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555A -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555A
KR20100131555A KR1020090050204A KR20090050204A KR20100131555A KR 20100131555 A KR20100131555 A KR 20100131555A KR 1020090050204 A KR1020090050204 A KR 1020090050204A KR 20090050204 A KR20090050204 A KR 20090050204A KR 20100131555 A KR20100131555 A KR 2010013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wheel
frame
shaf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겸
Original Assignee
김용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겸 filed Critical 김용겸
Priority to KR102009005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555A/ko
Publication of KR2010013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12Tand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5Recumbent-type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영역에 구비되는 전륜과, 상기 전륜의 조향방향을 조절하며 전후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조향부 및 전방시트를 포함하는 전방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영역에 구비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의 일측에 전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후방회동부 및 후방시트를 포함하는 후방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륜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두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노젓기 방식으로 자전거를 함께 시승하여 주행할 수 있다.
탠덤형, 2인승, 노젓기식, 노젓는 자전거, 리컴번트형 자전거, 자전거

Description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TANDOM STYLE ROWING BICYCLE}
본 발명은 노젓기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2인이 함께 주행할 수 있는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페달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다. 최근 자전거는 이동수단의 목적보다 운동과 레저활동을 위한 목적으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운동의 목적을 위해 한국특허출원 2001-0009043호와 한국특허출원 2005-00414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노를 젓듯이 손잡이를 당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노젓기식 자전거도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개시된 노젓기식 자전거는 한 사람만 탈 수 있는 제한이 있었다. 즉, 연인 또는 가족이 함께 주행하며 운동 및 여가시간을 함께 할 수 없는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노젓기 방식으로 두 사람이 함께 주행할 수 있는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영역에 구비되는 전륜과, 상기 전륜의 조향방향을 조절하며 전후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조향부 및 전방시트를 포함하는 전방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영역에 구비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의 일측에 전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후방회동부 및 후방시트를 포함하는 후방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륜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방부측에 결합된 전방페달의 전후 이동 또는 상기 전방페달의 회전 및 상기 조향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전방구동부와; 상기 후방부측에 결합된 후방페달의 전후 이동 또는 상기 후방페달의 회전 및 상기 후방회동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후방구동부와; 상기 전방구동부와 상기 후방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후륜으로 전달하여 후륜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연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페달과 상기 후방페달은 전후 이동 또는 회전 구동을 위해 착탈가능하게 결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시트와 상기 후방시트는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킬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는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노젓기 방식으로 자전거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텐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텐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전방영역에 구비되는 전륜(210)과 전방시트(250)를 포함하는 전방부(200)와, 프레임(100)의 후방영역에 구비되는 후륜(310)과 후방시트(350)를 포함하는 후방부(300)와, 구동력을 발생시켜 후륜(310)으로 전달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200)와 후방부(300)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두명의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을 맞대로 주행하는 상태가 된다. 후방부(300)에 관해서는 전방부(200)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함을 미리 밝힌다.
프레임(100)은 전방부(200)와 후방부(300) 및 구동부(400)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주행이 일어나도록 한다. 프레임(10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전방페달(411)과 후방페달(431)을 각각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페달부(413)와 후방페달부(433)가 결합된다.
전방부(200)는 프레임(10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전륜(210)과, 전륜(210)을 프레임(100)과 조향부(240)에 결합시키는 전륜지지프레임(220)과, 전륜지지프레임(220)에 결합되어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240)와, 조향부(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전방시트(250)를 포함한다.
전륜(210)은 후륜(310)의 회전에 의해 종동적으로 회전한다. 전륜(210)은 일반적인 바퀴가 사용된다. 전륜지지프레임(220)은 전륜(210)과 프레임(100) 및 조향부(24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전륜(2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조향부(240)의 조향방향이 전달되도록 한다. 전륜지지프레임(220)의 상부영역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부(240)의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하부영역과 접촉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수직회동봉(241)을 좌우로 회동시켜 조향방향을 변경할 경우 전륜지지프레임(220)이 이를 전륜(210)으로 직접 전달하게 된다.
