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689Y1 -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689Y1
KR200142689Y1 KR2019970003819U KR19970003819U KR200142689Y1 KR 200142689 Y1 KR200142689 Y1 KR 200142689Y1 KR 2019970003819 U KR2019970003819 U KR 2019970003819U KR 19970003819 U KR19970003819 U KR 19970003819U KR 200142689 Y1 KR200142689 Y1 KR 200142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witch
fixed
bolt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837U (ko
Inventor
지상철
Original Assignee
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철 filed Critical 지상철
Priority to KR2019970003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6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슬라이딩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측창을 완전히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개폐기에 가해지는 편중된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개폐기 구동시 개폐기의 구동축과 동일 방향으로 부하가 작용되지 않고 비닐 또는 부직포의 말림정도에 따라 약간 측면으로 틀어진 상태로 편중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지지파이프가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개폐기의 측면에 슬라이딩 파이프의 선단을 끼워 고정나사로 고정시킨 브라켓트를 볼트로 고정시키되 브라켓트에 형성된 볼트 구멍을 타원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개폐기에 고정된 브라켓트가 타원형의 볼트구멍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편중된 부하방향으로 약간 틀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슬라이딩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측창을 완전히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개폐기에 가해지는 편중된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브라켓트는 본 출원인이 국내에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96-28877호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천창 또는 측창비닐을 개폐시키는 구동축(2)을 정, 역회전시키도록 하는 개폐기(3)의 측면에 볼트구멍(5)을 형성시킨 후 상기 볼트구멍(5)에 지지파이프(7)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브라켓트(6)를 볼트(8)로 개폐기(3)의 볼트구멍(5)에 결합시키되 상기 브라켓트(6)에 끼워진 지지파이프(7)가 모터(1)와 같은 방향을 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폐기(3)의 일측에는 모터(1)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모터(1)구동을 단속하는 리미트장치(4)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7)는 브라켓트(6)에 끼워져 유동될 수 있게 하고 브라켓트(6)는 개폐기(3)의 측면길이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길게 형성시키며 브라켓트(6)에 끼워지는 지지파이프(7)는 하나의 파이프로 제작하되 지지파이프(7)의 일측은 회동가능하게 고정구(10)로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1)를 구동시켜 천창 또는 측창을 개폐시킬 경우 실용신안출원 제 96-28877호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3)는 비닐의 감김이나 풀림동작에 따라 비닐하우스(11)를 따라 상, 하 이동되어지며 이때 지지파이프(7)는 브라켓트(6)에 끼워진 상태로 유동되어진다.
그러나 상기된 방식은 개폐기(3)의 이동시 구동축(2)에 연결된 회동봉에서 원하는 대로 비닐 또는 부직포 등이 밀려지는 경우 별문제가 없으나 비닐 하우스의 길이가 길어 비닐 또는 부직포가 편중되어 말려지는 경우 지지파이프(7)가 브라켓트(6)내부로 부드럽게 유동되지 못하게 된다.
즉 개폐기(3)이동시 지지파이프(7)와 브라켓트(6)는 수평상태를 이루어야 부드러운이동이 가능하나 개폐기(3)에 편중된 힘이 작용할 경우 개폐기(3)가 좌 또는 우측으로 약간 틀어지게 되며 개폐기(3)가 일측으로 틀어지게 되면 브라켓트(6)의 선단과 지지파이프(7)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브라켓트(6)의 선단이 지지파이프(7)를 누르는 경우가 발생되어 개폐기(3)이동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같이 개폐기(3)이동시 지지파이프(7)가 브라켓트(6)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지 않으면 모터(1)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지지파이프(7)가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개폐기(3)구동시 개폐기(3)의 구동축(2)과 동일 방향으로 부하가 작용되지 않고 비닐 또는 부직포의 말림정도에 따라 약간 측면으로 틀어진 상태로 편중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으로써 개폐기(3)를 편중된 힘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틀어준 상태에서 이동시키지 않는한 상기된 문제점의 발생은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개폐기의 측면에 취부된 브라켓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약간씩 좌, 우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개폐기 이동시 편중된 힘이 발생할 경우 개폐기를 그 방향으로 약간 틀어준 상태에서 비닐 또는 부직포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에 무리를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폐기의 측면에 슬라이딩 파이프의 선단을 끼워 고정나사로 고정시킨 브라켓트를 볼트로 고정시키되 브라켓트에 형성된 볼트 구멍을 타원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브라켓트는 개폐기에 고정시킨 경우 타원형의 볼트구멍에 의해 좌, 우로 약간 틀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 브라켓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기존 브라켓트가 고정된 개폐기의 구동상태도
도 3은 기존 브라켓트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브라켓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브라켓트가 고정된 개폐기의 구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브라켓트의 유도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7은 본 고안 브라켓트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구동축
3 : 개폐기 5 : 볼트구멍
6 : 브라켓트 7 : 지지 파이프
8 : 볼트 20 : 브라켓트
21 : 슬라이딩 파이프 22 : 볼트구멍
본 고안은 모터(1)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구동축(2)을 회전시키는 개폐기(3)에 이어서, 개폐기(3)의 측면에 볼트구멍(5)을 형성시킨 후 상기 볼트 구멍(5)에 슬라이딩 파이프(21)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브라켓트(20)를 볼트(8)로 고정시키되 브라켓트(20)에서 볼트(8)가 끼워지는 볼트구멍(22)은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고 브라켓트(20)에 끼워진 슬라이딩 파이프(21)는 브라켓트(20)와 고정나사(23)로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그리고 브라켓트(20)에 끼워진 슬라이딩 파이프(21)는 굵기가 다른 2개의 파이프를 준비하여 하나의 파이프가 다른 파이프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브라켓트(20)는 개폐기(3)에 볼트(8)로 고정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좌, 우 유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브라켓트(20)를 이용하여 개폐기(3)를 설치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슬라이딩 파이프(21)를 끼워 고정나사(23)로 고정시킨 브라켓트(20)를 개폐기(3)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구멍(5)에 볼트(8)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브라켓트(20)의 볼트구멍(22)을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고 볼트(8)로 브라켓트(20)가 유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슬라이딩 파이프(21)의 타측은 회동가능하게 고정구(10)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볼트(8)는 볼트구멍(5)에 단단히 결합시키되 볼트(8)머리로 브라켓트(20)를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하면 브라켓트(20)는 개폐기(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원형의 볼트구멍(22)에 의해 좌, 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트(20)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파이프(21)는 모터(1)와 같은 방향을 향하게 브라켓트(20)을 고정시키되 모터(1)는 슬라이딩 파이프(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개폐기(3)는 도 5와 같이 설치되며 이 경우 개폐기(3)를 지면 위치로 이동시킬 때 개폐기(3)의 측면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모터(1)길이만큼 측창이 닿히지 않는 문제점이 없어지며 슬라이딩 파이프(21)는 브라켓트(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기(3)가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딩 파이프(21)의 길이를 가변시켜가며 개폐기(3)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개폐기(3)가 사용되는 비닐하우스는 그 길이가 길어 비닐 또는 부직포를 말을때 편중된 힘이 발생될 수 밖에 없고 이는 구동축(2)을 통하여 개폐기(3)에 전달되어 개폐기(3)를 도 6의 점선표시와 같이 유동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경우 타원형의 볼트구멍(22) 때문에 개폐기(3)가 편중된 힘이 발생된 방향으로 유동되게 되며 개폐기(3)를 유동시킨 상태에 작동시키면 모터(1)에 무리가 가지 않고 특히 슬라이딩 파이프(21)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그러나 편중된 힘 발생시 개폐기(3)가 유동되지 않은 상태에 작동하면 모터(1)가 과부하를 받는 한편 슬라이딩 파이프(21)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개폐기의 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를 개폐기에 고정된 상태에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브라켓트에 길이가변형 슬라이딩 파이프를 고정시킴으로써 개폐기에 편중됨 힘이 가해진 경우 브라켓트를 유동시켜 개폐기가 편중된 힘이 발생된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에 작용하도록 하여 개폐기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을 분산시켜 개폐기 사용에 무리를 없애게 된다.

