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729A -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 Google Patents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729A
KR20100126729A KR1020107020061A KR20107020061A KR20100126729A KR 20100126729 A KR20100126729 A KR 20100126729A KR 1020107020061 A KR1020107020061 A KR 1020107020061A KR 20107020061 A KR20107020061 A KR 20107020061A KR 20100126729 A KR20100126729 A KR 2010012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resource
ack
service reques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632B1 (ko
Inventor
하오 수
듀가 프라사드 말라디
주안 몬토조
피터 가알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양쪽 업링크(UL) 송신들이 동시에 스케쥴링될 때 ACK/NACK 및/또는 서비스 요청(SR)이 수신되었는지를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쥴링하는 베이스 노드(base node)가 결정할 수 있도록 멀티플렉싱 스킴(scheme)을 통합한다. 베이스 노드가 ACK/NACK 또는 SR UL 채널에 의해 선택적인 사용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복잡성 감소, 보다 우수한 링크 효율성, 및 보다 높은 멀티플렉싱 능력이 달성된다. 상기 해석은 다중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들, 특히 DL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랭크 1 송신의 경우의 D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및 랭크 2 송신의 경우의 DL MIMO가 사용될 때로 확장될 수 있다. 스케쥴링 및 DL 송신 모드의 지식을 기초로, 베이스 노드는 UE로부터의 가능한 응답들의 맵핑으로 인해 다수의 가능성들을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e) 하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멀티플렉싱 스킴은 FDD 및 TDD에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ENHANCED MULTIPLEXING SYSTEM AND TECHNIQUE FOR UPLINK CONTROL CHANNELS}
특허에 대한 본 출원은 이 출원에 관한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특히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된 2008년 2월 8일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ENHANCED MULTIPLEXING SYSTEM AND TECHNIQUE FOR UPLINK CONTROL CHANNELS"인 임시 출원 61/027,242를 우선권 주장한다.
여기에 기술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측면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방법들,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 및 장치들, 및 특히 ACK/NA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 채널 둘 다가 동시에 스케쥴링될 때 상기 ACK/NA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및 등등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전개되었다. 이들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multiple-access) 시스템들일 수 있다. 상기 다중-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은 다중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런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singel-in-single-out),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는 제 3 세대(3G) 셀 폰 기술들 중 하나이다. UTRAN, 짧게 UMTS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는 UMTS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B'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에 대한 집합 용어이다. 이런 통신 네트워크는 실시간 회선 교환으로부터 패킷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IP로 많은 트래픽 타입들을 운반할 수 있다. UTRAN은 UE(사용자 장비)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사이의 접속을 허용한다. UTRAN은 노드 B들 이라 지칭되는 기지국들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RNC)을 포함한다. RNC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노드 B들에 제어 기능들을 제공한다. 노드 B 및 RNC는, 비록 통상적인 구현들이 다중 노드 B들에 서빙하는 센트럴 오피스(central office) 내에 배치된 별개의 RNC를 가지지만,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노드 B 및 RNC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노드 B 및 RNC 사이에 Iub로서 공지된 논리적 인터페이스가 있다. RNC 및 상기 RNC의 대응하는 노드 B들은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C)라 지칭된다. UTRAN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RNC가 있을 수 있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미래 요구조건들을 대처하기 위해 UMTS 이동 전화 표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내의 프로젝트에 제공된 이름이다. 목표들은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 기회들을 이용하고, 및 다른 개방 표준들과의 보다 우수한 통합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은 명세서들에서 EUTRA(Evolved UTRA) 및 EUTRAN(Evolved UTRAN) 시리즈 내에 기술된다.
LTE 업링크(UL) ACK/NAC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 채널 송신들을 위해, 주기적으로 시프트되는 CAZAC(Constant-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들 및 이산 퓨리어 변환(DFT) 및 월시 확산은 상이한 사용자들을 멀티플렉싱(multiplex)하기 위해 사용된다. 양쪽 채널들이 동시에 송신되어야할 때 문제들이 발생한다.
다음은 개시된 측면들 중 몇몇 측면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광범위한 요약이 아니고 핵심 또는 중대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상기 측면들의 범위를 묘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 요약의 의도는 추후 제공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제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기술된 특징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들 및 상기 측면의 대응하는 개시에 따라, 다양한 측면들은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들 둘 다가 동시에 스케쥴링될 때 ACK, SR 또는 ACK+SR이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방법을 미리 결정된 맵핑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이에 따라, 업링크 제어 채널은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보다 높은 차원의 변조를 통한 링크 손실, 또는 부가적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복잡성 없이 ACK, SR 또는 ACK+SR을 수신하기 위하여 디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제 1 제어 자원 및 제 2 제어 자원이 각각 할당된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 결정하고,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해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들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및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그리고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함으로써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듈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한다. 모듈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모듈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부가적인 측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컴퓨터-판독 가능 기억 장치는 컴퓨터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코드들의 세트는 컴퓨터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게 한다. 코드들의 세트는 컴퓨터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제어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게 한다.
다른 부가적인 측면에서,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수단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수단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단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추가 측면에서,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컴퓨팅 플랫폼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한다. 송신기는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송신기는 추가로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아직 하나의 측면에서, 각각 할당된 제 1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구하는지를 결정하고,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그리고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아직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듈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한다. 모듈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모듈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아직 부가적인 측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컴퓨터-판독 가능 기억 장치는 컴퓨터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코드들의 세트는 컴퓨터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게 한다. 코드들의 세트는 컴퓨터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게 한다.
아직 다른 부가적인 측면에서,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수단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단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는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단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아직 추가 측면에서,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컴퓨팅 플랫폼은 각각 할당된 제 1 및 제 2 자원들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할지를 결정한다. 수신기는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및 관련된 목적들의 구현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들은 이후 기술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특정한 예시 측면들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상기 측면들의 원리들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를 가리킨다. 다른 장점들 및 새로운 특징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고 개시된 측면들은 모든 상기 측면들 및 상기 측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물의 특징, 성질, 및 장점들은 유사한 참조 문자들이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하기에 나타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동시에 스케쥴링될 때 멀티플렉싱된 서비스 요청 및 데이터 확인응답의 효과적인 업링크 송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멀티플렉싱된 ACK/NAC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멀티플렉싱된 ACK/NAC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하나의 측면에 따른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하나의 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하나의 측면에 따른 예시적인 업링크 ACK/NACK 채널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하나의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위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하나의 측면에 따른 도 7의 강화된 멀티플렉싱 기술의 수신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하나의 측면에 따른 강화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하나의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하나의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하나의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멀티플렉싱된 서비스 요청 및 데이터 확인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멀티플렉싱된 서비스 요청 및 데이터 확인응답에 대한 베이스 노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은 업링크(UL) 송신들 둘 다가 동시에 스케쥴링될 때 ACK/NACK 및/또는 서비스 요청(SR)이 수신되었는지를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쥴링하는 베이스 노드가 결정할 수 있도록 멀티플렉싱 스킴(scheme)을 통합한다. 베이스 노드가 UE에 의해 ACK/NACK 또는 SR UL 채널의 선택적 사용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복잡성 감소, 보다 우수한 링크 효율성, 및 보다 높은 멀티플렉싱 능력이 달성된다. 상기 해석은 다중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들, 특히 DL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랭크(rank) 1 송신의 경우 D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및 랭크 2 송신의 경우 DL MIMO가 사용될 수 있을 때로 확장될 수 있다. 스케쥴링 및 DL 송신 모드의 지식을 바탕으로, 베이스 노드는 UE로부터의 가능한 응답들의 맵핑으로 인해 다수의 가능성들을 블라인드 디코딩하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멀티플렉싱 스킴은 FDD(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둘 다에 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지(edge) 사용자들에 대한 링크 성능 손실, 멀티플렉싱 능력 감소(예를 들어, 18로부터 12로 최대 ACK 채널들 제한), 또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복잡성 증가(예를 들어 ACK 대 SR+ACK의 블라인딩 디코딩 요청)를 유발하는 보다 높은 차수의 변조(예를 들어, QPSK 대신 8 PSK) 같은 덜 바람직한 접근들은 회피된다.
