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404A - 4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4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404A
KR20100131404A KR1020100114439A KR20100114439A KR20100131404A KR 20100131404 A KR20100131404 A KR 20100131404A KR 1020100114439 A KR1020100114439 A KR 1020100114439A KR 20100114439 A KR20100114439 A KR 20100114439A KR 20100131404 A KR20100131404 A KR 20100131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missive
semi
light
translu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450B1 (ko
Inventor
미치아키 사노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4Absorbers, e.g. of opaque materials
    • G03F1/58Absorbers, e.g. of opaque materi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absorber layers, e.g. stacked multilayer absor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4Absorbers, e.g. of opaqu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9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 G03F7/2063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for the production of exposure masks or re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따르면, 투광성 기판상에,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각각 에칭 내성(耐性)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반투광막과 차광막이 순차 성막되고, 상기 차광막 상에 상기 차광막과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될 수 있는 재료로 바람직하게 만들어진 제2 반투광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의 에칭에 대한 에칭 내성이 있는 각각의 막과 에칭 내성이 없는 각각의 막의 조합에 의해, 4계조 포토마스크가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감소된 묘화 회수를 가지고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4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 사용 방법{FOUR-GRADATION PHOTOMASK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이하, LCD라고 함)의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TFT라고 함)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4 계조(階調)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포토마스크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광투과율(light transmittance)이 3단계 이상인 다단계(multi-gradation)로 변화하는 다계조 포토마스크가, 예컨대 일본 특개평 9-14625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함)에 개시되어 있다. 이 다계조 포토마스크는 광학소자의 굴절면이나 반사면을 형성할 때 사용된다.
특허문헌 1 기재의 다계조 포토마스크는,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우선, 투광성 기판상에 형성된 금속화합물 등의 막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막을 노광/묘화(exposure/writing)하고 현상하여, 제1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1 레지스트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금속화합물 등의 막을 에칭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화합물 등의 막 상에 재차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막을 노광/묘화하고 현상하여, 제2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2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금속화합물 등의 막을 재차 에칭한다. 상술한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과 금속화합물 등의 막의 에칭을 소정 회수 반복하는 것으로, 다계조의 포토마스크가 얻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다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에서는, 금속화합물 등의 막을 에칭하는 회수와, 이러한 에칭 가공용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묘화의 회수가 동일 회수이기 때문에, 노광/묘화 회수가 증대한다. 예컨대, 광투과율을 4단계로 변화시키는 4계조의 포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노광/묘화를 3회 실시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4계조 포토마스크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보다 적은 묘화회수로 제조할 수 있는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양태(樣態))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차광(遮光)부, 투광(透光)부 및 서로 다른 광투과율을 갖는 제1 및 제2 반투광(半透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투광성 기판상에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각각 에칭 내성(耐性)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반투광막과 차광막이 순차 성막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차광막 상에 제1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1 반투광막을 에칭하고, 또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剝離)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투광성 기판 및 상기 차광막 상에 제2 반투광막을 성막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반투광막 상에 제2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제2 반투광막 및 상기 차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투광부, 상기 차광부, 상기 제1 반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제2 양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차광부, 투광부 및 서로 다른 광투과율의 제1 반투광부와 제2 반투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투광성 기판상에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각각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반투광막와 차광막이 순차 성막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차광막 상에, 제1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차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고, 이어서 상기 차광막을 마스크로 상기 제1 반투광막을 에칭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투광성 기판 및 상기 차광막 상에 제2 반투광막을 성막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반투광막 상에, 제2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진다. 또,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제2 반투광막 및 상기 차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투광부, 상기 차광부, 상기 제1 반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투광막은, 차광막과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양태)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광막이,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막 및 상기 제2 반투광막이 각각 크롬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양태)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르는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포토마스크 블랭크로서, 차광성 기판상에 함께 적층된 제1 반투광막과 차광막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막(patterned film)과, 상기 패턴닝된 막 상에 성막된 제2 반투광막을 가지는 것이다.
