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416A -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및 그의 커플러 - Google Patents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및 그의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416A
KR20100126416A KR1020107021043A KR20107021043A KR20100126416A KR 20100126416 A KR20100126416 A KR 20100126416A KR 1020107021043 A KR1020107021043 A KR 1020107021043A KR 20107021043 A KR20107021043 A KR 20107021043A KR 20100126416 A KR20100126416 A KR 2010012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interface
core
support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293B1 (ko
Inventor
아르노르트 마이
Original Assignee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100)에 관한 것이다.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다른 것들 중에서, 코어 인서트(180)를 갖는 코어 조립체와, 지지 부재(150)와, 커플러 부재(160)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가 사용 시 측방향 이동(S1)을 수용할 수 있고 지지 부재(150)와, 코어 인서트(180)와 커플러 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하중 경로를 연결할 수 있는 활주가능한 커플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및 그의 커플러{A MOLD INSERT STACK FOR USE IN AN INJECTION MOLD AND A COUPLER THEREOF}
본 발명은 대체로 사출 성형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출 주형(injection mold)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mold insert stack) 및 주형 인서트 스택의 커플러(coupler)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성형(molding)은 성형 시스템을 사용하여 성형 재료로부터 성형 제품이 형성될 수 있는 공정이다. 사출 성형 공정과 같은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다양한 성형 제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성형 제품의 일 예시는, 병 등과 같은 음료 용기로 후속적으로 취입성형(blow)될 수 있는 프리폼(preform)이다.
전형적인 성형 시스템은 사출 유닛, 클램핑 조립체 및 사출 주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출 유닛은 왕복하는 나사 형식 또는 2단 형식일 수 있다. 클램핑 조립체는, 특히, 프레임, 가동 플래튼, 고정 플래튼, 및 가동 플래튼을 이동시키고 플래튼들 사이에 배열된 사출 주형에 톤수(tonnage)를 가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사출 주형은, 특히, 냉간 반부(cold half)와 열간 반부(hot half)를 포함하며, 그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주형 인서트 스택을 구비한다. 각 주형 인서트 스택은 전형적으로 코어 인서트(core insert)와 캐비티 인서트(cavity insert)를 포함하며, 이들은 사용 시 성형 캐비티(molding cavity)를 형성하는 데 협력한다. 그러나, 각 주형 인서트 스택은, 예를 들어,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split mold insert pair)[종종 목부 링(neck ring)으로 언급됨], 게이트 인서트(gate insert), 보유기(retainer), 또는 지지 부재와 같은 다수의 추가적 구성요소와 관련될 수 있다. 열간 반부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캐비티와 관련되고[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종종 "캐비티 반부"로 언급하기도 함], 냉간 반부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코어와 관련된다[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코어 반부"로 언급하기도 함]. 또한, 열간 반부는 용융물의 분배를 위해 용융물 분배 시스템[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종종 "핫 러너(hot runner)"로 언급하기도 함]과 관련될 수 있다. 사출 주형은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배출기 구조물(ejector structure), 마모 패드(wear pad) 등과 같은 다수의 추가적 구성요소와 관련될 수 있다.
예시로서, PET 재료의 사출 성형은 PET 재료[예를 들어, PET 펠릿(pellet), PEN 파우더, PLA 등]를 가열하여 균질한 용융 상태로 만들고, 압력 하에 용융된 PET 재료를 하나 이상의 성형 캐비티 내로 사출하여 프리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캐비티 플레이트와 코어 플레이트는 서로 가압되어 클램핑력에 의해 서로 유지되고, 클램핑력은 캐비티와 코어 편을 함께, 사출된 PET 재료의 압력에 대해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다. 성형 캐비티는 실질적으로 성형될 성형 제품의 최종 냉간 상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나서, 사출된 PET 재료는 주형으로부터 형성된 성형 제품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냉각된다. 냉각될 시, 성형 제품은 성형 캐비티의 내측에서 수축되어, 캐비티와 코어 플레이트가 분리될 시 성형 제품이 코어와 관련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코어 플레이트를 캐비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코어 편으로부터 성형 제품이 디몰드(demold), 즉, 배출될 수 있다. 성형 제품을 코어 반부로부터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배출 구조물이 알려져 있다. 배출 구조물의 예시는 스트립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 배출기 핀(ejector pin) 등을 포함한다.