다양한 측면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금 기술된다. 다음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detail)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난다. 그러나, 다양한 측면들이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잘-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은 이들 측면들을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 출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및 등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소프트웨어인 컴퓨터-관련 엔티티를 지칭하기 위해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스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오브젝트, 실행 가능, 실행 스레드(thread),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할 목적으로, 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상에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사례, 또는 도시로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하여 여기에 사용된다. "예시적"으로서 여기에 기술된 임의의 측면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측면들 또는 설계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게다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젼들은 개시된 측면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공학 기술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품으로서 이행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제조 물품"(또는 대안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임의의 컴퓨터-판독 가능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예를 들어, 카드, 스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캐리어 파가 전자 메일을 송신 및 수신할 때 또는 인터넷 또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판독 가능 전자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물론, 당업자는 많은 변형들이 개시된 측면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 구성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측면들은 다수의 컴포넌트들, 모듈들,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의 측면에서 제공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부가적인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 및 인식될 것이다. 이들 접근들의 결합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측면들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술들 및/또는 마우스-및-키보드 타입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장치들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들의 예들은 컴퓨터들(데스크탑 및 모바일), 스마트 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들, 및 유선 및 무선 둘 다의 다른 전자 장치들을 포함한다.
처음에 도 1을 참조하여, eNB(evolved base node)(102)로서 묘사된 기지국의 통신 시스템(100)은 오버-더-에어(over-the-air)(OTA) 링크(104)를 통해 사용자 장비(UE)(106)와 통신한다. 특히, eNB(102)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110)을 스케쥴링하기 위하여 다운링크(DL)(108)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PUCCH(110) 상에서의 서비스 요청(SR)을 위한 허가(grant)(112)는 다운링크(108) 상에서 송신된다. 이에 따라, UE(106)는 데이터를 eNB(102)에 송신하기 위한 자원들(예를 들어, 주파수 및 시간)을 요청하기 위한 기회를 가진다. eNB(102)는 또한 ARQ(automatic repeat-request) 또는 하이브리드-ARQ(HARQ)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순방향 오류 정정(FEC)에 따라 데이터(114)를 다운링크(108) 상에서 송신한다. SR 허가(112)는 데이터(114)에 응답하여 예상되는 ACK/NACK 채널 스케쥴링을 가진 116으로 표시된 PUCCH에 대한 충돌 스케쥴링을 전달한다. 이런 스케쥴링 충돌에 응답하여, UE(106)에 있는 맵핑 컴포넌트(120)는 PUCCH(110) 상에서 124로 표시된 확인응답(ACK), SR, 또는 SR+ACK를 선택적으로 송신하고 eNB(102)에 있는 맵핑 컴포넌트(122)는 상기 확인응답(ACK), SR, 또는 SR+ACK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도 2에서, 하나의 측면에서 방법(200)은 업링크(UL) 송신들 동안 멀티플렉싱된 ACK/NAC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블록(202)에서, 서비스 요청 허가는 UL 제어 채널의 이용을 위해 수신된다. 게다가, 데이터는 순방향 오류 정정(FEC)의 일부로서 자동 재전송 요청 방법(예를 들어, ARQ, HARQ)에 따라 수신된다. PUCCH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SR 및 ACK/NACK에 관련하여 스케쥴링 충돌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블록(206)에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충돌이 없다면, SR 및 ACK의 멀티플렉싱은 요청되지 않고 퇴장(exit)이 발생한다(블록 207). 만약 충돌이 있다면, PUCCH 상에서 ACK, SR, 또는 ACK+SR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맵핑이 참조된다(블록 208).
만약 맵핑이 업링크(UL) 송신 채널 선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면(블록 210), 적당한 UL 제어 송신 파라미터들은 맵핑에 따라 결정된다(블록 212). 블록(214)에서, SR, ACK 또는 SR+ACK를 전달하기 위하여 SR 채널 또는 ACK 채널의 선택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행에서, ACK 채널 상에서 ACK를 송신하는 것은 이런 맵핑에 따라 SR이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SR 채널 상에서 SR을 송신하는 것은 ACK가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다른 채널 상에서 SR 및 ACK 중 선택된 하나를 송신하는 것(예를 들어, SR 채널 상에서 ACK 송신)은 SR 및 ACK 둘 다를 가리킨다.
블록(210)에서 UL 채널 선택이 맵핑에 의해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없다는 것을 맵핑이 가리키면, 어떤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적당한 맵핑을 참조하기 위한 베이스들로서 사용되는 가에 대한 결정이 블록(216)에서 이루어진다.
DL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에 대해 2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R 및 ACK 둘 다의 멀티플렉싱은 ACK 채널 상에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에 의해 달성된다(블록 220).
랭크 1 송신의 경우 D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에 대해 2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R 및 ACK의 멀티플렉싱은 ACK 채널 상에서 QPSK에 의해 달성된다(블록 224).
랭크 2 송신의 경우 DL MIMO에 대해 22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제한은 양쪽 DL 스트림들 중 하나의 ACK 수신으로 확인응답하기 위해 실행된다. 양쪽 SR 및 ACK의 멀티플렉싱은 ACK 채널 상에서 QPSK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블록 230). 대안적으로, 스케쥴링 제한은 DL SIMO 또는 DL MIMO 랭크 1을 사용하거나, 그 중 하나의 사용을 지정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블록 232).
이에 따라, 방법(200)이 자동 재전송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블록(240)의 요약에서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으로 스케쥴링된 연관된 확인응답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게다가, 블록(242)에서 방법(200)은 또한 맵핑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는 데이터를 생략한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서비스 요청, ACK/NACK(긍정 확인응답/부정 확인응답), 또는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선택적으로 멀티플렉싱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ACK 및 SR이 다른 UL 제어 채널 자원들에 할당될 것이라는 본 개시물의 장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채널들 중 단지 하나만이 송신되면, 상기 채널들은 그들의 할당된 자원들에서 송신된다. 만약 양쪽 ACK 및 SR이 동시에 송신될 필요가 있다면, 단일 캐리어 억제로 인해, ACK 및 SR은 그들의 할당된 자원들로부터 동시에 송신될 수 없다. 하나의 측면에서, 이런 상황은 UE가 양쪽 ACK 및 SR을 송신하기를 원할 때 SR에 할당된 자원 상에서 ACK 정보를 송신하고 그리고 UE가 SR을 전송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ACK에 할당된 자원 상에서 ACK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처리된다. 이에 따라, ACK 정보의 위치를 기초로 수신자(receipient)는 SR이 암암리에 송신되었는지 아닌지를 안다.
