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076B1 -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076B1
KR101446076B1 KR1020120131995A KR20120131995A KR101446076B1 KR 101446076 B1 KR101446076 B1 KR 101446076B1 KR 1020120131995 A KR1020120131995 A KR 1020120131995A KR 20120131995 A KR20120131995 A KR 20120131995A KR 101446076 B1 KR101446076 B1 KR 10144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furnace
tube brick
apparatus frame
molte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557A (ko
Inventor
이동하
박용균
Original Assignee
성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0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18Tap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노의 용강 배출홀 하측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 및 노의 용강 배출홀 방향으로 다단 승강되며 노의 출강구를 교환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는 다단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노의 출강구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1 단 승강을 통해 작업자를 교체 작업 가능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2 단 승강을 통해 교체용 출강구를 작업자가 작업이 용이한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최소인원으로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교체 작업간 출강구의 낙하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Apparatus for exchanging of electric furnace tap hole tube brick}
본 발명은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기로의 출강구 튜브 브릭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제철소의 미니밀 공장에서는 전기로에서 고철을 용융하여 용강을 생산하며, 생산된 용강은 출강구를 통해 래들로 수강되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전기로의 출강구는 용강의 유출을 막도록 통상 모래가 채워져 있고 용융 작업이 완료하면 모래를 제거하여 개공함으로써 용강을 출강시킨다.
이와 같은 전기로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전기로(5)는 내부에 용강을 담도록 내화물로 구성된 노체(6) 및 노체(6)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인 루프(6a)를 포함한다.
전극봉(7a)이 루프(6a)를 관통하여 노체(6)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노체(6)의 하부에는 하부 전극(7b)이 장착되어 있다.
EBT(Eccentric Bottom Tap)라고 하는 출강부(8)가 노체(6)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출강부(8)의 하부에는 출강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출강구(8a)의 하단에는 오프너(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출강구(8a) 안에는 모래(미도시)가 채워져 있다. 또, 출강부(8)의 상단에도 출강 작업용 개구(6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기로(5)에서, 용강 작업이 완료되면, 출강구(8a) 하단을 막고 있는 오프너(미도시)를 열어 모래를 배출하여 출강구(8a)를 개공한다. 그에 따라, 용강이 출강구(8a)를 통해 출강되어 아래의 래들(미도시)에 적재된다.
한편, 150 ton 정도의 고철을 1,2차에 걸쳐 전기로(5)에 장입하고, 전기 아크를 통해 용융 후 출강하기까지 약 80회 정도를 사용하고 나면 쇳물이 나온 출강구(8a)의 튜브 브릭(tube brick)(9)은 침식된다.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의 침식이 심해지면 전기로(5) 내 슬래그가 용강 배출시 혼입되게 되어 용강의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약 80회 정도 용강을 생산한 후에는 전기로(5)의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을 교환토록 하고 있다.
그런데,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은 구조물 중량이 1000kg에 육박하며 상당한 무게를 형성하고, 해제 또는 조립하는 위치가 지상에서부터 대략 7~8m 정도로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철설비의 천정에 설치된 크레인(2)을 이용하여 전기로(5)의 출강구(8a) 상부에 설치된 출강 작업용 개구(6b)를 개방하고 와이어로프(3)를 하강시켜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에 체결하였다.
