하거나, 치료하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양"이란 이상 세포 증식 및/또는 생존 및/또는 분화 차단을 보이는 세포로 정의된다. "종양"이란 용어는 생체내에서 침습성, 전이성 종양을 형성할 수 없는, 세포의 과증식으로 기술되는 양성 종양, 및 반대로 전신성 질환을 형성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원위 기관에 종양 전이를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세포 및 생화학적 이상을 갖는 세포로 기술되는 악성 종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특히, 최후에는 별개의 기관 또는 조직으로 전이되는 종양 세포를 특징으로 하는 악성 종양(암으로도 기술됨)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으로 치료되는 악성 종양의 예로는 고형 및 혈액 종양이 있다. 고형 종양의 예는 유방, 방광, 뼈, 뇌, 중추 및 말초 신경계, 직장, 내분비샘(예컨대, 갑상샘 및 부신 피질), 식도, 자궁 내막, 생식 세포, 두경부, 콩팥, 간, 폐, 후두 및 후두인두, 중피종, 난소, 췌장, 전립선, 직장, 신장, 소장, 연조직, 고환, 위, 피부, 요관, 질 및 외음의 암이다. 악성 종양으로는 유전 암, 예를 들어 망막모세포종 및 윌름즈 종양이 있다. 또한, 악성 종양으로는 상기 기관에서의 원발성 종양 및 원위 기관에서의 상응하는 2차 종양("종양 전이")이 있다. 혈액 종양의 예는 백혈병 및 림프종, 즉 비호지킨 질환, 만성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CML/AML),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ALL), 호지킨 질환, 다발골수종 및 T-세포 림프종이다. 또한,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형질세포 종양, 신생물딸림 증후군, 미지의 원발 부위의 암 및 AIDS 관련 암이 포함된다.
암 질환 및 악성 종양이 반드시 원위 기관에서의 전이 형성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임의의 종양은 그의 공격적인 성장 특성에 의해 원발성 기관 자체에 대하여 압도적인 작용을 가한다. 이들은 조직 및 기관 구조의 파괴를 일으켜 종국에는 배정된 기관 기능이 상실된다.
종양 세포 증식은 또한 정상 세포의 거동 및 기관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혈관신생으로 기술되는 과정인 새 혈관의 형성은 종양 또는 종양 전이에 의해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양성 또는 종양 세포 증식, 예를 들어(비제한적) 혈관내피 세포의 비생리적 증식에 의한 혈관신생에 의해 초래된 병태생리학적으로 관련있는 과정의 치료에 상업적으로 적용가능할 수 있다.
약물내성은 표준의 암 치료법의 빈번한 실패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이 약물내성은 약물 배출 펌프의 과발현, 염색체 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세포 표적 단백질 또는 융합 단백질 내의 돌연변이와 같은 다양한 세포 및 분자 메카니즘에 의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상업적인 적용가능성은 환자의 1차 치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암 화학요법 또는 표적 특이성 항암 약물에 대한 내성을 갖는 환자는 또한, 예컨대 2차 또는 3차 치료 주기를 위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에 의한 치료를 잘 받아들일 수 있다. 중요한 예는 레티노이드에 의한 표준 치료법에 내성인, PML-RARα 융합 단백질을 갖는 급성 전골수세포 백혈병 환자에 의해 제공된다. 이들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과 같은 HDAC 억제 약물에 의한 치료에 의해 레티노이드에 대하여 재감작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치료법에 민감성인, 세포 종양이 아닌 질환을 앓는 포유동물에게 약리학적으로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치료에 민감성인, 세포 종양이 아닌 질환을 앓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비악성 질환으로는 (i) 관절병 및 골병리학적 질환,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통풍, 다관절염 및 건선 관절염, (ii)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어 전신성 홍반 루푸스 및 이식 거부, (iii) 과증식성 질환, 예를 들어 건선, 또는 혈관 증식성 장애, 죽상동맥경화증 및 재협착을 포함한 평활근 세포 증식, (iv)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 및 피부 질환, 예를 들어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낭성 섬유증,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 및 천식, (v) 자궁내막증, 자궁 섬유양, 자궁내막 증식증 및 양성 전립선 비대증, (vi) 심기능 장애, (vii) 억제성 면역억제 상태, 예를 들어 HIV 감염, (viii) 신경병리학적 장애, 예를 들어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또는 폴리글루타민 관련 장애, 및 (ix) 내인성 유전자 발현의 강화, 및 유전자 치료에서 이식 유전자 발현의 증진에 의해 치료되기 쉬운 병리학적 상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본원에 기술된 양성 및 악성 거동의 질환, 예를 들어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및/또는 세포 분화에 반응성인 장애, 예컨대 양성 또는 악성 종양, 특히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상업적으로 적용가능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이들의 특성, 기능 및 유용성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그와 관련된 중요하고 바람직한 효과, 예를 들어 낮은 독성, 일반적으로 우수한 생체이용가능성(예: 우수한 장관 흡수), 우수한 적정 약물 농도, 유의적인 부작용의 부재 및/또는 이들의 치료적 및 제약상 적합성(에컨대, 용해도 거동)과 관련된 추가의 유리한 효과를 특징으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상태, 병, 장애 또는 질환 중 하나를 앓고 있는 포유동물(인간 포함)의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를 억제하고, 일반적으로 단백질 아세틸화를 조절하여, 다양한 세포 작용, 특히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거나 억제하고, 세포 증식을 정지시키고, 세포 분화를 유도하고/유도하거나 세포자멸을 유도함으로써 작용하는, 약리적으로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상기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및/또는 장애, 특히 상기 언급된 질환, 예를 들어 세포 종양 또는 상기 나타낸 세포 종양이 아닌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약리적으로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인간 포함)에게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및/또는 장애, 특히 상기 언급한 질환, 예를 들어 세포 종양 또는 상기 나타낸 세포 종양이 아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질환, 특히 암의 단백질 아세틸화, 유전자 발현, 세포 증식, 세포 분화 및/또는 세포자멸을 생체내 조절이 필요한 대상체에게, 히스톤 데아세틸라제를 억제함으로써 작용하는, 약리적으로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질환, 특히 암의 단백질 아세틸화, 유전자 발현, 세포 증식, 