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799A -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799A
KR20100131799A KR1020090050576A KR20090050576A KR20100131799A KR 20100131799 A KR20100131799 A KR 20100131799A KR 1020090050576 A KR1020090050576 A KR 1020090050576A KR 20090050576 A KR20090050576 A KR 20090050576A KR 20100131799 A KR20100131799 A KR 2010013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rm
fixing bar
link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133B1 (ko
Inventor
황정웅
Original Assignee
황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웅 filed Critical 황정웅
Priority to KR102009005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05F11/24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shifting the wing by pivotally-connected members (moving) in a plane parallel to the pivot axis of the wing
    • E05F11/30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shifting the wing by pivotally-connected members (moving) in a plane parallel to the pivot axis of the wing consisting of links in rhomb-form no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등에 구비된 창문을 창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해 주는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제1고정바와 제1링크아암의 사이를 구동아암으로 연결하되, 상기 구동아암이 제1링크아암에 의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아암의 일측단부는 제1링크아암에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되고, 구동아암의 타측단부는 제1고정바를 따라 상,하 수직의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조절수단에 의해서 제1고정바에 대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하중용 창에 반드시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기본적인 구조에 가동단의 지지점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지지력의 향상 및 창문의 개폐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창문의 크기 및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와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창문의 개폐력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력, 분산, 집중, 제1,2고정바, 제1,2링크아암, 구동아암, 힌지리벳, 슬라이더, 장공, 고정단, 가동단

Description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Window arm assembly}
본 발명은 빌딩 등에 구비된 창문을 창틀에 대하여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해 주는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하중용 창에 반드시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기본적인 구조에 가동단의 지지점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창문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창문의 개폐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면서, 또한 창문의 크기와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와,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창문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에는 자연채광을 위해 적절한 창(window)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창에는 실내의 환기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는 창문이 함께 설치된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hinge)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아암 조립체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아암형으로 대별된다. 이중, 아암형 창문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D)의 양측이 아암 조 립체(A)에 의해 창(W)의 창틀(F)에 피봇(pivot) 지지되어 그 한쪽 변을 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범위내에서만 회전 개방되는 창문이다.
이에 따라 아암형 창문은 실내환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면서 빗물 유입방지와 추락방지 및 외관향상 등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어, 주로 빌딩의 커튼월 창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아암형 창문에 사용되는 아암 조립체는, 아암을 통해 창문에 힌지 연결된 슬라이드바(slide bar)가 창틀에 구비되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창문의 개폐를 허용하는 슬라이드 방식과, 복수개의 링크(link)에 의해 창문을 창틀에 직접 연결한 링크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슬라이드 방식은 창문이 설정된 개방각도까지 완전 개방되는데 반해, 링크 방식은 창문을 허용 개방각도 내에서 원하는 임의의 각도만큼만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어 최근 링크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도 2a 및 도 2b에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회전 개폐되는 창문의 측면도 및 힌지 작동부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것은 창틀(F)에 스크류(screw:7)로 체결되는 판상의 제1고정바(fixing bar:1)와, 창문(D)에 스크류(7)로 체결되는 제2고정바(2) 및 양단이 제1,2고정바(1)(2)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2링크아암(3)(4)을 구비하여 창문의 전체적인 회전 힌지점이 하측에 위치하여 주로 실내측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창문을 창틀에 연결 고정시키는 부재인 상기 제1링크아암(3)은 제1고정바(1) 의 상단과 제2고정바(2)의 중간에 플라스틱 와셔(5)를 개재하여 힌지리벳(hinge rivet:6a)으로 체결되고, 제2링크아암(4)은 제1링크아암(3)보다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제1고정바(1)의 중간하부와 제2고정바(2)의 하단에 플라스틱 와셔(5)를 개재하여 힌지리벳(6b)으로 체결되어, 창틀(F)에 고정된 제1고정바(1)의 상하 2개의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힌지점에 의하여 창문(D)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문(D)을 당기면 제1,2링크아암(3)(4)이 제1고정바(1)에 대해 힌지리벳(6a,6b)을 통하여 창문의 전체적인 힌지점인 하측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창문(D)이 열리게 되고, 이후 제2링크아암(4)이 제1고정바(1)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1a)에 걸려 멈춤으로써 일정 각도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창문(D)을 완전히 열지 않고 그 개방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위치까지만 열어도 제1,2링크아암(3)(4)이 갖는 역학적 작동구조와 플라스틱 와셔(5)의 마찰력에 의해 창문(D)은 해당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리벳(6a,6b)들에 의해 제1,2고정바(1)(2) 및 제1,2링크아암(3)(4)의 4개의 바(bar)가 서로 연결된 링크 구조를 통상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라고 불리우며, 4개의 바(bar)들이 연결되는 각각의 힌지점들이 모두 고정단으로 구성되고, 창틀의 좌우 양측에서 상하측 2개소의 위치에서 창문을 지지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주로 창문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하중용 창에 적용된다.
