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492A -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492A
KR20100129492A KR20090048082A KR20090048082A KR20100129492A KR 20100129492 A KR20100129492 A KR 20100129492A KR 20090048082 A KR20090048082 A KR 20090048082A KR 20090048082 A KR20090048082 A KR 20090048082A KR 20100129492 A KR20100129492 A KR 20100129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port
slag port
pair
sol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4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816B1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4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1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10Slag pots; Slag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200/00Recycling of non-gaseous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된 슬래그를 분할형 슬래그에서 용이하게 응고 및 취외분리시키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장치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고 수직으로 분할되는 슬래그 포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측 하부 분할부위에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하로 구동되는 조립링과, 상기 조립링의 양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립링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래그 포트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되는 장력인가수단 및 상기 슬래그 포트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슬래그 포트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방법은 슬래그 고형화 준비 단계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액상의 슬래그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슬래그를 응고시키는 단계와, 응고 완료시 상기 슬래그 포트를 분할시키는 단계와, 슬래그 취외분리봉을 상승시켜 고형화된 상기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포트로부터 취외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슬래그, 슬래그 포트, 재활용, 고형화

Description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solidification of slag and method processing solidification of slag using it}
본 발명은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된 슬래그를 분할형 슬래그에서 용이하게 응고 및 취외분리시키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강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slag)는 금속이나 광석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련, 제강 공정 등에서 부산물로서 발생되는 일종의 광물 찌꺼기이다. 이러한 슬래그는 예전에는 주로 매립을 통해 폐기처리되었으나, 최근에는 원가절감 등을 이유로 단순 폐기처리되었던 슬래그를 재활용하고 있다.
슬래그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덩어리진 슬래그를 2차 용해시키고, 산소가스 등의 분사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정제 과정을 거친 양질의 액상 슬래그는 슬래그 포트(slag pot)에 담겨져 응고되고, 응고가 완료되면 슬래그 포트에서 취외분리된다. 이후, 고형화된 슬래그는 일정한 크기 로 파쇄되어 콘크리트용, 도로포장용, 비료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그 포트 및 슬래그 취외분리 과정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여기서 도 1(a)는 종래의 슬래그 포트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b)는 종래의 슬래그 포트에서 응고된 슬래그를 취외분리시키는 작업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종래의 슬래그 포트(10)는 상단이 개방된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용기로서, 슬래그 용해로(미도시)에서 2차 용해되고 불순물이 제거된 양질의 슬래그가 슬래그 포트(1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주입된다. 이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슬래그 포트(10)에 주입된 액상의 슬래그가 슬래그 포트(10)의 내부면과 고착되면서 응고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슬래그 포트(10)에서 응고된 슬래그를 취외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슬래그 포트(10)의 개방된 상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전복(顚覆)시키고, 해머나 파이프 등의 작업도구(20)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슬래그와 슬래그 포트의 내부면과의 고착 상태를 파쇄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재활용에 사용되는 슬래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수작업에 따른 인력이 투입되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어 소요물량의 공급을 맞추기 어려웠다. 또한, 인력 투입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고, 파쇄과정에서 작업자가 설비 내 산재된 위험요소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산업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이 삽입되는 슬래그 포트에 정제된 슬래그를 주입하여 응고시키고, 응고 완료 후 슬래그 포트를 분할시켜 슬래그 포트와 응고된 슬래그와의 고착 상태를 용이하게 해소하고,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상승시켜 고형화된 슬래그를 용이하게 취외분리시킬 수 있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장치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고 수직으로 분할되는 슬래그 포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측 하부 분할부위에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하로 구동되는 조립링과, 상기 조립링의 양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립링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래그 포트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되는 장력인가수단 및 상기 슬래그 포트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슬래그 포트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방법은 슬래그 고형화 준비 단계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액상의 슬래그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슬래그를 응고시키는 단계와, 응고 완료시 상기 슬래그 포트를 분할시키는 단계와,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상승시켜 고형화된 상기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포트로부터 취외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을 위해 정제 과정을 거친 슬래그가 분할형 슬래그 포트에 주입되어 응고되고, 슬래그의 주입 전 삽입된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통해 응고된 슬래그와 슬래그 포트의 내부면과의 고착 상태를 용이하게 해소시켜 슬래그 포트로부터 슬래그를 용이하게 취외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슬래그 포트에서 슬래그를 취외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수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인력 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재된 위험요소에 인력이 노출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을 위해 사용되는 슬래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래그 고형화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장 치(100)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고 수직으로 분할되는 슬래그 포트(slag pot; 200)와, 슬래그 포트(200)의 외측 하부 분할부위에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220)와, 슬래그 포트(200)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하로 구동되는 조립링(300)과, 조립링(300)의 양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부(400)와, 프레임부(400)에 설치되고 조립링(300)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500)와, 슬래그 포트(200)와 프레임부(400) 사이에 연결되는 장력인가수단(600) 및 슬래그 포트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하도록 슬래그 포트(200)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을 포함한다.
