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361A -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361A
KR20150114361A KR1020140099390A KR20140099390A KR20150114361A KR 20150114361 A KR20150114361 A KR 20150114361A KR 1020140099390 A KR1020140099390 A KR 1020140099390A KR 20140099390 A KR20140099390 A KR 20140099390A KR 20150114361 A KR20150114361 A KR 2015011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amp
safety pin
head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영
Original Assignee
엄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주영 filed Critical 엄주영
Priority to KR102014016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377A/ko
Publication of KR2015011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된 플레이트의 바닥부분을 밀어서 체결 가능한 클램프에 바닥부분에 체결 홈이 구성된 플레이트를 삽입 또는 체결하여 사용하는 클램프의 아랫면에
안전장치의 안전핀의 상부에 구성된 플레이트접촉 부(101)가 플레이트를 삽입하면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구성되어 있는 체결 구 접촉 홈(902)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체결 구로 플레이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클램프가 기울더라도 광학기기에 체결된 플레이트가 클램프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줌으로 인하여 광학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SAFETY DEVICES FOR OPTICAL INSTRUMENTS TRIPOD CLAMP}
본 발명은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정확하게는 삽입된 플레이트의 바닥부분을 밀어서 체결 가능한 클램프에 바닥부분에 체결 홈이 구성된 플레이트를 사용가능한 클램프에 구성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사항이다.
대부분의 광학기기용 삼각대에 체결되어 사용하는 클램프에는 플레이트를 삽입 후 체결 구로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록 안전장치가 구성되어 있더라도 약간의 유격이 있을 시에만 안전장치의 효과를 볼 수가 있고, 유격이 조금만 더 벌어지게 되면 플레이트가 클램프 내에서 이탈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기존의 원통형 형태의 클램프에 원통형 형태의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클램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 역시 기존의 사각형 형태 또는 퀵 레버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안전장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광학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삽입된 플레이트의 바닥부분을 밀어서 체결 가능한 클램프에 바닥부분에 체결 홈이 구성된 플레이트를 삽입시에 한쪽 손으로는 광학기기를 잡고 나머지 손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형태의 클램프의 측면과 클램프의 상단과 측면에 돌출된 플레이트를 잡은 후에 체결 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지만, 극한 기온의 상태에서 급한 마음에 영상을 담으려고 할 시에는 간혹 플레이트를 삽입만 한상태에서 실수로 체결 구로 플레이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을 담으려고 시도하다가 광학기기가 클램프 내에서 이탈되어 고가의 광학기기를 땅에 떨어트려 망가질 우려가 있다.
클램프에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체결 구로 체결시 사용되는 플레이트에 구성된 체결 홈(109)의 하단 클램프의 아랫면 상부에 안전핀의 머리부가 삽입 가능한 머리 홀(302)과, 상기 머리 홀 하단에 상부지지 부(103)와 탄성체가 삽입가능한 탄성체 홀(303)과, 상기 탄성체 홀 하단 아랫면의 하부에 탄성체가 삽입된 안전핀이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부지지 부(105)가 체결가능한 하부지지체결 부(304)를 구성하여;
안전 핀의 하부(110)가 내부(111a)와 체결고정된 당김 부(111)의 상부표면(111b)이
하부지지 부(105)의 클램프의 하부에 돌출된 수나사 부(115)와 상호작용가능한 암나사 부(114)를 가지는 높이조절 부(113)의 하부표면(112)에 탄성체(106)의 탄성에 의하여 접촉되게 구성하고;
클램프에 플레이트를 삽입시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에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안전핀접촉 부(101)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안전핀의 플레이트 하부접촉 부(102)와 접촉되면 상기 접촉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핀이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지지 부(103)는 탄성체삽입 부(104)에 삽입되어 하부지지 부(105)에 지지되는 탄성체(106)를 압축변형시키면서 머리부(108)를 안착 면(301)과 유사한 높이로 이동하였다가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이 클램프의 개구 안쪽으로 좀더 삽입되면서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과 접촉되는 힘이 사라짐과 동시에 탄성체의 탄성에 의하여 머리부(108)가 플레이트에 구성된 체결 홈(109)에 삽입되게 구성하고;
위치조정부(113)를 조정하여 당김 부(111)를 내려주거나 또는 당김 부를 아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또는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주어 플레이트를 클램프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높이조절 부는 인서트에 구성된 수나사 부와 상호작용하는 암나사 부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시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상부로 위치하게 하고, 하부로 이동시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하부로 위치하게 구성되고;
위치조정부 조정시 상부표면(116)이 클램프의 하부표면()과 접촉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는 최대높이를 가지게 하고, 위치조정부의 하부표면이 당김 부의 상부표면과 접촉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를 내려주거나 외력을 작용시켜 머리부를 내려줄 시에 탄성체가 압축되는 최대한계에 의하여 안착 면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게 하거나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줄 수 있는 한계높이를 가지게 구성하였다.