세포 분화 및/또는 세포자멸을 생체내 조절하기에 유용한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접촉시킴으로써 내인성 또는 이종 프로모터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언급된 질환, 장애, 병 및/또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및/또는 장애, 특히 상기 언급된 질환, 예를 들어 세포 종양 또는 상기 나타낸 세포 종양이 아닌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 활성을 갖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 종양,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예컨대 암의 억제 또는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 세포 증식의 정지에 반응성인 질환,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거동의 (과)증식성 질환, 예컨대 상기 언급된 임의의 질환, 특히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질환, 특히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분화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질환, 특히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양성 또는 악성 종양, 특히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 종양이 아니고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치료법에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비악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활성의 억제 또는 그의 기능적 결과에 반응성인 질환의 치료에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활성의 억제를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언급된 질환, 장애, 병 및/또는 상태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이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약리학적으로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 환자에게서 본원에 언급된 질환, 장애, 병 및/또는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질환, 특히 상기 언급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거동의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예컨대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자멸 유도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항증식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 분화 유도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제품, 예를 들어 상용 패키지의 제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재 및 이 포장재에 함유된 제약 제제를 포함하는 제조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제약 제제는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작용을 억제하고,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매개성 장애의 증상을 개선하기에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제약 제제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매개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함을 나타내는 표지 또는 포장 삽입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약 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포함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포장재, 표지 및 포장 삽입물은 관련된 유용성을 갖는 약제를 위한 표준의 포장재, 표지 및 포장 삽입물로서 일반적으로 간주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비슷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자체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에게 친숙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제약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활성 화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제약 보조제 및/또는 부형제와 함께, 예컨대 정제, 코팅 정제, 캡슐, 당의정, 좌제, 패치(예컨대, TTS로서), 유화액, 현탁액, 겔 또는 용액의 형태로 사용되고, 활성 화합물 함량은 유리하게는 0.1 내지 95 %이고, 보조제 및/또는 부형제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활성 화합물 및/또는 작용의 바람직한 시작에 정확하게 적합한 제약 투여 형태(예컨대, 지연 방출 형태 또는 장용 형태)가 달성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그의 전문 지식으로 인해 바람직한 제약 제형, 제제 또는 조성물에 적합한 보조제, 비히클, 부형제, 희석제, 담체 또는 보조제를 잘 알고 있다. 용매 이외에, 겔 형성제, 연고 베이스 및 기타 활성 화합물 부형제,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분산제, 유화제, 보존제, 가용화제, 착색제, 착화제 또는 투과 촉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의 투여는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투여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투여 방식의 예로는 정맥내, 경구, 비강, 비경구, 국소, 경피 및 직장 전달이 있다. 경구 및 정맥내 전달이 바람직하다.
피부병의 치료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특히 국소 적용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된다.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본 발명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활성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제약 보조제와 혼합하고 더 가공하여 적합한 제약 제형을 얻는다. 적합한 제약 제형은, 예를 들어 분말, 유화액, 현탁액, 스프레이, 오일, 연고, 지방 연고, 크림, 페이스트, 겔 또는 용액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자체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활성 화합물)의 투여는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에 통상적인 정도로 수행된다. 따라서, 피부염의 치료를 위한 국소 적용 형태(예: 연고)는, 예를 들어 0.1 내지 99 % 농도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전신 요법(경구 투여)의 경우에서 통상적인 투여량은 1일 0.03 내지 60 ㎎/㎏일 수 있고, 정맥내 투여의 경우는 0.03 내지 60 ㎎/㎏/h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신 요법(경구 투여)의 경우 통상적인 투여량은 1일 0.3 내지 30 ㎎/㎏일 수 있고, 정맥내 투여의 경우는 0.3 내지 30 ㎎/㎏/h일 수 있다.