슬래그 포트(200)는 슬래그(S; 도4참조)를 2차 용해시키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 과정을 수행하는 슬래그 용해로(40;도4참조)로부터 액상의 슬래그(S)를 주입받는 내부공간(P)을 제공한다. 내부공간(P) 내에 주입된 슬래그(S)는 대기중에서 냉각 및 응고되어 고형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래그 포트(20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분할되는 2개의 분할 몸체(200a, 200b)로 이루어지는데, 물론 슬래그 포트(200)가 3개 이상의 분할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슬래그 포트(200)는 대칭을 이루는 2개의 분할 몸체(200a, 200b)가 서로 맞물린 상태(도 3(a)참조)에서는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에서 상부 외경(R1)이 하부 외경(R2)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슬래그 포트(200)의 측벽 두께(t)가 일정하기 때문에 상부 내경(r1)도 하부 내경(r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슬래그 포트(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경과 내경이 작아지는 하향 경사(A)가 형성된다.
한편, 슬래그 포트(200)는 상하 양단이 개방된 구조로서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의 받침용 커버(720)에 의해서 개방된 하단이 밀폐되기 때문에 슬래그 포트(200)의 하부 내경(r2)은 받침용 커버(720)의 외경(R3)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래그 포트(200)의 수평 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외에도 수평 단면의 형상이 가운데 부분에 구멍이 뚫린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래그 포트(200)를 이루는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 사이에는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220)가 결합되어 슬래그 포트(20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슬래그 포트(200)의 하단면에는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220)의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접힘홈(260)이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첩용 플레이트(200)와 접힘홈(260)을 구비한 슬래그 포트(200)에서는 슬래그 포트(200)가 분할될 때, 즉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 사이에 빈틈이 형성될 때 하단부는 맞닿아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단부만 벌어지게 된다.(도 3(b)참조)
조립링(300)은 상하 구동에 따라 슬래그 포트(200)의 분할 상태를 조절한다. 조립링(300)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관통구에 슬래그 포트(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래그 포트(200)의 외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조립링(300)의 관통구는 슬래그 포트(200)의 외주면이 형성되는 경사(A)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며, 조립링(300)에 형성된 관통구의 내경은 슬래그 포트(200)의 상부 외경(R1) 보다는 작고, 하부 외경(R2)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링(300)이 최대한의 높이로 상승하더라도 슬래그 포트(200)의 상측으로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조립링(300)이 슬래그 포트(200)의 외측에서 상승하게 되면 조립링(300)의 관통구에 형성된 내주면이 슬래그 포트(200)의 외주면과 맞닿아지면서 슬래그 포트(200)가 분할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가 서로 밀착되며, 이러한 밀착 상태에서는 액상의 슬래그(S)가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공간(P)으로 주입되더라도 새지않게 된다.