형성될 수 있는 성형 제품의 한가지 공통된 예시는, 후속적으로 병 등과 같은 음료 용기로 취입성형될 수 있는 형식의 프리폼이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제1 태양에 따르면,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이 제공된다. 주형 인서트 스택은 코어 인서트, 지지 부재, 및 커플러 부재를 포함하는 코어 조립체를 포함한다. 코어 인서트는 코어 몸체, 코어 몸체 상에 형성된 내부 성형 표면, 및 코어 몸체 상에 형성된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내부 성형 표면은 사용 시, 프리폼을 성형하도록 형상화된 성형 캐비티의 내부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지지 몸체, 및 지지 몸체 상에 형성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커플러 부재는 커플러 몸체, 커플러 몸체 상에 형성된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 및 커플러 몸체 상에 형성된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주형 인서트 스택은 커플러 몸체와 코어 몸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된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complementary sliding interface)를 포함한다.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와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는 사용 시 커플러 몸체를 코어 몸체와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시 추가 주형 인서트 상에 형성된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활주 인터페이스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는 사용 시, 사용 중에 지지-활주 인터페이스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 사이의 측방향 이동을 수용할 수 있고, 코어 몸체와 커플러 몸체 중 적어도 하나와 지지 몸체 사이에 하중 경로(load path)를 연결시킬 수 있는 활주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제2 태양에 따르면,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의 커플러 부재가 제공된다. 커플러 부재는 커플러 몸체를 포함한다.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는 커플러 몸체 상에 형성된다.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는 커플러 몸체 상에 형성되고,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는 커플러 몸체 상에 형성된다.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는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와, 코어 인서트의 코어 몸체 상에 형성된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는 사용시 커플러 몸체를 코어 몸체와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는 사용 시 추가 주형 인서트에 형성된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와, 지지 부재의 지지 몸체 상에 형성된 지지-코어 인터페이스는 사용 시, 사용 중에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와 지지-코어 인터페이스 사이의 측방향 이동을 수용할 수 있고, 지지 몸체와 커플러 몸체 사이에 하중 경로를 연결시킬 수 있는 활주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형 인서트 스택의 기술적 효과는 사출 성형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보다 더 견고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형 인서트 스택의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는 커플러 부재가 희생 마모 구성요소(sacrificial wearing component)가 되도록 구성되어 코어 인서트의 실용성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러한 태양과 다른 태양 및 특징은 이제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비제한적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의 대안 및/또는 변형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인서트 스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단면 선 2-2를 따라 취한 도 1의 주형 인서트 스택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단면 선 3-3을 따라 취한 도 1의 주형 인서트 스택의 단면도이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 비율로 축척된 것은 아니며, 가상선, 개략적 표시 및 부분도에 의해 도시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예시적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필요치 않은 설명이나 다른 상세부를 지각하기 어렵게 만드는 설명은 생략되었다.
도 1,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주형 인서트 스택이 도시된다.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사출 주형에 사용된다.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코어 조립체(108), 캐비티 인서트(110), 및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을 포함한다. 코어 조립체(108)는 코어 인서트(180), 지지 부재(150), 및 커플러 부재(160)를 포함한다.
코어 인서트(180)는 코어 몸체(181)를 포함한다. 내부 성형 표면(185)은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다. 또한,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는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다. 내부 성형 표면(185)은 사용시 프리폼을 성형하도록 형상화된 성형 캐비티의 내부를 제공한다.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은 상보적인 스플릿 주형 인서트(140A 및 140B) 쌍을 포함한다.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은 대응하는 스플릿 몸체 쌍(141)을 포함한다. 스플릿 성형 표면(145)은 스플릿 몸체 쌍(141) 상에 형성된다. 스플릿 성형 표면(145)은 성형 캐비티의 목부 마감부(neck finish portion)를 형성한다. 또한,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와 스플릿-캐비티 인터페이스(149)는 스플릿 몸체 쌍(141) 상에 형성된다. 또한, 한 세트의 체결부 인터페이스(194)가 스플릿 몸체 쌍(141) 상에 형성된다. 체결부 인터페이스 세트(194)의 각 체결부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캡 나사(cap screw)와 같은 체결부와 협력하여 사출 주형의 각각의 슬라이드(미도시)에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캐비티 인서트(110)는 캐비티 몸체(111)를 포함한다. 캐비티 성형 표면(115)과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 몸체(111) 상에 형성된다. 캐비티 성형 표면(115)은 성형 캐비티의 외부를 형성한다.
지지 부재(150)는 지지 몸체(151)를 포함한다.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는 지지 몸체(151) 상에 형성된다. 또한, 한 세트의 체결부 인터페이스(195)가 지지 몸체(151) 상에 형성된다. 체결부 인터페이스 세트(195)의 각 체결부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캡 나사와 같은 체결부와 협력하여 사출 주형의 코어 플레이트(미도시)에 지지 부재(15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커플러 부재(160)는 커플러 몸체(161)를 포함한다.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와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다.