조향부(240)는 프레임(100)에 전후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조향방향을 입력받는다. 조향부(2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대해 전후로 회동되게 구비된 전방수직회동봉(241)과, 전방수직회동봉(241)의 전후이동을 지지하는 회동봉지지레버(242)와, 전방수직회동봉(241)의 전륜회동축(243)과, 전방수직회동봉(241)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주행방향을 변경하는 전방손잡이부(245)와, 전방수직회동봉(241)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전방수직회동봉(241)을 지지하는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247)를 포함한다.
전방수직회동봉(241)은 프레임(100)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된다. 회동봉지지레버(242)는 전륜회동축(243)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전륜회동축(243)은 유니버셜조인트(미도시)의 가로축에 동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전방수직회동봉(241)은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가 조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하부영역은 전륜지지프레임(220)과 유니버셜조인트(미도시)로 결합되어 전방손잡이부(245)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향방향을 전륜(210)으로 전달한다.
회동봉지지레버(242)는 내부에 전방수직회동봉(241)을 수용하고,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247)와 결합되어 전방수직회동봉(241)이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전방손잡이부(245)는 전방수직회동봉(241)의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손잡이부(245)에는 브레이크레버(245a)와 변속레버(245b)가 구비된다.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247)는 전방수직회동봉(241)을 프레임(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전방구동부(410)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전방회동봉지 지링크부(247)는 전방레버축(417) 상에 결합되는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와, 일단부는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동봉지지레버(242)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동봉결합링크(249)를 포함한다.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와 회동봉결합링크(249)는 상호 결합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6과 도7은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회동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247)는 전방수직회동봉(241)이 회동되면 회동봉결합링크(249)가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회동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고, 전방수직회동봉(241)의 이동에 연동하여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가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회동방향으로 전방레버축(417) 상을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의 전방레버축(417) 결합영역에는 클러치베어링(248a)이 구비된다. 클러치베어링(248a)은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가 회동봉지지레버(242)의 가압에 의해 회동될 때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즉, 전방수직회동봉(241)이 뒤쪽으로 회동할 때는 동력을 전달하고 앞쪽으로 회동할 때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247)는 두 개의 링크가 상호 조합되어 전방수직회동봉(241)을 지지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링크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전방시트(250)는 조향부(24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전방시트(250)는 전방페달(411) 및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회동에 의한 구동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착석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300)는 전방부(200)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뿐 전체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후방부(300)는 전륜(210) 또는 후륜(310)으로 조향을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후방수직회동봉(341)은 전후로 이동만 할 뿐 조향을 전달하지는 않는다. 즉, 후방수직회동봉(341)은 후방회동축(343)에 의해 프레임(100)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뿐 후륜(310)과 결합관계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후륜(310)의 후륜지지축(321) 상에는 후륜체인(427)이 결합되는 후륜체인기어(323)가 구비된다. 후륜체인기어(323)는 후륜체인(427)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추진력을 발생하게 된다.
구동부(40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후륜(310)에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0)는 전방부(200) 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방구동부(410)와, 후방부(300) 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후방구동부(430)와, 전방구동부(410) 또는 후방구동부(43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후륜(310)으로 전달하는 연동구동부(420)를 포함한다.
전방구동부(4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페달(411)과, 전방페달(411)이 전후 이동되도록 프레임(100)에 지지하는 전방페달부(413)와, 전방페달(411)이 결합되는 전방페달축(415)과,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247)의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가 결합되는 전방레버축(417)을 포함한다.
전방페달부(413)는 전방페달(411)이 전후로 이동되거나, 전방페달축(41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전방페달(411)을 지지한다. 전방페달부(413)는 상호 결합된 제1링크(413a), 제2링크(413b), 제3링크(413c)와, 제3링크(413c)와 프레임(100) 사이에 결합되어 전방페달부(413)를 탄성복귀시키는 탄성부재(413d)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페달(411)은 전방페달부(4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페달(411)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가압될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413a)의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1페달결합축(413e)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전후이동 구동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413b)와 제3링크(413c)의 결합영역에 형성된 제2페달결합축(413f)에 결합된다.