한편, 창문의 크기가 큰 중하중용 창에는 창틀에 고정되는 창문의 지지력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바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가 적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길이가 긴 제1,2고정바(21)(22)의 사이에 제1,2,3링크아암(23)(24)(25)의 각각의 양단이 플라스틱 와셔(미도시됨)가 개재된 힌지점들이 모두 고정단으로 구성되어 힌지리벳(26a,26b,26c)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서, 창틀(F)의 좌우 양측에 고정된 제1고정바(21)의 상중하 3개소의 위치에서 창문(D)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에 비해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지지력을 높여주기는 하나, 크기가 비교적 큰 크기로 제작됨으로써 제작원가가 더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나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모두 고정바에 다수의 링크아암이 힌지리벳의 고정단들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힌지리벳에 개재된 플라스틱 와셔에 의한 마찰력으로 창문을 지지하는 단순 링크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고정단들로 연결 조립되는 링크 연결구조로서 링크상에 작용하는 힘이 정해질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조립 고정 작업이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창문개폐 시 개폐력이 모두 고정단으로 직접 전달되는 형태로 창문을 열고 닫을 때 부드럽지 못하고 뻑뻑해 큰 힘이 요구됨으로써 창문 개폐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을 초래함은 물론, 힘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창문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기본적인 구조에 일측단이 고정단이며, 타측단이 가동단의 기능을 하는 구동아암의 구성을 구비하여 창틀에서 가동단의 힌지점이 추가됨으로써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지지력을 높여 주면서, 아울러 창문의 개폐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하중용 창에 반드시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창문의 크기 및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와,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창문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한 형태는, 창틀 및 창문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제1,2고정바가 구비되고, 제1고정바의 상단과 제2고정바의 중간에 제1링크아암의 양단이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아암보다 짧은 길이로 제2링크아암의 양단이 제1고정바의 중간하부와 제2고정바의 하단에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와 제1링크아 암의 사이를 구동아암으로 연결하되, 상기 구동아암이 제1링크아암에 의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아암의 일측단부는 제1링크아암에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되고, 구동아암의 타측단부는 제1고정바를 따라 상,하 수직의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조절수단에 의해서 제1고정바에 대한 마찰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의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구조에 창틀에 창문을 지지하는 힌지점이 추가되게 일단이 고정단이고 타단이 가동단으로 구성되는 구동아암 및 슬라이더에 의한 역학적인 링크 작동구조에 의해서 상기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와 같이 힌지점 3개에 의하여 창틀에 지지됨으로써 큰 지지력을 갖게 되고, 아울러 가동단에 의한 창문의 개폐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또한 구동조절수단에 의하여 창문의 크기 및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와,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창문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의하면, 4개의 바와 마찰력을 결정하는 플라스틱 와셔가 개재된 4개의 힌지점의 고정단으로만 구성된 기존의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구조에 창틀에 장착된 제1고정바에 가동단의 힌지점이 추가되어 창틀에 창문을 지지하는 지지점이 3개인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5개의 바와 플라스틱 와셔가 개재된 6개의 힌지점의 고정단으로 구성된 비교적 크기가 큰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지력을 높혀서 중하중용 창에 적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는 일단이 고정단이고 타단이 가동단으로 구성되는 구동아암 및 슬라이더에 의한 역학적인 링크 작동구조에 의해 창문의 개폐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고정바에 대한 슬라이더의 마찰 구동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창문 크기 및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와,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창문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약자들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창문 개폐 사용의 편의성 및 조립작업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상기 4개의 바(bar), 즉 상기 제1,2고정바(1)(2) 및 제1,2링크아암(3)(4)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와 같이 내식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제로 제작되어지며, 상기 플라스틱 와셔는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제로 제작되어진다.