도 3에서, 하나의 측면에서 방법(300)은 업링크(UL) 송신들을 위해 멀티플렉싱된 ACK/NACK 채널 및 서비스 요청(SR)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블록(302)에서, 서비스 요청 허가는 UL 제어 채널의 이용을 위해 송신된다. 게다가, 데이터는 순방향 오류 제어(FEC)의 일부로서 자동 재전송 요청 방법(에를 들어, ARQ, HARQ)에 따라 송신된다(블록 304). 스케쥴링 충돌이 PUCCH에 대해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SR 및 ACK/NACK에 관련하여 존재하는지 결정이 블록(306)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충돌이 없다면, SR 및 ACK의 멀티플렉싱은 요청되지 않고 퇴장이 발생한다(블록 307). 만약 충돌이 있다면, PUCCH 상에서 ACK, SR 또는 ACK+SR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맵핑이 참조된다(블록 308).
만약 맵핑이 업링크(UL) 송신 채널 선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면(블록 310), 적당한 UL 제어 송신 파라미터들은 맵핑에 따라 결정된다(블록 312). 블록(314)에서, SR, ACK 또는 SR+ACK를 전달하기 위하여 SR 채널 또는 ACK 채널의 선택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행에서, ACK 채널 상에서의 ACK 수신은 이런 맵핑에 따라 SR이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SR 채널 상에서 SR 수신은 ACK가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다른 채널 상에서 SR 및 ACK 중 선택된 하나를 수신하는 것(예를 들어, SR 채널 상에서 ACK 수신)은 양쪽 SR 및 ACK를 가리킨다.
블록(310)에서 맵핑이 UL 채널 선택이 맵핑에 의해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없다는 것을 가리키면, 어떤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적당한 맵핑을 참조하기 위하여 베이스들로서 사용되는 가에 대한 결정이 블록(316)에서 이루어진다.
DL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에 대해 3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SR 및 ACK의 디멀티플렉싱은 ACK 채널 상에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을 복조함으로써 달성된다(블록 320).
랭크 1 송신의 경우 D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에 대해 3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SR 및 ACK의 디멀티플렉싱은 ACK 채널 상에서 QPSK를 복조함으로써 달성된다(블록 324).
DL MIMO 랭크 2 송신에 대해 32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제한은 양쪽 DL 스트림들 중 하나의 ACK 수신으로 확인응답하기 위해 부과되었다(블록 328). 양쪽 SR 및 ACK의 디멀티플렉싱은 ACK 채널 상에서 QPSK를 복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블록 330). 대안적으로, 스케쥴링 제한은 DL SIMO 또는 DL MIMO 랭크 1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사용을 지정하기 위하여 부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법(300)은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자원 할당을 전송하고 자동 재전송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약에서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에 대해 스케쥴링된 연관된 확인응답을 가진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34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디멀티플렉싱이 맵핑에 의해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해 달성될 수 있도록, 서비스 요청, ACK/NACK(긍정 확인응답/부정 확인응답), 또는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의 멀티플렉싱된 송신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은 다중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런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중(NT) 송신 안테나들 및 다중(NR)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 송신 안테나 및 NR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또한 공간 채널들이라 지칭되는 NS 독립 채널들로 분해되고, 여기서 NS≤min{NT, NR}. NS 독립 채널들 각각은 1 차원에 해당한다. MIMO 시스템은 만약 다중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추가 차원들이 사용되면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보다 높은 처리량 및/또는 보다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을 지원한다. 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 송신 및 역방향 링크 송신은 상호성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하도록 동일한 주파수 영역 상에 있다. 이것은 다중 안테나들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서 이용 가능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순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 빔성형 이득을 추출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하나의 측면에 따른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450)(AP)는 다중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그룹은 454 및 456을 포함하고, 다른 그룹은 458 및 460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그룹은 462 및 464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단지 두 개의 안테나들은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서 도시되지만, 보다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은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466)은 안테나들(462 및 464)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462 및 464)은 순방향 링크(470)를 통하여 액세스 단말(466)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468)를 통해 액세스 단말(46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472)은 안테나들(456 및 458)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456 및 458)은 순방향 링크(476)를 통해 액세스 단말(472)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474)를 통하여 액세스 단말(47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468, 470, 474 및 476)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470)는 역방향 링크(468)에 의해 사용되는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 및/또는 상기 안테나들이 통신을 위하여 설계되는 영역의 각각의 그룹은 종종 액세스 포인트(450)의 섹터로서 지칭된다. 상기 측면에서, 안테나 그룹들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45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섹터 내 액세스 단말들(466, 472)에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순방향 링크들(470 및 476)을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450)의 송신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466 및 474)에 대해 순방량 링크들의 신호-대-잡음 비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빔성형을 사용한다. 또한, 액세스 단말들의 커버리지를 통하여 임의로 산란되는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기 위한 빔성형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가 단일 안테나를 통하여 모든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는 것 보다 이웃하는 셀들 내 액세스 단말들에 대해 간섭이 적게 한다.
액세스 포인트(450)는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된 고정국일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전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466, 472)은 또한 사용자 장비(UE), 무선 통신 장치, 단말, 액세스 단말 또는 몇몇 다른 전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는 MIMO 시스템(500)에서 송신기 시스템(510)(또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공지됨) 및 수신기 시스템(550)(또한 액세스 단말로서 공지됨)의 하나의 측면의 블록도이다. 송신기 시스템(5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5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스(514)로 제공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5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스킴을 바탕으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interleave) 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롯 데이터와 함께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롯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된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롯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스킴(예를 들어, BPSK, QSPK, M-PSK, 또는 M-QAM)을 바탕으로 변조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5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추가로 변조 심볼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는(예를 들어, OFDM에 대해) TX MIMO 프로세서(520)에 제공된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520)는 NT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 송신기들(TMTR)(522a 내지 522t)로 제공한다. 특정 실행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520)는 빔성형 가중치들(weight)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심볼이 송신되는 안테나에 인가한다.
각각의 송신기(5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고, MIMO 채널을 통하여 송신에 적당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condition)(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 한다. 송신기들(522a 내지 522t)로부터의 NT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 안테나들(524a 내지 524t)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550)에서, 송신된 변조된 신호들은 NR 안테나들(552a 내지 5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5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554a 내지 5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5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그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560)는 NT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을 바탕으로 NR 수신기들(554)로부터 NR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한다. 그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5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RX 프로세서(5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5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5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514)에 의해 수행된 것에 상보적이다.
프로세서(570)는 어느 사전-코딩이 사용하기 위해 매트릭스화 되는지를 결정한다(하기에 논의됨). 프로세서(5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공식화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정보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5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5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5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554a 내지 554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송신기 시스템(510)으로 다시 송신된다.