최적의 투여법 및 투약 지속기간, 특히 각각의 경우에 필요한 활성 화합물의 최적 복용량 및 투여 방식의 선택은 당업자에 의해 그의 전문 지식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치료하거나 예방할 특정 질환에 따라, 그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활성 제제를, 임의로는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과 동시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는 치료할 질환에 적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상기 언급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1종 이상의 표준의 치료제 또는 방사선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항암제(예: 후술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 및/또는 표적 특이성 항암제) 및/또는 방사선과 조합할 수 있다.
복합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공지의 항암 화학요법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i) 알킬화제/카르바밀화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엔독산(Endoxan, 등록상표)), 이포스파미드(홀록산(Holoxan, 등록상표)), 티오테파(티오테파 레덜레(Thiotepa Lederle, 등록상표)), 멜팔란(알케란(Alkeran, 등록상표)), 또는 클로로에틸니트로소우레아(BCNU); (ii) 백금 유도체,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플라티넥스(Platinex, 등록상표) BMS), 옥살리플라틴 또는 카르보플라틴(카브로플라트(Cabroplat, 등록상표) BMS); (iii) 항유사분열제/투불린 억제제, 예를 들어 빈카알칼로이드(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탁산(예: 파클리탁셀(탁솔(Taxol, 등록상표)), 도세탁셀(탁소테어(Taxotere, 등록상표))) 및 유사체, 및 이들의 신규 제형 및 접합물, 에포틸론(예: 에포틸론 B(파투필론(Patupilone, 등록상표)), 아자에포틸론(익사베필론(Ixabepilone, 등록상표)) 또는 ZK-EPO(완전 합성 에포틸론 B 유사체)); (iv)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안트라시클린(예: 독소루비신/아드리블라스틴(Adriblastin, 등록상표)), 에피포도필로톡신(예: 에토포사이드/에토포포스(Etopophos, 등록상표)) 및 캄프토테신 및 캄프토테신 유사체(예: 이리노테칸/캄프토사(Camptosar, 등록상표) 또는 토포테칸/히캄틴(Hycamtin, 등록상표)); (v) 피리미딘 길항제, 예를 들어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젤로다(Xeloda, 등록상표)), 아라비노실시토신/시타라빈(알렉산(Alexan, 등록상표)) 또는 젬시타빈(젬자(Gemzar, 등록상표)); (vi) 퓨린 길항제, 예를 들어 6-메르캅토퓨린(퓨리네톨(PuriNethol, 등록상표)), 6-티오구아닌 또는 플루다라빈(플루다라(Fludara, 등록상표)); 및 마지막으로 (vii) 폴산 길항제,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파미트렉사트(Farmitrexat, 등록상표)) 또는 프리메트렉세드(알림타(Alimta, 등록상표))가 있다.
실험용 또는 표준의 항암요법에 사용되는 표적 특이성 항암제 부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i) 키나제 억제제, 예를 들어 이마티닙(글리벡(Glivec, 등록상표)), ZD-1839/제피티닙(이레사(Iressa, 등록상표)), 베이43-9006(소라페닙), SU11248/수니티닙(수텐트(Sutent, 등록상표)) 또는 OSI-774/얼로티닙(타세바(Tarceva, 등록상표)); (ii) 프로테아좀 억제제, 예를 들어 PS-341/보테주밉(벨카드(Velcade, 등록상표)); (iii) 열충격 단백질 90 억제제, 예를 들어 17-알릴아미노겔다나마이신(17-AAG); (iv) 혈관 표적 물질(VTA)(예: 콤브레타스틴 A4 포스페이트 또는 AVE8062/AC7700) 및 혈관형성 방지제(예: VEGF 항체, 예를 들어 베카시주맙(아바스틴(Avastin, 등록상표))), 또는 KDR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예: PTK787/ZK222584(바탈라닙)): (v) 단클론 항체, 예를 들어 트라스투주맙(허셉틴(Herceptin, 등록상표)) 또는 리툭시맙(맙테라/리툭산(Rituxan, 등록상표)) 또는 알렘투주맙(캄파쓰(Campath, 등록상표)) 또는 토시투맙(벡사(Bexxar, 등록상표)) 또는 C225/세툭시맙(어비툭스(Erbitux, 등록상표)) 또는 아바스틴(상기 참조), 및 단클론 항체(예를 들어, 젬투주맙 오조가미신(밀로타그(Mylotarg, 등록상표)) 또는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제발린(Zevalin, 등록상표)), 및 항체 단편의 돌연변이체 및 접합체; (vi)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계 치료제, 예를 들어 G-3139/오블리머센(제나센스(Genasense, 등록상표)); (vii) 톨(Toll)-유사 수용체/TLR9 작용제, 예를 들어 프로뮨(Promune, 등록상표)), TLR 7 작용제, 예를 들어 이미퀴모드(알다라(Aldara, 등록상표)) 또는 이사토리빈 및 이들의 유사체, 또는 TLR 7/8 작용제, 예를 들어 레지퀴모드, 및 TLR 7/8 작용제로서 면역자극 RNA; (viii) 프로테아제 억제제; (ix) 호르몬 치료제, 예를 들어 항에스트로젠(예컨대, 타목시펜 또는 랄록시펜), 항안드로젠(예컨대, 플루타미드 또는 카소젝스), LHRH 유사체(예컨대, 류프롤리드, 고제렐린 또는 트립토렐린) 및 아로마타제 억제제가 있다.
