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813A -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 Google Patents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813A
KR20100131813A KR1020090050600A KR20090050600A KR20100131813A KR 20100131813 A KR20100131813 A KR 20100131813A KR 1020090050600 A KR1020090050600 A KR 1020090050600A KR 20090050600 A KR20090050600 A KR 20090050600A KR 20100131813 A KR20100131813 A KR 2010013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bracket
disc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덕
이은
Original Assignee
이광덕
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덕, 이은 filed Critical 이광덕
Priority to KR102009005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813A/ko
Publication of KR2010013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9Using levers for transmitting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레일(10)과;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과;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과; 'T'자형 프레임(40)과; 수평프레임(50)과;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70)과; 'L'자형 손잡이(80)와; 턱받이 지지프레임(90)과; 턱받이(100)와; 브레이크수단(110)과; 쇼버로드(121a)를 구비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유압실린더(122)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20) 및;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되어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질환 환자의 재활에 유익한 디스크 재활 운동이나 운동선수 들의 목 근육 강화 운동을 간단한 기구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기존의 각종 의자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질환 환자의 재활용 운동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운동선수들의 목 근육 강화 운동 등 사용자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어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디스크 질환 환자나 운동선수 들이 사용하기에 용이하면서도 디스크 재활 운동효율이 높고, 장기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디스크, 재활운동, 의자, 등받이. 턱받이.

Description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A chair for disc rehabilitation exercise}
본 발명은 재활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재활 운동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 데 쓰는 기구로서 보통 뒤에 등받이가 있고 종류도 다양하다. 최근에 이러한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 그 고유의 기능에 운동 등 각종 다양한 기능을 구비시켜 의자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되어 개시된 의자 들은 발운동이나, 허리운동,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좌판이나 등받이를 진동시켜 안마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의자 들이 개발되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자의 예로서 "운동용 의자"가 특허공개 제10-2005-0022334호로서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운동용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의자에 있어서, 하면에 너트가 삽입, 체결되도록 한 시트와, 2개의 베어링을 결합, 형성하고, 2개의 회전축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너 트공에 체결되고, 타측의 회전축은 받침다리부에 체결되도록 한 베어링으로 형성된 시트부(A)와; 상부에 상기 베어링의 타측 회전축이 삽입, 체결되도록 하고, 하부는 받침다리부 상단에 삽입되도록 한 연결대(1)와, 상기 연결대(1)를 삽입, 체결하도록 한 연결대 삽입구(2)와, 등받이부가 삽입되도록 한 통공(3)과, 등받이부를 고정시키도록 한 등받이부 고정구(4)를 형성한 받침다리부(B)와; 착석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한 등받이 시트(5)와, 상기 등받이 시트(5)를 고정,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6)와, 상기 지지대(6)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받침다리부(B)의 통공(3)에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7)와, 스프링(8)에 의해 수축, 신장되도록 한 다리 운동구(9)를 형성한 등받이부(C)로 구성되어 의자의 시트부에 2개가 연결된 베어링을 결합하여, 시트부가 편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하고, 여가 시간에 시트부를 좌우 편심으로 넓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 운동뿐만 아니라, 복부와 다리 등의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의자는 허리 운동만을 할 수 있을뿐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환자에 있어서 디스크질환을 재활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개발된 의자 들은 발운동이나, 허리운동,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나,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환자에 있어서 디스크질환을 재활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의자는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재활 운동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특허출원 제10-2008-0126025호로 출원한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08-0126025호는 목을 상하로 이완시키는 것만으로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재활 운동을 하는 것이나, 목의 상하 운동과 더불어 좌우 회전운동으로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운동기능을 구비한 의자들에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질환 환자의 재활에 유익한 운동이 될 수 있도록 목을 상하 및 좌우로 움직여 주어 디스크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각종 의자에 간편하게 채용할 수 있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어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한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를 목적은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질환 환자의 재활용 