또한,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커플러 몸체(161)와 코어 몸체(181)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된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를 포함한다.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와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는 사용 시 커플러 몸체(161)를 코어 몸체(181)와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와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는 사용 시 커플러 몸체(161)와 스플릿 몸체 쌍(141)을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스플릿-캐비티 인터페이스(149)와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는 사용 시 스플릿 몸체 쌍(141)을 캐비티 몸체(111)와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사용 시, 협력하여 활주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이 활주가능한 커플링은 사용 중에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 사이의 측방향 이동(S1)(도 2)을 수용할 수 있고, 커플러 몸체(161)와 코어 몸체(181) 중 적어도 하나와 지지 몸체(151) 사이에 하중 경로(즉, 클램핑 톤수)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캐비티 보유기(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 보유기(130)는 보유기 몸체(131)를 포함하며, 보유기 몸체(131)는 사용 시 캐비티 몸체(111), 및 캐비티 플레이트 내에 캐비티 몸체(111)를 보유하기 위한 사출 주형의 캐비티 플레이트(미도시)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의 추가 부분이 보유기 몸체(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게이트 인서트(1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 성형 표면(115)의 일부는 게이트 인서트(120)의 게이트 몸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인서트(120)는 성형 재료 분배 시스템(예를 들어, 핫 러너)의 노즐(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노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 또는 도 3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코어 몸체(181) 내부에 형성된 보어 내부에 냉각제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버블러 튜브(bubbler tube: 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는 칼라(161A)를 포함한다.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는 커플러 몸체(161)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을 포함한다. 또한,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는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과 내부 원통형 표면(176) 사이에 있는 칼라(161A)의 하부 환형면(174)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몸체(181)는 원통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의 외부 원통형 표면(189)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81A)를 포함한다.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는 플랜지(181A)의 상부 환형면(184)과 외측 원통형 표면(186)을 포함한다.
커플러 부재(160)는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152)과 내부 원통형 표면(176)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는 플랜지(181A)의 외측 원통형 표면(18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는 사용 시,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에 대해 고정된 형태로 보유기(102)의 면(103)을 해제가능하게 위치시키도록 보유기(102)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104)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보유기(102)는 커플러 부재(160)를 코어 인서트(180)와 함께 고정시킨다.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가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며,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는 커플러 몸체(161) 둘레에 각을 이루며 이격된 관계(angularly-spaced relation)로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가 플랜지(181A)의 외측 원통형 표면(186) 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는 함께 정합(register)되도록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와 동일하게 각을 이루며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의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를 수용하기 위한 코어 잠금부(core lock)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 잠금부는 상부 환형면(171), 커플러 몸체(161)의 반원뿔형 표면(162), 및 칼라(161A)의 상측 환형면(164)을 포함한다. 반원뿔형 표면(162)은 상부 환형면(171)으로부터 내향으로 발산되어 암형 테이퍼(female taper)를 형성한다. 또한, 상보적 수형 테이퍼(male taper)의 형태로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를 함께 형성하는 스플릿 몸체 쌍(141)의 상보적 표면(142, 144, 146)이 도시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의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의 다른 구조(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 잠금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 잠금부는 상부 환형면, 반원뿔형 표면, 및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과 원뿔형 표면 사이의 커플러 몸체(161)의 상측 환형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커플러 몸체(161)의 반원뿔형 표면은 상부 환형면(171)으로부터 외향으로 발산하여 수형 테이퍼를 형성한다.
또한, 커플러 몸체(161)는 커플러 성형 표면(175)을 형성할 수 있다. 커플러 성형 표면(175)은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과 상측 환형면(164) 사이에 형성된다. 커플러 성형 표면(175)은 사용 시 프리폼의 상부 밀봉 표면(top-sealing surface)의 일부를 형성하는 성형 캐비티의 코너 부분을 제공한다.
또한, 커플러 부재(160)는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의 중간부 둘레에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환형 벤트 홈(169)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원통형 표면(172)은 사용 시 코어 몸체(181)의 상측-외부 원통형 표면(182)과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벤트 갭(vent gap)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벤트 채널(168)은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152)과 환형 벤트 홈(169)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 부재(160)는 상측 환형면(164)과 커플러 압력 채널(179)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된 노즐(178)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 압력 채널(179)은 커플러 몸체(161)의 바닥 환형면(170)과 커플러 몸체(161) 내부의 노즐(178)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몸체(151)는 튜브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몸체(151)는 지지 몸체(151)의 상부 환형 표면(155)의 일부와 지지 몸체(151)의 내부 주연 표면(156) 모두를 통과하는 홈으로서 형성된 지지 압력 채널(15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압력 채널(154)은 사용 시, 지지 몸체(151)와 코어 몸체(181) 사이에 형성된 코어 간극(107) 내에 제공된 환형 압력 채널을 커플러 부재(160)의 커플러 압력 채널(179)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결국, 환형 압력 채널은 연결 압력 채널(105)을 통해 압축된 공기의 소스에 연결가능하다. 연결 압력 채널(105)은 지지 몸체(151)의 하부를 통해 형성된다. 