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645A - 보안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645A
KR20100128645A KR1020090047153A KR20090047153A KR20100128645A KR 20100128645 A KR20100128645 A KR 20100128645A KR 1020090047153 A KR1020090047153 A KR 1020090047153A KR 20090047153 A KR20090047153 A KR 20090047153A KR 20100128645 A KR20100128645 A KR 2010012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bnormal situation
camera unit
camera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120B1 (ko
Inventor
정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너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너시스
Priority to KR102009004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출력하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 발생기준 및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 및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PC의 요청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안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감시구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가 상기 감시구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에 대해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메라부, 클라이언트 PC, 관리서버

Description

보안 감시시스템{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출력하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 발생기준 및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 및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PC의 요청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안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및 전자통신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빌딩이나 아파트에 보안 감시시스템의 수요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통상의 보안 감시시스템에서는 카메라와 같은 보안/방재장비를 지하 주차장 이나 인적이 드문지역, 안전사고, 화재, 도난사고 등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 설치하고, 관리실 또는 방재실 등에서 설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이를 DVR 등에 녹화 저장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관리자 또는 보안 시스템운영자가 지속적으로 감시영상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감시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감시구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감시구역에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로 이상상황을 전송하여 관리자가 이상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보안 감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감시구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가 상기 감시구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에 대해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보안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출력하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 발생기준 및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 및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PC의 요청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부의 초기 촬영위치를 설정하는 셋팅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상하좌우회전이동, 줌인, 줌아웃 및 초기 촬영위치로의 복귀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설정하는 감시구역설정부와;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 기준을 설정하는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와;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알리는 알람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출력하는 이벤트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특정장소의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그패픽으로 출력하는 트랜드부와; 상기 이벤트부가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과 상기 트랜드부가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측정값을 엑셀 출력하는 리포트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하는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에는 상기 감시구역의 색상감도 가변허용범위값이 입력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에 입력된 가변허용범위값을 근거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관리서버에는 이상상황이 발생된 상기 감시구역 영상과 이상상황이 발생되기 전의 상기 감시구역 영상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관리서버는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관리프로그램에는 특정장소에 설치된 온도계, 보일러, 공조기, 펌프, 송풍기, 물탱크를 포함한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감시구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가 상기 감시구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에 대해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관리프로그램이 셋팅부, 컨트롤부, 감시구역설정부,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 알람부, 이벤트부, 트랜드부, 리포트부 및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리자가 상기 감시구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에 입력된 가변허용범위값을 근거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관리서버가 오차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전송부로 인해 관리자가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단말기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관리서버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상기 감시구역의 영상과 이상상황이 발생되기 전의 상기 감시구역의 영상이 저장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전후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가 네트워크 카메라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경우 클라이언트 PC와 별도의 장비없이도 상기 감시구역을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관리프로그램에 특정장소에 설치된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가 구비됨에 따라 특정장소를 감시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특정장소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안 감시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안 감시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카메라부(10), 클라이언트 PC(30) 및 관리서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카메라부(10)는 축사, 공장, 실내공간 등을 포함한 특정장소 및 축사, 공장,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온도계, 보일러, 공조기, 펌프, 송풍기, 물탱크 등의 장비가 설치된 특정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PC(30) 및 상기 관리서버(5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통신망은 통상적으로 인터넷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30)는 예를 들어, 특정장소를 관리하는 관리실(5)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PC(30)에는 상기 관리서버(50)로부터 제공받은 관리프로그램(310)이 설치된다.
여기서, 관리자는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1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PC(30)는 상기 카메리부(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을 통해 수신한 상기 카메라부(10)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 발생기준 및 상기 카메라부(10)의 동작을 설정한다.
도 2는 클라이언트 PC(30)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3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PC(30)에 설치된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부(10)의 초기 촬영위치를 설정하는 셋팅부(311)와; 상기 카메라부(10)의 상하좌우회전이동, 줌인, 줌아웃 및 초기 촬영위치로의 복귀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부(312)와; 상기 카메라부(10)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설정하는 감시구역설정부(313)와;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 기준을 설정하는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314)와;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알리는 알람부(315)와; 상기 카메라부(10)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출력하는 이벤트부(316)와;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하는 특정장소의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트랜드부(317)와; 상기 이벤트부(316)가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부(10)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과 상기 트랜드부(317)가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측정값을 엑셀 출력하는 리포트부(318)와; 상기 카메라부(10)의 촬영영상을 요청하는 캠부(319);를 포함하 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관리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의 셋팅부(311)에 예를 들어, X, Y좌표값을 입력하여 상기 카메라부(10)의 초기 촬영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셋팅부(311)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입력된 