마음이 급한 상태 및 극한 상황 속에서 광학기기로 영상을 담을시 실수로 플레이트를 클램프에 체결하지 않고 삽입만 한 상태에서도 광학기기를 클램프 내부에서 이탈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가의 광학기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1은 좌측에 클램프의 정면도와 우측에 플레이트의 정면도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클램프에 체결 또는 삽입되는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에 도시한 클램프의 하부 모습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플레이트를 삽입시 안전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가능하게 위치조정부의 상부표면(116)이 플렌지 하부표면(117)과 접촉되게 조정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
도 4는 안전핀의 머리부(108)가 안착 면(301)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움직이면서 수시로 장착과 탈착을 하면서 긴급촬영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장치의 동작을 해지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위치조정부의 하부표면(112)이 당김 부의 상부표면(110b)을 밀어서 탄성체의 높이를 낮게 유지시켜 주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
도 5는 도 3에 플레이트를 삽입한 후의 모습.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체결 구로 플레이트를 체결한 모습으로서 체결 구(305)의 끝 부분이 체결 홈(109)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임.
도 7은 클램프에 삽입된 플레이트를 탈착하기 위하여 당김 부(111)에 손으로 외력을 가하여 머리부가 안착 면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
도 8은 클램프에 장착된 플레이트를 탈착하기 위하여 위치조정부를 돌려서 머리부를 안착 면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
도 9는 도 1의 우측에 도시한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5 또는 도 6의 사시도.
본 발명은 도 1의 좌측에 도시한 같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로 안착 면(301)과 플레이트의 바닥부분 또는 바닥 홈을 밀어서 플레이트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 구(305)를 가지는 클램프(300)에, 도 1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의 형상으로 하부 바닥면에 플레이트를 체결시 사용되는 체결 홈(109)이 구성되어 있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홈은 가운데가 원형형상의 구멍이 뚫린 동전모양으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한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구성되어 있는 체결 홈(109)에 안전핀의 머리부(108)가 위치하게 구성하여, 체결 구로 플레이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클램프가 기울게 되면 체결 홈의 외 측면(109a)이 안전핀의 머리부(108)에 걸려서 광학기기에 체결된 플레이트가 클램프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줌으로 인하여 광학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좌측에 도시한 클램프에 우측에 도시한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체결 구로 체결시 사용되는 플레이트에 구성된 체결 홈(109)이 위치하는 하단에 아랫면의 상부에 안전핀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 가능한 원형형상의 머리 홀(302)을 구성하고, 상기 머리 홀 하단에 탄성체의 상부를 받쳐주면서 지지하는 상부지지 부(103)와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된 탄성체가 삽입가능한 원형형상으로 탄성체 홀(303)을 구성하고, 상기 탄성체 홀 하단 아랫면의 하부에 탄성체가 삽입된 안전핀이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부지지 부(105)가 체결가능한 하부지지체결 부(304)를 구성하여;
수나사로 구성된 안전 핀의 하부(110)에 암나사(111a)를 이용하여 체결고정된 당김 부(111)의 상부표면(111b)이 하부지지 부(105)의 클램프의 하부에 돌출된 수나사 부(115)와 상호작용가능한 암나사 부(114)를 가지는 높이조절 부(113)의 하부표면(112)에 탄성체(106)의 탄성에 의하여 접촉되게 구성하여;
클램프에 플레이트를 삽입시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의 둘레면 상에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안전핀접촉 부(101)가 둘레면 상에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안전핀의 플레이트 하부접촉 부(102)와 접촉되면 상기 접촉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핀이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지지 부(103)는 탄성체삽입 부(104)에 삽입되어 하부지지 부(105)에 지지되는 탄성체(106)를 압축변형시키면서 머리부(108)를 안착 면(301)과 유사한 높이로 수직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플레이트 하부부분에 구성된 체결 홈(109)이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면 탄성체의 탄성에 의하여 머리부(108)가 플레이트에 구성된 체결 홈(109)에 삽입되게 구성하여,
