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007A - 치과용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치과용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007A
KR20100129007A KR1020090047730A KR20090047730A KR20100129007A KR 20100129007 A KR20100129007 A KR 20100129007A KR 1020090047730 A KR1020090047730 A KR 1020090047730A KR 20090047730 A KR20090047730 A KR 20090047730A KR 20100129007 A KR20100129007 A KR 2010012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driver
tip
finger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920B1 (ko
Inventor
장경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 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 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 덴탈
Priority to KR102009004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920B1/ko
Priority to PCT/KR2009/007317 priority patent/WO2010137782A1/ko
Publication of KR2010012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4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readle or manu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핸드 피스와는 달리 양 손을 모두 사용하여, 한 손으로는 손바닥과 손가락에 의하여 핸드 피스를 회전 전진시켜 매우 강한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한 손으로는 드라이버의 전진 방향을 정확히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강하고 정확한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강한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에 따른 환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과용 드라이버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치과용 드라이버{DENTAL DRIVER}
본 발명은 치과 치료 내지 치과 수술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과용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절삭력과 드라이버 전진력을 쉽게 인가할 수 있는 수동형 치과용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 내지 치과 수술 등을 위하여, 특히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의 천공 등을 목적으로 각종 전동 내지 공압용 핸드 피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치조골의 천공 등의 경우 드릴 팁을 핸드 피스에 장착한 후 치조골을 천공하게 되며, 이때 천공되는 치조골은 두가지의 힘을 동시에 받아야 한다.
첫번째 힘은 드릴 팁의 회전에 의한 회전 절삭력이며, 다른 하나의 힘은 드릴 팁이 치조골을 뚫고 전진하려는 전진력이다.
즉, 치조골에의 천공은 드릴 팁을 전진시키면서 뼈를 회전 절삭한다는 점에서, 드릴 팁의 전진력이 약할 경우 드릴 팁의 회전 절삭 작업은 공회전에 그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드 피스에 있어서 드릴 팁의 전진력은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존하 게 된다. 이는 전동이나 공압을 이용한 핸드 피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사용자의 누르는 힘은 드릴 팁이 전진하려는 방향과 일치할 때 가장 큰 전진력을 발휘하며,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드릴 팁의 전진 방향으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는 전진력이 약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천공 자체가 불량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치조골에의 천공 등을 고려한 종래의 핸드 피스 구조를 살핀다.
일반적으로 전동 핸드 피스는,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핸드 피스의 몸체부를 파지하게 되며, 상기 몸체부는 드릴 팁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핸드 피스의 몸체부를 잡고 정확하게 드릴 팁의 전진 방향으로 전진력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전진력을 높이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한다면 전진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힘이 인가되기 쉽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 손바닥으로 핸드 피스의 몸체부를 잡는 경우에도 핸드 피스의 형태가 드릴 팁에 대하여 축방향을 이루기 때문에 정확히 전진 방향으로 전진력을 인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전동 핸드 피스의 경우 그 회전 절삭의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드릴 팁의 전진력을 고려한다면 만족할 만한 시술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한편, 전동 핸드 피스 등의 경우 정전 등의 경우에 수술을 중단하여야 한다 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동형 핸드 피스가 제안되었다. 수동형 핸드 피스는 직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 절삭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수동형 핸드 피스는 회전 절삭력을 인가한다는 관점에서만 제안되었을 뿐이며, 전진력을 어떻게 인가할 것이지에 관하여 제시된 기술은 없다.
일반적인 수동 핸드 피스의 경우 도 2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지지되며, 그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힘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도 2과 같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면서 수동 핸드 피스를 회전시킬 경우 그 회전 절삭력이 매우 약할 뿐 아니라 전진력 또한 약하게 된다.