운동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운동선수 들의 목 근육 강화 운동 등 사용 자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 질환 환자나 운동선수 들이 사용하기에 용이하면서도 디스크 재활 운동효율이 높고, 장기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는 좌판(11)과 등받이(12) 및 전후 슬라이딩 다리부(13)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12)의 프레임에 상하로 용접 고정된 상하레일(10)과; 상기 상하레일(1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과;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 내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상단이 고정되는 'T'자형 프레임(40)과; 상기 'T'자형 프레임(4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프레임(5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전방 일측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원판(6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71)의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원판(60)의 전면에서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원판(70)과; 상기 회전원판(70)의 상부 좌우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이 삽입고정되는 지지브라켓(82) 및 상기 고정브라켓(81)을 삽입하여 유동하는 유동부레켓(83)을 통해 설치되는 'L'자형 손잡이(80)와;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턱받이 지지프레임(90)과;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전방 선단에 스크루바(101)를 통해 설치되는 턱받이(100)와; 상기 회전원판(70)의 좌우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수 단(110)과;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의 상부 후면에 연결되어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일정한 압력을 주면서 움직이게 하는 쇼버로드(121a)를 구비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유압실린더(122)를 구비하여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엑츄에이터(120) 및; 상기 등받이(12)의 경사를 조정하는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질환 환자의 재활에 유익한 디스크 재활 운동이나 운동선수 들의 목 근육 강화 운동을 간단한 기구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기존의 각종 의자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질환 환자의 재활용 운동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운동선수들의 목 근육 강화 운동 등 사용자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어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디스크 질환 환자나 운동선수 들이 사용하기에 용이하면서도 디스크 재활 운동효율이 높고, 장기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는 좌판(11)과 등받이(12) 및 전후 슬라이딩 다리부(13)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12)의 프레임에 상하로 용접 고정된 상하레일(10)과; 상기 상하레일(1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과;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 내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상단이 고정되는 수평관체(40)과; 상기 수평관체(4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프레임(5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전방 일측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원판(6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71)의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원판(60)의 전면에서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원판(70)과; 상기 회전원판(70)의 상부 좌우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이 삽입고정되는 지지브라켓(82) 및 상기 고정브라켓(81)을 삽입하여 유동하는 유동부레켓(83)을 통해 설치되는 'L'자형 손잡이(80)와;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턱받이 지지프레임(90)과;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전방 선단에 스크루바(101)를 통해 설치되는 턱받이(100)와; 상기 회전원판(70)의 좌우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수단(110)과;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의 상부 후면에 연결되어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일정한 압력을 주면서 움직이게 하는 쇼버로드(121a)를 구비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유압실린더(122)를 구비하여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엑츄에이터(120) 및; 상기 등받이(12)의 경사를 조정하는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레일(10)은 철판의 양단측을 2회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사각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등받이(12)의 프레임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은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21)의 하단부 양측 및 중앙부 양측에 롤러(22)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후면에는 쇼버(121)가 체결되어 쇼버(121)하단에 실린더로드(122)를 고정시키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쇼버(121) 상부에는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 고정용 볼트(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은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으로서, 상부에는 높이조절용 관통공(31)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관체(40)는 사각의 수평관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에 슬라이딩 고정수단(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고정수단(41)은 캡부(41a)와 캡부(41a)에 연결된 핀(41b)으로 이루어져 핀(41b)이 수평프레임(5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51)에 삽입되어 수평프레임(50)의 전후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50)은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대로서, 전후로 가면서 일측면에 통공(51)이 형성되고, 전방 일측 선단에는 고정원판(60) 용접으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회전원판(70)의 