그리고, 천정의 크레인(2)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3)를 하강시켜 마모된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을 교체하고, 다시 와이어로프(3)를 권상하여 새로운 출강구(8a) 튜브 브릭(9)을 전기로에 장착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는 경우 크레인(2)을 조정하는 운전자와 크레인(2)에 의해 하강하는 와이어로프(3)를 출강 작업용 개구(6b)로 삽입하는 작업자 및 전기로(5)의 출강구(8a) 하부에서 교체되는 출강구(8a) 튜브 브릭(9)을 잡아줘야 하는 작업자 등 상당수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고, 작업자간에 서로 신호가 맞아야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또한, 실제 전기로(5)의 출강구(8a) 튜브 브릭(9) 교체작업시 작업현장이 전반적으로 어두운 편이어서 크레인(2) 운전자와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을 해제 또는 조립하는 작업자간에 수신호가 정확히 판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이 분리되어 낙하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로의 하부에서 출강구(8a)에 튜브 브릭(9)을 안착시키는 작업자는 상해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지면에서부터 전기로의 출강구 하부까지 다단 승강되며 최소 인원을 통해 용이하게 출강구 튜브 브릭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출강구 튜브 브릭 교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의 하부에 형성된 용강 배출홀에 조립되는 출강구 튜브 브릭(tube brick)을 교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프레임을 노의 용강 배출홀 하측으로 이동하는 대차바디;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의 교환시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이동하기 위해 노의 용강 배출홀 방향으로 다단 승강되며 작업공간의 레벨차를 보상하는 다단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승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노의 용강 배출홀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까지 승강토록 제공되는 제1 승강부 및 상기 제1 승강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상기 제1 승강부의 위치에서 상기 노의 용강 배출홀까지 승강토록 제공되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토록,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토록,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고 출강구 튜브 브릭이 안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을 노의 용강 배출홀 하측으로 이동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는 대차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이 상기 대차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과 상기 대차바디간에 연계되며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블럭 및 상기 안착블럭이 결합되도록, 상기 대차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기로의 출강구 튜브 브릭을 교체하기 위해 우선 1 단 승강을 통해 작업자를 교체 작업 가능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2 단 승강을 통해 교체용 출강구 튜브 브릭을 작업자가 작업이 용이한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최소인원으로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교체 작업간 출강구 튜브 브릭의 낙하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로의 출강구 튜브 브릭을 교체하는 모습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다단 승강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대차바디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대차바디에 장착되어 전기로의 출강구 하단까지 이동하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1 단 승강하여 작업자가 작업 가능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2단 승강하여 작업자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체작업이 용이토록 교체용 출강구 튜브 브릭을 전기로의 하단까지 이동시킨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지면에서부터 전기로의 출강구 하부까지 다단 승강되며 최소 인원을 통해 용이하게 출강구 튜브 브릭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출강구 튜브 브릭 교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다단 승강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대차바디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구성은 노의 용강 배출홀 하측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20) 및 노의 용강 배출홀 방향으로 다단 승강되며 노의 출강구(8a)에 삽입되는 튜브 브릭(9)을 교환 가능토록, 상기 장치프레임(20)에 설치되는 다단 승강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장치프레임(20)은 제철설비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틸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프레임(20)은 작업자가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계단부재(2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부재(27)와 연결된 하부덱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프레임(20)에는 상기 하부덱크(21)의 주변부 둘레를 따라 가이드 레일부재(25)가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작업간 작업자의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장치프레임(20)에서 상기 하부덱크(21)의 하부로는 상기 하부덱크(21)를 지지토록 지지블럭(2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블럭(22)의 측부로는 사이드암(23)이 신장되어 상기 하부덱크(21)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상단에는 상기 다단 승강수단(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단 승강수단(30)은 출강구 튜브 브릭(9)과 작업자를 노의 용강 배출홀 방향으로 상승시켜 작업자의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9)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단 승강수단(30)은 제1 승강부(40) 와 제2 승강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제1 승강부(40)는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출강구 튜브 브릭과 작업자를 노의 용강 배출홀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소정 거리는 작업자가 노의 용강 배출홀에 출강구 튜브 브릭(9)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위치일 것이며, 이는 노의 용강 배출홀 하단선에서 하방향으로 대략 1.5m ~ 1.8m 정도의 거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부(40)는 고정플레이트(41), 제1 장착블럭(47), 제1 유압실린더(42) 및 승강플레이트(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상기 장치프레임(20)의 하부덱크(21)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장착블럭(47)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격자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의 격자 사이에는 상기 제1 장착블럭(47)이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 장착블럭(47)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120° 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 만약 4개의 제1 장착블럭이 설치된다면, 90°으로 배치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블럭(47)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가 볼트체결되며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는 실린더몸체(42a)와 로드(4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몸체(42a)는 상기 제1 장착블럭(47)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장착블럭(47)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되게 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의 로드(42b)는 상기 제1 장착블럭(47)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42)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의 로드(42b) 