(제6 양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차광부, 투광부 및 서로 다른 광투과율의 제1 반투광부와 제2 반투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투광성 기판상에, 제1 반투광막, 제2 반투광막 및 차광막이 순차 성막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투광막 및 차광막은, 상기 제2 반투광막의 재료의 에칭에 대하여 양자 모두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이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차광막 상에, 제1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차광막을 에칭한 후에, 상기 제2 반투광막을 에칭하고, 이어서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방법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지는 제2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차광막 및 상기 제1 반투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투광부, 상기 차광부, 상기 제1 반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제7 양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차광부, 투광부, 및 서로 다른 광투과율을 가지는 제1 반투광부와 제2 반투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투광성 기판상에, 제1 반투광막, 제2 반투광막 및 차광막이 순차 성막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투광막 및 차광막은, 상기 제2 반투광막의 재료의 에칭에 대하여 양자 모두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이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차광막 상에, 제1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차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고, 이어서, 상기 차광막을 마스크로 상기 제2 반투광막을 에칭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지는 제2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차광막 및 상기 제1 반투광막을 에칭한 후, 상기 제2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투광부, 상기 차광부, 상기 제1 반투광부 및 상기 제2 반투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제8 양태)
제6 양태 또는 제7 양태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광막과 상기 차광막이 동일한 에칭제에 의해 에칭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9 양태)
제8 양태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투광막이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투광막 및 상기 차광막이 각각 크롬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 양태)
제6, 제7 또는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포토마스크 블랭크로서, 투광성 기판상에, 제1 반투광막, 제2 반투광막 및 차광막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양태에 따르면, 투광성 기판상에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각각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반투광막과 차광막이 순차 성막되고, 이 차광막 상에 바람직하게는 차광막과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반투광막이 성막된다. 따라서, 서로 에칭 내성이 있는 막과 에칭 내성이 없는 막의 조합에 의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묘화 회수를 저감하여 4계조 포토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9 양태에 따르면, 투광성 기판상에, 제1 반투광막, 제2 반투광막 및 차광막이 순차 성막된다. 상기 제1 반투광막과 차광막이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한편, 상기 제1 반투광막 및 차광막의 재료의 에칭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2 반투광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에칭 내성이 있는 막과 에칭 내성이 없는 막과의 조합에 의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묘화 회수를 저감하여 4계조 포토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4계조 포토마스크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보다 적은 묘화회수로 제조할 수 있는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 도 1I는, 본 발명에 관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중, 특히 제1 실시예에 의한 4계조 그레이톤(gray-tone)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는, 각각 도 1A ~ 도 1I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의 평면도, 측단면도로서, 특히 도 2B는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를 피전사체와 함께 나타낸다.
도 3A ~ 도 3G는, 본 발명에 관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중, 특히 제2 실시예에 의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각각 도 3A ~ 도 3G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의 평면도, 측단면도로서, 특히 도 4B는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를 피전사체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에 관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 방법 중, 특히 제1 실시예에 의한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는 각각 도 1A 내지 도 1I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의 평면도, 측단면도이다.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그레이톤 마스크(10)는,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나 컬러필터,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며, 피전사체(11)상에, 막두께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다른 레지스트 패턴(1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2B에 있어서, 부호 19A, 19B, 19C는 각각 피전사체(11)에서의 적층막을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피전사체(11)는 기판(19)상에 막(19A, 19B, 19C)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그레이톤 마스크(10)는, 상기 그레이톤 마스크(10)의 사용시에 노광광을 차광(광투과율이 약 0%)하는 차광부(13)와, 노광광을 약 100% 투과시키는 투광부(14)와, 노광광의 투과율을 20 ~ 50% 정도로 각각 저감시키는 제1 반투광부(15A) 및 제2 반투광부(15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차광부(13) 및 투광부(14) 외에 하나 이상의 반투광부를 가지는 포토마스크를 그레이톤 마스크(gray-tone mask)라고 한다. 제1 반투광부(15A)와 제2 반투광부(15B)는 투과율이 다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반투광부(15A)의 광투과율이 제2 반투광부(15B)의 광투과율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레이톤 마스크(10)는, 노광광의 투과율이 4단계로 다른 4계조의 그레이톤 마스크로 되어 있다.