회전축(71)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고정원판(60)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브레이크수단(110)을 설치용 'L'자형 브라켓(111)의 일단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L'자형 브라켓(111) 아래의 고정원판(60)의 후면 상부에는 원통관(61)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원통관(61) 내에는 일단이 브레이크 케이블(112)에 연결된 스톱퍼(113)가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70)은 중앙부에 회전축(71)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회전축(71)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 상부 좌우에는 고정브라켓(81)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양 고정브라켓(81)과 중앙부 사이에는 스톱퍼 삽입홈(72)이 형성되고, 지지브라켓(82)의 일측 상하 판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81)이 끼워져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지지브라켓(82)의 타측 상하 판 사이에는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동부라켓(83)의 일측 상하 판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82)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중심부와 유동부레켓(83)의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동부레켓(83)의 타측 단부 사이에 일측 단부가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브라켓(84)의 타측 상하 판 사이에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단부측이 삽입되어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라켓(83)의 상판 단부측 코너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체(83a)가 형성되어 원통체(83a)에 스프링(83b)이 삽입된 채로 스프링(83b) 하부와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상판 사이에 유동볼(83c)가 삽입되도록 지지브라켓(82)의 상판과 유동부라켓(83)의 하판이 밀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82) 상에서 슬라이딩 유동되는 유동부라켓(83)의 유동이 지지브라켓(82)의 상판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볼홈(82a)에 상기 유동볼(83c)이 삽입되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원판(70)의 좌우회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70)에 중량물을 설치하거나,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을 운동선수들이 목 근육 강화용으로 사용시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고정원판(60)과 회전 원판(70)의 후면 방사상 외주연에 눈금을 형성함과 더불어 도시하지 않은 통상적인 별도의 좌우회전량 검출장치와 모니터를 채용하여 모니터 상에 회전원판(70)의 좌우 회전량을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해 회전원판(70)의 회전량을 보면서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양측 'L'자형 손잡이(80) 중 어느 하나에는 L'자형 브라켓(111)과 브레이크 케이블(112), 스톱퍼(113) 및 브레이크 레버(114)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수단(110)의 브레이크 레버(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단부에는 볼트공(90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90a)에 턱받이 나선부와 비나선부로 이루어진 조절볼트(100a)의 나선부가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100a)의 비나선부는 상기 턱받이(100)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대(100b)에 삽입되며, 상기 조절볼트(100a)의 나선부와 비나선부 사이에는 원판상 조절핸들(100c)이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니어 엑츄에이터(120)는 스크류 타입으로서,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의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21) 상부 후면에 체결된 쇼버로드(121a)를 구비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쇼버(121)하단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22)에 고정되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 엑츄에이터(120)는 유압실린더로서,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의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21) 상부 후면에 선단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실린더로드(121)와 상기 실린더로드(121)가 삽입되는 유압실린더(1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엑츄에이터(120) 대신에 자키를 설치하여 수동으로 제 1 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11)과 접하는 등받이(12)의 하단부에는 전후방으로 후방으로 등받이(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를 사용하여 디스크 재활 운동을 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사용자는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높이 조절은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을 상향으로 잡아 당기면,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이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높이가 적절하게 되면, 고정용 볼트(23)를 조여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높이를 고정하면 된다.
또한 수평프레임(50)을 수평관체(40)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시켜 고정원판(60)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는데 이 때이는 슬라이딩 고정수단(41)의 캡부(41a)를 손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수평프레임(50)을 전방으로 잡아 당기거나 후방으로 밀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잡아 당기던 캡부(41a)를 놓아 캡부(41a)에 연결된 핀이 수평프레임(5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51)에 삽입되어 수평프레임(50)의 전후 위치가 고정된다.
그 다음에 양측 'L'자형 손잡이(80)를 잡고 양측 'L'자형 손잡이(80)의 간격을 좁히면, 유동부라켓(83)이 지지브라켓(82)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양측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간격이 좁혀져 볼홈(82a)에 상기 유동볼(83c)이 삽입되면, 양측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좁혀짐이 정지되어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턱받이(100)가 턱의 양측을 받쳐주게 된다.