또한 수동형 핸드 피스의 경우 수동형 핸드 피스 전체가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수동형 핸드 피스의 회전시 수동형 핸드 피스가 직접 환자의 피부와 접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환자의 피부를 손상할 위험이 있으므로 그 사용을 꺼리게 된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수동 핸드 피스의 경우 전동/공압 핸드 피스의 일시적 대체품에 그치고 있을 뿐 전동 핸드 피스에 비하여 더나은 성능이나 시술 만족도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핸드 피스와는 달리 한 손의 손바닥과 손가락에 의하여 핸드 피스를 회전시켜 매우 강한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한 손으로는 드라이버의 전진 방향을 정확히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강하고 정확한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강한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에 따른 환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과용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으로 향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 형태를 가지며 그 주면에 중심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동방지 홈이 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손가락 파지부, 상기 손가락 파지부의 후단부에 형성되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형의 손바닥 지지부, 상기 손가락 파지부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드라이버 핸들 ;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고정 결합되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전달 부재 ;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전단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 ; 상기 회전 전달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단부가 중심축을 따 라 연장 형성되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전단부가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형성되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는 손가락 지지용 튜브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사용자의 제1손의 손가락들 선단에 의하여 파지되며, 상기 드라이버 핸들의 상기 손가락 파지부는 사용자의 제2손의 손가락들 선단에 의하여 파지되며, 상기 드라이버 핸들의 상기 손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2손의 손바닥에 의하여 지지되어, 사용자의 상기 제2손이 상기 드라이버 핸들을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면 상기 회전 전달 부재 및 상기 드라이버 팁 체결부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전진하고,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상기 제1손에 의하여 회전정지된 상태와 자세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고정 결합되며 전단부에 튜브 지지턱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직선 형태의 금속봉이며,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전면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전단부가 상기 튜브 지지턱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와이어 케이블의 후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중공이 형성된 케이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상기 체결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의 후단부가 상기 케이블 고정구의 전면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와이어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케이블은, 중앙의 심선용 강선과, 상기 심선용 강선의 주면에 제1나사방향으로 나선상으로 감기는 다수의 제1소선용 강선들과, 상기 심선용 강선에 감긴 제1소선용 강선들의 표면에 상기 제1나사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나사방향으로 나선상으로 감기는 다수의 제2소선용 강선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그 전단부가 그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형성되는 절곡 관체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고정결합되는 후방 결합부와, 상기 후방 결합부의 전방에 형성된 팁 체결부재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 체결부재 몸체에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팁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팁 삽입공의 후단부 일측에는 지지턱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팁 체결부재 몸체의 상기 팁 삽입공의 후단부 타측에는 상기 팁 삽입공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팁 체결부재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의 후단부로부터 중심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팔보가 형성되며, 상기 외팔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팁 삽입공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핸드 피스와는 달리 양 손을 모두 사용하여, 한 손으로는 손바닥과 손가락에 의하여 핸드 피스를 회전 전진시켜 매우 강한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한 손으로는 드라이버의 전진 방향을 정확히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강하고 정확한 회전 절삭력과 전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강한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에 따른 환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과용 드라이버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과용 드라이버는 종래의 전동 핸드 피스와 비교하는 경우에도 보다 우수한 시술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의거하여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6은 드릴 팁이 장착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드릴 팁과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의 결합 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드라이버 핸들(100), 회전 전달 부재,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드라이버 핸들(100)은 후단으로부터 손바닥 지지부(110), 손가락 파지부(120), 체결부(13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손바닥 지지부(110), 손가락 파지부(120), 체결부(1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중간에 위치하여 드라이버 핸들(100)의 기본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손가락 파 지부(120)는 전방으로 향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truncated circular cone), 즉 원뿔의 상단이 밑면과 평행하게 잘려진 형태를 가진다.
손가락 파지부(120)의 주면에는 중심축방향으로 길게 회동방지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방지 홈(121)은 손가락 파지부(120)의 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있다.
손가락 파지부(120)의 후단부에는 손바닥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손바닥 지지부(110)는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형을 이룬다.
손가락 파지부(120)의 전단부에는 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30)에는 회전 전달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131)과 상기 삽입공(13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형성된 나사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공(132)에는 고정 나사(133)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전달 부재는 중심축방향을 따라 길게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금속봉(210)이다.
따라서 금속봉(210)의 후단부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며 금속봉(210)의 전단부는 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연장된다.
