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626A - 스탠드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626A
KR20100128626A KR1020090047129A KR20090047129A KR20100128626A KR 20100128626 A KR20100128626 A KR 20100128626A KR 1020090047129 A KR1020090047129 A KR 1020090047129A KR 20090047129 A KR20090047129 A KR 20090047129A KR 20100128626 A KR20100128626 A KR 2010012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coupling shaft
hinge
elastic member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대영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오앤이 filed Critical (주)대영오앤이
Priority to KR102009004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626A/ko
Publication of KR2010012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의 하부관절 상단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힌지공이 형성된 제 1, 2 연결부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관절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힌지공이 형성된 제 3 연결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결부의 힌지공들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관절을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축을 포함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절의 제 3 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절과 같이 회전가능한 접촉 플레이트; 상기 결합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마찰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부관절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결합축의 일측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축을 지지하는 캡부; 상기 결합축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상기 캡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캡부와 상기 결합축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축을 상기 접촉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동 플레이트를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마찰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탠드, 관절, 힌지, 스프링

Description

스탠드의 힌지장치{a stand hinge apparatus}
본 발명은 스탠드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탠드의 관절부를 필요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더라도 스탠드의 관절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는 공간의 일부분을 편중 조명하기 위한 기구로서, 설치장소별, 기능별, 형태별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탠드는, 바닥에 착지되는 받침대(1), 상기 받침대(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관절(2), 상기 하부관절(2)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상부관절(3), 상기 상부관절(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램프헤드(4)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관절(2)의 상단 양측에는 제 1 및 제 2 연결부(2a, 2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2a)에는 제 1 힌지공(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부(2b)에는 제 2 힌지공(7)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절(3)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제 1, 2 연결부(2a, 2b) 사이에 삽 입되어 안착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 1, 2 힌지공(6, 7)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 3 힌지공(8)을 갖는 제 3 연결부(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2, 3 연결부(2a, 2b, 3a)는 힌지부(5)에 의하여 관통되는바, 상기 힌지부(5)는 상기 제 1 연결부(2a)의 제 1 힌지공(6)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연결부(2b)의 제 2 힌지공(7)으로 돌출되는 볼트부(5a)와, 상기 볼트부(5a)의 타단과 결합되는 너트부(5b)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힌지부(5)의 너트부(5b)를 풀거나 잠금으로써, 상기 관절부(3)를 원하는 높낮이로 각도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상기 램프헤드(4)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절부(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힌지부(5)의 너트부(5b)를 풀거나 잠그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5b)가 약하게 잠겨졌거나, 잦은 사용으로 인한 마모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상부관절(3)이 고정되지 못하고 상기 램프헤드(4)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탠드의 상부관절을 용이하게 각도조절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관절이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램프헤드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탠드의 하부관절 상단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힌지공이 형성된 제 1, 2 연결부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관절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힌지공이 형성된 제 3 연결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결부의 힌지공들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관절을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축을 포함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절의 제 3 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절과 같이 회전가능한 접촉 플레이트; 상기 결합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마찰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부관절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결합축의 일측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축을 지지하는 캡부; 상기 결합축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상기 캡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캡부와 상기 결합축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축을 상기 접촉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동 플레이트를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마찰접촉시키는 탄성부 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힌지장치에 의하면, 힌지부에 별도의 동작을 행하지 않아도 스탠드의 상부관절이 각도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부관절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부를 결합할 때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조립 및 해제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축과 캡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결합축의 제동플레이트가 탄성부재의 압축력에 의해 상부관절의 접촉플레이트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부관절이 각도 조절된 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힌지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요소 혹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힌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걸림부와 측벽에 형성된 환형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힌지장치는, 배경기술 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하부관절(2)의 제 1, 2 연결부(2a, 2b)와, 상기 제 1, 2 연결부(2a, 2b) 사이에 삽입되는 상부관절(3)의 제 3 연결부(3a)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스탠드의 힌지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결부(2a, 2b, 3a)에 형성된 제 1, 2 힌지공(6, 7, 8)들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관절(3) 및 하부관절(2)을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축(10); 상기 상부관절(3)의 제 3 연결부(3a)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절(3)과 같이 회전가능한 접촉플레이트(S1); 상기 결합축(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플레이트(S1)와 마찰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부관절(3)을 일정 각도록 고정시키는 제동플레이트(14); 상기 제 2 연결부(2b)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축(10)의 일측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축(10)을 지지하는 캡부(20); 상기 결합축(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플레이트(14)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캡부(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15); 상기 걸림부(15)와 상기 캡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축(10)을 상기 제동플레이트(14)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플레이트(S1)는, 상기 상부관절(3)의 제 3 연결부(3a)의 일측에 형성된 제 3 힌지공(8)의 내주면 일부에서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축(10)은 수평축(13);과 상기 수평축(13)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연결부(2a)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의 머리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플레이트(14)는, 상기 수평축(13)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구비되며 원판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플레이트(S1)와 마찰접촉되는 상기 제동플레이트(14)의 일면(14a)에는 다수의 미세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접촉플레이트(S1)와 마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15)는, 상기 수평축(13)의 선단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 1 홈(15a)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절개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부(20)는, 상기 제 2 연결부(2b)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30)의 타단을 가압하는 원판형상의 몸체(21); 상기 몸체(21)의 내측면 테두리와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수평으로 돌출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부(15)의 절개부(15b)를 통과하여 상기 제동플레이트(14)와 걸림부(15)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삽입되어 걸리어지도록 단턱부(23a)가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편(2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21)의 외측면은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21b)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1b)에는 손잡이 파지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1)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22)에는 상기 탄성부재(3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 2 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2)는 상기 탄성부재(30)를 효율적으로 가압하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15)의 제 1 홈(15a)과, 상기 볼록부(22)의 제 2 홈(22a)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30)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환형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걸림부(15)의 제 1 홈(15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캡부(20)의 제 2 홈(22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걸림부(15)를 접촉플레이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고무 혹은 합성수지체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힌장장치의 작동과정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캡부(20)의 손잡이 파지부(21a)를 파지하여 상기 제 2 연결부(2b)의 내부로 상기 캡부(20)를 삽입한다.
그 다음, 상기 캡부(20)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30)를 압축시킨 뒤, 상기 캡부(20)의 걸림편(23)을 상기 걸림부(15)에 형성된 절개부(15b)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캡부(20)를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23)의 단턱부(23a)가 상기 걸림부(15)에 걸리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캡부(20)가 상기 결합축(10)의 걸림부(15)와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탄성부재(30)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15)를 밀어주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동플레이트(14)의 일면(14a)이 상기 제 3 연결부(3a)의 접촉플레이트(S1)와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접촉플레이트(S1)를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캡부(20)를 상기 결합축(10)의 걸림부(15)와 체결하면, 상기 제 3 연결부(3a)의 접촉플레이트(S1)가 상기 제동플레이트(14)에 의하여 가압을 받기 때문에, 상기 상부관절(3)이 상기 하부관절(2)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상부관절(3)을 파지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힘이 탄성부재(3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접촉플레이트(S1)를 가압하는 상기 제동플레이트(14)의 가압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용자의 각도조절이 끝나면 상기 제 3 연결부(3a)의 접촉플레이트(S1)를 가압하는 상기 제동플레이트(14)의 가압력이 외부의 힘에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플레이트(S1)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관절(3)이 상기 하부관절(2)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스탠드 힌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걸림부와 측벽에 형성된 환형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Claims (5)