송신기 시스템(510)에서, 수신기 시스템(550)으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5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522)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5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수신기 시스템(5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RX 데이터 프로세서(5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그 다음 프로세서(530)는 어느 사전-코딩이 빔성형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기 위해 매트릭스화되고 그 다음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할지를 결정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논리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된다. 논리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DL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페이징 정보를 전달하는 DL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PCCH), 하나 또는 몇몇의 MTCH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스케쥴링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 포인트-투-다중포인트 DL 채널인 다중 제어 채널(MCCH)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RRC 접속을 설정한 후, 이 채널은 MBMS(주의: 이전 MCCH+MSCH)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전용 제어 채널(DCCH)은 전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RRC 접속을 가진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이다. 상기 측면에서, 논리 트래픽 채널들은 하나의 UE에 전용이고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위한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한다. 게다가, 논리 트래픽 채널들은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포인트-투-다중포인트 DL 채널에 대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을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수송 채널들은 DL 및 UL로 분류된다. DL 수송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다운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DL-SD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포함하고, UE 전력 절약 지원을 위한 PCH(DRX 사이클은 네트워크에 의해 UE로 지시됨)는 전체 셀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고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PHY 자원들에 맵핑된다. UL 수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요청 채널(REQCH), 업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UL-SDCH) 및 다수의 PHY 채널들을 포함한다. PHY 채널들은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DL PHY 채널들은 공통 파일롯 채널(CPICH); 동기화 채널(SCH); 공통 제어 채널(CCCH); 공유된 DL 제어 채널(SD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 공유된 UL 할당 채널(SUACH); 확인응답 채널(ACKCH); DL 물리적 공유 데이터 채널(DL-PSDCH); UL 전력 제어 채널(UPCCH); 페이징 표시기 채널(PICH); 로드 표시기 채널(LICH)을 포함하고; UL PHY 채널들은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채널 품질 표시기 채널(CQICH); 확인응답 채널(ACKCH); 안테나 서브세트 표시기 채널(ASICH); 공유된 요청 채널(SREQCH); UL 물리적 공유 데이터 채널(UL-PSDCH); 광대역 파일롯 채널(BPICH)을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채널 구조는 단일 캐리어 파형의 낮은 PAR(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채널이 연속적이거나 주파수 적으로 균일하게 이격됨)을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본 문서의 목적들을 위해, 다음 약어들이 적용된다:
AIS 자동 식별 시스템
AM 확인응답된 모드
AMD 확인응답된 모드 데이터
ARQ 자동 재전송 요청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
BCH 브로드캐스트 채널
C- 제어-
CCCH 공통 제어 채널
CCH 제어 채널
CCTrCH 코딩된 복합 수송 채널
CDI 채널 방향 정보
CP 주기적 프리픽스(Prefix)
CRC 순환 중복 검사
CTCH 공통 트래픽 채널
DCCH 전용 제어 채널
DCH 전용 채널
DL 다운링크
DL-SCH 다운링크 공유 채널
DSCH 다운링크 공유 채널
DTCH 전용 트래픽 채널
FACH 순방향 링크 접속 채널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i.i.d.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산됨
L1 층 1(물리 층)
L2 층 2(데이터 링크 층)
L3 층 3(네트워크 층)
LI 길이 표시기
LSB 최하위 비트
MAC 중간 액세스 제어
MBM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SFN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MCCH MBMS 포인트-투-다중 포인트 제어 채널
MCE MBMS 협력 엔티티
MCH 멀티캐스트 채널
MIM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RW 이동 수신 윈도우
MSB 최상위 비트
MSCH MBMS 포인트-투-다중포인트 스케쥴링 채널
MTCH MBMS 포인트-투-다중포인트 트래픽 채널
PCCH 페이징 제어 채널
PCH 페이징 채널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U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
PHY 물리 층
PhyCH 물리 채널들
PUS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C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QoS 서비스 품질
RACH 랜덤 액세스 채널
RLC 무선 링크 제어부
RRC 무선 자원 제어부
SAP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SDU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
SHCCH 공유된 채널 제어 채널
SN 시퀀스 번호
SUFI 슈퍼 필드
TCH 트래픽 채널
TDD 시분할 듀플렉스
TFI 수송 포맷 표시기
TM 투명 모드(Transparent Mode)
TMD 투명 모드 데이터
TTI 송신 시간 간격
U- 사용자-
UE 사용자 장비
UL 업링크
UM 부정 확인응답된 모드
UMB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
UMD 부정 확인응답된 모드 데이터
UMTS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TRA UMTS 지상 무선 접속
UTRAN UMTS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
WWAN 무선 광역 네트워크
수신기(예를 들어, UE)에 의해 송신된 긍정 확인응답/부정 확인응답(ACK/NACK) 송신들은 송신기(예를 들어, e-NB)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성공 또는 실패를 통신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수신기에 의한 ACK/NACK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은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송신을 위한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할당에 명확한 맵핑을 위해 선험적(a priori) 공지되었다.
UE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요청(SR) 송신들은 송신을 위한 자원들에 대한 요청을 e-NB에 통신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UE에 의한 SR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예를 들어, 주파수 및 시간 할당)은 층 3(L3) 시그널링을 통하여 시그널링되고, 따라서 선험적 공지될 것이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은 ACK/NACK 송신들 및 SR 송신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운반하고, 다중 포맷들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업링크(UL) ACK/NACK 채널뿐 아니라 SR 채널 송신들에 대해, 주기적으로 시프트되는 일정 진폭 제로 자동-상관(cyclically shifted 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CAZAC) 시퀀스들뿐 아니라 DFT 및 월시 확산은 상이한 사용자들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UL ACK/NACK 채널 송신에 대해, 양쪽 기준 신호(RS), 데이터는 길이 12의 주기적으로 시프트되는 CAZAC 시퀀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18명의 사용자들까지가 CAZAC 시퀀스들의 주기적 시프트들뿐 아니라 RS에 대한 DFT의 시간 영역 확산 및 데이터에 대한 월시를 바탕으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도 6은 3 파일롯들을 가진 예시적인 UL ACK/NACK 채널 구조(600)를 도시한다.
양쪽 ACK/NACK 송신들 및 SR 송신들이 동시에 송신되고자 하고 그러므로 UE에 의해 멀티플렉싱 되고자 하는 상황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 문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증가된 프로세싱 복잡성, 감소된 링크 효율성, 및/또는 멀티플렉싱 능력들에 대한 증가된 요구 조건. 예를 들어, 만약 상이한 시프트들 및 시간 영역 확산 코드들이 SR 및 ACK/NACK 송신 양쪽을 포함하는 송신과 반대로 ACK/NACK 송신에 대해 지정되었다면, 몇몇 자원들은 SR 송신을 위해 모아지도록 요청된다. 이런 접근과 연관된 단점들은 ACK 채널들의 멀티플렉싱 능력의 일부 손실 및 18 대신 12로 최대 ACK 채널들의 제한을 포함한다. 게다가, 블라인드 디코딩은 ACK 대 SR+ACK 송신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요청된다. 다른 한편, 8-PSK 같은 보다 높은 차원 변조가 ACK/NACK 및 SR 송신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해 실행되었다면, QPSK와 비교하여 상당한 링크 레벨 손실이 발생한다. 이런 링크는 커버리지의 에지들에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특히 제한적인 요소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하나의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는 도시된다. 블록(702)에서, UE는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SR에 대한 송신 자원들은 상부 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L3 시그널링을 통하여 선험적 공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신기에 의한 ACK/NACK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은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PDSCH) 송신을 위한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할당에 정확한 맵핑을 위해 선험적 공지되었다. 따라서, 상기 정보로부터, UE는 특정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만약 SR 송신들만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제 1 업링크 송신 모드), 또는 ACK/NACK 송신들만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 또는 양쪽 SR 송신들 및 ACK/NACK 송신들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제 3 업링크 송신 모드).