복합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그밖의 공지의 표적 특이성 항암제로는 블레오마이신, 레티노이드(예: 모든 트랜스 레티노산(ATRA)),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억제제(예: 2-데옥시시티딘 유도체 데시타빈(도카젠(Docagen, 등록상표)) 및 5-아자시티딘), 알라노신, 시토킨(예: 인터류킨-2), 인터페론(예: 인터페론 α2 또는 인터페론-γ), 세포사멸 수용체 작용제(예: 트레일, DR4/5 작용제 항체, FasL 및 TNF-R 작용제), 및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이 아닌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예: SAHA, PXD101, MS275, MGCD0103, 뎁시펩티드/FK228, NVP-LBH589, NVP-LAQ824, 발프로산(VPA) 및 부티레이트)가 있다.
본원에 언급된 공동 치료법에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과 병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항암제로서 임의의 하기 약물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5FU, 악티노마이신 D, 아바렐릭스(ABARELIX), 아브식시맙(ABCIXIMAB), 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아다팔렌(ADAPALENE),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알트레타민(ALTRETAMINE), 아미노글루테트이미드(AMINOGLUTETHIMIDE), 아미프릴로즈(AMIPRILOSE), 암루비신(AMRUBICIN),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안시타빈(ANCITABINE), 아테미시닌(ARTEMISININ),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바실릭시맙(BASILIXIMAB), 벤다무스틴(BENDAMUSTINE), 베바시주맙(BEVACIZUMAB), 벡사(BEXXAR), 비칼루타미드(BICALUTAMID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보테조밉(BORTEZOMIB), 브록수리딘(BROXURIDINE), 부술판(BUSULFAN), 캄파쓰(CAMPATH), 카페시타빈(CAPECITABINE), 카보플라틴(CARBOPLATIN), 카보쿠온(CARBOQUONE), 카무스틴(CARMUSTINE), 세트로렐릭스(CETRORELIX), 클로르암부실(CHLORAMBUCIL), 클로르메틴(CHLORMETHINE), 시스플라틴(CISPLATIN),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로미펜(CLOMIFE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다카바진(DACARBAZINE), 다클리주맙(DACLIZUMAB),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데시타빈(DECITABINE), 데슬로렐린(DESLORELIN), 덱스라족산(DEXRAZOXANE), 도세탁셀(DOCETAXEL),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드롤록시펜(DROLOXIFENE), 드로스타놀론(DROSTANOLONE), 에델포신(EDELFOSINE), 에플로르니틴(EFLORNITHINE), 에미테퍼(EMITEFUR), 에피루비신(EPIRUBICIN), 에피티오스타놀(EPITIOSTANOL), 엡타플라틴(EPTAPLATIN), 어비툭스(ERBITUX), 얼로티닙(ERLOTINIB), 에스트라무스틴(ESTRAMUSTIN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엑세메스탄(EXEMESTANE), 파드로졸(FADROZOLE),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플록수리딘(FLOXURIDINE), 플루시토신(FLUCYTOSINE), 플루다라빈(FLUDARABINE),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플루타미드(FLUTAMIDE), 포메스탄(FORMESTANE), 포스카네트(FOSCARNET), 포스페스트롤(FOSFESTROL), 포테무스틴(FOTEMUSTINE),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 제피티닙(GEFITINIB), 제나센스(GENASENSE), 젬시타빈(GEMCITABINE), 글리벡(GLIVEC), 고세렐린(GOSERELIN), 구스페리무스(GUSPERIMUS), 허셉틴(HERCEPTIN), 이다루비신(IDARUBICIN), 이독수리딘(IDOXURIDIN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이마티닙(IMATINIB), 임프로술판(IMPROSULFAN), 인플락시맙(INFLIXIMAB), 이리노테칸(IRINOTECAN), 익사베필론(IXABEPILONE), 란레오타이드(LANREOTIDE), 레트로졸(LETROZOLE), 류프로렐린(LEUPRORELIN), 로바플라틴(LOBAPLATIN), 로무스틴(LOMUSTINE), 루프롤라이드(LUPROLIDE), 멜팔란(MELPHALAN), 메르캅토퓨린(MERCAPTOPURINE), 메토스렉세이트(METHOTREXATE), 메투레데파(METUREDEPA), 미보플라틴(MIBOPLATIN),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밀테포신(MILTEFOSINE), 미리모스팀(MIRIMOSTIM), 미토구아존(MITOGUAZONE), 미토락톨(MITOLACTOL),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미조리빈(MIZORIBINE), 모텍사핀(MOTEXAFIN), 밀로타그(MYLOTARG), 나토그라스팀(NARTOGRASTIM), 네바주맙(NEBAZUMAB), 네다플라틴(NEDAPLATIN), 닐루타미드(NILUTAMIDE), 니무스틴(NIMUSTINE),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 오멜로시펜(ORMELOXIFENE),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팔리비주맙(PALIVIZUMAB), 파투필론(PATUPILONE), 페가스파가제(PEGASPARGASE), 페그필그라스팀(PEGFILGRASTIM), 페메트렉세드(PEMETREXED), 펜테트레오타이드(PENTETREOTIDE), 펜토스타틴(PENTOSTATIN), 퍼포스파미드(PERFOSFAMIDE), 피포술판(PIPOSULFAN), 피라루비신(PIRARUBICIN),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프레드니무스틴(PREDNIMUSTIN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프로파게르마늄(PROPAGERMANIUM), 프로스피듐 클로라이드(PROSPIDIUM CHLORIDE), 랄록시펜(RALOXIFEN), 랄티트렉세드(RALTITREXED), 라니무스틴(RANIMUSTINE), 란퍼나제(RANPIRNASE), 라스부리카제(RASBURICASE), 라족산(RAZOXANE), 리툭시맙(RITUXIMAB), 리팜피신(RIFAMPICIN), 리트로술판(RITROSULFAN), 로무타이드(ROMURTIDE), 루복시스타우린(RUBOXISTAURIN), 사그라모스팀(SARGRAMOSTIM), 사트라플라틴(SATRAPLATIN), 시롤리무스(SIROLIMUS), 소부족산(SOBUZOXANE), 소라페닙(SORAFENIB), 스피로무스틴(SPIROMUSTINE),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수니티닙(SUNITINIB), 타목시펜(TAMOXIFEN), 타소너민(TASONERMIN), 테가퍼(TEGAFUR), 테모포핀(TEMOPORFIN),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테스토락톤(TESTOLACTONE), 티오테파(THIOTEPA), 티말파신(THYMALFASIN), 티아미프린(TIAMIPRINE), 토포테칸(TOPOTECAN), 토레미펜(TOREMIFENE), 트레일(TRAIL),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트레오술판(TREOSULFAN), 트리아지쿠온(TRIAZIQUONE), 트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트립토렐린(TRIPTORELIN), 트로포스파미드(TROFOSFAMIDE), 우레데파(UREDEPA), 발루비신(VALRUBICIN), 바탈라닙(VATALANIB), 버테포핀(VERTEPORF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데신(VINDESINE), 비노렐빈(VINORELBINE), 보로졸(VOROZOLE) 및 제발린(ZEVALIN).