제1페달결합축(413e)과 제2페달결합축(413f)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전방페달(411)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전방페달(411)이 제1페달결합축(413e)에 결합될 경우 노젓기식 자전거가 아닌 일반자전거의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제1링크(413a), 제2링크(413b), 제3링크(413c) 및 탄성부재(413d)는 전방페달(411)이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좌우 한 쌍의 제3링크(413c)는 링크결합축(414)에 의해 결합되어 함께 동작한다. 제1링크(413a)와, 제2링크(413b) 및 제3링크(413c)는 세 개의 링크의 회동반경과 궤적을 고려하여 전방페달(411)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제1링크(413a)와 제2링크(413b) 및 제3링크(413c)의 길이와 이들의 결합각도와 결합위치 등은 전방페달(411)이 직선 상을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링크(413a)의 구동축결합영역에는 클러치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구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탄성부재(413d)는 일단부은 제3링크(413c)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탄성부재(413d)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방페달(411)이 도4에 도시된 초기상태로부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동되면 길이가 신장되고 사용자의 가압이 멈추면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전방페달(411)이 초기위치로 돌아오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리에 힘을 덜 들이고도 전방페달(411)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방페달축(415)은 제1페달결합축(413e)에 전방페달(411)이 결합되고 사용자가 전방페달(411)을 회전가압할 경우 회동된다. 즉, 일반자전거와 같이 전방페달(411)이 회전구동될 때 사용된다. 전방페달축(415) 상에는 전방페달기어(415a)와 레버종동기어(415b)가 구비된다. 전방페달기어(415a)는 전방페달체인(416)과 결합되어 전방부(200)의 구동력을 연동구동부(420)로 전달한다. 레버종동기어(415b)는 전방레버축(417)의 레버구동기어(417a)와 맞물려 전방수직회동봉(241)의 회동을 전방페달축(415)으로 전달한다.
연동구동부(420)는 전방구동부(410)와 후방구동부(430)의 구동력을 후륜(310)으로 전달한다. 연동구동부(420)는 프레임(100)의 중심영역 쯤에 마련된다. 연동구동부(420)는 연동축(421)과, 연동축(421) 상에 구비되어 전방페달체인(416)과 후방페달체인(436)과 결합되는 종동기어(423)와, 종동기어(423)의 회전을 후륜체인(427)에 의해 후륜(310)으로 전달하는 연동기어(425)를 포함한다.
후방구동부(430)는 전방구동부(410)와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후방구 동부(430)는 전방구동부(410)와 구동력 전달 방향이 반대가 되어야 하므로 전방구동부(410)와 비교할 때 페달축과 레버축의 위치가 상호 반대가 된다. 즉, 도2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레버축(435)과 후방페달축(437)의 위치가 전방레버축(417)과 전방페달축(415)의 위치와 상호 반대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후방레버축(435)의 회동방향이 반전되어 연동구동부(420)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의 동작과정을 도4 내지 도8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시트(250)와 후방시트(350)에 각각 착석하고, 손은 전방손잡이부(245)와 후방손잡이부(345)에 위치시키고, 발은 전방페달(411)과 후방페달(431)에 위치시킨다. 도8에서 전방페달(411)은 제2페달결합축(413f)에 결합되어 직선이동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후방페달(431)은 후방제1페달결합축(433e)에 결합되어 일반자전거와 같이 크랭크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페달(411)과 후방페달(431)을 프레임(100)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링크(413a), 제2링크(413b) 및 제3링크(413c)의 위치가 변화된다. 제1링크(413a)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제1링크(413a)가 결합된 전방페달축(415)과 후방페달축(437)이 회동하게 된다.