제 1 업링크 송신 모드에서, SR 만의 송신들은 전송되고(즉, ACK/NACK 송신 없이), 블록(704)에서 UE는 SR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SR 정보를 송신한다. 제 2 업링크 송신 모드에서, ACK/NACK 송신만이 전송되고(즉, SR 송신 없이), 그리고 블록(706)에서, UE는 ACK/NACK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송신한다.
제 3 업링크 송신 모드에서, UE는 양쪽 SR 및 ACK/NACK 송신들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된다. UE가 SR을 송신하는 경우, 블록(708)에서, UE는 SR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송신한다. SR 자원들 상에서 ACK/NACK의 송신은 양쪽 ACK/NACK 정보 및 서비스 요청 표시를 통신한다.
UE가 양쪽 SR 및 ACK/NACK 송신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 그러나 UE가 SR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 경우, UE는 선택 경로(709)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ACK/NACK 자원(이는 블록 706의 작용들에 대응함)을 통해 ACK/NACK 송신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ACK/NACK를 통신하기 위하여 SR의 송신 자원들의 선택(또는 비선택)은 부가적으로 SR 비트를 시그널링한다. 결과적으로, ACK/NACK 채널의 멀티플렉싱 능력은 감소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여, 하나의 측면에 따른 도 7의 강화된 멀티플렉싱 기술의 수용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는 도시된다. 블록(802)에서, e-NB는 UE의 송신 업링크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SR에 대한 송신 자원들은 상부 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L3 시그널링을 통해 선험적 공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신기에 의한 ACK/NACK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은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PDSCH) 송신을 위한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할당에 명확한 맵핑을 위해 선험적 공지된다. 따라서, 상기 정보로부터, e-NB는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UE가 SR만의 송신들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제 1 업링크 송신 모드), 또는 UE가 ACK/NACK 송신들만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제 2 업링크 송신 모드), 또는 UE가 양쪽 SR 송신들 및 ACK/NACK 송신들을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제 3 업링크 송신 모드).
제 1 업링크 송신 모드에서, SR 송신들만이 전송되고(즉, ACK/NACK 송신 없이), 그리고 블록(804)에서 e-NB는 SR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SR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복조, 디코딩, 등등)한다(즉, 도 7의 블록 404에서 UE로부터의 SR 송신). 제 2 업링크 송신 모드에서, ACK/NACK 송신만이 전송되고(즉, SR 송신 없이), 그리고 블록(806)에서, e-NB는 ACK/NACK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한다(즉, 도 4의 블록 406에서 UE로부터의 ACK/NACK 송신).
제 3 업링크 송신 모드에서, UE는 양쪽 SR 및 ACK/NACK 송신들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고, 블록(808)에서, e-NB는 양쪽 ACK/NACK 및 SR 송신들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블라인드 ACK/NACK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블록(808) 다음, 블록(810)에서, e-NB는 ACK/NACK가 ACK/NACK 자원들 상에서 올바르게 복조 및 디코딩되었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ACK/NACK 정보는 얻어지고 추가로 e-NB는 SR이 UE에 의해 요청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도 7에서, ACK/NACK 자원들을 통한 ACK/NACK 정보의 통신(블록 706)은 ACK/NACK 정보만의 UE의 통신(즉, SR 없이)과 연관된다.
또한 블록(808) 다음 블록(814)에서, e-NB는 ACK/NACK가 SR 자원들 상에서 올바르게 복조 및 디코딩되었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ACK/NACK 정보는 얻어지고 추가로 e-NB는 SR이 UE에 의해 요청되었다는 것을 결정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도 7에서, SR 자원들을 통한 ACK/NACK 정보의 통신(블록 708)은 ACK/NACK 정보의 UE의 통신 및 추가로 SR의 시그널링과 연관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는 도시된다. 블록(902)에서, UE는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도 9의 예에서, DL 단일-입력 다중-출력(SIMO), 랭크 1의 경우의 DL MIMO, 및 랭크 2의 경우의 DL MIMO에 대한 경우들이 도시된다. 양쪽 DL SIMO 및 랭크 1의 경우의 DL MIMO에서, 단일 다운링크 층 또는 스트림은 전송되고,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는 통신될 수 있다. 랭크 2의 경우의 DL MIMO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다운링크 층들 또는 스트림들은 송신되고, ACK/NACK의 두 개의 비트들은 통상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각각의 비트는 특정 층 또는 스트림에 대응하고, SR의 하나의 비트는 전송될 수 있다.
DL SIMO와 연관된 제 1 DL 송신 모드에서, 블록(904)에서, UE는 ACK/NACK 채널을 통해 QPSK 변조를 이용하여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를 송신한다. DL MIMO 랭크 1과 연관된 제 2 DL 송신 모드에서, 블록(906)에서, UE는 ACK/NACK 채널을 통해 QPSK 변조를 이용하여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를 송신한다.
DL MIMO 랭크 2와 연관된 제 3 DL 송신 모드에서, 블록(908)에서, ACK/NACK 정보는 하나의 비트로 제한되고, 하나의 비트는 블록(910)에서 ACK/NACK 채널을 통해 QPSK 변조를 이용하여 SR을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를 위해, ACK/NACK 비트는 DL MIMO 랭크 2 송신의 양쪽 층들 또는 스트림들이 올바르게 수신되면 진실 또는 "긍정 확인응답"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실패 또는 "부정 확인응답"이 전송된다.
e-NB는 블록들(904, 906 및 910)과 연관된 UE에 의해 송신된 각각의 통신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는 도시된다. 블록(1002)에서,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는 결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SR에 대한 송신 자원들은 상부 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UE 시그널링을 통하여 선험적 공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신기에 의한 ACK/NACK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은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PDSCH) 송신을 위해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할당에 정확히 맵핑을 위해 선험적 공지되었다. 따라서, 상기 정보로부터, UE가 SR 송신들만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 또는 ACK/NACK 송신들만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 또는 양쪽 SR 송신들 및 ACK/NACK 송신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경우가 결정될 수 있다.