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조합물 상대로서 상기 언급된 항암제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유도체, 예를 들어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그의 전문 지식에 근거하여 동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들)의 총 1일 투여량(들) 및 투여 형태(들)를 알고 있다. 상기 총 1일 투여량(들)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상기 언급된 상세한 설명, 특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1종 이상의 표준의 치료제, 특히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항암제(화학요법제 및/또는 표적 특이성 항암제),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임의의 것과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동시에, 병행하여 또는 시차를 두어(예를 들어, 복합 단위 투여형으로서, 분리된 단위 투여형으로서, 인접한 별개의 단위 투여형으로서, 고정 또는 비고정 조합물로서, 부품 키트로서 또는 혼합물로서) 복합 치료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질환의 치료에 분리, 순차, 동시, 병행 또는 시차 사용하기 위한, 제1 활성 성분, 즉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2 활성 성분, 즉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표준의 치료제(예를 들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항암제, 예컨대 1종 이상의 상기 언급된 것)를 포함하는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이란 용어는 고정 조합물, 비고정 조합물 또는 부품 키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고정 조합물"이란 상기 제1 활성 성분과 제2 활성 성분이 하나의 단위 투여형 내에 또는 하나의 독립체 내에 함께 존재하는 조합물로서 정의된다. "고정 조합물"의 한 예는 상기 제1 활성 성분과 제2 활성 성분이 동시 투여를 위한 혼합물로 존재하는(예: 제형 내에) 제약 조성물이다. "고정 조합물"의 다른 예는 상기 제1 활성 성분과 제2 활성 성분이 혼합되지 않고 하나의 단위 내에 존재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부품 키트"란 상기 제1 활성 성분과 제2 활성 성분이 하나보다 많은 단위 내에 존재하는 조합물로서 정의된다. "부품 키트"의 한 예는 상기 제1 활성 성분과 제2 활성 성분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조합물이다. 부품 키트의 성분은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동시에, 병행하여 또는 시차를 두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예를 들어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한 질환, 특히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질환, 예컨대 양성 또는 악성 종양, 특히 암, 특히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의 치료에 분리, 순차, 동시, 병행 또는 시차 사용하기 위한, 제1 활성 성분, 즉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2 활성 성분, 즉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표준의 치료제(예를 들어, 1종 이상의 상기 언급된 것), 및 임의로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배합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배합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항암제(예를 들어, 1종 이상의 상기 언급된 것)를 포함하는 조합물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에 동시, 병행,순차, 분리 또는 시차 사용하기 위한, 제1 활성 성분, 즉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의 제제; 및 제2 활성 성분, 즉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항암제(예: 상기 언급된 1종의 것),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의 제제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에 관한 것이다. 임의로는, 상기 키트는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지시, 예를 들어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세포 종양 또는 상기 나타낸 세포 종양이 아닌 질환, 특히 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시, 병행, 순차 또는 분리 투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항암제를 포함하는 복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또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 조성물, 제형, 제제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또한 항(과)증식 및/또는 세포자멸 유도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 조성물, 제형, 제제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것, 예컨대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암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원에 기술된 조합물, 조성물, 제형, 제제 또는 키트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게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것, 예컨대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암을 복합 치료법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암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 및 