제1 반투광부(15A)는, 유리 기판 등의 투광성 기판(transparent substrate, 16)의 표면에 광반투과성(light-semitransmissive)의 제1 반투광막(17A)을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제2 반투광부(15B)는,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광반투과성인 제2 반투광막(17B)을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차광부(13)는,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제1 반투광막(17A), 차광막(18) 및 제2 반투광막(17B)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1 반투광막(17A)은, 금속과 실리콘을 포함하는 박막이며, 몰리브덴 실리사이드(MoSi)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막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MoSi(MoSi2), MoSiN, MoSiON, MoSiCON 등을 들 수 있다. 제2 반투광막(17B) 및 차광막(18)은 크롬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막이며, 차광막(18)에는 크롬이 바람직하며, 제2 반투광막(17B)에는 질화크롬(chromium nitride), 산화크롬(chromium oxide), 산질화크롬(chromium oxynitride), 플루오르화크롬(chromium fluoride) 등이 바람직하다. 제1 반투광부(15A)의 광투과율은, 제1 반투광막(17A)의 막재료와 막두께의 선정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2 반투광부(15B)의 광투과율은 제2 반투광막(17B)의 막재료와 막두께의 선정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차광부(13)의 광투과율은, 제1 반투광막(17A), 제2 반투광막(17B) 및 차광막(18)의 막재료와 막두께의 선정에 의해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4계조의 그레이톤 마스크(10)를 사용하였을 때, 차광부(13)에서는 노광광이 투과하지 않고, 제2 반투광부(15B)에서는 노광광이 저감되어, 제1 반투광부(15A)에서는 제2 반투광부(15B)보다도 노광광이 더 저감된다. 그 결과, 피전사체(transfer target, 11) 상에 도포된 레지스트막(포지티브형(positive- type) 포토레지스트막)은, 이하와 같은 레지스트 패턴(12)을 형성한다. 레지스트 패턴(12)은, 차광부(13)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레지스트막 두께(T1)가 가장 크며, 제1 반투광부(15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레지스트막 두께(T2)가 레지스트막 두께(T1)보다 작지만, 제2 반투광부(15B)에 대응하는 부분의 레지스트막 두께(T3)보다 크게 구성된다. 레지스트 패턴(12)은, 투광부(1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레지스트막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레지스트 패턴(10)을 가지는 피전사체(11)에 대하여 이하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우선, 레지스트 패턴(12)의 레지스트막이 없는 부분(투광부(1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전사체(11)에서의 예컨대 막(19A, 19B, 19C)에 제1 에칭을 실시한다. 이어서, 레지스트 패턴(12)의 레지스트막 두께(T3)의 부분(제2 반투광부(15B)에 대응하는 부분)을 애싱(ashing) 등에 의해 제거하고, 이 부분에서 피전사체(11)에서의 예컨대 막(19B, 19C)에 제2 에칭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레지스트 패턴(12)의 레지스트막 두께(T2)의 부분(제1 반투광부(15A)에 대응하는 부분)을 애싱 등에 의해 제거하고, 이 부분에서 피전사체(11)에서의 예컨대 막(19C)에 제3 에칭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1장의 그레이톤 마스크(10)만을 사용하여, 종래의 포토마스크 3장 분에 의해 달성되는 동일한 공정이 실행됨으로써, 마스크 장수(枚數)가 삭감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10)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도 1A 내지도 1I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제1 반투광막(17A), 차광막(18)을 차례로 성막하여, 포토마스크 블랭크(20)를 형성하여 준비한다(도 1A). 제1 반투광막(17A)과 차광막(18)은, 그레이톤 마스크(10)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진다. 예컨대, 제1 반투광막(17A)은 크롬-에칭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편, 차광막(18)은 MoSi-에칭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의 포토마스크 블랭크(20)의 차광막(18) 상에 레지스트막(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막을 전자선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묘화장치에 의해 노광/묘화하고 현상하여, 제1 레지스트 패턴(21)을 형성한다(도 1B). 제1 레지스트 패턴(21)은, 제조될 그레이톤 마스크(10)의 투광부(14) 및 제2 반투광부(15B)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레지스트 패턴(21)이 형성된 포토마스크 블랭크(20)의 차광막(18)을, 크롬-에칭가스 또는 액을 이용하며, 제1 레지스트 패턴(21)을 마스크로 하여 드라이에칭 또는 웨트에칭을 실시한다(도 1C). 이러한 에칭에 의해, 차광막(18)에 차광막 패턴(22)이 형성된다. 제1 반투광막(17A)은, 크롬-에칭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므로, 차광막(18)의 에칭 시에는 에칭되기 어렵다.