금속봉(210)은 후단부가 상기 삽입공(131)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131)에 삽입된 금속봉(210)에는 고정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봉(210)의 후단부를 삽입공(131)에 삽입한 후, 나사공(132)에 고정 나사(133)를 결합시켜 전진시키면, 고정 나사(133)의 선단부가 고정홈(211)에 접할 때까지 전진하여 금속봉(210)의 회전이 방지되며, 아울러 금속봉(210)이 체결 부(130)에 고정 결합된다.
아울러 금속봉(210)의 전단부에는 튜브 지지턱(212)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금속봉(210)의 전단부에는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가 고정 결합된다.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금속봉(210)의 전단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금속봉(210)과 동일한 축중심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금속봉(210)에 나사결합된 후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였지만,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와 금속봉(210)의 고정 결합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 핸들(100)을 회전시키면 이에 고정 결합된 금속봉(210) 및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가 함께 회전된다.
한편, 금속봉(210)을 감싸도록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가 마련된다.
즉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내부에 금속봉(21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는 그 형태가 직선 형태이며, 금속 재질이다.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는 그 후단부가 체결부(130)의 전면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아울러 그 전단부가 튜브 지지턱(212)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는 내부에 마련된 금속봉(2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므로, 금속봉(210)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에 의하여 그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다.
금속봉(210)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된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회전 전달 부재인 금속봉(210)에 고정 결합되는 후방 결합부(310)와, 후방 결합부(310)의 전방에 형성된 팁 체결부재 몸체(320)로 이루어진다.
후방 결합부(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금속봉(210)에 나사결합된 후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팁 체결부재 몸체(320)에는 팁 삽입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팁 삽입공(321)은 전단이 개구되며 회전 전달 부재인 금속봉(210)의 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팁 삽입공(321)의 후단부 일측에는 지지턱(322)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팁 삽입공(321)의 후단부 타측에는 팁 체결부재 몸체(320)에 개구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23)는 슬롯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팁 삽입공(321)이 외부로 연통된다. 개구부(323)는 팁 삽입공(321) 내부의 세척을 위한 목적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외팔보(324)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개구부(323)가 형성된 팁 체결부재 몸체(320)에 개구부(323)의 후단으로부터 중심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팔보(324)가 형성되며, 외팔보(324)의 전단에는 팁 삽입공(321)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고정편(3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에 드릴 팁과 같은 드라이버 팁이 체결되는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의하여 설명된다.
드릴 팁과 같은 드라이버 팁(10)은 전방에 형성되는 선단부(11)와 선단부(11)의 후방에 형성되는 결합부(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2)는 긴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의 다리부(12a)와, 다리부(12a)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되는 고정용 홈(12b)과, 다리부(12a)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절결턱(12c)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드라이버 팁(10)의 다리부(12a)를 팁 삽입공(321)에 삽입함으로써 드라이버 팁(10)이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절결턱(12c)이 지지턱(322)과 맞물리면서 드라이버 팁(10)의 회동이 금지된다.
아울러 외팔보(324)의 고정편(325)이 고정용 홈(12b)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면서 드라이버 팁(10)의 분리가 억제된다. 물론 강한 힘으로 드라이버 팁(10)을 외부로 당기면 외팔보(324)가 조금 벌려지면서 드라이버 팁(10)이 외부로 분리된다.
드라이버 팁(10)은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와 함께 회동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아울러 드라이버 팁(10)은 치과 시술 내지 수술에 적합한 여러가지 형태가 번갈아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분리 및 체결이 간편하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를 금속봉(210)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시키며, 다음으로 금속봉(210)의 후단부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를 삽입 통과하도록 한 후 드라이버 핸들(100)의 체결부(130)에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치과용 드라이버는 도 8과 같이 양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왼손으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후단부를 잡는다.
이때 왼손의 손가락들 선단에 의하여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후단부를 잡는다. 이때 왼손의 역할은 본 치과용 드라이버에 회동력과 전진력이 인가될 때에도 그 자세를 유지하여 전진력이 드라이버 팁(10)의 축방향에 일치하게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왼손의 역할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회전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역할을 감안하여, 파지하기 쉽게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후단부는 그 전단부에 비하여 확대된 외경을 가진다.(도 3 및 도 4 참조)
사용자의 오른손은 손바닥과 손가락 모두가 이용된다.