Claims (1)

  1. 모터(1)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구동축(2)을 회전시키는 개폐기(3)에서, 개폐기(3)의 측면에 슬라이딩 파이프(21)를 끼워 고정나사(23)로 고정시킨 브라켓트(20)를 볼트(8)로 고정시키되 상기 브라켓트(20)의 볼트구멍(22)은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고 브라켓트(20)는 볼트(8)와 완전 밀착되지 않게 개폐기(3)에 고정시켜 브라켓트(20)가 볼트구멍(22)에 의해 좌, 우 유동되게 구성한 비닐 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KR2019970003819U 1997-03-03 1997-03-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KR200142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819U KR200142689Y1 (ko) 1997-03-03 1997-03-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819U KR200142689Y1 (ko) 1997-03-03 1997-03-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837U KR19980059837U (ko) 1998-11-05
KR200142689Y1 true KR200142689Y1 (ko) 1999-06-01

Family

ID=1949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819U KR200142689Y1 (ko) 1997-03-03 1997-03-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6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845A (ko) * 2002-04-18 2003-10-23 전라남도 일축형 보온터널 자동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822B1 (ko) * 2007-11-22 2010-10-12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피복 개폐기를 이용한 복동식 비닐하우스용 피복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845A (ko) * 2002-04-18 2003-10-23 전라남도 일축형 보온터널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837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2689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KR102015902B1 (ko)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930002107Y1 (ko) 전동식 커튼 개폐장치
ES2072078T3 (es) Mecanismo de apertura para puertas de avion.
KR200331770Y1 (ko)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20100131799A (ko)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KR960004034Y1 (ko) 온실 및 건축물의 자동 개폐장치
KR200321450Y1 (ko)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
JP2558597B2 (ja) 折り戸装置
KR19980015633U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JP3642302B2 (ja) 電動門扉装置
KR200142183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장치
KR200367551Y1 (ko) 하우스용 개폐기 브라켓
KR200370407Y1 (ko) 하우스용 개폐기의 지지장치
KR200142687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조절장치
JPH0443577Y2 (ko)
KR200277943Y1 (ko) 개폐기 고정 브라켓
CN219101157U (zh) 窗户启闭机构
JPH0510129Y2 (ko)
KR0130159Y1 (ko) 비닐하우스의 수동 측창 개폐기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AU2003248440B2 (en) Barrier Operating Device
CN220869120U (zh) 一种可调式转动连接装置
KR200214106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KR950008293Y1 (ko) 비닐하우스 내부의 비닐지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