X, Y좌표값을 상기 관리서버(30)로 출력하게 되고, 이때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셋팅부(31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가 초기 촬영위치를 향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의 컨트롤부(312)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부(10)를 상하좌우회전이동시키는 상하좌우버튼과; 상기 카메라부(10)를 줌인시키는 줌인버튼과; 상기 카메라부(10)를 줌아웃시키는 줌아웃버튼과; 상하좌우회전이동 및 줌인, 줌아웃된 상태의 상기 카메라부(10)를 초기 촬영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감시구역설정부(313)에 예를 들어, X, Y좌표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특정감시구역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 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314)에 상기 감시구역의 색상감도 예를 들어, RGB색상감도 가변허용범위값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314)는 입력된 가변허용범위값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50)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에 입력된 가변허용범위값을 근거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초 감시구역 영상에서 색상감도 변화가 발생할 경우 상기 관리서버(50)는 최초 감시구역 영상에서 발생된 색상감도 변화값이 상기 가변허용범위값 미만일 경우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감시구역에 이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달리, 최초 감시구역 영상에서 발생된 색상감도 변화값이 상기 가변허용범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감시구역에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관리서버(50)가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314)에 입력된 가변허용범위값을 근거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관리서버(50)가 오차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관리서버(50)가 상기 감시구역에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될 경우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의 알람부(315)는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 PC(30)와 연결된 스피커 등의 경보부재를 통해 벨소리 등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관 리자에게 상기 감시구역에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이벤트부(316)을 클릭할 시 상기 이벤트부(316)는 상기 카메라부(10)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 등을 날짜별, 년도별, 일별 등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로 화면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트랜드부(317)를 클릭할 시 상기 트랜드부(317)는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하는 특정장소의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막대, 곡선 그래프 등의 그래픽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부(10)가 촬영하는 특정장소에는 특정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지된 온도센서를 포함한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센서부가 출력하는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수신한 후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트랜드부(317)로 수신한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전송하게 되고, 이때 상기 트랜드부(317)는 전송받은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날짜별, 년도별, 일별 등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막대, 곡선 그래프 등의 그래픽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리포트부(318)을 클릭할 시 상기 리포 트부(318)는 상기 이벤트부(316)가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과 상기 트랜드부(317)가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측정값을 엑셀화화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캠부(319)를 클릭할 시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는 상기 카메라부(10)가 현재 촬영하고 촬영영상이 출력된다.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이 상기 셋팅부(310), 컨트롤부(312), 감시구역설정부(313),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314), 알람부(315), 이벤트부(316), 트랜드부(317), 리포트부(318) 및 상기 캠부(3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리자가 상기 감시구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관리자의 단말기(70)로 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70)는 상기 클라이언트 PC(30) 및 카메라부(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 PC(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관리실(5)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70)는 상기 카메라부(10)의 촬영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을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요청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클라 이언트 PC(30)에 제공된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7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7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70)로 단문메세지로 전송하는 SMS전송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기(70)는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70)로 전송하는 상기 SMS전송부(510)로 인해 관리자가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단말기(7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50)에는 이상상황이 발생된 상기 감시구역 영상과 이상상황이 발생하기 전의 상기 감시구역 영상이 저장되는 것이 좋다.
상기 관리서버(5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상상황이 발생된 상기 감시구역 영상과 이상상황이 발생되기 전의 상기 감시구역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50)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상기 감시구역의 영상과 이상상황이 발생되기 전의 상기 감시구역의 영상이 저장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전후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네트워크 카메라(90)와 연결되는 관리서버(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공지된 네트워크 카메라(9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50)에는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90)가 촬영한 영상에서 감시할 특정 감시구역이 미리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기준 또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관리서버(5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관리서버(50)에 미리 설정된 상기 감시구역의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감시구역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관리서버(50)에 미리 설정된 이상상황발생기준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이상상황발생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50)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9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PC(30)와 별도의 장비없이도 상기 감시구역을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에는 특정장소에 설치된 온도계, 보일러, 공조기, 펌프, 송풍기, 물탱크를 포함한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309)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관리서버(50)는 예를 들어, 특정장소에 설치된 상기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관리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3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의 작동부(309)를 ON 및 OFF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31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작동부(309)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장비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로 상기 작동부(309)가 출력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309)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장비를 구동시키거나 상기 장비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관리프로그램(310)에 특정장소에 설치된 상기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작동부(309)가 구비됨에 따라 특정장소를 감시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특정장소에 설치된 상기 장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클라이언트 PC(30)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0)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감시구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관리서버(50)가 상기 감시구역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70)로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에 대해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안 감시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클라이언트 PC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는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관리실, 10; 카메라부,
30; 클라이언트 PC, 310; 관리프로그램,
309; 작동부, 311; 셋팅부,
312; 컨트롤부, 313; 감시구역설정부,
314;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 315; 알람부,
316; 이벤트부, 317; 트랜드부,
318; 리포트부, 319; 캠부,
50; 관리서버, 510; SMS전송부,
530; 메모리부, 70; 단말기,
90; 네트워크 카메라.