위치조정부(113)를 조정하여 당김 부(111)를 내려주거나 또는 당김 부를 아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또는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주어 플레이트를 클램프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높이조절 부는 인서트에 구성된 수나사 부와 상호작용하는 암나사 부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시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상부로 위치하게 하고, 하부로 이동시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하부로 위치하게 구성하고,
위치 조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 조정시 상부표면(116)이 인서트의 플렌지 하부표면(117)과 접촉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는 최대높이를 가지게 하고, 위치조정부의 하부표면(112)이 당김 손잡이 상부표면(110b)과 접촉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를 내려주거나 외력을 작용시켜 머리부를 내려줄 시에 탄성체가 압축되는 최대한계에 의하여 안착 면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게 하거나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줄 수 있는 한계높이를 가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자세한 사항은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좌측에 도시한 클램프의 하부에는 광학기기용 삼각대에 구성된 볼 헤드에 체결시 사용가능한 체결 구 머리 홀(351)과 체결 구 위치 홀(352)이 구성되어 볼 헤드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볼 헤드에 체결이 가능하며 우측에 도시한 플레이트가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가능한 안착 면(301)이 구성되어 있으며, 우측에 도시한 플레이트는 광학기기의 하부에 구성된 체결 부를 이용하여 체결가능하게 볼트(202)가 광학기기의 하부와 접촉가능하게 탄성이 구비된 광학기기접촉 패드(201) 위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광학기기에 체결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클램프의 안착 면 안쪽 아랫면에는 안전핀의 상부부분이 삽입가능한 핀 머리 홀(302)과 탄성체 홀(303)과 상기 탄성체 홀 하단에 하부지지체결 부(304)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머리 홀(302)은 탄성체 홀 상단에 관통되게 구성되며, 안전핀의 머리 부(108)가 위치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의 상부부분이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어 플레이트 삽입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바닥부분에 구성된 체결 홈(109)에 삽입되거나, 또는 체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 홈의 상부표면과 접촉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한 탄성체 홀(303)은 머리 홀 하단에 구성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핀을 삽입한 탄성체(106)와 상부지지 부(103)가 위치하여 외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수직운동을 가능하고, 외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움직였던 안전핀을 탄성체의 탄성에 의하여 위쪽으로 수직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주는 공간이다.
도 1에 도시한 하부지지체결 부(304)는 탄성체 홀(303) 하단에 암나사 부 형태로 구성되며, 기능은 하부지지체결 부에 구성된 수나사 부 2(115a)와 상호 작용하여 인서트를 이 부분에 체결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한 안전핀은 머리부(108)와, 플레이트접촉 부(102)와, 상부지지 부(103)와, 탄성체 위치 부(104)와 암나사 부(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기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머리 부(10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프 내부의 안착 면 위쪽으로 일부분이 돌출되고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삽입 후에도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어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구성한 체결 홈(109) 내에 위치하여 체결 구로 플레이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광학기기에 장착된 플레이트가 외력이 가해지거나 또는 볼 헤드가 기울어지더라도 클램프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귀중한 광학기기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한 플레이트접촉 부는 머리부(108)의 상부 끝 부분에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내부로 플레이트를 삽입시 도 1에 도시한 플레이트의 하부 외 측면에 둘레면 상에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핀 접촉 부(101)와 접촉시에 플레이트가 삽입이 좀더 잘되도록 둘레면 상에 테이퍼 형상으로 상부의 폭이 하부 폭보다 짧게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한 상부지지 부(102)는 머리부 하단에 구성되며, 탄성체(106)의 상부표면을 지지하여 주어 핀 접촉 부(102)와 머리접촉 부(101)가 접촉시 탄성체를 압축시켜주는 기능과 머리부가 체결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체에서 발생한 탄성을 안전핀 전체에 전달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한 탄성체삽입 부(104)는 상부지지 부 하단에 구성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106)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부분이며, 플레이트를 삽입시 또는 하단에 구성한 당김 손잡이(111)를 아래로 당기거나, 당김 손잡이를 