차광막 패턴(22)의 형성 후, 제1 레지스트 패턴(21)을 박리한다(stripping)(도 1D). 그 후, MoSi-에칭 가스 또는 액을 이용하고, 차광막 패턴(22)을 마스크로 하여, 제1 반투광막(17A)을 드라이 또는 웨트 에칭함으로써, 제1 반투광막 패턴(23)을 형성한다(도 1E). 또한, 도 1D의 제1 레지스트 패턴(21)의 박리는 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상기 차광막 패턴(22)의 형성 후, 제1 레지스트 패턴(21) 및 차광막 패턴(22)을 마스크로 하여 제1 반투광막(17A)에 대한 드라이 또는 웨트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1 반투광막 패턴(23)을 형성하고, 그 후에 제1 레지스트 패턴(21)을 박리하여도 좋다. 차광막(18)은 MoSi-에칭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므로, 제1 반투광막(17A)의 에칭 시에 에칭되지 않는다. 또한, MoSi-에칭액으로서는, 예컨대 불화수소산(hydrofluoric acid), 규불화수소산(hydrosilicofluoric acid), 불화수소암모늄(ammonium hydrogen fluoride)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화합물 및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초산(nitric acid), 황산(sulfuric acid)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oxidant)를 포함하는 에칭액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 반투광막 패턴(23)을 형성후, 차광막(18) 위 및 노출된 투광성 기판(16) 위에 제2 반투광막(17B)을 성막하여, 다른 포토마스크 블랭크(24)를 형성한다(도 1F). 제2 반투광막(17B)은 차광막(18)과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반투광막(17B)과 차광막(18)은, 각각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단지 작은 에칭 내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포토마스크 블랭크(24)는, 도 1E,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성 기판(16)에 적층된 제1 반투광막(17A) 및 차광막(18)에 제1 반투광막 패턴(23) 및 차광막 패턴(22)이 각각 형성되며, 이들의 패터닝된 막 상에 제2 반투광막(17B)이 성막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포토마스크 블랭크(24)의 제2 반투광막(17B) 상에 레지스트막을 성막하고, 이 레지스트막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노광/묘화하고 현상하여, 제2 레지스트 패턴(25)을 형성한다(도 1G). 제2 레지스트 패턴(25)은, 투광부(14) 및 제1 반투광부(15A)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 레지스트 패턴(25)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크롬-에칭가스 또는 액을 이용하여 제2 반투광막(17B) 및 차광막(18)을 드라이 또는 웨트 에칭한다(도 1H). 그 후, 잔존하는 제2 레지스트 패턴(25)을 제거(박리)함으로써, 투광부(14)와, 제1 반투광막(17A)으로 형성된 제1 반투광부(15A)와, 제2 반투광막(17B)으로 형성된 제2 반투광부(15B)와, 제1 반투광막(17A), 차광막(18) 및 제2 반투광막(17B)이 함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차광부(13)를 가지는 4계조의 그레이톤 마스크(10)가 얻어진다(도 1I).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그레이톤 마스크(10)의 제조공정에 따르면, 투광성 기판(16) 상에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각각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반투광막(17A)과 차광막(18)이 차례로 성막되며, 이 차광막(18)상에 상기 차광막(18)과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반투광막(17B)이 성막된다.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에칭 내성이 큰 막과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에칭 내성이 작은 막과의 조합에 의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묘화 회수를 2회로 저감하여, 4계조의 포토마스크(10)를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관한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중, 제2 실시예에 의한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각각 도 3A 내지 도 3G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의 평면도, 측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그레이톤 마스크(30)도,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나 컬러필터,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며, 피전사체(31) 상에 막두께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다른 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레이톤 마스크(30)는, 상기 그레이톤 마스크(30)의 사용 시에 노광광을 차광(광투과율이 대략 0%)하는 차광부(33)와, 노광광을 대략 100% 투과시키는 투광부(34)와, 노광광의 투과율을 20 ~ 50% 정도로 저감시키는 제1 반투광부(35A) 및 제2 반투광부(35B)를 포함한다. 제1 반투광부(35A)와 제2 반투광부(35B)는 광투과율이 다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반광투광부(35A)의 광투과율이 제2 반투광부(35B)의 광투과율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레이톤 마스크(30)도, 제1 실시예의 그레이톤 마스크(10)와 마찬가지로, 노광광의 투과율이 4단계로 다른 4계조의 그레이톤 마스크이다.