작동 시, 압축된 공기는 노즐(178)을 통해 가압되어 코어 인서트(180)로부터 프리폼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커플러 부재(160)는, 바닥 환형면(170)을 통해 형성된 얕은 보어(shallow bore)의 추가 원통형 표면으로서 커플러 몸체(161) 내에 형성된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coupler-alignment member interface: 167)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몸체(151) 또한, 지지 몸체(151)의 상부 표면을 통해 형성된 얕은 보어의 원통형 표면으로서 커플러 몸체(161) 내에 형성된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와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는 사용 시 정렬 핀(alignment pin)의 외부 원통형 표면의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와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 중 적어도 하나는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갭은 바닥 환형면(170) 상에서 커플러 압력 채널(179)의 입구를 지지 부재(150)의 지지 압력 채널(154)과 정렬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커플러 부재(160)와 지지 부재(150) 사이에 느슨한 각도 정렬(loose angular alignment)이 형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갭은 사용 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 사이의 측방향 이동(S1)을 수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는 커플러 몸체(161)의 바닥 환형면(17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는 지지-커플러 활주 인터페이스(159)를 포함한다. 지지-커플러 활주 인터페이스(159)는 지지 몸체(151)의 상부 환형 표면(155)의 제1 부분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6)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6)는 플랜지(181A)의 바닥 환형면(188)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는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를 포함한다.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는 지지 몸체(151)의 상부 환형 표면(155)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몸체(151)는 보정부(compensating portion: 158)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부(158)는 지지 몸체(151) 내에 형성되며,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에서, 도 2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대체로 S자형 홈인 원뿔형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보정부(158)는 지지 몸체(151)의 바닥 환형 표면과 지지-커플러 활주 인터페이스(159) 사이 내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보정부(158)의 목적은 지지 몸체(151)에 어느 정도의 축방향 가요성(axial flexibility)을 허용하는 것이다. 일정 정도의 축방향 가요성은 주형 인서트 스택 구성요소의 오정렬을 보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정부(158)의 치수는 사용 중에 작동 안정성(operational stability)을 제공하면서 지지 몸체(151)에 일정 정도의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불확실성을 없애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이하에 사용되는 "작동 안정성(operational stability)"이라는 용어는 주형 인서트 스택(100)의 적절한 작동에 적합한 주형 인서트 스택(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작동 상태를 형성하는 것, 즉, 프리폼 형성의 압력 하에 용융물을 사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정부(158)를 포함함으로써 코어 몸체(181)는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는 코어 몸체(181)의 하부의 외부 원통형 표면(18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는 지지 몸체(15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는 지지 몸체(151)의 하부의 내측 원통형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와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는 지지 몸체(151)와 코어 몸체(181) 사이에 형성된 코어 간극(107) 밑에 위치된다.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와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는 사용 시 코어 몸체(181)와 지지 몸체(151) 사이에 대체로 느슨한 정렬을 제공하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와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 사이에 작은 직경 갭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얕은 포켓(shallow pocket: 157)이 지지 몸체(151)의 바닥면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 조립체(108)는 코어 몸체(181) 내에 형성된 상보적 착좌부 내에 수용되는 보유기(200)를 포함한다. 작동 시, 얕은 포켓(157)의 면은 보유기(200)의 면과 협력하여 지지 몸체(151) 내부에 코어 몸체(181)를 보유한다.
코어 간극(107), 활주 인터페이스 및 보정부(158)의 조합은 코어 몸체(181)가 도 2에 "S1"로 도시된 방향(즉, 측방향 이동)과 "S2" 방향(즉, 축방향 이동)으로 지지 몸체(151)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가능케한다고 말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코어 간극(107) 및/또는 활주 인터페이스(210)는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보정부(208)는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커플러 몸체(161)는 커플러 몸체(161)에 제1 경도 값을 부여하기 위해 관련된 제1 조건을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 몸체(181)는 코어 몸체(181)에 제2 경도 값을 부여하기 위해 관련된 제2 조건을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경도 값이 제2 경도 값보다 작게 되면 커플러 몸체(161)는 코어 몸체(181)보다 더 빠르게 마모되게 된다. 따라서, 커플러 몸체(161)는 코어 몸체(181)에 비해 제조하기에 훨씬 더 간단한 구성요소이고 따라서 덜 비싸며, 더 경제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르면, 주형 인서트 스택(100)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주형 인서트 스택은, 예를 들어, 목부 마감부 없는 프리폼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캐비티를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주형 인서트 스택에서 커플러 부재(160)는,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가 캐비티 인서트(110)의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를 제공하며,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개념은 특정한 조건 및/또는 기능에 대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다양한 다른 응용으로 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 바와 같이, 설명된 개념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수정 및 보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특허에 의해 보호받고자 하는 것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32)

  1. 코어 조립체(108)를 포함하는,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100)이며,
    상기 코어 조립체는 코어 인서트(180)와, 지지 부재(150)와, 커플러 부재(160)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인서트는
    코어 몸체(181)와,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되어, 사용 시 프리폼을 성형하도록 형상화된 성형 캐비티의 내부를 제공하는 내부 성형 표면(185)과,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지지 몸체(151)와,
    지지 몸체(151) 상에 형성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부재는
    커플러 몸체(161)와,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와,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커플러 몸체(161)와 코어 몸체(181)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되며,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와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는 사용 시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커플러 몸체(161)를 코어 몸체(181)와 상호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사용 시 추가 주형 인서트 상에 형성된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사용 시, 협력하여 활주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활주가능한 커플링은 사용 중에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 사이의 측방향 이동(S1)을 수용할 수 있고, 코어 몸체(181)와 커플러 몸체(161) 중 적어도 하나와 지지 몸체(151) 사이에 하중 경로를 연결시킬 수 있는
    주형 인서트 스택.