즉, 오른손의 손바닥은 드라이버 핸들(100)의 손바닥 지지부(110)에 지지되며, 오른손의 손가락은 드라이버 핸들(100)의 손가락 파지부(120)를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른손을 밀면서 돌려 본 치과용 드라이버에 회전 절삭 력과 전진력을 인가한다.
이때 드라이버 핸들(100)은 오른손의 손가락의 힘과, 오른팔의 힘을 모두 이용하게 된다.
즉, 오른손의 손가락과 오른손의 손바닥에 의하여 동시에 드라이버 핸들(100)이 회전력을 받게 되며, 아울러 오른손의 손가락과 손바닥에 의하여 동시에 드라이버 핸들(100)이 전진력을 받게 된다.
이때 오른손의 손바닥은 가급적 드라이버 핸들(100)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손바닥 지지부(11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손가락 파지부(120)의 후단은 그 전단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진다. 물론 손바닥 지지부(110)는 손가락 파지부(120)의 후단의 큰 직경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손가락 파지부(120)는 전단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짐으로써 손바닥과 손가락을 잡은 상태에서의 힘의 방향성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드라이버 핸들(100)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전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파지부(120)에 형성된 회동방지 홈(121)은 보다 확실한 파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본 치과용 드라이버는 보다 강한 회전 절삭력과 보다 강한 전진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동 핸드 피스 내지 종래의 수동형 핸드 피스와 비교할 때 보다 나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치과용 드라이버는 약한 전진력으로 인한 공회전이 거의 없으며 아울러 축방향을 따라 곧바로 전진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조작하는 규칙적인 힘과 그 회전시킨 횟수에 따라 드라이버 팁이 전진한 거리가 거의 일정하게 되어 시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와이어 케이블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9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후단부의 연장선과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전단부의 연장선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전 전달 부재로서 직선 형태의 금속봉(210)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대신 와이어 케이블(220)를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크게 드라이버 핸들(100), 회전 전달 부재,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버 핸들(100)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전달 부재는 와이어 케이블(220)을 이용하였다.
와이어 케이블(2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선용 강선(221), 제1소선 용 강선들(222), 제2소선용 강선들(223)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심선용 강선(221)은 중앙에 위치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제1소선용 강선(222)들은 심선용 강선(221)의 주면에 제1나사방향(예컨대 오른나사방향)으로 나선상으로 감긴다.
이와 같이 제1소선용 강선(222)들이 심선용 강선(221)의 주면에 감긴 후, 제2소선용 강선(223)들이 제1소선용 강선(222)들의 표면에 나선상으로 감긴다.
이때 제2소선용 강선(223)들을 감는 방향은 제1소선용 강선(222)들의 감는 방향과 반대방향이다. 예컨대 왼나사방향으로 감기게 된다.
만일 중앙의 심선용 강선(221) 주위로 소선용 강선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다면,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을 잡고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그 회전 방향은 소선용 강선들이 풀리는 방향이 될 수 있어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일부의 회전력이 소선용 강선에 흡수되면서 전달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소선용 강선(222)들과 제2소선용 강선(223)들을 마련하고 이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도록 한다면 이러한 문제는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즉, 본 와이어 케이블(220)은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는지 관계없이 후단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전단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부는 케이블 고정구(230)에 형성된 삽입중공에 삽입 결합된다. 와이어 케이블(220)과 케이블 고정구(230)의 보다 완벽한 고정 결합 을 위하여 케이블 고정구(230)의 삽입중공에 접착제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와이어 케이블(220) 자체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와 같이 편심 연장된 구조를 가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와이어 케이블(220)이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 내부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와이어 케이블(220) 또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부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며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는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케이블 고정구(230)가 삽입공(131)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131)에 삽입된 케이블 고정구(230)의 외주면에는 고정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케이블(220)이 고정 결합된 케이블 고정구(230)를 삽입공(131)에 삽입한 후, 나사공(132)에 고정 나사(133)를 결합시켜 전진시키면, 고정 나사(133)의 선단부가 고정홈(231)에 접할 때까지 전진하여 케이블 고정구(230)의 회전이 방지되며, 아울러 케이블 고정구(230)가 체결부(130)에 고정 결합되며, 아울러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부가 체결부(130)에 고정 결합된다.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에는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가 고정 결합된다.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 내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전단부와 동일한 축중심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그 후방에 후방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가 후방 결합부(310)에 삽입되며 접착제 등에 의하여 긴밀히 고정 결합된다. 물론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와 와이어 케이블(220)의 고정 결합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 핸들(100)을 회전시키면 이에 고정 결합된 케이블 고정구(230), 와이어 케이블(220) 및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와이어 케이블(220)을 감싸도록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가 마련된다.
