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879A - 쉴드 캔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쉴드 캔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879A
KR20100126879A KR1020090045281A KR20090045281A KR20100126879A KR 20100126879 A KR20100126879 A KR 20100126879A KR 1020090045281 A KR1020090045281 A KR 1020090045281A KR 20090045281 A KR20090045281 A KR 20090045281A KR 20100126879 A KR20100126879 A KR 2010012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uni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la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896B1 (ko
Inventor
정순완
정재우
문영준
장세영
김건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8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05K9/0035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with retainers mounted beforehand on the PCB,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쉴드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 활용을 저하시키지 않고,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쉴드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쉴드캔이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에 측방 돌기가 형성되는 래치 유닛과, 상기 래치 유닛이 체결되도록 상기 쉴드캔의 상면 내측에 하향 돌출된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체결 유닛이 상기 래치 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쉴드 캔 고정 구조{A Fixing Structure of Shield Can}
본 발명은 쉴드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전자부품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나 통신기기(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등을 사용할 때, 핵심 부품중의 하나인 인쇄회로기판이나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각종 소자들에서는 유해전파가 발생된다. 따라서, 각종 전자기기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자파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이렇게 규제되는 유해전파 중 전자파를 예를 들면, 전자파가 환경에 적합(전자파 환경 적합성: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한가를 테스트 하는 환경 적합성 테스트가 있고, 전자파 환경 적합성은 두가지로 구분된다.
이는 전자파 방해(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전자 감응성(EMS :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이 있으며,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철저히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 적합성 테스트의 철저한 규제에 의하여 전자파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많은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상의 각 소자들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로직보드 사이에는 쉴드캔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 본체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상에는 금속성 스트립 핑거(strip Finger)를 설치함으로서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착탈이 용이한 쉴드캔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쉴드캔의 강성을 증대시켜 휨에 의한 부품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쉴드캔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 구조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쉴드캔이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에 측방 돌기가 형성되는 래치 유닛과, 상기 래치 유닛이 체결되도록 상기 쉴드캔의 상면 내측에 하향 돌출된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체결 유닛이 상기 래치 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방 돌기는 상기 쉴드캔의 슬라이딩 결합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쉴드캔의 상면 내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측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쉴드캔 상면 내측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측방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쉴드캔의 측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의 고정 구조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덮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캔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쉴드캔이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에 절곡된 측방 돌기를 가지는 복수의 래치 유닛과, 상기 쉴드캔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 유닛들의 측방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유닛들의 측방 돌기들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 구조는 쉴드캔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공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인쇄회로기판과 쉴드캔 사이의 결합력 및 신뢰성은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쉴드캔의 체결 유닛과 결합하는 래치 유닛을 한쪽 방향에만 배치함으로써 쉴드캔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 상에는 반도체 소자와 같은 전자 부품(20)이 실장되며, 전자 부품(20)의 외측에는 전자 부품(20)을 덮어 전자 부품(20)의 EMI를 차단하기 위한 쉴드캔(30)이 마련된다.
쉴드캔(30)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쉴드캔(30)의 착탈 가능한 고정 구조(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유닛(40)과 체결 유닛(50)을 통해 가능하다.
쉴드캔(30)은 4개의 측면(32)과 1개의 상면(3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 모양을 취함으로써 전자 부품(2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덮게 된다.
인쇄회로기판(10)상의 전자 부품(20) 둘레에는 쉴드캔(3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 유닛(40)이 마련된다.
래치 유닛(40)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되는 고정부(41)와, 고정부(4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연장부(42)의 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방 돌기(43)을 포함한다.
측방 돌기(43)은 쉴드캔(30)이 결합되는 방향(C)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 유닛(40)의 고정부(41)는 길이 방향 양 끝 단과 중심에 각각 마련되고, 고정부(41)는 외각 둘레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되어 결합된다.
또, 고정부(41)로부터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2)는 후술하게 되는 쉴드캔(30)의 체결 유닛(50)과 측방 돌기(43)이 원활하게 결합하도록 탄성을 갖는다.
쉴드캔(30)의 상면(31) 내측에는 이러한 래치 유닛(40)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 유닛(50)이 배치된다.
이때, 쉴드캔(30)의 체결 유닛(50)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 래치 유 닛(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체결 유닛(50)은 쉴드캔(30)의 상면(31)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51)와, 지지부(51)를 연결하고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과 결합하는 결합부(53)를 포함한다.
또, 체결 유닛(50)은 쉴드캔(30)의 상면(31)과 결합부(53)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인 체결구(52)를 포함한다.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은 체결 유닛(50)의 체결구(52)를 관통하여 결합부(53)에 결합되면서 쉴드캔(30)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다.
이때, 쉴드캔(30)의 4개의 측면(32) 중 체결 유닛(50)과 평행한 위치에 마련되어 래치 유닛(40)이 지지되는 측면(32)의 하단에는 단차(32a)가 형성되어 쉴드캔(30)과 래치 유닛(40)의 결합 시 측면(32)과 인쇄회로기판(1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쉴드캔(30)의 측면(32)이 인쇄회로기판(10)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쉴드캔(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어 휨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캔(30)은 인쇄회로기판(10)상에 고정된 래치 유닛(40)과 체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다.
쉴드캔(30)은 전자 부품(20)을 덮도록 배치되며, 전자 부품(20)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C)으로 이동하면서 래치 유닛(40)과 체결 유닛(50)이 체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다.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은 쉴드캔(30)의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측방 돌기(43)은 굴곡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측방 돌기(43)이 결합되는 체결 유닛(50)의 결합부(53)는 그 단면이 원형인 원통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쉴드캔(30)이 C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쉴드캔(30)의 체결 유닛(50)은 쉴드캔(30)에 의해 래치 유닛(4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이 체결 유닛(50)의 체결구(52)를 통해 결합부(53)에 결합하여 체결 고정된다.
체결 유닛(50)은 쉴드캔(30)의 상면(31) 내측에 배치되며 측면(32)으로부터 소정 거리(D1)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쉴드캔(30)이 인쇄회로기판(10)의 래치 유닛(4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은 쉴드캔(30)의 체결 유닛(50)에 체결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캔(30)이 C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이 체결 유닛(50)의 체결구(52)를 관통하여 결합부(53)와 체결된다.
이때, 체결 유닛(50)과 래치 유닛(40)이 결합되어 쉴드캔(30)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쉴드캔(30)의 측면(32)은 래치 유닛(40)의 연장부(42)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쉴드캔(30)과 래치 유닛(40)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쉴드캔(30)을 좌측에서 우측(C)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쉴드캔(30)을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과 체결 유닛(50)의 결합부(53) 형상을 변형한 예이다.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는 연장부(42)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10)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가공이 용이하다.
이때, 측방 돌기(43')는 쉴드캔(30)이 결합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래치 유닛(40)의 이러한 측방 돌기(43')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 유닛(50)의 결합부(53',53")는 그 단면을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래치 유닛(40)의 측방 돌기(43')와 체결 유닛(50)의 결합부(53',53")의 체결 동작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 유닛(40)은 전자 부품(20)의 좌우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쉴드캔(30)은 래치 유닛(40)의 우측에서 좌측방향(C)으로 이동되면서 래치 유닛(40)과 체결 유닛(50)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래치 유닛(40)을 전자 부품(20)의 상측과 하측에 대향되게 배치하고 쉴드캔(30)을 전자 부품(2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래치 유닛(40)과 체결 유닛(50)을 결합하여 쉴드 캔(30)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 유닛과 쉴드캔의 고정을 위한 동작을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쉴드캔이 인쇄회로기판의 래치 유닛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 유닛과 쉴드캔의 고정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 유닛과 쉴드캔의 고정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인쇄회로기판 20 : 전자부품
30 : 쉴드캔 40 : 래치 유닛
50 : 체결 유닛 60 : 고정 구조