블록(1004)에서, 다운링크 송신이 SR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지 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경우 UE는 양쪽 SR 송신들 및 ACK/NACK 송신들을 전송하도록 스케쥴링된다. 만약 대응하면, 흐름도는 블록(1006)으로 계속되고, 여기서 스케쥴링러는 UE로의 DL 송신 모드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DL 송신 모드는 SIMO 또는 랭크 1의 경우의 MIMO 같은 단일 층 또는 단일 스트림 송신 모드로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CK에 대하여 단지 하나의 비트만이 요청되고 하나의 비트는 SR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ACK/NACK 채널을 통해 QPSK 변조를 이용하여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를 송신한다. 블록(1004)에서, UE가 양쪽 SR 송신들 및 ACK/NACK 송신들을 전소하도록 스케쥴링되지 않으면, DL 송신 모드는 제한되지 않고, MIMO 랭크 2 송신은 인에이블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SR 비트는 요청되지 않고, 두 개의 비트들은 ACK/NACK 채널을 통해 QPSK 변조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비트들은 MIMO 랭크 2 송신과 연관된 각각의 층 또는 스트림에 대해 하나의 비트이다. 링크 레벨 성능은 이에 따라 개선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측면에 따른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는 도시된다. 블록(1102)에서, UE는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도 11의 예에서, DL 단일-입력 다중-출력(SIMO), 랭크 1의 경우의 DL MIMO, 및 랭크 2의 경우의 DL MIMO에 대한 경우들은 도시된다. 양쪽 DL SIMO 및 랭크 1의 경우의 DL MIMO에서,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는 통신될 수 있다. 랭크 2의 경우의 DL MIMIO에서, ACK/NACK의 두 개의 비트들은 통상적으로 전송되고, 각각의 비트는 특정 층에 대응하고; 부가적으로, SR의 하나의 비트는 전송될 수 있다.
DL SIMO와 연관된 제 1 DL 송신 모드에서, 블록(1104)에서, UE는 ACK/NACK 채널을 통해 QPSK 변조를 이용하여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를 송신한다. DL MIMO 랭크 1과 연관된 제 2 DL 송신 모드에서, 블록(1106)에서, UE는 ACK/NACK 채널을 통하여 QPSK 변조를 이용하여 ACK/NACK의 하나의 비트 및 SR의 하나의 비트를 송신한다.
DL MIMO 랭크 2와 연관된 제 3 DL 송신 모드에서, 블록(1108)에서, UE는 ACK/NACK 채널을 통해 8PSK 변조를 이용하여 ACK/NACK의 두 개의 비트들 및 SR의 하나의 비트를 송신한다. 랭크 2의 경우의 MIMO 사용자들이 통상적으로 내부 사용자들이기 때문에, 8PSK 및 QPSK 사이의 링크 레벨 차는 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들에 대한 제한 요소가 아닐 것이다.
상기에 의해, 다양한 측면들이 개시되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하고, 다음은 도시하지만 모두 포함하지 않는 리스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비-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서, ACK/NACK 정보는 UE가 동시에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될 때 서비스 요청 자원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부가적인 측면에서, 서비스 요청 자원 상에서 ACK/NACK 정보의 존재는 추가로 서비스 요청을 가리킨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UE가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고 ACK/NACK를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지 않을 때 서비스 요청 자원 상에서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방법은 UE가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는 것이 아니고 ACK/NACK를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될 때 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부가적인 대안으로서, 상기 방법은 UE가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될 때 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 정보의 존재는 서비스 요청 부재를 추가로 가리킨다.
추가 측면에서,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로부터 ACK/NACK 송신을 얻기 위하여 비-ACK/NACK 자원과 관련하여 ACK/NACK 자원을 블라인드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ACK/NACK 송신이 비-ACK/NACK 자원으로부처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되었다면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을 결정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다른 부가적인 측면에서, 비-ACK/NACK 자원은 서비스 요청 자원이고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은 서비스 요청의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ACK/NACK 송신이 ACK/NACK 자원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되었다면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의 부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비-ACK/NACK 자원은 서비스 요청 자원일 수 있고,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의 부족을 결정하는 것은 서비스 요청이 전송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직 다른 측면에서, ACK/NACK 피드백 정보를 다수의 다운링크 송신 스트림들 동안 하나의 비트로 제한하고, ACK/NACK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부가적인 측면에서,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단일 스트림으로 제한함으로써 UE의 송신 모드를 스케쥴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다른 측면에서, UE는 상기 UE가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될 때 DL SIMO 또는 랭크 1의 경우의 DL MIMO로 제한될 수 있다.
하나 더의 측면에서,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단일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고, UE의 다운링크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다수의 비트들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8PSK 변조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부가적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비-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아직 추가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업링크 송신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수단은 UE로부터 ACK/NACK 송신을 얻기 위하여 비-ACK/NACK 자원과 관련하여 ACK/NACK 자원을 블라인드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수단은 ACK/NACK 송신이 비-ACK/NACK 자원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되었다면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아직 다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수단은 ACK/NACK 피드백 정보를 다수의 다운링크 송신 스트림 동안 단일 비트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수단은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다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단일 스트림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추가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단일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장비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수단은 UE의 다중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다수의 비트들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8PSK 변조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다른 부가적인 측면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언급된 방법들 중 임의 방법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도록 제공되었다.
하나의 측면에서, 머신-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이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비-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되었다.
다른 측면에서, 머신-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이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로부터 ACK/NACK 송신을 얻기 위하여 비-ACK/NACK 자원과 관련하여 ACK/NACK 자원을 블라인드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ACK/NACK 송신이 비-ACK/NACK 자원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되었다면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되었다.
추가 측면에서, 머신-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이 다수의 다운링크 송신 스트림들 동안 ACK/NACK 피드백 정보를 단일 비트로 제한하고, 그리고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되었다.
부가적인 측면에서, 머신-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이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단일 스트림으로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되었다.
아직 다른 측면에서, 머신-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이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단일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고, 그리고 UE의 다중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다수의 비트들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8PSK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되었다.
아직 다른 부가적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프로세서는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결정된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비-ACK/NACK 자원 상에서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하나의 추가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프로세서는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로부터 ACK/NACK 송신을 얻기 위하여 비-ACK/NACK 자원과 관련하여 ACK/NACK 자원을 블라인드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ACK/NACK 송신이 비-ACK/NACK 자원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되었다면 제 2 채널의 시그널링을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다운링크 송신 스트림들 동안 ACK/NACK 피드백 정보를 단일 비트로 제한하고, 그리고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기 위해 구성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프로세서는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단일 스트림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다른 측면에서,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프로세서는 UE의 다운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UE의 단일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의 단일 비트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QPSK 변조하고; 그리고 UE의 다중 스트림 다운링크 송신 모드 동안 ACK/NACK 채널을 통하여 ACK/NACK 정보의 다수의 비트들 및 서비스 요청 정보의 제 2 비트를 8PSK 변조하기 위해 구성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아직 다른 추가적인 측면에서, UE의 업링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리고 UE의 결정된 업링크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업링크 제어 채널 정보와 연관되지 않은 자원상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도 12에서, 베이스 노드(1200)는 컴퓨터가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들 같은 모듈을 제공하는 컴퓨팅 플랫폼(1202)을 가진다. 특히, 컴퓨팅 플랫폼(1202)은 또한 eNB들과 통신하기 위하여 송신기/수신기 컴포넌트(1214)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들)(1212)에 의해 실행되는 다수의 모듈들(예를 들어, 전자 컴포넌트 또는 노리 회로)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1204)를 포함한다(도 13). 특히, 모듈(1206)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모듈(1208)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듈(1210)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양쪽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3에서, 사용자 장비(UE)(1300)는 컴퓨터가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들 같은 모듈을 제공하는 컴퓨팅 플랫폼(1302)을 가진다. 특히, 컴퓨팅 플랫폼(1302)은 또한 eNB와 통신하기 위하여 송신기/수신기 컴포넌트(1316)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들)(1314)에 의해 실행되는 다수의 모듈들(예를 들어, 전자 컴포넌트 또는 논리 회로)(1306-1310)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1304)를 포함한다(도 12). 특히, 모듈(1306)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듈(1308)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듈(1310)은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당업자는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공업 기술들 및 기술들을 사용하여 정보 및 신호들이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을 통하여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도시된 논리 블록들, 모듈들, 수단, 회로들, 및 알고리듬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의 결합들로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교환 가능성을 명확하게 도시하게 위하여, 다양한 도시된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 기능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되었다. 상기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상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한들에 따른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가변 방식으로 기술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지만, 상기 실행 결정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임의의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만약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를 통해 저장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하지 않고,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형태의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운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기억 장치, 자기 디스크 기억 장치 또는 다른 자기 기억 장치들, 또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부는 적당하게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라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된 쌍,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된 쌍,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Disk 및 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disk들은 일반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결합들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도시된 논리 블록들, 모듈들, 수단, 및 회로들은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반도체(ASIC), 자계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지만,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상기 구성으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듬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두 개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종래에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일체형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있을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물을 형성하거나 사용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개시물의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과 일관된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를 것이다.