이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슬래그(S)가 완전히 응고된 상태, 즉 슬래그(S)가 고형화된 상태가 되면 슬래그 포트(200)로부터 고형화된 슬래그(S)는 취외분리된다. 이때, 조립링(300)은 슬래그 포트(200)의 외측에서 하강되어 슬래그 포트(200)의 하부면에 지면에 닿게 하는 동시에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의 밀착되어 있는 구속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때, 조립링(300)의 하강만으로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 사이에 빈 틈이 형성되지 않고, 장력인가수단(600)에 의해서 프레임부(400)가 설치된 양측 방향으로 장력(tension; T)을 받아 슬래그 포트(200)의 상단부만 벌어지게 된다.
조립링(30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부(400)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 사각틀(410)과, 수평 사각틀(410)의 상부면에서 이격되도록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42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420)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한 쌍의 구동프레임(430) 및 한 쌍의 구동프레임(430)에 일단이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조립링(3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440)을 포함한다.
수평 사각틀(410)은 외골격만 사각형의 프레임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슬래그 포트(200)의 하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지면이 그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수직 프레임(420)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420)에 끼워져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프레임(430)의 가운데 부분에는 수직 프레임(4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프레임부(400)의 구조를 통해 수평 사각틀(410)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420)은 고정되어 있으며, 한 쌍의 구동프레임(430)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440)은 상하로 구동된다.
수직프레임(4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프레임(43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500)는 실린더(510)와, 구동실린더(5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구동프레임(430)을 밀어주는 피스톤(52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부(500)는 유압이나 공압 방식의 실린더(cylinder)를 사용한다.
장력인가수단(600)은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로 이루어진 슬래그 포트(200)에 힘을 가해 분할을 강제시키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슬래그 포트(20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고리(240)와 한 쌍의 구동프레임(430)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고리(432)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wire; 600)로 이루어진다. 장력인가수단(600)은 와이어 방식이 아니라 피스톤 등의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와이어(600)는 일단이 한 쌍의 구동프레임(430)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고리(432)에 연결되지만, 구동프레임(430)과 연결되는 수평프레임(440) 상에 제2고리를 형성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다.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은 상하 양단이 개방된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봉(710)과, 수직봉(7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하 구동에 따라 슬래그 포트(20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시키는 받침용 커버(720)와, 수직봉(710)의 상단에 형성된 크레인 연결고리(730) 및 수직봉(710)의 둘레에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봉(740)을 포함한다.
수직봉(710)의 수직 길이(L1)는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공간(P)이 형성하는 높이(H1)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크레인 연결고리(730)가 내부공간(P)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슬래그(S)가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한다.
받침용 커버(720)는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로 진입하여 슬래그 포트(200)의 개방된 하단을 막는 마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받침용 커버(720)의 측면도 슬래그 포트(200)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경사와 동일하게 하향 경사가 형성된다.
받침용 커버(720) 최하단의 직경(R3)은 슬래그 포트(200)의 최하단의 내부 직경(r2)보다 적어도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됨으로써 받침용 커버(720)의 몸체가 슬래그 포트(200)의 하부, 즉 접힘홈(260)의 꼭지부분의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수평봉(740)은 액상의 슬래그(S)에 묻히고 같이 응고되는 부분으로서 고형화된 슬래그(S)를 슬래그 포트(200)에서 용이하게 꺼내는 것을 보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봉(74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고 공간상에서 4개가 돌출되었지만, 보다 고형화된 슬래그(S)를 슬래그 포트(200)에서 꺼낼 때 보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복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돌출되는 개수도 4개를 초과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수평봉(740)의 돌출되는 끝단은 슬래그 포트(200)의 내주면에 닿아, 슬래그(S)가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공간(P)으로 주입될 때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수평봉(740)의 돌출 길이(L2)는 설치위치에 따라 즉, 받침용 커버(72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L3)에 따라 비례하여 커진다.