  2. 제1항에 있어서,
    캐비티 인서트(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인서트는
    캐비티 몸체(111)와,
    캐비티 몸체(111) 상에 형성되어 성형 캐비티의 외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성형 표면(115)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 몸체(111) 상에 형성된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하며,
    추가 주형 인서트는 캐비티 인서트(110)이고, 상보적 인터페이스는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인
    주형 인서트 스택.
  3. 제1항에 있어서,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과 캐비티 인서트(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은
    한 쌍의 스플릿 몸체(141)와,
    스플릿 몸체 쌍(141) 상에 형성되어 성형 캐비티의 목부 마감부를 형성하는 스플릿 성형 표면(145)과,
    스플릿 몸체 쌍(141) 상에 형성된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와,
    스플릿 몸체 쌍(141) 상에 형성된 스플릿-캐비티 인터페이스(149)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인서트는
    캐비티 몸체(111)와,
    캐비티 몸체(111) 상에 형성되어 성형 캐비티의 외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성형 표면(115)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 몸체(111) 상에 형성된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하며,
    추가 주형 인서트는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이고, 상보적 인터페이스는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이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와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는 사용 시 커플러 몸체(161)와 스플릿 몸체 쌍(141)을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릿-캐비티 인터페이스(149)와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는 사용 시 스플릿 몸체 쌍(141)을 캐비티 몸체(111)와 상호 위치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4. 제3항에 있어서,
    캐비티 보유기(130)와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의 추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보유기는 보유기 몸체(131)를 포함하고,
    보유기 몸체(131)는 사용 시 캐비티 몸체(111)와 사출 주형의 캐비티 플레이트와 함께 협력하여 캐비티 몸체(111)를 캐비티 플레이트 내에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의 추가 부분은 보유기 몸체(131) 상에 형성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5. 제1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 몸체(161)는 그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는 칼라(161A)를 포함하고,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는
    커플러 몸체(161)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과,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과 내부 원통형 표면(176) 사이에 있는 칼라(161A)의 하부 환형면(174)을 포함하고,
    코어 몸체(181)는 원통형 형태를 갖고,
    코어 몸체(181)는 그의 외부 원통형 표면(189)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81A)를 포함하고,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는
    플랜지(181A)의 외측 원통형 표면(186)과,
    플랜지(181A)의 상부 환형면(184)을 포함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6. 제5항에 있어서,
    보유기 인터페이스(166)가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152)과 내부 원통형 표면(176)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고,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가 플랜지(181A)의 외측 원통형 표면(186) 상에 형성되고,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는 사용 시,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에 대해 고정된 형태로 보유기(102)의 면(103)을 해제가능하게 위치시키도록 보유기(102)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104)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보유기(102)는 커플러 부재(160)를 코어 인서트(180)와 함께 고정시키는
    주형 인서트 스택.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가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고,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는 커플러 몸체(161) 둘레에 각을 이루며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고,
    복수의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가 플랜지(181A)의 외측 원통형 표면(186)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는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의 각을 이루며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8. 제1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 몸체(161)는 그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는 칼라(161A)를 포함하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코어 잠금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 잠금부는
    커플러 몸체(161)의 상부 환형면(171)과,
    상부 환형면(171)으로부터 내향으로 발산하여 암형 테이퍼를 형성하는, 커플러 몸체(161)의 반원뿔형 표면(162)과,
    칼라(161A)의 상측 환형면(164)을 포함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9. 제8항에 있어서,
    커플러 성형 표면(175)이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과 상측 환형면(164)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커플러 성형 표면(175)은 사용 시 프리폼의 상부 밀봉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성형 캐비티의 코너 부분을 제공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0. 제8항에 있어서,
    환형 벤트 홈(169)이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의 중간부 둘레에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되고,
    내측 원통형 표면(172)은 사용 시, 코어 몸체(181)의 상측-외부 원통형 표면(182)과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벤트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152)과 환형 벤트 홈(169)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벤트 채널(168)이 형성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1. 제8항에 있어서,
    상측 환형면(164)과 커플러 압력 채널(179)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노즐(178)이 형성되고,
    커플러 압력 채널(179)은 커플러 몸체(161)의 바닥 환형면(170)과 커플러 몸체(161) 내부의 노즐(178)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고,
    지지 몸체(151)는 튜브형 형태를 갖고,
    지지 압력 채널(154)이 지지 몸체(151)의 상부 환형 표면(155)의 일부와 지지 몸체(151)의 내부 주연 표면(156) 모두를 통과하는 홈으로서 형성되고,