제1 반투광부(35A)는, 유리 기판 등의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광반투과성의 제1 반투광막(37A)을 형성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제2 반투광부(35B)는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제1 반투광막(37A)과 광반투과성의 제2 반투광막(37B)을 적층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차광막(33)은,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제1 반투광막(37A), 제2 반투광막(37B) 및 차광막(38)을 차례로 적층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제2 반투광막(37B)은, 금속과 실리콘을 포함하는 박막이며, 몰리브덴 실리사이드(MoSi)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막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MoSi(MoSi2), MoSiN, MoSiON, MoSiCON 등을 들 수 있다. 제1 반투광막(37A) 및 차광막(38)은, 각각 크롬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막이며, 차광막(38)은 크롬이 바람직하고, 제1 반투광막(37A)은 질화크롬, 산화크롬, 산질화크롬, 플루오르화크롬 등이 바람직하다. 제1 반투광부(35A)의 광투과율은 제1 반투광막(37A)의 막재료와 막두께의 선정에 의해 설정된다. 제2 반투광부(35B)의 광투과율은, 제1 반투광막(37A) 및 제2 반투광막(37B)의 막재료와 막두께의 선정에 의해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4계조의 그레이톤 마스크(30)를 사용하였을 때, 차광부(33)에서는 노광광이 투과되지 않으며, 제1 반투광부(35A)에서는 노광광이 저감되고, 제2 반투광부(35B)에서는 제1 반투광부(35A)보다도 노광광이 더 저감된다. 그 결과, 피전사체(31) 상에 도포된 레지스트막(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막)은 이하와 같은 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한다. 레지스트 패턴(32)은, 차광부(33)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레지스트막 두께(T11)가 가장 크며, 제2 반투광부(35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레지스트막 두께(T12)는 레지스트막 두께(T11)보다 작지만, 제1 반투광부(35A)에 대응하는 부분의 레지스트막 두께(T13)보다 크다. 레지스트 패턴(32)은 투광부(3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레지스트막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 패턴(32)을 갖는 피전사체(31)에 대하여 이하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우선, 레지스트 패턴(32)의 레지스트막이 없는 부분(투광부(3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전사체(31)에서의 예컨대 막(19A, 19B, 19C)에 제1 에칭을 실시한다. 이어서, 레지스트 패턴(32)의 레지스트막 두께(T13)의 부분(제1 반투광부(35A)에 대응하는 부분)을 애싱 등에 의해 제거하고, 이 부분에서 피전사체(31)에서의 예컨대 막(19B, 19C)에 제2 에칭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레지스트 패턴(32)의 레지스트막 두께(T12)의 부분(제2 반투광부(35B)에 대응하는 부분)을 애싱 등에 의해 제거하고, 이 부분에서 피전사체(31)에서의 예컨대 막(19C)에 제3 에칭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1장의 그레이톤 마스크(30)만을 사용하여, 종래의 포토마스크 3장분의 공정에 의해 달성되는 것과 동일한 공정이 실행되므로, 마스크 장수가 삭감된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은 4계조 그레이톤 마스크(30)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투광성 기판(16)의 표면에, 제1 반투광막(37A), 제2 반투광막(37B) 및 차광막(38)을 차례로 성막하여 포토마스크 블랭크(40)를 형성하여 준비한다(도 3A). 제2 반투광막(37B)과 차광막(38)은, 그레이톤 마스크(30)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진다. 예컨대, 제2 반투광막(37B)은, 크롬-에칭 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편, 차광막(38)은, MoSi-에칭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 반투광막(37A)은 차광막(38)과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반투광막(37A)과 차광막(38)은 각각 서로의 에칭에 대하여 단지 작은 에칭 내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의 포토마스크 블랭크(40)의 차광막(38) 상에 레지스트막(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막을 전자선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묘화장치에 의해 노광/묘화하고 현상하여, 제1 레지스트 패턴(41)을 형성한다(도 3B). 제1 레지스트 패턴(41)은 제조될 그레이톤 마스크(30)의 투광부(34) 및 제1 반투광부(35A)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레지스트 패턴(41)이 형성된 포토마스크 블랭크(40)의 차광막(38)을, 크롬-에칭가스 또는 액을 이용하고, 제1 레지스트 패턴(41)을 마스크로 하여 드라이 에칭 또는 웨트 에칭을 실시한다(도 3C). 이러한 에칭에 의해, 차광막(38)에 차광막 패턴(42)이 형성된다. 제2 반투광막(37B)은, 크롬-에칭 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므로, 차광막(38)의 에칭시에 에칭되는 것이 방지된다.