제약상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항암제,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제약상 활성있고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제약 조성물을 분리하여, 동시에, 병행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시차를 두어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게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예컨대 암, 특히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암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이 필요한 환자에게 일정량의 제1 활성 화합물, 즉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일정량의 1종 이상의 제2 활성 화합물, 즉 표준의 치료제, 특히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항암제,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 및 표적-특이성 항암제를 분리하여, 동시에, 병행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시차를 두어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또한, 본 발명은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예컨대 암, 특히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때 상기 제1 활성 화합물과 제2 활성 화합물의 양은 치료 효과를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예컨대 암, 특히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특히 본원에 언급된 질환,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특히 암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제약 제품, 예를 들어 상용 패키지 또는 약의 제조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조합물, 제형, 제제 또는 키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 및/또는 표적 특이성 항암제,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것과 동시, 병행, 순차 또는 분리 사용하기 위한 지시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포함하는 상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 및/또는 표적 특이성 항암제,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것과 동시, 병행, 순차 또는 분리 사용하기 위한 지시와 함께, 유일한 활성 성분으로서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으로 이루어지는 상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과 동시, 병행, 순차 또는 분리 사용하기 위한 지시와 함께,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 및/또는 표적 특이성 항암제,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상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치료와 관련하여 언급된 조성물, 조합물, 제제, 제형, 키트 또는 패키지는 본 발명에 따른 1종보다 많은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보다 많은 상기 언급된 항암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 또는 부품 키트의 제1 및 제2 활성 성분은 별개의 제형으로서(즉,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은 복합 치료에 동시, 순차, 분리 또는 시차 사용을 위해 후속적으로 함께 제공되거나; 또는 복합 치료에 동시, 병행, 순차, 분리 또는 시차 사용을 위해 복합 포장의 별개의 성분으로서 함께 포장되고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 또는 부품 키트의 제1 및 제2 활성 성분의 제약 제형의 유형은 유사할 수 있거나(즉, 두 성분이 별개의 정제 또는 캡슐로 제형화됨), 상이할 수 있는데(즉, 상이한 투여 형태에 적합화됨), 예를 들어 하나의 활성 성분은 정제 또는 캡슐로서 제형화되고, 다른 하나는, 예컨대 정맥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 조성물 또는 키트의 제1 및 제2 활성 성분의 양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1종의 질환, 예컨대 양성 또는 악성 종양, 특히 암,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1종의 암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암의 수술전 또는 수술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은 특히 표준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암 환자의 감작화에서 방사선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은, 고정 조합물(고정된 단위 투여형) 내에 본 발명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및 다른 활성 항암제(들)를 둘다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별개의 분리된 투여형으로서(비고정 조합물) 2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 포장을 가리킬 수 있다. 2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 포장의 경우에서,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순응도의 개선에 적합한 블리스터 카드(blister card) 내에 포장된다.
각각의 블리스터 카드는 바람직하게는 하루의 치료시 복용될 약을 함유한다. 약을 하루 중 다른 시간대에 복용해야 한다면, 약을 복용해야 할 다른 시간대에 따라(예를 들어 아침 및 저녁, 또는 아침, 점심 및 저녁) 약을 블리스터 카드의 상이한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하루 중 특정한 시간에 함께 복용해야 할 약의 블리스터 캐비티(cavity)를 각 시간대에 제공한다. 하루 중 다양한 시간대는, 물론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블리스터에 기록된다. 물론, 예를 들어 약을 복용해야 할 기간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어, 시간을 나타냄).
일간 부분은 한 줄의 브리스터 카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루의 시간대는 이 열의 시간 순서로 나타낸다.
하루 중 특정 시간에 함께 복용해야 할 약은 블리스터 카드의 적절한 시간에 함께 위치시켜(바람직하게는 좁은 거리를 두고), 블리스터로부터 이들을 쉽게 밀어낼 수 있고, 블리스터로부터 투여형을 꺼내는 것을 잊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히드로브로마이드, 메탄술포네이트, 헤미 에탄-1,2-디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및 2-나프탈렌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의 염.