    지지 압력 채널(154)은 사용 시, 지지 몸체(151)와 코어 몸체(181) 사이에 형성되는 코어 간극(107)에 의해 제공된 환형 압력 채널을 커플러 압력 채널(179)과 연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지지 몸체(151)의 하부를 통해 연결 압력 채널(105)이 형성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2. 제11항에 있어서,
    바닥 환형면(170)을 통해 형성된 얕은 보어의 원통형 표면으로서 커플러 몸체(161) 내에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가 형성되고,
    지지 몸체(151)의 상부 표면을 통해 형성된 보어의 추가 원통형 표면으로서 커플러 몸체(161) 내에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가 형성되고,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와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는 사용 시 정렬 핀의 외부 원통형 표면의 추가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와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 중 적어도 하나는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바닥 환형면(170) 상에서 커플러 압력 채널(179)의 입구를 지지 부재(150)의 지지 압력 채널(154)과 정렬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커플러 부재(160)와 지지 부재(150) 사이에 느슨한 각도 정렬이 형성되고, 사용 시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와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 사이의 측방향 이동(S1)이 수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3. 제1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캐비티 잠금부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 잠금부는
    커플러 몸체(161)의 상부 환형면과,
    상부 환형면(171)으로부터 외향으로 발산하여 수형 테이퍼를 형성하는, 커플러 몸체(161)의 반원뿔형 표면과,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과 반원뿔형 표면 사이의 커플러 몸체(161)의 상측 환형면(164)을 포함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4. 제1항에 있어서,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를 포함하고,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는 커플러 몸체(161)의 바닥 환형면(170)을 포함하고,
    지지 몸체(151)는 튜브형 형태를 갖고,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는 지지-커플러 활주 인터페이스(159)를 포함하고,
    지지-커플러 활주 인터페이스(159)는 지지 몸체(151)의 상부 환형 표면(155)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5. 제14항에 있어서,
    지지 몸체(151)는 보정부(158)를 포함하고,
    보정부(158)는 지지 몸체(151) 둘레에 형성된 대체로 S자형인 홈을 포함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6. 제15항에 있어서,
    대체로 S자형인 홈은 지지 몸체(151)의 바닥 환형 표면과 지지-커플러 활주 인터페이스(159) 사이 내에 위치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7. 제15항에 있어서,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가 코어 몸체(181)의 하부의 외부 원통형 표면(189) 상에 형성되고,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가 지지 몸체(151)의 내측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되고,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와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는 또한 지지 몸체(151)와 코어 몸체(181) 사이에 형성된 코어 간극(107) 밑에 위치되고,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1)와 지지-코어 인터페이스(106)는 사용 시 코어 몸체(181)를 지지 몸체(151)와 느슨하게 정렬시키는 데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8. 제1항에 있어서,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는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6)를 포함하고,
    코어 몸체(181)는 원통형 형태를 갖고,
    코어 몸체(181)는 그의 외부 원통형 표면(189)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81A)를 포함하고,
    코어-지지 인터페이스(196)는 플랜지(181A)의 바닥 환형면(188)을 포함하고,
    지지 몸체(151)는 튜브형 형태를 갖고,
    지지-활주 인터페이스(199)는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를 포함하고,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는 지지 몸체(151)의 상부 환형 표면(155)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주형 인서트 스택.
  19. 제1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커플러 몸체(161)에 제1 경도 값을 부여하기 위해 관련된 제1 조건을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코어 몸체(181)는 코어 몸체(181)에 제2 경도 값을 부여하기 위해 관련된 제2 조건을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되고,
    제1 경도 값은 제2 경도 값보다 작은
    주형 인서트 스택.
  20.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100)의 커플러 부재(160)이며,
    커플러 몸체(161)와,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와,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된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와,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되어 상보적 활주 인터페이스(198)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를 포함하고,
    코어 인서트(180)의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와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183)는 사용 시 협력하여 커플러 몸체(161)를 코어 몸체(181)와 상호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사용 시 추가 주형 인서트에 형성된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지지 부재(150)의 지지 몸체(151) 상에 형성된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와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는 사용 시, 협력하여 활주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활주가능한 커플링은 사용 중에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와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 사이의 측방향 이동(S1)을 수용할 수 있고, 지지 몸체(151)와 커플러 몸체(161) 사이에 하중 경로를 연결시킬 수 있는
    커플러 부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추가 주형 인서트는 캐비티 인서트(110)이고, 상보적 인터페이스는 캐비티-인서트 인터페이스(133)인
    커플러 부재.
  22. 제20항에 있어서,
    추가 주형 인서트는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이고, 상보적 인터페이스는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이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와 스플릿-커플러 인터페이스(143)는 사용 시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스플릿 주형 인서트 쌍(140)의 스플릿 몸체 쌍(141)과 커플러 몸체(161)를 상호 위치시키는
    커플러 부재.
