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583A -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583A
KR20100127583A KR1020090046082A KR20090046082A KR20100127583A KR 20100127583 A KR20100127583 A KR 20100127583A KR 1020090046082 A KR1020090046082 A KR 1020090046082A KR 20090046082 A KR20090046082 A KR 20090046082A KR 20100127583 A KR20100127583 A KR 2010012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till image
wireless
igni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복
장용기
백국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버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버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버트론
Priority to KR102009004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583A/ko
Publication of KR2010012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이동성이 편리한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은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에서 정확한 발화원인 및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화재 발생가능 주요지점을 정지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상하는 복수 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화재관련 정보를 화재관제센터나 화재감시원에게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데이터 전송장치; 및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촬상하는 정지영상의 변화를 통해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또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화원인추적, 산불감시, 열화상 카메라, 무선정지영상카메라

Description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Systme and method for tracking the cause of fires at mountain using wireless still camera}
본 발명은 저비용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산불감시 및 발화원인을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불과 같은 재해는 그 피해규모가 막대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의 복구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철저한 예방책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산이나 숲과 같은 국립공원 지역에 일일이 인력을 배치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CCTV를 통해서 감시를 하더라도 CCTV를 드넓은 산야에 유선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산불 감시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발화 초기에 산불을 조기에 감지하는 것과 함께 넓은 지역을 저렴한 가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시스템이다. 또한, 산불을 감지하였을 경우 발화지점을 정확히, 빨리 파악하여 신속히 산불을 진화하는 것이다.
기존 발명의 경우, 열화상 카메라를 산 정상에 설치하는 방식이 제시되어 있 다. 이 방식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일 위치에서 이전 촬영 영상과 재촬영 영상의 변화를 보고 산불을 판단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열화상 카메라가 산 정상에만 위치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열화상 카메라의 감지 범위에 의해 화재 감지가 제한되고, 인간의 눈으로 판독하기 힘든 열화상 이미지 만이 촬상될 뿐이므로 정확한 발화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추적하기는 힘들다. 또한, 산 구석 구석을 탐지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산 정상부에 다수개의 CCTV와 같은 연속촬영 카메라들을 배치하고 이들의 촬영각도를 삼각구도 위치판독법으로 판독하여 산불의 위치를 인지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 역시 다수개의 카메라를 배치하면서도 카메라의 감지 범위에 제한되며 앞에서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산불이 난 이후의 상황 만을 감지하는 목적일 뿐 정확한 발화 원인을 알기는 힘들다.
따라서 유선 카메라로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에 저렴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다수를 넓은 산불 발화 가능 지역에 분포시켜 산불을 감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발화 지점 및 발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산불 진압의 초동 대응 및 장기적인 산불 예방책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과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화재감시 지역에 분포하여 화재감시 및 화재 발생 원인을 찾는데 있다.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는 열화상 카메라 및/또는 CCTV와 함께 사용되어 더욱 효율적인 산불감시 및 화재 발생 원인 추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렴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사용하여 접근이 어려운 지역까지 화재 감시 및 화재 발생 원인 추적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에서 정확한 발화원인 및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화재 발생가능 주요지점을 정지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상하는 복수 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화재관련 정보를 화재관제센터나 화재감시원에게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데이터 전송장치; 및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촬상하는 정지영상의 변화를 통해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또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에서 정확한 발화원인 및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복수 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화재 발생가 능 주요지점을 정지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상하는 단계;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화재관련 정보를 유무선 데이터 전송수단이 화재관제센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화재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재관제센터의 관제서버 또는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저렴한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넓은 지역에 분포시켜서 필요에 따라 열화상 촬상장치 및/또는 CCTV와 조합하여 산불감지 및 발화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 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다수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는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을 위해 산이나 국립공원과 같은 넓은 지역에 적재적소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는 무선기기이므로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화상 카메라나 CCTV보다 산악 지역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므로 다수의 카메라를 넓게 산악 지역이나 국립공원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정지영상을 촬상하는 것이므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크기도 CCTV와 같은 연속촬영 장치의 그것보다 크지 않다.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에 의해 생성된 정지이미지는 게이트웨이(120)에서 취합되어 공유기(130)를 거쳐 통신모뎀(140)을 통해 통신망을 거쳐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을 담당하는 감시원이나 관제센터에 보내진다.