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의 크레인 연결고리(730)는 공장 설비 내에 설치된 크레인(crane; 30)과 연결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과는 달리 자동으로 고형화된 슬래그(S)를 슬래그 포트(200)에서 취외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슬래그 고형화 장치를 이용하여 정제된 슬래그를 응고 및 취외분리시키는 슬래그 고형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방법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래그 고형화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방법은 우선, 슬래그(S)를 고형화시키기 위한 준비 단계가 이루어진다.(S410) 여기서 슬래그(S)를 고형화시키기 위한 준비 단계는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에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을 삽입시켜 슬래그 포트(200)의 개방된 하단을 막는 단계와, 슬래그 포트(200)의 외측에 끼워지는 조립링(300)을 상승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립링(300)이 상승 구동되면 조립링(300)의 내주면과 슬래그 포트(200)의 내주면이 맞닿아져 슬래그 포트(200)도 상승된다. 즉, 슬래그 포트(200)의 하부면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위와 같은 준비 단계가 완료되면, 슬래그 용해로(30)에서 정제된 액상의 슬래그(S)를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한다.(S420) 이후, 슬래그 포트(200)에 담겨진 슬래그(S)는 대기중에서 냉각되어 고체상태로 응고된다.(S430)
슬래그 포트(200) 내에서 슬래그(S)가 완전히 응고되면 슬래그 포트(200)를 분할시키고,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상승시켜 고형화된 슬래그(S)를 슬래그 포트(200)에서 취외분리시키는 단계가 실시된다.(S440) 이때, 슬래그 포트(200)를 용이하게 분할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링(300)을 하강시켜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의 밀착력을 해소하고, 장력인가수단(600)인 와이어를 사용하여 슬래그 포트(200)의 상부를 양측 방향, 즉 수직 프레임(420)의 설치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한 쌍의 분할 몸체(200a, 200b)로 이루어진 슬래그 포트(200)를 분할시켜 슬래그 포트(200)의 내부면과 응고된 슬래그(S) 사이에 빈틈을 형성하여 액상의 슬래그(S)가 응고되는 과정에서 슬래프 포트(200)의 내부면과 고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고착 상태가 용이하게 해소되어 슬래그 취외분리수단(700)을 통해 슬래그 포트(200)의 상부로 고형화된 슬래그(S)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형화 방법을 통해 재활용을 위해 정제 과정을 거친 슬래그가 분할형 슬래그 포트에 주입되어 응고되고, 슬래그의 주입 전 삽입된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통해 응고된 슬래그와 슬래그 포트의 내부면과의 고착 상태를 용이하게 해소시켜 슬래그 포트로 부터 슬래그를 용이하게 취외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슬래그 포트에서 슬래그를 취외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수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인력 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재된 위험요소에 인력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을 위해 사용되는 슬래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그 포트 및 슬래그 취외분리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래그 고형화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고형화 방법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래그 고형화 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슬래그 고형화 장치 200 : 슬래그 포트
220 : 경첩용 플레이트 260 : 접힘홈
300 : 조립링 400 : 프레임부
500 : 구동부 600 : 장력인가수단
700 : 슬래그 취외분리수단 720 : 받침용 커버
S : 슬래그

Claims (10)

  1. 상하 양단이 개방되고 수직으로 분할되는 슬래그 포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측 하부 분할부위에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하로 구동되는 조립링과;
    상기 조립링의 양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립링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래그 포트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되는 장력인가수단; 및
    상기 슬래그 포트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슬래그 포트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슬래그 취외분리수단;
    을 포함하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고 상부 외경이 하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분할 몸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의 하단면에는 상기 한 쌍의 경첩용 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접힘홈이 가로질러 형성되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 사각틀과;
    상기 수평 사각틀의 상부면에서 이격되도록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한 쌍의 구동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구동프레임에 일단이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립링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을 포함하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인가수단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고리와, 상기 한 쌍의 구동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고리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슬래그 포트의 개방 된 하부를 개폐시키는 받침용 커버와;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형성되는 크레인 연결고리; 및
    상기 수직봉의 둘레에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봉;
    을 포함하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봉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내주면과 맞닿으며, 상기 수평봉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받침용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는 슬래그 고형화 장치.