단부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5)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의 로드(42b)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45)는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가 3개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승강플레이트(45)에 대한 지지점이 3개가 되므로, 상기 승강플레이트(45)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대며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플레이트(45)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에 균일한 하중이 인가될 수 있도록 원형판 형태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승강부(50)는 상기 제1 승강부(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출강구를 상기 제1 승강부(40)가 상승한 위치에서 노의 용강 배출홀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승강부(40)에서 노의 용강 배출홀의 하단선에서 하방향으로 대략 1.5~1.8m까지 상승시키므로, 상기 제2 승강부(50)는 즉 노의 용강 배출홀에 출강구를 삽입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거리인 대략 1.5~1.8m 정도를 상승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승강부(50)는 상부덱크(55), 제2 장착블럭(57), 제2 유압실린더(52) 및 지지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덱크(55)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5)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덱크(55)에서는 작업자가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를 노의 용강 배출홀에서 해제하거나 또는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덱크(55)의 일측에는 상기 장치프레임(20)의 하부덱크(21)에 있는 작업자가 상기 상부덱크(55)로 올라와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다리부재(5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덱크(55)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5)보다는 넓은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 교체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장착블럭(57)은 상기 상부덱크(55)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는 상기 제2 장착블럭(57)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5)의 중심부 수직선상과 일치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5)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유압실린더(42)에 비교적 동일한 하중을 인가하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45)와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튜브 브릭(9)을 지지하며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의 로드(52b)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5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3)에는 출강구 튜브 브릭(9)이 안착되게 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의 로드(52b)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9)을 노의 용강 배출홀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20)은 제철설비의 구조물에 고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바디(60)의 상단에 안착되고 이동레일을 따라 노의 용강 배출홀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프레임(20)이 상기 대차바디(6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장치프레임(20)과 상기 대차바디(60)간에 연계되며 설치되는 고정수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안착블럭(71) 및 지지홈(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안착블럭(71)은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 자 형태의 철골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73)은 상기 안착블럭(71)이 상기 대차바디(6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블럭(7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함몰 구조로 상기 대차바디(6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블럭(71)이 상기 지지홈(73)에 안착되면, 상기 장치프레임(20)은 상기 대차바디(60)에 단단히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대차바디(60)의 이동간 상기 장치프레임(20)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교환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인 노의 출강구 교환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대차바디에 장착되어 전기로의 출강구 하단까지 이동하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1 단 승강하여 작업자가 작업 가능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2단 승강하여 작업자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체작업이 용이토록 교체용 출강구를 전기로의 하단까지 이동시킨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에서 출강구(9)를 교체하기 위해 우선 상기 대차바디(60)에 상기 장치프레임(20)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장착토록 한다. 물론 상기 장치프레임(20)은 상기 대차바디(60)에 항시 장착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하단에 고정된 상태로도 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에서 용강이 출강될 때 간섭이 없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대차바디(60)의 상단에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안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다음으로 상기 대차바디(60)를 가동시켜 이동레일을 따라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하단부로 상기 장치프레임(20)을 이동토록 한다.
상기 장치프레임(20)이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하단부에 어느 정도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측부에 설치된 계단부재(27)를 타고 상기 장치프레임(20)의 하부덱크(21)로 올라간 후 다시 사다리부재(56)를 타고 상기 상부덱크(55)로 한번 더 올라간다.
이때 작업자는 1명으로도 충분하며,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2명이 올라갈 수도 있다. 종래에는 천정 크레인 작업을 통해 출강구(8a)에 튜브 브릭(9)을 들어 올려 장착하였으므로, 큰 무게를 가진 튜브 브릭(9)의 이동방향을 잡아주며 조립하기 위해서는 수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였다.
이후 작업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1 유압실린더(42)의 로드(42b) 단부에 연결된 상기 승강플레이트(45)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상부덱크(55)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덱크(55)의 상승거리는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의 하단면에서 하방향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위치일 것이다. 이는 대략적으로 작업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1.5~1.8m 정도가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의 로드(52b) 단부에 장착된 지지대(53)를 상승시킨다. 상기 지지대(53)의 상단에는 교체용 출강구 튜브 브릭(9)이 안착되어 있고, 이는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53)의 상승거리는 튜브 브릭(9)이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는 거리일 것이다. 실제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은 1000kg 정도에 육박하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므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려 장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를 통해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을 장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유압실린더(52)에 의해 상기 지지대(53)가 상승되는 거리는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 하단면과 상기 상부덱크(55)간의 거리, 즉 대략 1.5~1.8m 정도일 수 있다.