개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는 미리 설치된 지점의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촬상하는 지점을 관제센터에서 정확히 알고 있다. 따라서 이미 개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에게 부여된 고유 번호와 설치된 지점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면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가 비추고 있는 지점의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종자가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에 나타났을 때 실종자의 위치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관제센터의 관제서버(도시되지 않음)에서는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면서 영상의 변화를 통해 화재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320)는 도 3에서 CCTV(210)와 열화상카메라(310)로부터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나 화재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로부터 화재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화재감지기(320)는 관제센터에 위치하여 화재판단을 할 수도 있다.
화재발생을 좀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화재감지센서(150)를 채용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50)는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센서는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센싱하는 화재감지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재감지센서(150)는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와 결합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화재감지센싱 신호를 관제센터의 관제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더불어 화재감지센서(150)의 위치도 같이 전송하면 어느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는데 더욱 용이할 것이다.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관제센터의 관제서버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위치가 파악되면 주변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를 모두 화재발생 지점을 촬상하도록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화재발생 지점의 촬상 데이터를 좀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화재발생 지점의 촬상 데이터를 좀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화재발생이 판단되면 관제센터의 관제서버는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의 촬상 주기를 좀더 빠르게 하여 발화 지점의 상세한 변동 상황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와 CCTV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앞선 도 1의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보조수단으로서 CCTV(210)를 채용하는 것이다. CCTV(210)를 채용하면 도 1에 비해 비용은 더 들지만 정지영상이 아닌 발화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연속촬상하면서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데이터와 함께 화재 감지 및 발화지점 추적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VR(220)은 CCTV(210)의 연속촬상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는 공유기(130) 및 통신모뎀(140)을 통해 관제센터에 전해진다. DVR(220)은 필요에 따라 모션 디텍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와 열화상 카메라 및 CCTV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도 2에 비해 열화상 카메라(310)가 추가되어 더욱 정밀한 화재감지 및 발화추적을 가능하게 해준다. 보통은 열화상 카메라(310)와 CCTV(21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같은 지역을 동시에 촬상한다. 열화상 카메라(310)에 의해 생성되는 열화상 이미지(영상)는 사람이 보기에는 식별이 쉽지 않으므로 CCTV(210)를 통해 같은 지점을 촬상하여 사람이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10)는 촬상 대상 지역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면 온도가 올라가는 부분의 이미지 컬러가 변하므로 이전 장면과의 비교 방법을 통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화재감지기(320)를 통해 가능하다. 화재감지기(3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310)의 촬상 장면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현재 촬상장면을 이전 촬상장면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통신모뎀(140)을 통해 관제센터에 전송한다.
관제센터에서는 열화상 카메라(3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CCTV를 통해 같은 장소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발화나 화재 가능성을 육안으로 탐지할 수 있다.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감시 대상지역 곳곳을 촬상하고 있는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를 통해 좀더 정확한 발화지점, 발화 원인을 탐지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10)는 냉각방식과 비냉각방식이 있고, 해상도 7.5 f/s 정도가 적당하다. 보통 열화상 카메라가 자동차 크기를 인식하는데 있어 탐지에는 2km 정도의 거리에서도 가능하며 인지는 500m 정도의 거리에서 가능하다. 명확한 식별은 30m 정도의 거리가 필요하다. 탐지는 화면을 보고 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는 정도이고 인지는 화면을 보고 자동차임을 알 수 있을 정도, 식별은 화면을 보고 자동차인지 트럭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는 2km 정도의 식별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정확한 발화지점의 촬상은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면 된다.
도 2나 도 3의 시스템 역시 도 1에서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화재감지센서(150)를 채용할 수 있고, 화재가 감지되면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 CCTV(210), 열화상카메라(310)를 모두 화재 발생지점으로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나 열화상카메라(310)의 촬상주기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에 의해 산불감지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종류의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100, 200, 300)은 관제센터(420)와 인터넷이나 무선통신망 또는 필요에 따라 유선 통신망과 같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다.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100, 200, 300)에서는 촬상된 이미지, 화재여부 판단 등의 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관제센터에 전송한다.
관제센터(420)는 관제서버(410)가 구비되어 있고, 관제센터(420)는 웹서버(431), 파일서버(433), 데이터베이스(435)로 구성된 S/W구성을 포함하고, CCTV 관제화면(441), 주요지점 관제화면(443), 영상검색화면(445) 등을 화면구성으로 포함한다.
관제서버(410)는 시스템(100, 200, 300)으로부터 화재감지센서의 센서 신호를 포함하여 화재발생 관련 정보와 촬상장치나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받아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촬상장치나 카메라를 화재 발생 지점을 집중적으로 촬상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나 열화상 카메라의 촬상 주기를 더 빨리 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촬영사진과 그에 대응되는 열화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310)와 CCTV(210)는 보통 일체형으로 동일 지역을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에 의해 촬상된 사진(500)에서 온도가 높아지는 지점(501)은 육안으로는 발화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나,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열화상 이미지(510)에서는 컬러가 확연히 바뀌는 부분(511)이 있으므로 손쉽게 발화나 화재 가능성을 탐지할 수 있다.