즉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내부에 와이어 케이블(2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와이어 케이블(220)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절곡되게 된다.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는 그 전단부의 연장선과 그 후단부의 연장선이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이격되어 있는 절곡 관체의 형태이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는 그 후단부가 케이블 고정구(230)의 전면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아울러 그 전단부가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에 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는 내부에 마련된 와이어 케이블(2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므로, 와이어 케이블(220)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에 의하여 그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다.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된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는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서, 회전 전달 부재인 와이어 케이블(220)에 고정 결합되는 후방 결합부(310)와, 후방 결합부(310)의 전방에 형성된 팁 체결부재 몸체(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300)를 와이어 케이블(220)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시키며, 다음으로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부가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를 삽입 통과하도록 한 후 와이어 케이블(220)의 후단부를 케이블 고정구(230)에 고정 결합시키며, 이후 케이블 고정구(230)를 드라이버 핸들(100)의 체결부(130)에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그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치과용 드라이버는 도 13과 같이 양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의 설명은 도 8의 설명과 크게 다를 바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왼손으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후단부를 잡는다.
이때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후단부는 드라이버 핸들(100)의 중심축의 연장선을 따라 연장된다는 점을 주의바란다.
만일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왼손으로 손가락 지지용 튜브(400)의 전단부를 잡는다면 오른손으로 인가하는 힘은 왼손의 지지점에 대하여 토크를 인가하게 되는 결과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아울러 인간의 동작 특성상 정확한 전진력을 인가하는 것도 쉽지 않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 치료 내지 치과 수술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과용 드라이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핸드 피스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드릴 팁이 장착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드릴 팁과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의 결합 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B-B 기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분리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와이어 케이블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9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드라이버 핸들 110 : 손바닥 지지부
120 : 손가락 파지부 130 : 체결부
210 : 금속봉 220 : 와이어 케이블
230 : 케이블 고정구
300 :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
400 : 손가락 지지용 튜브

Claims (6)

  1. 전방으로 향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 형태를 가지며 그 주면에 중심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동방지 홈이 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손가락 파지부, 상기 손가락 파지부의 후단부에 형성되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형의 손바닥 지지부, 상기 손가락 파지부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드라이버 핸들 ;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고정 결합되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전달 부재 ;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전단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 ;
    상기 회전 전달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단부가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전단부가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형성되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는 손가락 지지용 튜브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사용자의 제1손의 손가락들 선단에 의하여 파지되며, 상기 드라이버 핸들의 상기 손가락 파지부는 사용자의 제2손의 손가락들 선단에 의하여 파지되며, 상기 드라이버 핸들의 상기 손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2손의 손바닥에 의하여 지지되어, 사용자의 상기 제2손이 상기 드라이버 핸들을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면 상기 회전 전달 부재 및 상기 드라이버 팁 체결부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전진하고,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상기 제1손에 의하여 회전정지된 상태와 자세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고정 결합되며 전단부에 튜브 지지턱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직선 형태의 금속봉이며,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전면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전단부가 상기 튜브 지지턱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라이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와이어 케이블의 후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중공이 형성된 케이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상기 체결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의 후단부가 상기 케이블 고정구의 전면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라이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와이어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케이블은, 중앙의 심선용 강선과, 상기 심선용 강선의 주면에 제1나사방향으로 나선상으로 감기는 다수의 제1소선용 강선들과, 상기 심선용 강선에 감긴 제1소선용 강선들의 표면에 상기 제1나사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나사방향으로 나선상으로 감기는 다수의 제2소선용 강선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라이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용 튜브는 그 전단부가 그 후단부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형성되는 절곡 관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라이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팁 체결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고정결합되는 후방 결합부와, 상기 후방 결합부의 전방에 형성된 팁 체결부재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 체결부재 몸체에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전단부의 연장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팁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팁 삽입공의 후단부 일측에는 지지턱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팁 체결부재 몸체의 상기 팁 삽입공의 후단부 타측에는 상기 팁 삽입공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팁 체결부재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의 후단부로부터 중심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팔보가 형성되며,
    상기 외팔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팁 삽입공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라이버.