놓았을시 또는 위치조정부(113)를 조정시 탄성체가 기능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도 1에 있어서 탄성체(106)는 안전핀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탄성체 위치 부에 삽입되어 구성이 되며, 클램프 내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된 머리부(108)가 도 3에 도시한 클램프 내부로 플레이트를 삽입시 플레이트의 핀 접촉 부(101)가 안전핀의 머리부에 플레이트접촉 부(102)와 접촉하면서 안전핀을 수직 아래 방향으로 밀어주고, 플레이트가 클램프의 내부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플레이트의 바닥부분에 구성한 체결 홈으로 인하여 안전핀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탄성에 의하여 안전핀의 머리부를 다시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플레이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레이트의 체결 홈의 외 측면(109a)에 안전핀의 머리부에 걸리게 하여 광학기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도 1에 있어서 하부 지지 부(10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106)의 하부표면을 지지하여 탄성체가 기능을 수행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한 수나사 부 1(115)은 플렌지 하단에 나사 산의 형태로 구성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조정부(113)의 암나사 부(114)와 상호작용하여 머리부(108)의 상부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한 삽입 홀(118)은 내부를 관통하여 구성된 부분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핀의 중간 부분이 위치하여 움직이는 부분으로 안전핀이 머리 홀과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도 1에 있어서 당김 손잡이(111)는 내부에 구성된 암나사 부에 안전핀의 하부에 구성된 수나사 부에 체결시 사용중 당김 손잡이가 빠지지않게 고정시켜 주는 접착제를 발라서 체결 고정되게 구성하고,
도 1에 있어서 당김 손잡이(11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에 삽입된 플레이트를 탈착시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외력을 가하는 부분으로서, 손가락으로 당기거나 손바닥의 측면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치조정부의 폭보다 넓게 구성하고, 상기 당김 손잡이에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외력을 가하면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었던 머리부를 안착 면 아래까지 내려가게 하여 플레이트를 탈착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있어서 위치조정부(113)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표면(116)과 하부표면(112) 사이를 길게 구성하여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손가락공간이 확보되게 구성되고, 수나사 부 1(115)와 상호작용하는 암나사 부(114)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상부로 위치하게 하고, 하부로 이동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하부로 위치하게 구성하였으며,
위치조정부 조정시 상기 위치조정 부의 상부표면(114)이 플렌지 부 하부표면(117)과 접촉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는 최대높이를 가지게 하고, 위치조정부의 하부표면(112)이 당김 부의 상부표면(110b)과 접촉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를 내려주거나 외력을 작용시켜 머리부를 내려줄 시에 탄성체가 압축되는 최대한계에 의하여 안착 면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게 하거나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줄 수 있는 한계높이를 가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 있어서 위치조정부의 겉표면은 손가락으로 돌려서 위치를 조정할 시 그립감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돌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1 : 머리접촉 부 102: 플레이트접촉 부 103 : 상부지지 부 104 : 탄성체삽입 부 105 : 하부지지 부 106 : 탄성체 108 : 머리부 109 : 체결 홈 110: 안전핀 하부 111 : 당김 손잡이 112 : 위치조정 하부표면 113 : 위치조정부 114 : 암나사 부 115 : 수나사 부 1 115a : 수나사 부 2 116 : 위치조정 상부표면 117 : 프렌지 하부표면 118 : 안전핀삽입 홀 200 : 플레이트 300 : 클램프 301 : 안착 면 302 : 머리 홀 303 : 탄성체 홀 305 : 체결 구

Claims (2)

  1. 플레이트의 바닥부분에 구성된 체결 홈(109)을 밀어서 플레이트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 구(305)를 가지는 클램프(300)에 삽입 및 체결하여 사용할 수 플레이트를 삽입 또는 체결하여 사용하는 클램프에 구성된 안전장치에 있어서;
    클램프에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체결 구로 체결시 사용되는 플레이트에 구성된 체결 홈(109)의 하단 클램프의 아랫면 상부에 안전핀의 머리부가 삽입 가능한 머리 홀(302)과, 상기 머리 홀 하단에 상부지지 부(103)와 탄성체가 삽입가능한 탄성체 홀(303)과, 상기 탄성체 홀 하단 아랫면의 하부에 탄성체가 삽입된 안전핀이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부지지 부(105)가 체결가능한 하부지지체결 부(304)를 구성하여;
    안전 핀의 하부(110)가 내부(111a)와 체결고정된 당김 부(111)의 상부표면(111b)이
    하부지지 부(105)의 클램프의 하부에 돌출된 수나사 부(115)와 상호작용가능한 암나사 부(114)를 가지는 높이조절 부(113)의 하부표면(112)에 탄성체(106)의 탄성에 의하여 접촉되게 구성하고;