Claims (5)

  1. 전자파 차폐를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쉴드캔이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에 측방 돌기가 형성되는 래치 유닛과,
    상기 래치 유닛이 체결되도록 상기 쉴드캔의 상면 내측에 하향 돌출된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체결 유닛이 상기 래치 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돌기는 상기 쉴드캔의 슬라이딩 결합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쉴드캔의 상면 내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측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쉴드캔 상면 내측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측방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쉴드캔의 측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
  5.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덮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캔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쉴드캔이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에 절곡된 측방 돌기를 가지는 복수의 래치 유닛과,
    상기 쉴드캔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 유닛들의 측방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유닛들의 측방 돌기들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의 고정 구조.
KR1020090045281A 2009-05-25 2009-05-25 쉴드 캔 고정 구조 KR10155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81A KR101555896B1 (ko) 2009-05-25 2009-05-25 쉴드 캔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81A KR101555896B1 (ko) 2009-05-25 2009-05-25 쉴드 캔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79A true KR20100126879A (ko) 2010-12-03
KR101555896B1 KR101555896B1 (ko) 2015-10-07

Family

ID=4350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281A KR101555896B1 (ko) 2009-05-25 2009-05-25 쉴드 캔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3619B2 (en) 2013-07-11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iel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410B2 (en) * 2004-04-01 2006-09-26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shield assembly with opposed hook flanges
JP2008218526A (ja) 2007-02-28 2008-09-18 Toshiba Corp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3619B2 (en) 2013-07-11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iel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896B1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9619B (zh) 連接器
KR101326907B1 (ko) 전기 장치
KR101608796B1 (ko) 쉴드 캔 조립체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30038503A (ko) 전자장치의 pba 적층구조
JP2012044179A (ja) 電磁波遮断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る印刷回路基板モジュール
EP2825012B1 (en) Shielding apparatus
US20150245543A1 (en) Fastening structure for shield can
JP4348725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US8513540B2 (en) Shielding assembly
KR20170089537A (ko)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JP4030888B2 (ja)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US8222542B2 (en) Shielding assembly
KR20100126879A (ko) 쉴드 캔 고정 구조
KR1006125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KR20110029067A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CN108513522B (zh) 组装组件及其组装方法
KR101936700B1 (ko) 차폐 보강 장치
KR101388758B1 (ko) 차폐용 쉴드 캔의 체결 장치
JP2013187238A (ja) シールド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20257369A1 (en) Emi shiel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3179377A (ja)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これを有する無線通信装置
JP2011228697A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このシールドケースを有する電子装置
JP2004047840A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装置
KR100969918B1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100997847B1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