차광막 패턴(42)의 형성후, 제1 레지스트 패턴(41)을 박리하고, 그 후, MoSi-에칭 가스 또는 액을 이용하고 차광막 패턴(42)을 마스크로 하여, 제2 반투광막(37B)을 드라이 또는 웨트 에칭함으로써, 제2 반투광막 패턴(43)을 형성한다(도 3D). 본 실시예에서도 제1 레지스트 패턴(41)의 박리는 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상기 차광막 패턴(42)의 형성 후, 제1 레지스트 패턴(41) 및 차광막 패턴(42)을 마스크로 하여 제2 반투광막(37B)에 대한 드라이 또는 웨트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2 반투광막 패턴(43)을 형성하고, 그 후에 제1 레지스트 패턴(41)을 박리하여도 좋다. 차광막(38) 및 제1 반투광막(37A)은, MoSi용 에칭 가스 또는 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므로, 제2 반투광막(37B)의 에칭 시에 이들 막이 에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2 반투광막 패턴(43)을 형성후, 차광막(38) 상 및 노출한 제1 반투광막(37A) 상에 레지스트막을 성막하고, 이어서 이 레지스트막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노광/묘화하고 현상하여, 제2 레지스트 패턴(44)을 형성한다(도 3E). 제2 레지스트 패턴(44)은, 차광부(34) 및 제2 반투광부(35B)에 대응하는 개구영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 레지스트 패턴(44)을 마스크로 하거나, 상기 크롬-에칭 가스 또는 액을 이용하여, 차광막(38) 및 제1 반투광막(37A)을 드라이 또는 웨트 에칭한다(도 3F). 그 후, 잔존하는 제2 레지스트 패턴(44)을 제거(박리)함으로써, 투광부(34)와, 제1 반투광막(37A)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반투광부(35A)와, 제1 반투광막(37A) 및 제2 반투광막(37B)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반투광부(35B)와, 제1 반투광막(37A), 제2 반투광막(37B) 및 차광막(38)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차광부(33)를 가지는 4계조의 그레이톤 마스크(30)가 얻어진다(도 3G).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그레이톤 마스크(30)의 제조공정에 의하면, 투광성 기판(16)상에, 제1 반투광막(37A), 제2 반투광막(37B) 및 차광막(38)이 차례로 성막되고, 제1 반투광막(37A)과 차광막(38)이 동일한 에칭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한편, 제2 반투광막(37B)은 제1 반투광막(37A) 및 차광막(38)의 재료의 에칭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에칭 내성이 있는 막과 서로 에칭 내성이 없는 막의 조합에 의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묘화회수를 2회로 저감하여, 4계조 포토마스크(3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2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그레이톤 마스크
13: 차광부
14: 투광부
15A: 제1 반투광부
15B: 제2 반투광부
16: 투광성 기판
17A: 제1 반투광막
17B: 제2 반투광막
18: 차광막
21: 제1 레지스트 패턴
25: 제2 레지스트 패턴

Claims (11)

  1. 차광(遮光)부, 투광(透光)부, 및 서로 다른 광투과율의 제1 반투광부 및 제2 반투광부를 갖고, 피전사체 상에 막두께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다른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로서,
    상기 제1 반투광부는,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광반투과성의 제1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 반투광부는, 상기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광반투과성의 제2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2 반투광부와 제1 반투광부는 노광광의 광투과율이 상이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상기 제1 반투광막, 차광막, 및 상기 제2 반투광막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1 반투광막과 상기 차광막은, 상호 에칭에 대해 내성을 갖는 막이고,
    상기 제2 반투광막과 상기 차광막은, 동종의 에칭 가스 또는 에칭 액에 의해, 에칭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상기 차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가 가장 두껍고,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가 다음으로 두껍고,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는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막이 없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광부와 제2 반투광부의, 노광광의 광투과율이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광막은,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투광막 및 상기 차광막은 크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5. 제1항에 기재된 4계조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고, 피전사체 상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기 피전사체에 제1 에칭을 실시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 중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피전사체에 제2 에칭을 실시하며,
    나아가, 상기 레지스트 패턴 중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피전사체에 제3 에칭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의 사용 방법.