    클램프에 플레이트를 삽입시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에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안전핀접촉 부(101)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안전핀의 플레이트 하부접촉 부(102)와 접촉되면 상기 접촉되는 힘에 의하여 안전핀이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지지 부(103)는 탄성체삽입 부(104)에 삽입되어 하부지지 부(105)에 지지되는 탄성체(106)를 압축변형시키면서 머리부(108)를 안착 면(301)과 유사한 높이로 이동하였다가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이 클램프의 개구 안쪽으로 좀더 삽입되면서 플레이트 하부부분의 외 측면과 접촉되는 힘이 사라짐과 동시에 탄성체의 탄성에 의하여 머리부(108)가 플레이트에 구성된 체결 홈(109)에 삽입되게 구성되고;
    위치조정부(113)를 조정하여 당김 부(111)를 내려주거나 또는 당김 부를 아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또는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주어 플레이트를 클램프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위치조정부(113)는,
    인서트에 구성된 수나사 부와 상호작용하는 암나사 부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시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상부로 위치하게 하고, 하부로 이동시 안전핀의 머리부가 수직방향으로 하부로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정부 조정시 상부표면(116)이 하우징 부 하부표면(117)과 접촉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가 안착 면 위쪽으로 돌출되는 최대높이를 가지게 하고, 위치조정부의 하부표면이 당김 부의 상부표면과 접촉하면서 안전핀의 머리부를 내려주거나 외력을 작용시켜 머리부를 내려줄 시에 탄성체가 압축되는 최대한계에 의하여 안착 면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게 하거나 안착 면 아래쪽으로 내려줄 수 있는 한계높이를 가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KR1020140099390A 2014-04-01 2014-08-03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KR20150114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450A KR20150114377A (ko) 2014-04-01 2014-11-18 광학기기용 삼각대 퀵슈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27 2014-04-01
KR20140038427 2014-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61A true KR20150114361A (ko) 2015-10-12

Family

ID=5434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390A KR20150114361A (ko) 2014-04-01 2014-08-03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6743A (zh) * 2018-10-24 2019-01-2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平整度调节装置以及相机
US11425289B2 (en) 2018-08-28 2022-08-23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chip of image acquisi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5289B2 (en) 2018-08-28 2022-08-23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chip of image acquisition device
CN109286743A (zh) * 2018-10-24 2019-01-2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平整度调节装置以及相机
CN109286743B (zh) * 2018-10-24 2020-04-03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平整度调节装置以及相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083B2 (en) Spring enabled audio device mounting apparatus
US9578965B2 (en) Fixing device, fixing structure of apparatus, and fixing method of apparatus
US8471133B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KR20100005400A (ko) 케이스 체결 장치
TWI489871B (zh) 支撐架插拔組裝結構
US9943198B2 (en) One-touch quick-release device of toilet cover
KR20150024877A (ko) 활선 클램프
KR20150114361A (ko)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의 안전장치
JP2020101232A (ja) クランプ装置
KR101776221B1 (ko) 화재 감지기 탈부착 장치
JP5142876B2 (ja) 物品取付構造
JP2022088534A (ja) 道具ホルダ
KR102138866B1 (ko) 마운트 레버 잠금 클램프
KR101902498B1 (ko) 등산스틱 길이조절장치
JP4356551B2 (ja) 画像装置
KR20150114377A (ko) 광학기기용 삼각대 퀵슈의 안전장치
KR102133922B1 (ko) 마스크 클램프 장치
KR20150094485A (ko) 광학기기용 삼각대 클램프 및 클램핑장치
KR20160046321A (ko) 카메라 및 비디오용 퀵슈의 플레이트
KR101472526B1 (ko) 파노라마 퀵슈
KR20160058664A (ko) 광학기기용 플레이트 l-프레임
KR20190000853U (ko) 배터리 커버의 자동 탈거구조를 가지는 리모컨
CN218350680U (zh) 相机镜头安装结构
KR20180067399A (ko) 호스 클램프용 토크 컨트롤 캡
TWM529103U (zh) 支撐墊結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