  23. 제20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 몸체(161)는 그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는 칼라(161A)를 포함하고,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173)는
    커플러 몸체(161)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과,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과 내부 원통형 표면(176) 사이에 있는 칼라(161A)의 하부 환형면(174)을 포함하는
    커플러 부재.
  24. 제23항에 있어서,
    보유기 인터페이스(166)가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152)과 내부 원통형 표면(176)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고,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는 사용 시, 보유기(102)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104)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코어 몸체(181) 상에 형성된 코어-보유기 인터페이스(187)에 대해 고정된 형태로 보유기(102)의 면(103)을 해제가능하게 위치시켜, 보유기(102)가 커플러 부재(160)를 코어 인서트(180)와 함께 고정시키는
    커플러 부재.
  25. 제24항에 있어서,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가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고, 복수의 보유기 인터페이스(166)는 커플러 몸체(161) 둘레에 각을 이루며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커플러 부재.
  26. 제20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 몸체(161)는 그의 내부 원통형 표면(176)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는 칼라(161A)를 포함하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코어 잠금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 잠금부는
    커플러 몸체(161)의 상부 환형면(171)과,
    상부 환형면(171)으로부터 내향으로 발산하여 암형 테이퍼를 형성하는, 커플러 몸체(161)의 반원뿔형 표면(162)과,
    칼라(161A)의 상측 환형면(164)을 포함하는
    커플러 부재.
  27. 제26항에 있어서,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과 상측 환형면(164) 사이에 커플러 성형 표면(175)이 추가로 형성되고, 커플러 성형 표면(175)은 사용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리폼의 상부 밀봉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 캐비티의 코너 부분을 제공하는
    커플러 부재.
  28. 제26항에 있어서,
    환형 벤트 홈(169)이 칼라(161A)의 내측 원통형 표면(172)의 중간부 둘레에 커플러 몸체(161) 상에 형성되고,
    내측 원통형 표면(172)은 사용 시 코어 몸체(181)의 상측-외부 원통형 표면(182)과 함께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벤트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152)과 환형 벤트 홈(169)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벤트 채널(168)이 형성되는
    커플러 부재.
  29. 제26항에 있어서,
    상측 환형면(164)과 커플러 압력 채널(179)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노즐(178)이 형성되고,
    커플러 압력 채널(179)은 커플러 몸체(161)의 바닥 환형면(170)과 커플러 몸체(161) 내부의 노즐(178)과의 교차부 사이에 커플러 몸체(161)를 통해 형성되는
    커플러 부재.
  30. 제29항에 있어서,
    바닥 환형면(170)을 통해 형성된 얕은 보어의 원통형 표면으로서 커플러 몸체(161) 내에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가 형성되고,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와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가 지지 몸체(151) 내에 형성되어, 사용 시 정렬 핀의 외부 원통형 표면의 추가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커플러-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67)와 지지-정렬 부재 인터페이스(153) 중 적어도 하나는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바닥 환형면(170) 상에서 커플러 압력 채널(179)의 입구를 지지 부재(150)의 지지 압력 채널(154)과 정렬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커플러 부재(160)와 지지 부재(150) 사이에 느슨한 각도 정렬이 형성되고, 커플러-지지 인터페이스(177)와 지지-코어 활주 인터페이스(197) 사이의 측방향 이동(S1)이 수용되는
    커플러 부재.
  31. 제20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환형 형태를 갖고,
    커플러-인서트 인터페이스(163)는 캐비티 잠금부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 잠금부는
    커플러 몸체(161)의 상부 환형면과,
    상부 환형면(171)으로부터 외향으로 발산하여 수형 테이퍼를 형성하는, 커플러 몸체(161)의 반원뿔형 표면과,
    커플러 몸체(161)의 외부 표면과 반원뿔형 표면 사이의 커플러 몸체(161)의 상측 환형면(164)을 포함하는
    커플러 부재.
  32. 제20항에 있어서,
    커플러 몸체(161)는 커플러 몸체(161)에 제1 경도 값을 부여하기 위해 관련된 제1 조건을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제1 경도 값은 코어 몸체(181)와 관련된 제2 경도 값보다 작은
    커플러 부재.