이러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구성에 추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 바(1)의 중간에 수직의 장공(9)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9)에 슬라이더(1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10)와 제1링크아암(3)의 사이에 일단이 고정단이고, 타단이 가동단의 기능을 하는 구동아암(15)이 연결된다.
상기 구동아암(15)의 양단부는 힌지리벳(6c)에 의해 슬라이더(10)의 상부측과 제1링크아암(3)의 중간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10)쪽의 힌지리벳(6c)은 플라스틱 패드(미도시됨)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제1링크아암(3)쪽의 힌지리벳(6c)은 미도시된 통상의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구조에 창문을 고정시켜 주는 창틀에서의 힌지점이 가동단으로 이루어진 구동아암의 구성을 추가로구비하여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써,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창문의 지지력을 높혀 중하중용 창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의 개폐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바(1)에 대한 슬라이더(10)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더(10)는 제1고정바(1)의 배면에서 장공(9)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몸체(11)와, 상기 슬라이더 몸체(11)에 힌지리벳(6c) 및 나사(14)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편(12)과, 상기 슬라이더 몸체(11)와 지지편(12)의 사이에 개재되는 플라스틱 패드(13)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몸체(11)는 스테인리스와 같이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 이한 금속제로 형성되어 중간에 제1고정바(1)의 장공(9)의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삽입돌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111)의 양측에 걸림턱(1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삽입돌부(111)의 상,하부에 힌지리벳(6c)과 나사(14)가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는 리벳홀(111a)과 나사공(111b)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12)과 플라스틱 패드(13)는 제1고정바(1)의 장공(9)보다 다소 큰 폭의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편(12)의 상,하부에는 삽입돌부(111)의 리벳홀(111a)과 나사공(111b)에 대응하는 체결공(121) 및 고정공(122)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패드(13)의 상,하부에는 지지편(12)의 체결공(121) 및 고정공(122)을 통하여 삽입되는 힌지리벳(6c) 및 나사(14)가 관통할 수 있는 상,하부 관통홀(131)(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패드(13)는 통상의 플라스틱 와셔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2)은 제1,2고정바(1)(2) 및 제1,2링크아암(3)(4)과 같은 재질, 즉 스테인리스와 같이 내식성이 우수하고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더(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몸체(11)의 삽입돌부(111)를 제1고정바(1)의 배면에서 장공(9)에 삽입한 후, 제1고정바(1)의 전면부에 플라스틱 패드(13)와 지지편(12)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플라스틱 패드(13)의 상,하부 관통홀(131)(132)과 지지편(12)의 체결공(121) 및 고정공(122)이 삽입돌부(111)의 리벳홀(111a) 및 나사공(111b)과 일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편(12)의 체결공(121)과 플라스틱 패드(13)의 상부 관통홀(131) 및 삽입돌부(111)의 리벳홀(111a)을 통하여 힌지리벳(6c)이 삽입되어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편(12) 위에 위치하는 구동아암(15)의 단부가 함께 체결되어 장공(9)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편(12)의 고정공(122)과 플라스틱 패드(13)의 하부 관통홀(132) 및 삽입돌부(111)의 나사공(111b)을 통하여 나사(14)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14)에 조임력에 따라 제1고정바(1)의 배면과 전면부에 대한 슬라이더 몸체(11)의 걸림턱(112)과 플라스틱 패드(13)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나사(14)를 조이게 되면, 이 조임력에 의해서 제1고정바(1)에 대한 슬라이더 몸체(11)의 걸림턱(112) 및 플라스틱 패드(13)와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슬라이더(10)의 마찰력이 커져 창틀(F)과 창문(D)에 연결 고정되는 구동아암(15)의 가동단의 지지력을 높이게 하는 반면, 나사(14)를 풀게 되는 경우에는 조임력이 약해져 제1고정바(1)에 대한 슬라이더 몸체(11)의 걸림턱(112) 및 플라스틱 패드(13)의 밀착력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0)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구동아암(15)의 가동단의 지지력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바(2)가 체결된 창문(D)을 개방시키게 되면, 제1고정바(1)의 상하측에 힌지리벳(6a,6b)들에 의해 고정된 제1,2링크아암(3)(4)은 힌지리벳(6a,6b)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되고, 