이때 턱받이(100)의 위치가 턱을 정확하게 받쳐주지 못하게 되면, 사용자는 원판상 조절핸들(100c)을 회전시켜 고정대(100b)에 삽입된 조절볼트(100a)를 조절하여 턱받이(100)가 턱을 정확하게 받쳐 주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리니어 엑츄에이터(1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원판(70)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리니어 엑츄에이터(120)로부터 실린더로드(122)가 인출되면서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일정범위 내에서 상승시킴으로써 턱받이(100)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턱받이(100)가 사용자의 턱을 위로 당기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목을 위로 잡아 당기게 되고, 다시 쇼버(121)가 일정한 압력으로 반복 동작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목을 위로 잡아 당기고 놓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목과 척추의 디스크 재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등받이(12)의 경사각이 디스크 재활 운동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는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130)을 작동시켜 등받이(12)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리니어 엑츄에이터(120)를 작동시켜 디스크 재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과 함께 사용자는 브레이크 레버(114)를 잡으면, 브레이크 케이 블(112)이 당겨져 브레이크 케이블(112)에 연결된 스톱퍼(113)가 후진하게 됨으로써 회전원판(70)의 스톱퍼 삽입홈(72)에서 스톱퍼(113)가 빠져나가 회전원판(70)이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측 'L'자형 손잡이(80)를 잡고(일측은 브레이크 레버(114)와 함께 잡고) 양측 'L'자형 손잡이(8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턱받이(100)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작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목을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목의 상하 운동과 좌우 회전운동은 필요에 따라 각각을 단독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함께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모니터를 통해 운동상태 즉,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회전원판(70)의 좌우 회전량을 보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운동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의 요부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하레일 11 : 좌판
12 : 등받이 13 : 다리부
20 : 제 1상하 이동프레임 21 : 프레임
22 : 롤러 23 : 고정용 볼트
30 : 제 2상하 이동프레임 31 : 관통공
40 : 수평관체 41 : 슬라이딩 고정수단
41a : 캡부 41b : 핀
50 : 수평프레임 51 : 통공
60 : 고정원판 61 : 원통관
70 : 회전원판 71 : 회전축
72 : 스톱퍼 삽입홈 80 : 'L'자형 손잡이
81 : 고정브라켓 82 : 지지브라켓
82a : 볼홈 83 : 유동부레켓
83a : 원통체 83b : 스프링
83c : 유동볼 84 : 회전브라켓
90 : 턱받이 지지프레임 90a : 볼트공
100 : 턱받이 100a : 조절볼트
100b : 고정대 100c : 조절핸들
110 : 브레이크수단 111 : 'L'자형 브라켓
112 : 브레이크 케이블 113 : 스톱퍼
120 : 리니어 엑츄에이터 121 : 실린더로드
122 : 유압실린더 130 :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

Claims (10)

  1. 좌판(11)과 등받이(12) 및 전후 슬라이딩 다리부(13)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12)의 프레임에 상하로 용접 고정된 상하레일(10)과; 상기 상하레일(1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과;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 내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의 상단이 고정되는 수평관체(40)와; 상기 수평관체(4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프레임(5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전방 일측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원판(6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71)의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원판(60)의 전면에서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원판(70)과; 상기 회전원판(70)의 상부 좌우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이 삽입고정되는 지지브라켓(82) 및 상기 고정브라켓(81)을 삽입하여 유동하는 유동부레켓(83)을 통해 설치되는 'L'자형 손잡이(80)와;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턱받이 지지프레임(90)과;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전방 선단에 스크루바(101)를 통해 설치되는 턱받이(100)와; 상기 회전원판(70)의 좌우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수단(110)과;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의 상부 후면에 연결되어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일정한 압력을 주면서 움직이게 하는 쇼버로드(121a)를 구비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유압실린더(122)를 구비하여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엑츄에이터(120) 및; 상기 등받이(12)의 경사를 조정 하는 등받이 경사 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은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21)의 하단부 양측 및 중앙부 양측에 롤러(22)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후면에는 쇼버(121)가 체결되어 쇼버(121)하단에 실린더로드(122)를 고정시키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쇼버(121) 상부에는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 고정용 볼트(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상하 이동프레임(30)은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으로서, 상부에는 높이조절용 관통공(31)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T'자형 프레임(40)은 사각의 수직관과 수평관으로 이루어져 수직관과 수평관 각각에는 다수의 볼트공(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50)은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대로서, 전후로 가면서 일측면에 통공(51)이 형성되고, 전방 일측 선단에는 고정원판(60) 용접으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회전원판(70)의 회전축(71)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판(60)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브레이크수 