  1. 스탠드의 하부관절 상단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힌지공이 형성된 제 1, 2 연결부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관절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힌지공이 형성된 제 3 연결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결부의 힌지공들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관절을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축을 포함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절의 제 3 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절과 같이 회전가능한 접촉 플레이트;
    상기 결합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마찰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부관절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결합축의 일측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축을 지지하는 캡부;
    상기 결합축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상기 캡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캡부와 상기 결합축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축을 상기 접촉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동 플레이트를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마찰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가압하는 원판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면 테두리와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수평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절개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걸림편; 상기 걸림편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동플레이트와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 1 홈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몸체 중앙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힌지장치.
  5.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 1 홈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힌 지장치.
KR1020090047129A 2009-05-28 2009-05-28 스탠드의 힌지장치 KR20100128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29A KR20100128626A (ko) 2009-05-28 2009-05-28 스탠드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29A KR20100128626A (ko) 2009-05-28 2009-05-28 스탠드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626A true KR20100128626A (ko) 2010-12-08

Family

ID=435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129A KR20100128626A (ko) 2009-05-28 2009-05-28 스탠드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81Y1 (ko) * 2013-05-13 2015-01-29 김용범 데스크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81Y1 (ko) * 2013-05-13 2015-01-29 김용범 데스크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832B1 (ko) 고정구
US7516512B2 (en) Castor having efficiently locking function
US9439542B2 (en) Vertica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chanism for toilet seat
US10925403B1 (en) Foot ring structure for a chair
US8471133B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KR20080021583A (ko) 다용도 흡착판
JP2017526873A (ja) 隣接して配置された部品締付け用のボルト
JP2009505122A (ja) 二つのクランプによって固定するコネクターを有するカメラ雲台
AU2014247152B2 (en) A tripod bowl clamp device
JP6382072B2 (ja) フリーロックジョイント
US20120032039A1 (en) Supporting bracket with positioning column
KR20100128626A (ko) 스탠드의 힌지장치
KR101857740B1 (ko)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US20070044274A1 (en) Locking door stop
US7663040B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cymbal
JP2016032201A (ja) マイクロホンホルダ
KR20110000761U (ko)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WO2018082627A1 (zh) 一种螺钉盖及采用该螺钉盖的洗衣机
JP6188901B1 (ja) フリーロックジョイント
KR100361156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432651Y1 (ko) 옷걸이용 행거
CN110730724B (zh) 脚轮回转限制结构
US10165864B1 (en) Chair armrest device
KR20150114361A (ko)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KR101403278B1 (ko) 볼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