제1고정바(1)의 장공(9)에 삽입된 슬라이더(10)는 제1링크아암(3)에 힌지리벳(6c)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아암(15)의 가동단의 이동에 의해서 장공(9)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가 창틀쪽으로 꺾여 창문이 닫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제2고정바(2)가 체결된 창문(D)을 닫게 되면, 제1,2링크아암(3)(4)은 힌지리벳(6a,6b)에 의해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되고, 제1고정바(1)의 장공(9)에 삽입된 슬라이더(10)는 구동아암(15)의 가동단에 의해서 장공(9)의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동단인 힌지리벳(6c)이 일측에 형성된 구동아암(15)과 슬라이더(10)에 의한 창문의 개폐작동은 링크의 역학적 작동구조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아암(15)과 슬라이더(10)는 창문(D)을 열고 닫을 때 작용하는 힘을 제1링크아암(3)에 분산시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guide)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통상의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구동아암(15) 및 슬라이더(10)와 같이 제1링크아암(3)을 제1고정바(1)에 대하여 지지해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창문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력이 고정단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창문을 개폐할 때 가해지는 힘이 제1링크아암(3)을 통하여 제1고정바(1)의 상단부 힌지리벳(6a)에 집중됨으로써 많은 힘이 들어가고 개폐작동이 뻑뻑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형 아암 조립체는 창문을 개폐할 때 창문을 지지하고 있는 제1링크아암(3)의 지지력을 제1고정바(1)의 상단부 고정단인 힌지리벳(6a)과, 가동단이 일측에 구비된 구동아암(15) 및 슬라이더(10)가 힌지리벳(6c)을 통하여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가해지는 힘이 적더라도 구동아암(15)의 가동단인 힌지리벳(6c)을 통하여 창문(D)과 창틀(F) 사이에 연결고정되어진 제1고정바(1)의 힌지리벳(6a)에 전달됨으로써 창문을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시 슬라이더(10)의 나사(14)를 이용해 창문크기에 따른 하중 변화와 실질적으로 창문을 직접 개폐하는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더(10)의 마찰력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창문을 창틀에 가설하여 임시고정한 후, 창문의 지지력을 알맞게 셋팅시킨 후 고정시키거나, 또는 설치후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에 따라 그에 알맞게 나사(14)를 풀거나 조여줌으로써 제1고정바(1)에 대한 슬라이더(10)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창문 개폐시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그에 알맞게 나사(14)를 풀거나 조여줌으로써 제1고정바(1)에 대한 슬라이더(10)의 마찰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노약자라도 손쉽게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는 창문의 전체적인 힌지점이 하측에 위치하여 창문이 실내측으로 회전 개폐되는 구조로 도시 설명하였으나, 창문을 외부로 열어 젖히는 경우에는 창문의 힌지점이 상측에 위치하여 실외측으로 회전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가 실내측에 위치한 배열 상태에서 180°로 회전된 상태로 배열되어 창문과 창틀 사이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실외측으로 창문을 회전 개폐시키는 구조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구조에 창틀상에 지지되는 힌지점을 추가 구비함으로써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와 같이 큰 지지력을 갖게 되어 중하중용 창에 적용이 가능하고, 가동단이 일측에 형성된 구동아암 및 슬라이더에 의한 역학적인 링크 작동구조에 의해서 창문의 개폐를 부드럽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창문의 크기 및 창문에 작용하는 지지력의 변화와, 사용자의 힘의 크기에 따라 알맞게 창문의 개폐력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빌딩용 창문의 일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개방상태의 정면도와 힌지부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종래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방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슬라이더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제1,2고정바 3,4: 제1,2링크아암
5: 플라스틱 와셔 6a,6b,6c: 힌지리벳
7: 스크류 8: 합성수지제 받침대
9: 장공 10: 슬라이더
11: 슬라이더 몸체 12: 지지편
13: 플라스틱 패드 14: 나사
15: 구동아암 111a: 리벳홀
111b: 나사공 121: 체결공
122: 고정공 131: 상부 관통홀
132: 하부 관통홀 W: 창
F: 창틀 D: 창문

Claims (4)