단(110)을 설치용 'L'자형 브라켓(111)의 일단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L'자형 브라켓(111) 아래의 고정원판(60)의 후면 상부에는 원통관(61)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원통관(61) 내에는 일단이 브레이크 케이블(112)에 연결된 스톱퍼(113)가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70)은 중앙부에 회전축(71)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회전축(71)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 상부 좌우에는 고정브라켓(81)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양 고정브라켓(81)과 중앙부 사이에는 스톱퍼 삽입홈(72)이 형성되고, 지지브라켓(82)의 일측 상하 판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81)이 끼워져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지지브라켓(82)의 타측 상하 판 사이에는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동부라켓(83)의 일측 상하 판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82)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중심부와 유동부레켓(83)의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동부레켓(83)의 타측 단부 사이에 일측 단부가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브라켓(84)의 타측 상하 판 사이에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단부측이 삽입되어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라켓(83)의 상판 단부측 코너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체(83a)가 형성되어 원통체(83a)에 스프링(83b)이 삽입된 채로 스프링(83b) 하부와 상기 지지브라켓(82)의 상판 사이에 유동볼(83c)가 삽입되도록 지지브라켓(82)의 상판과 유동부라켓(83)의 하판이 밀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82) 상에서 슬라이딩 유동되는 유동부라켓(83)의 유동이 지지브라켓(82)의 상판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볼홈(82a)에 상기 유동볼(83c)이 삽입되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70)의 좌우회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70)에 중량물 또는 탄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70)의 후면 방사상 외주연에 눈금이 형성됨과 더불어 좌우회전량 검출장치와 모니터가 구비되어 모니터 상에 회전원판(70)의 좌우 회전량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해 회전원판(70)의 회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L'자형 손잡이(80) 중 어느 하나에는 L'자형 브라켓(111)과 브레이크 케이블(112), 스톱퍼(113) 및 브레이크 레버(114)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수단(110)의 브레이크 레버(11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이 지지프레임(90)의 단부에는 볼트공(90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90a)에 턱받이 나선부와 비나선부로 이루어진 조절볼트(100a)의 나선부가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100a)의 비나선부는 상기 턱받이(100)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대(100b)에 삽입되며, 상기 조절볼트(100a)의 나선부와 비나선부 사이에는 원판상 조절핸들(100c)이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엑츄에이터(120)는 스크류 타입으로서, 상기 제 1상하 이동프레임(20)의 사각 기둥상의 프레임(21) 상부 후면에 체결된 쇼버로드(121a)를 구비한 압력 조절용 쇼버(121)와 쇼버(121)하단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22)에 고정되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KR1020090050600A 2009-06-08 2009-06-08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KR20100131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00A KR20100131813A (ko) 2009-06-08 2009-06-08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00A KR20100131813A (ko) 2009-06-08 2009-06-08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13A true KR20100131813A (ko) 2010-12-16

Family

ID=4350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00A KR20100131813A (ko) 2009-06-08 2009-06-08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8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60B1 (ko) * 2012-01-02 2013-11-01 정운용 체중 분산용 의자
KR101506278B1 (ko) * 2013-10-31 2015-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목 근육 운동기구
KR102409224B1 (ko) * 2022-01-13 2022-06-15 주식회사 코헬스코 듀얼 자세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60B1 (ko) * 2012-01-02 2013-11-01 정운용 체중 분산용 의자
KR101506278B1 (ko) * 2013-10-31 2015-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목 근육 운동기구
KR102409224B1 (ko) * 2022-01-13 2022-06-15 주식회사 코헬스코 듀얼 자세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024B2 (en) Office, work and leisure chair and retrofit kit for a chair or a seat surface for causing subliminal movements of the person sitting thereon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CN104428040B (zh) 下肢健身器
US9585478B1 (en) Adjustable seating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JP2012523287A (ja) スライド式腹部エクササイズ装置
CN208018027U (zh) 一种脚踝康复训练装置
KR20100131813A (ko)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CN208465087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康复训练器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CN211752341U (zh) 用于马步平衡性训练的教具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CN209090467U (zh) 一种沙发椅
KR101026876B1 (ko) 디스크 재활 운동용 의자
CN202398036U (zh) 一种多功能运动车
CN204182081U (zh) 多功能健身器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110613917A (zh) 组合式收腹踏步机
CN204319650U (zh) 一种仰卧起坐机
JP6535940B2 (ja) 運動補助器具
CN214209314U (zh) 健美操力量训练装置
CN214971547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