KR1020090047730A 2009-05-29 2009-05-29 치과용 드라이버 KR10103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30A KR101033920B1 (ko) 2009-05-29 2009-05-29 치과용 드라이버
PCT/KR2009/007317 WO2010137782A1 (ko) 2009-05-29 2009-12-08 치과용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30A KR101033920B1 (ko) 2009-05-29 2009-05-29 치과용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007A true KR20100129007A (ko) 2010-12-08
KR101033920B1 KR101033920B1 (ko) 2011-05-11

Family

ID=4350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730A KR101033920B1 (ko) 2009-05-29 2009-05-29 치과용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518A (en) * 2017-03-13 2018-09-19 Bonov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14B1 (ko) * 2016-01-20 2017-04-04 김영재 외과용 핸드드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1300B2 (ja) 1999-07-05 2009-06-03 グンゼ株式会社 医療用ドライバー
KR100354125B1 (ko) 2000-04-06 2002-09-28 장상건 치과용 매뉴얼 핸드래치리머
JP2003047621A (ja) 2001-08-03 2003-02-18 Gc Corp ガイド付歯科インプラント用ドライバ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518A (en) * 2017-03-13 2018-09-19 Bonov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GB2562575A (en) * 2017-03-13 2018-11-21 Bonov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US11129699B2 (en) 2017-03-13 2021-09-28 Bonovate Limited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GB2562575B (en) * 2017-03-13 2022-11-30 Bonov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GB2608084A (en) * 2017-03-13 2022-12-21 Bonov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GB2608084B (en) * 2017-03-13 2023-04-05 Bonov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EP3609430B1 (en) * 2017-03-13 2023-08-02 Bonovate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ntal treatment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920B1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8810B2 (ja) 回転アセンブリを備える鉗子
US20170340351A1 (en) Flexible trocar assembly for surgical circular stapling devices
EP0746242B1 (en) Rotatable clevis assembly for a flexible microsurgical instrument
EP2629828B1 (en) Apparatus for rotating medical devices, systems including the apparatus
US5947996A (en) Yoke for surgical instrument
US6602262B2 (en) Medical device having linear to rotation control
JP4056989B2 (ja) 内視鏡処置具
JP2016530968A (ja) 腹腔鏡鉗子アセンブリ
EP2627262B1 (en)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JP2009050697A (ja) 関節内視鏡器具
JP3634644B2 (ja)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
US20040098006A1 (en) Medical handpiece and cutting tool therefor
WO2014018447A1 (en) Surgical instrument that, in real time, is adjustably bendable
JP5513700B1 (ja) 内視鏡処置具の進退補助具と内視鏡システム
JPH0331449B2 (ko)
JPS63117742A (ja) 内視鏡用処置具
RU2599325C2 (ru) Канюлированный направитель
US5490861A (en) Track guided end effector assembly for use with endoscopic instruments
EP2386255B1 (en)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CN115317080A (zh) 便于操作的具有弯曲和无限旋转功能的微创手术器械
KR101033920B1 (ko) 치과용 드라이버
KR20190011102A (ko)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KR100926355B1 (ko) 치과용 드라이버
JP2001170063A (ja)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装置
CA2194775A1 (en) Track guided end eff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