KR1020107021043A 2008-02-21 2009-01-30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및 그의 커플러 KR101176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34,755 2008-02-21
US12/034,755 US7762802B2 (en) 2008-02-21 2008-02-21 Mold insert stack for use in an injection mold and a coupler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416A true KR20100126416A (ko) 2010-12-01
KR101176293B1 KR101176293B1 (ko) 2012-08-22

Family

ID=4098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043A KR101176293B1 (ko) 2008-02-21 2009-01-30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및 그의 커플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62802B2 (ko)
EP (1) EP2257418B1 (ko)
KR (1) KR101176293B1 (ko)
CN (1) CN101952100B (ko)
CA (1) CA2712417C (ko)
WO (1) WO2009103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9242B2 (en) * 2008-02-22 2013-01-08 Vandor Corporation Method of molding reel flanges and tool arrangement thereof
EP2603370B1 (en) 2010-08-12 2016-03-3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apparatus
CA2813825C (en) * 2010-10-26 2014-03-25 Derek Robertson Mccready A mold stack for a preform
USD730416S1 (en) * 2010-11-12 2015-05-2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Lock ring for use in a mold stack
US8398392B2 (en) 2011-01-13 2013-03-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Neck ring for forming a neck portion of a preform and the mold stack incorporating same
CN103459119B (zh) * 2011-03-29 2015-09-30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用于预成形件的模具叠层
CA2899524C (en) * 2013-02-27 2016-10-2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having a floating cavity insert
DE102015112223A1 (de) * 2015-07-27 2017-02-02 MHT IP GmbH Spritzgießform mit Kernring
DE102017115821A1 (de) * 2017-07-13 2019-01-17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Mehrteiliger Kerneinsatz
CA3120677A1 (en) 2018-12-11 2020-06-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 directing clamping load through mold stacks
US20220032517A1 (en) * 2018-12-11 2022-02-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s, mold assemblies and stack components
USD958207S1 (en) 2019-06-04 2022-07-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machine part
CN114401834A (zh) * 2020-09-22 2022-04-26 Fr机械工程股份有限公司 用于生产pet预制件的模具组件和类似的塑料产品
KR20230149929A (ko)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유도 언더컷 실캡을 갖는 pet 프리폼 핫 러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8743C2 (de) * 1982-07-31 1985-11-14 Maschinenfabrik Köppern GmbH & Co KG, 4320 Hattingen Mehrfachspritzgießform zum gleichzeitigen Herstellen mehrerer Formlinge
US5736173A (en) * 1996-04-24 1998-04-07 Zygo Mold Limited Preform injection mould with slide taper locks
US6168740B1 (en) * 1997-04-16 2001-01-0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artial crystallization method of amorphous plastic articles
CA2256090C (en) * 1998-12-14 2007-08-21 Mold-Masters Limite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mold cores with reverse taper
CA2262176C (en) * 1999-02-17 2008-04-22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cooled cavity insert
ITPN20000022A1 (it) * 2000-04-11 2001-10-11 Sipa Spa Pressa per contenitori plastici dotata di dispositivo di cambio stampo rapido
US6569370B1 (en) 2000-05-25 2003-05-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 Ltd.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method using cavity flange and neck ring insert
SE521046C2 (sv) * 2001-07-02 2003-09-23 Hans Mueller Anordning vid en inbyggbar tvåstegsutstötare
US6936199B2 (en) * 2002-01-09 2005-08-30 Mold-Master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molten material in a mold cavity
US6673283B2 (en) * 2002-01-30 2004-01-06 Empire Level Mfg. Corp. Method for optical control of an adjustable core pin for vial molding
US20060198974A1 (en) 2003-01-24 2006-09-07 Miller William 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molded article from a mold, and a molded article
US7128865B2 (en) * 2003-12-17 2006-10-3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wo stage ejection of a molded preform from a mold
US20050236727A1 (en) * 2004-04-23 2005-10-27 Niewels Joachim J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 component locking using active material elements
CA2509181C (en) * 2005-06-03 2009-04-2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 mold split insert
JP4279861B2 (ja) * 2006-09-13 2009-06-17 浦谷商事株式会社 刻印装置
US7381049B2 (en) * 2006-03-08 2008-06-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
US20080265463A1 (en) * 2007-04-24 2008-10-3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plit Mold Insert Positioning Device and a Method of Use
US7628605B2 (en) * 2007-07-20 2009-12-0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US7588439B2 (en) * 2007-07-20 2009-09-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mpensating core for use with a molding system
US7575429B2 (en) * 2007-07-20 2009-08-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mpensating mold stack for use in a molding system
US20090061043A1 (en) * 2007-08-27 2009-03-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Fixture Mechanism
US7645132B2 (en) * 2007-09-07 2010-01-1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and mold stack for use with mo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7418A1 (en) 2010-12-08
KR101176293B1 (ko) 2012-08-22
EP2257418A4 (en) 2011-11-02
CA2712417A1 (en) 2009-08-27
US7762802B2 (en) 2010-07-27
CA2712417C (en) 2012-07-31
EP2257418B1 (en) 2013-04-03
CN101952100A (zh) 2011-01-19
US20090214694A1 (en) 2009-08-27
CN101952100B (zh) 2013-10-16
WO2009103146A1 (en)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293B1 (ko) 사출 주형에 사용되는 주형 인서트 스택 및 그의 커플러
US7628605B2 (en) Mold stack
US7588439B2 (en) Compensating core for use with a molding system
US7575429B2 (en) Compensating mold stack for use in a molding system
US7597551B2 (en) Compensating retaining member for use with a molding system
CN110785276B (zh) 具有可移动对开式模具插入件的模制系统
US9505156B2 (en) Mold stack having a floating cavity insert
CA2815890C (en) A split mold insert for forming a neck portion of a preform and the mold stack incorpo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