  2. 제1항에 있어서, 3.9, 16.4 및 16.9±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 형태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염.
  3. 제1항에 있어서, 16.0, 22.7 및 25.1±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 형태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헤미 에탄-1,2-디술포네이트 염.
  4. 제1항에 있어서, 19.1, 20.4 및 22.7±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 형태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벤젠술포네이트 염.
  5. 제1항에 있어서, 7.0, 19.6 및 19.9±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 형태; 18.1, 21.2 및 22.9±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B 형태; 8.9, 11.7 및 20.3±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C 형태; 17.1, 18.7 및 22.5±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D 형태; 6.9, 13.0 및 19.8±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E 형태; 5.3, 10.5 및 18.6±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F 형태; 6.6, 19.2 및 20.4±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G 형태; 및 6.7, 19.5 및 19.8±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H 형태 중 임의의 형태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톨루엔술포네이트 염.
  6. 제1항에 있어서, 4.6, 18.5 및 23.8±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B 형태; 4.7, 6.8 및 18.5±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B 형태; 및 5.8, 17.3 및 22.9±0.1(°2θ)을 포함하는(비제한적) 분말 X선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C 형태 중 임의의 형태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성 및/또는 악성 종양, 예를 들어 암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활성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10. 통상의 제약 부형제, 희석제 및/또는 담체와 함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1종 이상의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1. 양성 및/또는 악성 종양, 예를 들어 암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
  12.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활성의 억제에 반응성이거나 민감성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의 용도.
  13. 환자에게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허용되는 양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양성 또는 악성 거동의 과증식성 질환 및/또는 세포자멸의 유도에 반응성인 장애, 예를 들어 양성 또는 악성 종양, 예컨대 암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
KR1020107022664A 2008-03-12 2009-03-11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KR101657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04568.5 2008-03-12
EP08004568A EP2100882A1 (en) 2008-03-12 2008-03-12 (E) -N -(2-Amino-phenyl) -3-{1-[4-(1-methyl-1H-pyrazol-4-yl)- benzenesulfonyl]-1H-pyrrol-3-yl} -acrylamide salts
PCT/EP2009/052859 WO2009112522A1 (en) 2008-03-12 2009-03-11 (E)-N-(2-Amino-phenyl)-3-{1-[4-(1-methyl-1H-pyrazol-4-yl)-benzenesulfonyl]-1H-pyrrol-3-yl}-acrylamide sal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422A true KR20100133422A (ko) 2010-12-21
KR101657718B1 KR101657718B1 (ko) 2016-09-19

Family

ID=3932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664A KR101657718B1 (ko) 2008-03-12 2009-03-11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557858B2 (ko)
EP (2) EP2100882A1 (ko)
JP (2) JP2011513466A (ko)
KR (1) KR101657718B1 (ko)
CN (5) CN104803988A (ko)
AU (1) AU2009224710B2 (ko)
BR (1) BRPI0908917A2 (ko)
CA (1) CA2719071C (ko)
EA (1) EA017533B1 (ko)
HK (3) HK1186736A1 (ko)
IL (1) IL207994A (ko)
MX (1) MX2010010014A (ko)
NZ (1) NZ587823A (ko)
UA (1) UA106351C2 (ko)
WO (1) WO2009112522A1 (ko)
ZA (1) ZA2010065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6623B2 (ja) * 2004-03-11 2012-01-18 フォーエスシ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新規のn−スルホニルピロール誘導体
WO2010028192A1 (en) 2008-09-03 2010-03-11 Repligen Corporation Compositions including 6-aminohexanoic acid derivatives as hdac inhibitors
WO2012118782A1 (en) 2011-02-28 2012-09-07 Repligen Corporation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10059723B2 (en) 2011-02-28 2018-08-28 Biomarin Pharmaceutical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8957066B2 (en) 2011-02-28 2015-02-17 Biomarin Pharmaceutical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CN102526714B (zh) * 2011-08-24 2013-12-25 贵州神奇集团控股有限公司 治疗肿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16465B (zh) * 2012-06-18 2014-01-15 贵州金桥药业有限公司 治疗肿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DK2970139T3 (en) 2013-03-15 2018-08-13 Biomarin Pharm Inc HDAC inhibitors