  6. 차광부, 투광부, 및 각각 서로 다른 광투과율의 제1 반투광부와 제2 반투광부를 갖고, 피전사체 상에 막 두께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다른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로서,
    상기 제1 반투광부는,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광반투과성의 제1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 반투광부는, 상기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광반투과성의 제1 반투광막과 광반투과성의 제2 반투광막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상기 제1 반투광막, 상기 제2 반투광막 및 차광막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반투광막과 상기 차광막은, 상호 에칭에 대해 내성을 갖는 막이며,
    상기 제1 반투광막과 상기 차광막은, 동종의 에칭 가스 또는 에칭 액에 의해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상기 차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가 가장 두껍고,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가 다음으로 두껍고,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는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보다 얇고, 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막이 없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광부와 제2 반투광부는, 노광광의 광투과율이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투광막은,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광막 및 상기 차광막은 크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
  10. 제6항에 기재된 4계조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고, 피전사체 상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전사체에 제1 에칭을 실시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 중 상기 제1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피전사체에 제2 에칭을 실시하며,
    나아가, 상기 레지스트 패턴 중 상기 제2 반투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피전사체에 제3 에칭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4계조 포토마스크의 사용 방법.
  11. 제5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사용 방법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00114439A 2006-02-20 2010-11-17 4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 사용 방법 KR101045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3011 2006-02-20
JPJP-P-2006-043011 2006-02-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049A Division KR101100522B1 (ko) 2006-02-20 2007-02-20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포토마스크 블랭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404A true KR20100131404A (ko) 2010-12-15
KR101045450B1 KR101045450B1 (ko) 2011-06-30

Family

ID=386125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049A KR101100522B1 (ko) 2006-02-20 2007-02-20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포토마스크 블랭크
KR1020100114439A KR101045450B1 (ko) 2006-02-20 2010-11-17 4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 사용 방법
KR1020110049024A KR20110074834A (ko) 2006-02-20 2011-05-24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049A KR101100522B1 (ko) 2006-02-20 2007-02-20 4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포토마스크 블랭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24A KR20110074834A (ko) 2006-02-20 2011-05-24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42140B2 (ko)
KR (3) KR101100522B1 (ko)
CN (2) CN101866107B (ko)
TW (1) TWI43288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43B1 (ko) * 2012-09-26 2014-07-0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포토마스크의 제조 방법, 포토마스크, 패턴 전사 방법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US11324285B2 (en) 2016-12-14 2022-05-10 Nike, Inc. Foot measuring and sizing application
US11763365B2 (en) 2017-06-27 2023-09-19 Nike, Inc.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US11776147B2 (en) 2020-05-29 2023-10-03 Ni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aptured images
US11861673B2 (en) 2017-01-06 2024-01-02 Nike, Inc.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7660A1 (ja) * 2007-11-01 2009-05-07 Ulvac Coating Corporation ハーフトーンマスク、ハーフトーンマスクブランクス、及びハーフトーンマスクの製造方法
JP4714311B2 (ja) * 2008-02-28 2011-06-29 Hoya株式会社 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用パターン転写方法
JP2010044149A (ja) * 2008-08-11 2010-02-25 Hoya Corp 多階調フォトマスク、パターン転写方法及び多階調フォトマスク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121020B2 (ja) * 2008-09-26 2013-01-16 Hoya株式会社 多階調フォトマスク、フォトマスクブランク、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TW201030451A (en) * 2008-09-30 2010-08-16 Hoya Corp Multi-tone photo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6890B1 (ko) * 2009-05-21 2012-10-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하프톤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1027878A (ja) * 2009-07-23 2011-02-10 Hoya Corp 多階調フォトマスク、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TWI422966B (zh) * 2009-07-30 2014-01-11 Hoya Corp 多調式光罩、光罩基底、多調式光罩之製造方法、及圖案轉印方法
KR101269062B1 (ko) * 2012-06-29 2013-05-29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블랭크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포토 마스크 제조방법