발화나 화재 가능성을 탐지한 후 CCTV 연속촬상 이미지를 확인하면 연기와 함께 이상 징후를 포착할 수 있다.
도 6은 산이나 국립공원과 같은 화재감시대상지역을 다수의 셀로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을 적용한 일실시예이다.
산이나 국립공원과 같은 화재감시 대상지역(600)을 몇 개의 셀(610, 620, 630, 640)로 나눈다. 각 셀에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을 설치한다. 일실시예로 각 셀마다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310)를 설치하고 각 셀에는 다수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를 배치한다.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는 화재감시 대상지역의 셀 내에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 설치한다. 열화상 카메라(310)는 각 셀 전체를 커버할 수 없지만 열이 감지되면 적재적소에 배치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를 통해 발화지점을 추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촬상한다(710). 또한 열화상 카메라와 CCTV는 발화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촬상한다(720). 열화상 카메라와 CCTV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따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지만 같은 지역을 촬상하여 관제센터나 산불감시원이 화재 감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열화상 카메라와 CCTV가 별개의 장소를 촬상하여 촬상 감지 대상을 넓힐 수도 있다.
열화상 카메라와 CCTV는 고정된 시점을 계속 촬상할 수도 있고 이동식이거나 회전식이어서 주변을 둘러보며 촬상할 수도 있다. 열화상 카메라와 CCTV는 보통 틸트 기능을 지원하므로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만일 화재가 발생하면 열화상 카메라에서 열상이미지의 컬러가 변하므로 화재가 감지될 수 있고 화재감지기는 화재발생을 판단한다(730). 만일 화재발생이 판단되면 화재 발생 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동시에 지속적으로 촬상하고 있었을 것이므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데이터를 통해 발화 지점의 단속된 정지영상을 통해 정확한 발화지점과 발화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열화상 카메라, CCTV의 촬상 이미지,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 판단,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촬영한 정지이미지가 유무선 데이터 전송수단인 공유기와 통신 모뎀을 통해 관제센터와 같이 화재 감지를 전담하는 곳에 보내어진다(740).
화재감지기가 없을 경우에는 또는 있다고 하더라도 선택적으로 관제센터의 관제서버에서도 화재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를 판단할 수 있다(750).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면 관제센터에서는 화재 경보를 발령하고 촬상 이미지나 화재감지센서의 신호를 신속히 판단하여 발화 지점 및 불길이 확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을 것이다(750). 선택적으로 관제서버는 발화 지점을 좀더 상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발화 지점 주변의 모든 촬상장치와 카메라를 발화 지점을 비추도록 집중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촬상 주기도 높일 수 있다.
도 8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주변 촬상장치나 카메라를 화재발생 지점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나타낸다.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1)나 CCTV(210)는 해당지역을 촬상한다. CCTV의 경우 회전이나 상하움직임을 통해 넓은 지역을 촬상한다.
도 8b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선택적으로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2, 103, 104, 105, 106)와 CCTV(210, 211, 212, 213, 214, 215)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810)을 고정적으로 비출 수 있다. 이러한 촬상 기능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지역을 좀더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화재 진압이나 발화 원인 추적도 용이해진다.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2, 103, 104, 105, 106)와 CCTV(210, 211, 212, 213, 214, 215)의 위치를 화재가 발생한 지점(810)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것과 함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102, 103, 104, 105, 106)의 촬상주기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지점(810) 촬상 데이터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화재 감지 및 발화추적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되었지만, 산이나 국립공원 지역 등의 넓은 지역에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다수 설치함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부수적인 용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생 동물 추적이나 이들의 생태 관찰, 방생한 동물의 자연 적응 관찰, 희귀 동물의 추적 등의 야생 탐구에도 중요한 몫을 담당할 수도 있다.