WO2017060524A1 (en) * 2015-10-09 2017-04-13 4Sc Ag (e)-n-(2-aminophenyl)-3-(1-((4-(1-methyl-1h-pyrazol-4-yl)phenyl)sulfonyl)-1h-pyrrol-3-yl)acrylamide for the treatment of latent viral infections
MA50070A (fr) * 2017-09-08 2020-07-15 4Sc Ag Inhibiteur de l'histone désacétylase en association avec un modulateur de point de contrôle immunitaire pour la cancérothérapie
KR20200136949A (ko) 2018-03-26 2020-12-08 4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암 치료를 위한 hdac 억제제 및 cd137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TW202012395A (zh) * 2018-04-14 2020-04-01 德商4Sc製藥公司 用於治療癌症的包含組蛋白去乙醯酶(hdac)抑制劑和tlr7 激動劑和/或tlr8 激動劑的藥物組合產品
WO2019200238A1 (en) 2018-04-14 2019-10-17 Dynavax Technologies Corporation Combinations including a cpg-c type oligonucleotide and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for treating cancer
AU2019254578A1 (en) * 2018-04-17 2020-10-22 4Sc Ag Combination comprising HDAC inhibitor, LAG-3 inhibitor and a PD-1 inhibitor or PD-L1 inhibitor for cancer treatment
TW202114659A (zh) 2019-10-02 2021-04-16 德商4Sc製藥公司 用於癌症治療之含hdac抑制劑、ctla—4抑制劑及pd—1抑制劑或pd—l1抑制劑之組合
CN111973590A (zh) * 2020-07-06 2020-11-24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新型hdac抑制剂laq824在治疗弥漫大b细胞淋巴瘤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474A1 (en) * 2005-03-15 2006-09-21 Nycomed Gmbh N-sulphonylpyrroles and their use as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0787A (en) 1989-02-06 1990-10-02 Ciba-Geigy Corporation Certain pyrrolyl-substituted hydroxamic acid derivatives
AU5886296A (en) 1995-06-02 1996-12-18 G.D. Searle & Co. Heterocyclo substituted hydroxamic acid derivatives as cyclo oxygenase-2 and 5-lipoxygenase inhibitors
DK1233958T3 (da) 1999-11-23 2011-10-17 Methylgene Inc Hæmmere af histondeacetylase
US20030119060A1 (en) * 2001-08-10 2003-06-26 Desrosiers Peter J.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testing pre-formulations and systems for same
JP4856623B2 (ja) * 2004-03-11 2012-01-18 フォーエスシ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新規のn−スルホニルピロール誘導体
WO2006105979A1 (en) * 2005-04-07 2006-10-12 Nycomed Gmbh Sulfonylpyrroles as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8188138B2 (en) * 2005-09-21 2012-05-29 4Sc Ag Sulphonylpyrrole hydrochloride salts as histone deacetylases inhibitors
SI1928872T1 (sl) * 2005-09-21 2012-06-29 4Sc Ag Novi sulfonilpiroli kot inhibitorji HDAC
EP2100878A1 (en) * 2008-03-12 2009-09-16 4Sc Ag Nove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lphonylpyrroles as HDAC inhibi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474A1 (en) * 2005-03-15 2006-09-21 Nycomed Gmbh N-sulphonylpyrroles and their use as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0010014A (es) 2011-04-05
US8557858B2 (en) 2013-10-15
IL207994A0 (en) 2010-12-30
JP2011513466A (ja) 2011-04-28
EA201001269A1 (ru) 2011-06-30
AU2009224710B2 (en) 2013-05-02
CA2719071C (en) 2016-07-12
CA2719071A1 (en) 2009-09-17
CN101970411A (zh) 2011-02-09
CN103360371A (zh) 2013-10-23
HK1208219A1 (en) 2016-02-26
US20110086897A1 (en) 2011-04-14
UA106351C2 (en) 2014-08-26
IL207994A (en) 2015-10-29
HK1256310A1 (zh) 2019-09-20
HK1186736A1 (en) 2014-04-17
BRPI0908917A2 (pt) 2021-04-13
WO2009112522A1 (en) 2009-09-17
EP2262775A1 (en) 2010-12-22
NZ587823A (en) 2012-05-25
CN103360371B (zh) 2015-03-25
ZA201006523B (en) 2011-09-28
CN108101890A (zh) 2018-06-01
CN110183425A (zh) 2019-08-30
EP2100882A1 (en) 2009-09-16
EA017533B1 (ru) 2013-01-30
JP2014132027A (ja) 2014-07-17
CN104803988A (zh) 2015-07-29
JP5952328B2 (ja) 2016-07-13
KR101657718B1 (ko) 2016-09-19
AU2009224710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718B1 (ko) (e)-n-(2-아미노-페닐)-3-{1-[4-(1-메틸-1h-피라졸-4-일)-벤젠술포닐]-1h-피롤-3-일}-아크릴아미드 염
US8575193B2 (en) N-substituted tetrahydroisoquinoline/isoindoline hydroxamic acid compounds
CN101268070B (zh) 作为hdac抑制剂的磺酰基吡咯
US7666868B2 (en) N-sulphonylpyrroles and their use as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7842820B2 (en) Sulfonylpyrroles
TWI382971B (zh) 新穎磺醯基吡咯
JP5054671B2 (ja) 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スルホニルピロール
MX2008003626A (en) Sulphonylpyrrole hydrochloride salts as histone deacetylases inhibitors
MXPA06009894A (en) Sulphonylpyrroles as hdac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