전방페달축(415)과 후방페달축(437)이 회동하면 각각의 페달축(415,437)에 결합된 전방페달기어(415a)와 후방페달기어(437a)가 회동하며 전방페달체인(416)과 후방페달체인(436)이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페달체인(416)과 후방페달체 인(436)에 결합된 연동구동부(420)의 종동기어(423)가 회동한다. 종동기어(423)의 회동에 따라 종동기어(423)가 결합된 연동축(421)과 연동기어(425)가 회동하게 된다. 연동기어(425)의 회동에 따라 후륜체인(427)이 이동하고 후륜체인기어(323)가 회동하면서 후륜(310)에 추진력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6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수직회동봉(241)과 후방수직회동봉(341)이 전후로 이동할 경우 레버구동축결합링크(248, 348)가 결합된 전방레버축(417)과 후방레버축(435)이 회동하게 된다. 전방레버축(417)과 후방레버축(435)이 회동할 경우 레버구동기어(417a)와 레버체인기어(435a)가 각각 회동한다. 레버구동기어(417a)의 회동은 종동기어(423)에 의해 전방페달축(415)으로 전달되고, 전방페달기어(415a)와 전방페달체인(416)의 회전으로 이어진다. 레버체인기어(435a)의 회동은 후방페달체인(436)의 회전으로 이어진다. 전방페달체인(416)과 후방페달체인(436)의 회전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동구동부(420)의 연동기어(425)의 회전에 의해 후륜(310)에 추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는 두 사람이 동시에 시승하여 페달의 전후이동, 수직회동봉의 전후이동 및 페달의 회전 중 어느 하나의 구동방법을 선택하여 주행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도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2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가 전방부(200)와 후방부(3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반면 변형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2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20)는 후방구동부가 반전될 필요가 없으므로 전방구동부(410)와 후방구동부(430)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3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10)는 전방시트(250)와 후방시트(350)가 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30)는 전방시트(260)와 후방시트(360)가 시트지지대(27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지지대(270)는 전방시트지지링크부(280)과 후방시트지지링크부(38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시트지지링크부(280,380)은 구동축결합링크(281,381)와, 시트결합링크(283,383) 및 프레임결합링크(285,385)의 복수의 링크의 유기적 결합에 의해 동작한다. 이들 복수의 링크는 시트지지대(270)가 직선상을 이동하도록 상호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30)는 구동부(500)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게 구비된다.
구동부(500)는 전방수직회동봉(241)과 구동축결합링크(281)가 결합되는 전방레버시트구동축(510)과, 전방레버시트구동축(510) 상에 결합된 구동기어(520)와, 전방레버시트구동축(510)의 하부영역에 구비된 제1구동축(530)과, 제1구동축(530) 상에 구비되어 구동기어(5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540)와, 제2구동축(530) 상에 구비되며 후방레버시트기어(580)와 함께 연동체인(585)에 결합되는 연동기 어(550)와, 후륜체인(590)이 결합되는 체인기어(560)과, 후방레버시트구동축(570)과, 후방레버시트구동축(570) 상에 구비된 후방레버시트기어(580)와, 연동체인(585) 및 후륜체인(590)을 포함한다.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30)는 사용자가 두 명의 사용자가 시트(260,360)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해야 구동된다. 시트지지대(270)가 전후로 이동하면 전방레버시트구동축(510)과 후방레버시트구동축(570)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종동기어(540)가 회전하며 제1구동축(530)이 회동한다. 따라서, 연동기어(550)가 회전하므로 후륜체인(590)이 회전하여 후륜(310)에 추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는 시트가 전후로 이동되므로 함께 시승한 사용자가 상호 협동하여 주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와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페달 직선이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과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수직회동봉의 전후이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탠덤형 노젖기식 자전거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의 변형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젓기식 자전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100 : 프레임
200 : 전방부 210 : 전륜
220 : 전륜지지프레임 240 : 조향부
241 : 전방수직회동봉 242 : 회동봉지지레버
243 : 전방회동축 245 : 전방손잡이부
247 : 전방회동봉지지링크부 248 : 레버구동축결합링크
248a : 클러치베어링 249 : 회동봉결합링크
250 : 전방시트 280 : 전방시트지지링크
281 : 구동축결합링크 283 : 시트결합링크
285 : 프레임결합링크 300 : 후방부
310 : 후륜 320 : 후륜지지프레임
321 : 후륜지지축 323 : 후륜체인기어
340 : 후방회동봉 341 : 후방수직회동봉
343 : 후방회동축 345 : 후방손잡이부
347 : 후방회동봉지지링크부 348 : 레버구동축결합링크
349 : 회동봉결합링크 380 : 후방시트지지링크