또는 발화범의 추적, 불법 수렵의 발본색원, 산악 실종자의 위치파악 및 구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와 CCTV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와 열화상 카메라 및 CCTV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에 의해 산불감지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촬영사진과 그에 대응되는 열화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산이나 국립공원과 같은 화재감시대상지역을 다수의 셀로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을 적용한 일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주변 촬상장치나 카메라를 화재발생 지점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채용한 산불감지 및 발화추적 시스템
101~106 : 무선정치영상 촬상장치 120 : 게이트웨이
130 : 공유기 140 : 통신 모뎀
210 : CCTV 220 : DVR
310 : 열상 카메라 320 : 화재감지기
410 : 관제서버 420 : 관제센터
610, 620, 630, 640 :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

Claims (15)

  1.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에서 정확한 발화원인 및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화재 발생가능 주요지점을 정지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상하는 복수 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화재관련 정보를 화재관제센터나 화재감시원에게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데이터 전송장치; 및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촬상하는 정지영상의 변화를 통해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또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련 정보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위치 및 감지신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가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는 모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 치를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촬상주기를 화재가 발생하기 전의 촬상주기보다 더 빠르게 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서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을 촬상하는 CCTV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련 정보는 상기 CCTV가 촬상하는 연속이미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CCTV의 연속이미지의 변화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련 정보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위치 및 감지신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가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는 모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및 CCTV를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촬상주기를 화재가 발생하기 전의 촬상주기보다 더 빠르게 하도록 명령 을 내리는 서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에서 열감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열화상영상을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련 정보는 상기 생성된 열화상영상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열화상영상의 변화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 또는 상기 관제서버가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는 모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CCTV 및 열화상카메라를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및 열화상카메라의 촬상주기를 상기 화재가 발생하기 전보다 더 빠르게 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서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9.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에서 정확한 발화원인 및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복수 개의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가 화재 발생가능 주요지점을 정지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상하는 단계;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화재관련 정보를 유무선 데이터 전송수단이 화재관제센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화재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재관제센터의 관제서버 또는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화재감지센서가 화재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련 정보는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감지한 감지신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는 모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를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촬상주기를 상기 화재가 발생하기 전의 주기보다 더 빠르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을 CCTV로 촬상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CCTV로 촬상하여 생성된 연속이 미지의 변화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무선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CCTV에 의해 촬상된 영상도 상기 화재관련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화재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는 모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및 CCTV를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의 촬상주기를 화재가 발생하기 전의 주기보다 더 빠르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 대상지역 셀을 열화상 카메라가 촬상을 통해 열화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생성된 열화상영상의 변화를 통해서도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생성된 열화상영상을 상기 화재관련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화재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는 모든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CCTV 및 열화상 카메라를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무선정지영상 촬상장치 및 열화상 카메라의 촬상주기를 화재가 발생하기 전의 주기보다 더 빠르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방법.
KR1020090046082A 2009-05-26 2009-05-26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KR20100127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82A KR20100127583A (ko) 2009-05-26 2009-05-26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82A KR20100127583A (ko) 2009-05-26 2009-05-26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83A true KR20100127583A (ko) 2010-12-06

Family

ID=4350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82A KR20100127583A (ko) 2009-05-26 2009-05-26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5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26A (ko) * 2014-09-16 2016-03-24 김진규 화재감지기
KR102544393B1 (ko) 2022-12-08 2023-06-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팬 틸트 기반의 ir 카메라를 이용한 발화 위치 추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26A (ko) * 2014-09-16 2016-03-24 김진규 화재감지기
KR102544393B1 (ko) 2022-12-08 2023-06-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팬 틸트 기반의 ir 카메라를 이용한 발화 위치 추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42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85900B1 (ko) 교차로 사고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9887221A (zh) 一种火灾智能检测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10058037A1 (en) Fi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KR20140127574A (ko) 화재 오보 감소를 위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60045B1 (ko) 열분포 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장비 및 그 시스템
KR102335994B1 (ko) 드론 감시를 위한 촬영 감시 장치들의 통합 제어 장치
KR101637989B1 (ko) 센서와 열화상 카메라의 연동을 통한 실시간 고해상도 열화상 화재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90090544A (ko) 적외선 센서 및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CN112263803A (zh) 基于实时场景巡视和自动检测灭火的无人车智能安防系统及控制方法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KR20100127583A (ko) 무선정지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한 산불발화추적시스템 및 산불발화추적방법
KR101848320B1 (ko) 총소리 감지 및 영상촬영 방법
KR101653820B1 (ko) 열 감지 기반의 대상체 및 상황 감지 시스템
KR101615243B1 (ko) 지능형 방범 영상 감시장치 및 영상 감시방법
KR20100064011A (ko) 불법 유턴 차량 단속 장치 및 그 방법
CN113761980B (zh) 吸烟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机器可读存储介质
CN209962382U (zh) 一种火灾智能检测系统
KR20210086536A (ko) 야외 화재 감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JPH1188870A (ja) 監視システム
US10970982B2 (en)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KR101741312B1 (ko) 가정용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0191446Y1 (ko) 산불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