  8. 분할형 슬래그 포트를 통해 슬래그를 고형화시키는 방법은,
    슬래그 고형화 준비 단계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액상의 슬래그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슬래그를 응고시키는 단계와;
    응고 완료시 상기 슬래그 포트를 분할시키는 단계와;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상승시켜 고형화된 상기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포트로부터 취외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슬래그 고형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고형화 준비 단계는,
    상기 슬래그 포트의 내부에 슬래그 취외분리수단을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래그 포트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조립링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래그 고형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를 분할시키는 단계는,
    상기 슬래그 포트에 삽입되는 조립링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장력인가수단을 통해 상기 슬래그 포트의 상부를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래그 고형화 방법.
KR1020090048082A 2009-06-01 2009-06-01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KR101177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082A KR101177816B1 (ko) 2009-06-01 2009-06-01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082A KR101177816B1 (ko) 2009-06-01 2009-06-01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92A true KR20100129492A (ko) 2010-12-09
KR101177816B1 KR101177816B1 (ko) 2012-08-30

Family

ID=4350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082A KR101177816B1 (ko) 2009-06-01 2009-06-01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31B1 (ko) * 2013-12-23 2015-05-18 한진수 구상화제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상화제 제조 방법
CN107606961A (zh) * 2017-10-17 2018-01-19 山东泓奥电力科技有限公司 液态炉渣余热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4724A (en) 1978-08-09 1980-02-22 Kawasaki Steel Corp Slag recovering method
US6197250B1 (en) 2000-04-12 2001-03-06 J. Mcintyre (Machinery) Limited Telescopic dross p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31B1 (ko) * 2013-12-23 2015-05-18 한진수 구상화제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상화제 제조 방법
CN107606961A (zh) * 2017-10-17 2018-01-19 山东泓奥电力科技有限公司 液态炉渣余热回收装置
CN107606961B (zh) * 2017-10-17 2023-11-24 山东泓奥电力科技有限公司 液态炉渣余热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816B1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816B1 (ko) 슬래그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고형화 방법
CN201436110U (zh) 铸锭脱模装置
KR101252646B1 (ko) 주선기 및 이를 이용한 냉선 제조 방법
CN105155843A (zh) 构造柱的施工方法及装置
JPH1096005A (ja) 高炉炉底部の解体方法
JP4578453B2 (ja) 煙突の解体方法
CN109136436A (zh) 更换大型钒钛磁铁矿冶炼高炉铁口的方法
CN106119675B (zh) 一种钼铁熔炼炉排渣装置及排渣方法
US4700355A (en) Electrical melting furnace exchangeable electrode assembly a method for changing a contact electrode assembly
US6279867B1 (en) Multi-part form of a mold for forming a containment member for molten metal
CN212802555U (zh) 一种用于叠合剪力墙c型洞口封模的加固装置
CN104959593B (zh) 一种应用于铝棒深井铸造系统的铝渣收集装置
US3723631A (en) Skull melting furnace with removable bottom and process for furnace operation
CN110528425A (zh) 一种用于码头护轮坎施工的模板结构及支模方法
CN210367742U (zh) 一种可吊装撇渣器进口封堵装置
JPH0620621B2 (ja) タンデイツシユの再使用方法および再使用用装置
CN220178162U (zh) 一种中间包钢渣吊出装置
CN105350492B (zh) 支撑式混凝土变形缝止水型腔模的制造方法
CN220472262U (zh) 一种铝锭加热熔化炉
CN111254931B (zh) 一种后置式砼桩头断裂的施工方法
CN214394729U (zh) 一种预制立柱钢筋架保护层垫块的防护装置
CN209021233U (zh) 一种能够有效清除钢包包口积渣的挂渣装置
KR101446076B1 (ko)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KR101243215B1 (ko) 용강 탕면의 경화 슬라그 파쇄장치
KR101767819B1 (ko) 지금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