  1. 창틀 및 창문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제1,2고정바가 구비되고, 제1고정바의 상단과 제2고정바의 중간에 제1링크아암의 양단이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아암보다 짧은 길이로 제2링크아암의 양단이 제1고정바의 중간하부와 제2고정바의 하단에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와 제1링크아암의 사이를 구동아암으로 연결하되, 상기 구동아암이 제1링크아암에 의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아암의 일측단부는 제1링크아암에 플라스틱 와셔를 개재하여 힌지리벳으로 연결되고, 구동아암의 타측단부는 제1고정바를 따라 상,하 수직의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조절수단에 의해서 제1고정바에 대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의 중간에 수직의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구동아암의 타측단부를 힌지리벳의 가동단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제1고정바의 배면에서 장공에 삽입되는 삽 입돌부의 양측에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 몸체와, 상기 제1고정바의 전면부에 적층 구비되어 구동아암과 함께 힌지리벳에 의해 슬라이더 몸체의 삽입돌부에 체결되는 플라스틱 패드 및 지지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절수단은 제1고정바의 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지지편과 플라스틱 패드 및 슬라이더 몸체의 삽입돌부를 나사로 상호 결합시켜 상기 나사의 조임력에 따라 제1고정바에 대한 삽입돌부의 걸림턱 및 플라스틱 패드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KR1020090050576A 2009-06-08 2009-06-08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KR10107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576A KR101074133B1 (ko) 2009-06-08 2009-06-08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576A KR101074133B1 (ko) 2009-06-08 2009-06-08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99A true KR20100131799A (ko) 2010-12-16
KR101074133B1 KR101074133B1 (ko) 2011-10-17

Family

ID=4350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576A KR101074133B1 (ko) 2009-06-08 2009-06-08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609B1 (ko) * 2011-06-03 2013-06-28 황정웅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GB2503536A (en) * 2012-03-29 2014-01-01 Cotswold Architect Prod Parallel hin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153B1 (ko) 2019-11-19 2020-05-26 황상필 창호용 멀티 핸들의 슬라이드 락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94Y1 (ko) 2003-07-15 2003-11-03 이판대 창문 스테이
KR100733821B1 (ko) * 2006-07-31 2007-07-02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호 지지링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609B1 (ko) * 2011-06-03 2013-06-28 황정웅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GB2503536A (en) * 2012-03-29 2014-01-01 Cotswold Architect Prod Parallel hinge
GB2503536B (en) * 2012-03-29 2017-01-18 Cotswold Arch Products Ltd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133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355B1 (en) Disappearing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ith wing and swivel wing opening
EP1362973B1 (en) Egress hinge
US20090178770A1 (en) Actuating system and folding panel assembly
WO2017147984A1 (zh) 一种推拉平开门窗扇承重滑轮五金结构
KR101074133B1 (ko)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KR20200101131A (ko)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EP1612356B1 (en)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US7059084B2 (en) Garage door opener
US20210207434A1 (en) Foldable door
JP5516944B2 (ja) 折れ戸の支持構造およびこの支持構造に用いられる戸尻側パネル上部支持金具
US6578320B1 (en) Sliding door closer
EP1656489B1 (en) An improved pivot window with check means
KR200428777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US5179803A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roof window
WO2020199082A1 (zh) 淋浴门
RU2317390C2 (ru) Регулируемый шарнир
KR20080057566A (ko) 도어용 경첩
JP2009257034A (ja) 隠し丁番
KR101280609B1 (ko)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KR200142689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KR100371358B1 (ko) 이중마루의 다공판넬용 댐퍼 조절장치
BR102018005667B1 (pt) Dispositivo-guia ajustável para um elemento deslizante
KR102664810B1 (ko) 스윙도어용 피봇힌지 고정장치
ITMI20081325A1 (it) Dispositivo di blocco dell&#39;anta di un infisso
CN208184485U (zh) 一种隔声静音门窗用合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