381 : 구동축결합링크 383 : 시트결합링크
385 : 프레임결합링크 400 : 구동부
410 : 전방구동부 411 : 전방페달
413 : 전방페달부 413a : 제1링크
413b : 제2링크 413c : 제3링크
413d : 탄성부재 413e : 제1페달결합축
413f : 제2페달결합축 414 : 링크결합축
415 : 전방페달축 415a : 전방페달기어
415b : 레버종동기어 416 : 전방페달체인
417 : 전방레버축 417a : 레버구동기어
420 : 연동구동부 421 : 연동축
423 : 종동기어 425 : 연동기어
427 : 후륜체인 430 : 후방구동부
431 : 후방페달 433 : 후방페달부
433a : 제1링크 433b : 제2링크
433c : 제3링크 433d : 탄성부재
433e : 후방제1페달결합축 433f : 후방제2페달결합축
434 : 링크결합축 435 : 후방레버축
435a : 레버체인기어 435b : 후방페달종동기어
436 : 후방페달체인 437 : 후방페달축
437a : 후방페달기어 500 : 구동부
510 : 전방레버시트구동축 520 : 구동기어
530 : 제1구동축 540 : 종동기어
550 : 연동기어 560 : 체인기어
570 : 후방레버시트구동축 580 : 후방레버시트기어
585 : 연동체인 590 : 후륜체인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영역에 구비되는 전륜과, 상기 전륜의 조향방향을 조절하며 전후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조향부 및 전방시트를 포함하는 전방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영역에 구비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의 일측에 전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후방회동부 및 후방시트를 포함하는 후방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륜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방부측에 결합된 전방페달의 전후 이동 또는 상기 전방페달의 회전 및 상기 조향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전방구동부와;
    상기 후방부측에 결합된 후방페달의 전후 이동 또는 상기 후방페달의 회전 및 상기 후방회동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후방구동부와;
    상기 전방구동부와 상기 후방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후륜으로 전달하여 후륜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연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페달과 상기 후방페달은 전후 이동 또는 회전 구동을 위해 착탈가 능하게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시트와 상기 후방시트는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는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KR1020090050204A 2009-06-08 2009-06-08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KR20100131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04A KR20100131555A (ko) 2009-06-08 2009-06-08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04A KR20100131555A (ko) 2009-06-08 2009-06-08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555A true KR20100131555A (ko) 2010-12-16

Family

ID=4350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204A KR20100131555A (ko) 2009-06-08 2009-06-08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5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775A (ko) * 2019-12-12 2021-06-22 김지용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775A (ko) * 2019-12-12 2021-06-22 김지용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TWI574879B (zh) bicycle
US8448969B2 (en) Exercise vehicle with rod steering system
GB2481230A (en) Arm powered cycle
US6578861B2 (en) Reciprocating type driving mechanism
KR100941319B1 (ko)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노젓기식 자전거
KR100919591B1 (ko) 복합 자전거
KR100942912B1 (ko)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KR20100131555A (ko)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KR101005981B1 (ko) 핸들부를 앞뒤로 왕복시키는 동작으로 전륜을 구동하는 자전거
JP4995999B1 (ja) 三輪型車椅子
KR20100126607A (ko) 조향에 따라 틸팅되는 복합 삼륜자전거
KR20100020407A (ko) 자전거용 이중구동장치
KR101449346B1 (ko) 회전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것
US1141364A (en) Bicycle propulsion.
KR100968689B1 (ko) 인력 구동형 동력전달장치
KR102389166B1 (ko) 자전거용 하이브리드 페달 장치
KR101485761B1 (ko)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JP5955565B2 (ja) 自転車
KR20120092516A (ko) 전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
JP2024007910A (ja) 車両の駆動機構
CA2303239C (en) A bicycle driven by pedal rotation and reciprocating seat post movement
KR101237553B1 (ko) 핸들바를 앞뒤로 왕복시키는 동작으로 전륜을 구동하는 킥보드
JP3144223U (ja) 後輪駆動式ペダル立ち漕ぎ自転車
JP2024007884A (ja) 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