상기된 예시적인 시스템들에서, 개시된 청구 대상에 따라 실행될 수 있는 방법들은 몇몇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상기 방법들이 일련의 블록들로서 도시 및 기술되었지만, 몇몇 블록들이 여기에 도시 및 기술된 것과 다른 순서들 및/또는 다른 블록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 대상이 블록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 및 인식될 것이다. 게다가, 모든 도시된 블록들이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요구될 수 없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이 컴퓨터들에 상기 방법들을 전달 및 전송하기에 용이하도록 제조 물품 상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인식되어야 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인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 가능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자 한다.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될 상기된 임의의 특허, 공개물, 또는 다른 개시 자료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된 자료가 이 개시물에 나타난 기존 정의들, 언급들, 또는 다른 개시 자료와 충돌하지 않는 범위까지만 여기에 통합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그리고 필요한 범위까지, 여기에 명확히 나타난 개시물은 참조로써 여기에 통합된 임의의 충돌 자료를 대신한다.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되고, 여기에 나타난 기존 정의들, 언급들, 또는 다른 개시 자료와 충돌하는 임의의 자료, 또는 상기 자료의 일부는 통합된 자료 및 기존 개시 자료 사이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까지만 통합된다.

Claims (58)

  1. 멀티플렉싱(multiplex)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데이터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의 수신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없이 확인응답을 가리키기 위하여 확인응답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확인응답의 수신 없이 서비스 요청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해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1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2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다운링크 스트림들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하여 ACK를 송신하도록 피드백 제한을 실행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에 의하여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MIMO 랭크 1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14.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모듈;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15.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판독 가능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기억 장치는,
    상기 컴퓨터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한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 및
    컴퓨터가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6.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17.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플랫폼;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데이터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의 수신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송신하고;
    서비스 요청 없이 확인응답을 가리키기 위하여 확인응답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송신하고; 및
    데이터 확인응답의 수신 없이 서비스 요청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를 바탕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1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들은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2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추가로 두 개의 다운링크 스트림들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하여 ACK를 송신하도록 피드백 제한을 실행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에 의한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복조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2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MIMO 랭크 1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수신하고, 그리고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에 의한 ACK/NACK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30.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데이터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의 수신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없이 확인응답을 가리키기 위하여 확인응답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확인응답의 수신 없이 서비스 요청을 가리키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1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2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다운링크 스트림들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하여 ACK를 전송하도록 피드백 제한을 부과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1. 제 42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송신하는 단계; 및
    쿼드러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2. 제 38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MIMO 랭크 1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송신하는 단계; 및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3.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44.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판독 가능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기억 장치는,
    컴퓨터가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채널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6.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 할당된 제 1 자원 및 제 2 자원을 가진 제 1 제어 채널 및 제 2 제어 채널이 동시 송신을 요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플랫폼; 및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되지 않은 제어 채널을 가리키지 않고 선택된 제어 채널을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자원 및 상기 제 2 자원 중 대응하지 않는 자원을 가진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 중 선택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데이터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의 수신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수신기는 추가로,
    확인응답 및 서비스 요청 둘 다를 가리키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수신하고;
    서비스 요청 없이 확인응답을 가리키기 위하여 확인응답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데이터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을 수신하고; 그리고
    데이터 확인응답의 수신 없이 서비스 요청을 가리키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상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9. 제 47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DL) 송신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요청 및 ACK/NACK를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1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4.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DL) 송신 모드가 랭크 2 송신의 경우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로 두 개의 다운링크 스트림들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하여 ACK를 송신하도록 피드백 제한을 부과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복조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다운링크 송신이 서비스 요청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때 MIMO 랭크 1을 선택하도록 스케쥴링 제한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변조 ACK/NACK 채널을 복조함으로써 ACK 및 서비스 요청을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것인,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KR1020107020061A 2008-02-08 2009-02-05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KR101177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24208P 2008-02-08 2008-02-08
US61/027,242 2008-02-08
US12/365,845 2009-02-04
US12/365,845 US8855630B2 (en) 2008-02-08 2009-02-04 Enhanced multiplexing system and technique for uplink control channels
PCT/US2009/033218 WO2009100217A2 (en) 2008-02-08 2009-02-05 Enhanced multiplexing system and technique for uplink control channe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571A Division KR20120084821A (ko) 2008-02-08 2009-02-05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729A true KR20100126729A (ko) 2010-12-02
KR101177632B1 KR101177632B1 (ko) 2012-08-27

Family

ID=409388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571A KR20120084821A (ko) 2008-02-08 2009-02-05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KR1020107020061A KR101177632B1 (ko) 2008-02-08 2009-02-05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571A KR20120084821A (ko) 2008-02-08 2009-02-05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855630B2 (ko)
EP (1) EP2243244B1 (ko)
JP (1) JP5372964B2 (ko)
KR (2) KR20120084821A (ko)
CN (2) CN103532691B (ko)
AU (1) AU2009212368A1 (ko)
BR (1) BRPI0908811B1 (ko)
CA (1) CA2712913C (ko)
ES (1) ES2660158T3 (ko)
HU (1) HUE038145T2 (ko)
IL (1) IL207105A0 (ko)
MX (1) MX2010008679A (ko)
RU (1) RU2486680C2 (ko)
TW (2) TWI500306B (ko)
WO (1) WO20091002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5630B2 (en) * 2008-02-08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ultiplexing system and technique for uplink control channels
KR101715938B1 (ko) * 2009-03-03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293486A1 (en) * 2009-09-03 2011-03-09 Panasonic Corporation Feedback scheme for providing feedback on plural transmissions
EP3499772A1 (en) * 2009-10-19 2019-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diversity and multiplexing for harq-ack signals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11122265A1 (ja) * 2010-03-30 2011-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750143B2 (en) 2010-04-02 2014-06-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xtended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reporting via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N102215595A (zh) * 2010-04-07 2011-10-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上行调度请求传输方法