KR102093101B1 (ko) * 2014-08-25 2020-04-14 (주)에스앤에스텍 다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JP6726553B2 (ja) * 2015-09-26 2020-07-22 Hoya株式会社 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9188854B (zh) * 2018-10-18 2020-06-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掩膜板、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6259A (ja) * 1995-08-29 1997-06-06 Ricoh Opt Ind Co Ltd グラデーション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デーションマスクを用いた特殊表面形状の創成方法
JPH1115134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ホトマス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ン形成方法
KR100560969B1 (ko) * 1998-12-31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광마스크의제조방법
CN1379461A (zh) * 2001-03-30 2002-11-13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内连线结构的双嵌工艺
JP2003029393A (ja) * 2001-07-12 2003-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スク、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リソグラフィ方法
JP2003121978A (ja) * 2001-10-12 2003-04-23 Hoya Corp ハーフトーン型位相シフトマスクの製造方法
JP3984116B2 (ja) * 2002-07-09 2007-10-03 株式会社東芝 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
JP3727911B2 (ja) * 2002-09-25 2005-12-21 株式会社東芝 マスク、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854241B2 (ja) * 2003-04-25 2006-12-06 株式会社東芝 フォーカスモニタ用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60120613A (ko) * 2003-09-05 2006-11-27 쇼오트 아게 감쇄 위상 편이 마스크 블랭크 및 포토 마스크
JP2006317665A (ja) * 2005-05-12 2006-11-24 Shin Etsu Chem Co Ltd 位相シフトマスクブランクおよび位相シフトマスク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4968709B2 (ja) * 2006-03-17 2012-07-04 Hoya株式会社 グレートーン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7271696A (ja) * 2006-03-30 2007-10-18 Hoya Corp グレートーンマスクブランク及びフォトマスク
KR101255616B1 (ko) * 2006-07-28 2013-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톤 광마스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43B1 (ko) * 2012-09-26 2014-07-0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포토마스크의 제조 방법, 포토마스크, 패턴 전사 방법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US11324285B2 (en) 2016-12-14 2022-05-10 Nike, Inc. Foot measuring and sizing application
US11805861B2 (en) 2016-12-14 2023-11-07 Nike, Inc. Foot measuring and sizing application
US11861673B2 (en) 2017-01-06 2024-01-02 Nike, Inc.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US11763365B2 (en) 2017-06-27 2023-09-19 Nike, Inc.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US11776147B2 (en) 2020-05-29 2023-10-03 Ni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aptured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6107A (zh) 2010-10-20
CN101866107B (zh) 2013-08-07
CN101025564B (zh) 2010-12-15
KR20110074834A (ko) 2011-07-04
JP2010198042A (ja) 2010-09-09
KR20070083210A (ko) 2007-08-23
TWI432885B (zh) 2014-04-01
TW200736819A (en) 2007-10-01
CN101025564A (zh) 2007-08-29
JP4642140B2 (ja) 2011-03-02
KR101100522B1 (ko) 2011-12-29
KR101045450B1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450B1 (ko) 4계조 포토마스크 및 그 사용 방법
JP4570632B2 (ja) 4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フォトマスクブランク加工品
KR100609678B1 (ko) 그레이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4961990B2 (ja) マスクブランクおよび階調マスク
JP4587837B2 (ja) グレートーン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グレートーンマスク
JP5662032B2 (ja) マスクブランクス及びハーフトーンマスク
KR20110122654A (ko) 그레이 톤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그레이 톤 마스크
TWI745873B (zh) 光罩、光罩之製造方法、及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2016167052A (ja) フォトマスクブランク、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マスク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248653B1 (ko) 5계조 포토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5계조 포토마스크와 패턴 전사 방법
JP5372403B2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JP2009237419A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ターン転写方法
JP2011081326A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多階調フォトマスク用ブランク、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615032B2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JP2009229893A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JP2007219128A (ja) 位相シフトマスクの製造方法
JP4848071B2 (ja) 5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JP2009139975A5 (ko)
JP4792148B2 (ja) 5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JP4615066B2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転写方法
JP2022017386A (ja) フォト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4834206B2 (ja) グレートーン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被処理体の製造方法
JP4714312B2 (ja) 多階調フォトマスク及び多階調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
JP2010204692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
KR20010018495A (ko) 위상 반전 마스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