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123A -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123A
KR20100126123A KR1020090045197A KR20090045197A KR20100126123A KR 20100126123 A KR20100126123 A KR 20100126123A KR 1020090045197 A KR1020090045197 A KR 1020090045197A KR 20090045197 A KR20090045197 A KR 20090045197A KR 20100126123 A KR20100126123 A KR 2010012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utlet
shock absorbing
inlet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이정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Priority to KR102009004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6123A/ko
Priority to PCT/KR2010/003187 priority patent/WO2010134764A2/ko
Publication of KR2010012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는, 주행 중 지면의 굴곡에 따라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격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유체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충격에 의해 상하로 위치이동되는 차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복원부재를 가지는 서스펜션 장치; 상기 유체가 그 유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출된 유체가 상기 완충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유입구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스펜션 장치, 배출구, 유입구, 발전장치

Description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Electricity generation unit utilizing susp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발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도록 하여서 소용량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녹색 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여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기자동차 개발기술의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떨어지기는 하나, 선진국으 경우에도 전기사용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사용 효율은 배터리의 용량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데, 예컨대 전기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에 연비가 좋지 않아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전기 충전을 위한 충전소를 상대적으로 많이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모터와 배터리 등의 탑재 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오일 자동차에 비해 하중이 커져 고효율 연비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연비개선을 위해서는 소용량 배터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용량 배터리의 개발은 배터리 자체를 개선하는 것에 의해 직접적인실현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자동차 구동을 위한 부품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용량 배터리의 사용에 일조할 수 있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 중 지면의 굴곡에 따라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격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유체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충격에 의해 상하로 위치이동되는 차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복원부재를 가지는 서스펜션 장치; 상기 유체가 그 유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출된 유체가 상기 완충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유입구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실린더 장치이고, 상기 위치복원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를 통한 유체의 유입이 방지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유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에는, 전기자동차의 소용량 배터리의 사용에 일조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 및 차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가충전으로 장시간 주행이 가능하여 고효율 연비를 가지는 전기자동차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일방향으로만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장치(5)는 상기 배출구(11)와 유입구(12)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발전장치(5)는 예컨대, 상기 배출구(11)를 통한 유체의 플럭스(flux)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그 터빈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자석과 도체 등의 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발전장치(5)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되고, 모터는 콘트롤러에 의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동차의 휠을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는 휠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이고, B는 차체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이며, 4와 6은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체이동용 라인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지면의 굴곡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차체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그 차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장치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압축 또는 압축해제시킨다. 상기 차체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는 상기 실린더 장치의 배출구(11)를 고속으로 통과하게 되고, 상기 유체의 플럭스에 의해 상기 발전장치(5)의 터빈이 회전하면서 운동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운동에너지를 자석과 도체 등에 의한 변환장치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소용량인 경우에도 자가 충전이 가능하여서 전기자동차의 장시간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소용량 배터리의 사용에 일조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 및 차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가충전으로 장시간 주행이 가능하여 고효율 연비를 가지는 전기자동차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실린더몸체 11:배출구
12:유입구 2:로드
3:스프링 4:유체이동 라인
5:발전장치 6:유체이동라인
UI,U2:체크밸브

Claims (3)

  1. 주행 중 지면의 굴곡에 따라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격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유체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충격에 의해 상하로 위치이동되는 차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복원부재를 가지는 서스펜션 장치;
    상기 유체가 그 유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된 배출구(11);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유출된 유체가 상기 완충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된 유입구(12); 및
    상기 배출구(11)와 유입구(12)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실린더 장치이고, 상기 위치복원부재는 스프링(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를 통한 유체의 유입이 방지되고 상기 유입구(12)를 통한 유 체의 배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와 유입구(12)에 각각 설치되는 체크밸브(U1)(U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KR1020090045197A 2009-05-22 2009-05-22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KR20100126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97A KR20100126123A (ko) 2009-05-22 2009-05-22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PCT/KR2010/003187 WO2010134764A2 (ko) 2009-05-22 2010-05-20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97A KR20100126123A (ko) 2009-05-22 2009-05-22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23A true KR20100126123A (ko) 2010-12-01

Family

ID=4312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197A KR20100126123A (ko) 2009-05-22 2009-05-22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26123A (ko)
WO (1) WO20101347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7053B2 (en) 2015-09-30 2018-07-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luid turbine systems for harnessing light radiant energy, thermal energy and kinetic energy in vehicl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of
US20220258554A1 (en) * 2021-02-17 2022-08-18 Francis Walls Kinetic Energy Shock Absor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286A (en) * 1993-12-23 1996-10-29 Lord Corporation Regenerative system including an energy transformer which requires no external power source to drive same
KR1998005522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쇽 업소버를 이용한 발전장치
JPH11343962A (ja) * 1998-06-01 1999-12-14 Kazuhiro Kawahara 自動車ショック発電機
JP2002310060A (ja) * 2001-04-16 2002-10-23 Isamu Domoto 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4764A2 (ko) 2010-11-25
WO2010134764A3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3878B (zh) 一种振动能量的控制系统与方法
CN201685709U (zh) 震动式发电装置
CN101939184B (zh) 压缩空气驱动的车辆及压缩空气产生装置
CN201891551U (zh) 一种混合波力发电装置
CN102003330B (zh) 混合波力发电装置
CN106870265A (zh) 气压式波浪能采集及发电装置
CN102926956B (zh) 叶片式能量回收减振器
CN102797655B (zh) 汽车压电减振器发电系统
CN104389753A (zh) 振动能量回收装置
CN203491870U (zh) 一种车辆发电装置
Wang et al. Modelling and validation of a regenerative shock absorber system
KR20100126123A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전기발생 유니트
CN111132879B (zh) ReWheel-用于能量回收车轮的方法和装置
CN201490866U (zh) 一种道路感应发电装置
JP2011025901A (ja) サスペンション油圧発電システム
CN109899221A (zh) 一种潮汐能转换器
CN101749354B (zh) 汽车发电减振器
CN103241063B (zh) 一种车辆发电装置
CN103742589A (zh) 电阻尼减震器
CN101110545A (zh) 谐波发电的装置
CN105782320A (zh) 活塞馈能组件及能量回收减振器
US20130341108A1 (en) Compressed air powered vehicle
CN203114545U (zh) 汽车震动发电装置
CN201326526Y (zh) 汽车减速墩发电装置
CN114135437A (zh) 一种水下航行器波浪能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