US8879437B2 (en) 2010-08-1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Backward compatible LTE system design for asymmetric uplink/downlink spectrum
CN102082645A (zh) * 2010-12-30 2011-06-01 电子科技大学 载波聚合下harq的ack/nack反馈方法
WO2013121727A1 (ja) 2012-02-16 2013-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EP2748961B1 (en) * 2012-03-26 2015-10-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selecting mimo ranks and related devices
KR20150028985A (ko) * 2012-06-07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를 통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US9391754B2 (en) 2012-06-14 2016-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mapping retransmissions responsive to bundled nack messages and related devices
US9294230B2 (en) 2012-07-02 2016-03-22 Intel Corporation Multiplex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ement information
WO2014022861A1 (en) * 2012-08-03 2014-02-06 Intel Corporation Multiplex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acknowledgement information
KR102117024B1 (ko) * 2012-11-28 2020-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9692550B2 (en) 2012-11-29 2017-06-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aveform selection and adaptation
WO2014183274A1 (en) * 2013-05-15 2014-1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bs for identifying ue transmits sr, and method and ue for transmitting sr to bs
US10069555B2 (en) 2016-04-13 2018-09-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US10425200B2 (en) 2016-04-13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justment request
US10805893B2 (en) * 2016-08-19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versal synchronization signals for new radio
US10225826B2 (en) * 2017-03-24 2019-03-05 Nokia Technologies Oy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ple control channel format lengths
EP3644564A4 (en) * 2017-08-03 2020-07-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MULTI-SERVICE DATA MULTIPLEX TRANSMISS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CN110999365B (zh) 2017-08-10 2024-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US10506621B2 (en) * 2017-11-30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haring in a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environment
KR102609731B1 (ko) 2018-01-05 2023-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상향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192007A1 (en) * 2018-04-05 2019-10-10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handling for csi reporting on pusch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438B2 (en) 2001-02-16 2005-11-29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device for downlink packet switching
US7042856B2 (en) 2001-05-03 2006-05-09 Qualcomm, In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58504B2 (en) 2001-05-21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mod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forward and/or reverse 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US7321780B2 (en) 2003-04-30 2008-01-22 Motorola, Inc. Enhanced uplink rate selection by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soft handoff
UA83256C2 (ru) 2003-10-02 2008-06-25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эйте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множества каналов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одном канале упра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7616698B2 (en) * 2003-11-04 2009-11-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system and method
US20050250497A1 (en) 2004-05-05 2005-11-10 Amitava Ghosh Acknowledgement method for ACK/NACK signaling to facilitate UE uplink data transfer
JP2006033778A (ja) 2004-06-17 2006-02-02 Ntt Docomo Inc 移動局、基地局、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KR100754660B1 (ko) * 2004-06-1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 변조/부호 부 채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ES2297332T3 (es) 2004-12-15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oyo del trafico de tasa de bits garantizada para transmisiones del enlace ascendente.
US8831115B2 (en) * 2004-12-22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C-CDMA multiplexing in an orthogonal uplink
DE602005018040D1 (de) 2005-07-25 2010-01-14 Panasonic Corp Einschränkung eines HARQ Verfahrens und Übertragung von ungeplanten Steuerdaten auf Aufwärtskanäle
JP4684045B2 (ja) 2005-08-30 2011-05-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制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TW200729786A (en) * 2005-11-11 2007-08-01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s and control channel allocation method
US8254316B2 (en) * 2005-12-15 2012-08-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QOS-based multi-protocol uplink access
CN1983914B (zh) * 2005-12-16 2011-04-13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混合自动请求重传方法及系统
WO2007081564A2 (en) 2006-01-03 2007-07-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chedul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and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feedback
WO2007089875A2 (en) * 2006-01-31 2007-08-09 Beceem Communications, Inc. Selecting modulation and coding level and spatial rate for orthogonal frequency domain modulation systems
US8102802B2 (en) * 2006-05-08 2012-01-2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acknowledgments and transmit indicator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80635A1 (en) * 2006-10-02 2008-04-03 Nokia Corporation Advanced feedback signaling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s
KR101031723B1 (ko) * 2006-10-26 201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보고 방법
US7916621B2 (en) * 2007-02-05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control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68785A1 (en) * 2007-04-30 2008-10-30 Mccoy James W UE-autonomous CFI reporting
US7649831B2 (en) * 2007-05-30 2010-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user MIMO feedback and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316959A1 (en) * 2007-06-19 2008-12-25 Rainer Bachl Method of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s over uplink channels
KR20090015778A (ko) 2007-08-08 2009-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링 요청 신호 전송 방법
CN101919196B (zh) 2007-10-30 2015-01-14 诺基亚通信公司 提供与ack/nack或cqi一起的改进调度请求信令
US8855630B2 (en) * 2008-02-08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ultiplexing system and technique for uplink control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8145T2 (hu) 2018-09-28
IL207105A0 (en) 2010-12-30
BRPI0908811B1 (pt) 2021-03-09
BRPI0908811A2 (pt) 2020-08-18
KR101177632B1 (ko) 2012-08-27
RU2486680C2 (ru) 2013-06-27
JP5372964B2 (ja) 2013-12-18
AU2009212368A1 (en) 2009-08-13
TWI430638B (zh) 2014-03-11
CN101939942A (zh) 2011-01-05
US8855630B2 (en) 2014-10-07
WO2009100217A2 (en) 2009-08-13
WO2009100217A3 (en) 2009-11-26
TW201328275A (zh) 2013-07-01
EP2243244B1 (en) 2017-12-20
JP2011511603A (ja) 2011-04-07
CN101939942B (zh) 2013-10-30
MX2010008679A (es) 2010-08-31
CN103532691B (zh) 2017-05-17
CA2712913A1 (en) 2009-08-13
EP2243244A2 (en) 2010-10-27
KR20120084821A (ko) 2012-07-30
US20090201869A1 (en) 2009-08-13
ES2660158T3 (es) 2018-03-21
TWI500306B (zh) 2015-09-11
TW200943879A (en) 2009-10-16
CN103532691A (zh) 2014-01-22
RU2010137350A (ru) 2012-03-20
CA2712913C (en)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632B1 (ko)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강화된 멀티플렉싱 시스템 및 기술
JP6808498B2 (ja) クロス・サブフレーム制御チャネル設計
TWI426722B (zh) 無線通訊系統的ue-rs序列初始化
EP256989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wnlink channel resource assignment
KR101189963B1 (ko) Ack 및 cqi 채널들에서 사운딩 신호들의 멀티플렉싱
CN110708760B (zh) 用于无线网络的子帧配置的方法和装置
KR1016436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시퀀스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101975A (ko) 다운링크 가상 자원 블록들에 기초하여 업링크 확인응답 전송을 매핑
KR20170110082A (ko) 증가된 수의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확인응답하기 위한 업링크 제어 채널
CN115150955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设备
KR20120129978A (ko) 업링크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WO2022080391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2030598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15968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