Claims (7)

  1.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출력하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 발생기준 및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 및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PC의 요청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부의 초기 촬영위치를 설정하는 셋팅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상하좌우회전이동, 줌인, 줌아웃 및 초기 촬영위치로의 복귀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을 설정하는 감시구역설정부 와;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 기준을 설정하는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와;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알리는 알람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출력하는 이벤트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특정장소의 온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그패픽으로 출력하는 트랜드부와;
    상기 이벤트부가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상태 및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과 상기 트랜드부가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측정값을 엑셀 출력하는 리포트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하는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에는 상기 감시구역의 색상감도 가변허용범위값이 입력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상상황발생기준설정부에 입력된 가변허용범위값을 근거로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이상상황이 발생된 상기 감시구역 영상과 이상상황이 발생되기 전의 상기 감시구역 영상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프로그램에는 특정장소에 설치된 온도계, 보일러, 공조기, 펌프, 송풍기, 물탱크를 포함한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
KR1020090047153A 2009-05-28 2009-05-28 보안 감시시스템 KR10108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53A KR101080120B1 (ko) 2009-05-28 2009-05-28 보안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53A KR101080120B1 (ko) 2009-05-28 2009-05-28 보안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645A true KR20100128645A (ko) 2010-12-08
KR101080120B1 KR101080120B1 (ko) 2011-11-04

Family

ID=4350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153A KR101080120B1 (ko) 2009-05-28 2009-05-28 보안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61A (ko) * 2014-09-16 2016-03-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벤트 발생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22B1 (ko) 2023-05-23 2024-02-13 이정규 열회수형 환기장치용 광촉매 및 플라즈마 일체형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61A (ko) * 2014-09-16 2016-03-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벤트 발생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120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417B2 (ja) 拡張現実技術を利用した保守・監視システム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JP2003061076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114884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of a facility control room using virtual reality
KR20130119662A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43543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7097702A (ja) 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制御装置
JP2008181293A (ja) オペレータ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90046310A (ko) Cctv 카메라 영상 장애 관리 시스템
KR101080120B1 (ko) 보안 감시시스템
KR101113418B1 (ko)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JP5789230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
KR10161697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20160020748A (ko) Cctv 관리 시스템
TWI659399B (zh) 威脅檢測資訊分配系統及方法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1070262A (ja) 危険管理自動化方法及びシステム
JP6322304B2 (ja)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JP2009100198A (ja) 監視システム
GB2574009A (en) Fire alarm system and integration
KR100919298B1 (ko) 위험관리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822709B1 (ko) 감시장치
JP4958432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929977B1 (ko) 제어장비 이상검출 통보 및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