출강구(9)가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에 완전히 삽입되면, 작업자는 출강구(8a)의 튜브 브릭(9)을 전기로의 용강 배출홀에 핀 체결 등으로 장착함으로써 출강구(9)의 교체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상태를 통해 지면에서부터 전기로의 출강구 하부까지 다단 승강되며 최소 인원을 통해 용이하게 출강구 튜브 브릭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출강구 튜브 브릭 교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장치프레임 21...하부덱크
30...다단 승강수단 40...제1 승강부
41...고정플레이트 42...제1 유압실린더
45...승강플레이트 50...제2 승강부
52...제2 유압실린더 53...지지대
55...상부덱크 60...대차바디
70...고정수단 71...안착블럭
73...지지홈

Claims (5)

  1. 노의 하부에 형성된 용강 배출홀에 조립되는 출강구 튜브 브릭(tube brick)을 교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프레임을 노의 용강 배출홀 하측으로 이동하는 대차바디;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의 교환시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이동하기 위해 노의 용강 배출홀 방향으로 다단 승강되며 작업공간의 레벨차를 보상하는 다단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 승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노의 용강 배출홀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 상기 제1 승강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교환하도록, 상기 제1 승강부의 위치에서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을 상기 노의 용강 배출홀까지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토록,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토록,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강구 튜브 브릭이 안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이 상기 대차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과 상기 대차바디간에 연계되며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착블럭; 및
    상기 안착블럭과 결합토록, 상기 안착블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대차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KR1020120131995A 2012-11-20 2012-11-20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KR10144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95A KR101446076B1 (ko) 2012-11-20 2012-11-20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95A KR101446076B1 (ko) 2012-11-20 2012-11-20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57A KR20140064557A (ko) 2014-05-28
KR101446076B1 true KR101446076B1 (ko) 2014-10-02

Family

ID=5089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95A KR101446076B1 (ko) 2012-11-20 2012-11-20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696B1 (ko) * 2023-05-09 2023-09-04 주식회사 하나테크 용해로용 내화 슬리브의 교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370A (ja) * 1996-03-19 1997-10-03 Kawasaki Steel Corp 直流電気炉の炉底部交換方法及び装置
JPH1025188A (ja) * 1996-07-12 1998-01-27 Super Silicon Kenkyusho:Kk ルツボ搬送台車
KR20100110162A (ko)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은일 전기로의 출탕구 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370A (ja) * 1996-03-19 1997-10-03 Kawasaki Steel Corp 直流電気炉の炉底部交換方法及び装置
JPH1025188A (ja) * 1996-07-12 1998-01-27 Super Silicon Kenkyusho:Kk ルツボ搬送台車
KR20100110162A (ko)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은일 전기로의 출탕구 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57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6192B (zh) 一种高炉检修冷却壁更换的吊装方法
CN205590191U (zh) 一种防超载式建筑塔吊
CN105420432B (zh) 一种高炉冷却壁的更换方法
CN106735159B (zh) 一种钢包带盖清渣装置
KR101446076B1 (ko) 노의 출강구 튜브 브릭 교환장치
CN109055637B (zh) 一种高炉大修中炉壳安装的液压提升工艺
KR101235614B1 (ko) 래들 리프팅 장치
CN218560878U (zh) 一种冶金天车车轮组整体更换辅助装置
CN112141874B (zh) 有限空间内除尘罩的安装方法
EP0837145B1 (en) Device to support and swing the heart in an electric furnace
CN219823381U (zh) 一种可自动钩拉环的龙门吊小钩
CN103058191B (zh) 自动开关门电石锅车
KR100777234B1 (ko) 전기로의 편심노저 출강구 오프너
CN205309288U (zh) 一种倾翻式兑铁运输车
KR100950365B1 (ko) 다단 구조의 루프를 가진 전기로
EP2636627A1 (en) Elevator
CN218646053U (zh) 一种移动式加料装置
CN216540816U (zh) 一种钢水包防喷溅装置
CN110479999B (zh) 钢包回转台升降油缸的更换方法
CN220334588U (zh) 基于悬臂电动葫芦机构的吊运系统
CN108870956B (zh) 一种针对回转窑内损坏扬料块的更换方法
CN209854184U (zh) 一种用于安装高炉冷却装置的结构
CN211626104U (zh) 一种匹配复合吹炼技术的电弧炉盖体升降装置
CN218134934U (zh) 一种移动式钢包盖
CN212419617U (zh) 一种铁水罐上罐架支撑座的落槽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