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085A -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 Google Patents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085A
KR20100126085A KR1020090045137A KR20090045137A KR20100126085A KR 20100126085 A KR20100126085 A KR 20100126085A KR 1020090045137 A KR1020090045137 A KR 1020090045137A KR 20090045137 A KR20090045137 A KR 20090045137A KR 20100126085 A KR20100126085 A KR 2010012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ain body
inlet
outle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춘
강대흥
Original Assignee
권태춘
강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춘, 강대흥 filed Critical 권태춘
Priority to KR102009004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6085A/ko
Publication of KR2010012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43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multipl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직육면체 형상의 마대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의 본체(10) 상부 및 하부에는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하는 투입구(20) 및 배출구(30)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는 개폐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양면 상단 부분을 동시에 감싸면서 부착된 보강부재(40)의 상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올림고리(50)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파티션(6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마대가 유연성이 있어서 형상의 변화가 비교적 자유로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므로 마대의 안에 내용물을 채웠을 때 마대의 바닥면이 사각형이어도 마대는 입방체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둘레가 불룩하게 부풀어서 볼륨이 커지게 되는 것을 본체(10) 내부를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파티션(60)이 방지하게 되어 내부에 곡물 등을 가득 채워도 형상이 유지되는 마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투입구(20) 및 배출구(30)의 개폐를 끈 뿐 아니라 지퍼에 의해서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고 손쉽게 작업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티션, 마대

Description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Gunny bag that have partitions}
본 발명은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곡 등을 담아서 보관하는 마대 내부에 종횡으로 배치되는 파티션을 구비하여 큰 크기의 마대의 경우에 부족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양곡 등의 투입구와 배출구의 개폐수단을 지퍼를 활용하여 그 사용을 간편하게 한 마대에 관한 것이다.
마대는 곡물이나 고형 분말을 비롯하여 다양한 벌크 형태의 내용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된다. 마대는 충분한 인장강도와 마모저항력을 구비할 필요가 있고 제품 중량의 증가를 막기 위해 되도록 가벼운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합성수지 재질의 마대는 나일론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이 널리 사용된다.
통상적인 마대는 유연성이 있어서 형상의 변화가 비교적 자유로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므로 마대의 안에 내용물을 채웠을 때에는 마대의 바닥면이 사각형이어도 마대는 입방체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둘레가 불룩하게 부풀 어서 볼륨이 커지게 된다. 내용물이 채워진 마대가 입방체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둘레방향으로 부풀게 되면 마대의 폭이 증가한 만큼 창고나 컨테이너 등에 폭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는 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많은 양의 마대를 적재할 수 없었고 이는 직접적으로 물류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마대의 안에 내용물이 채워진 후에도 육면체의 형상이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마대에 대한 다양한 개량이 시도되었으나 아직 적합한 형태의 마대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 내부를 가로지르는 파티션(60)을 구비하여 네 측면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많은 양의 곡물 등을 내부에 채우더라도 입방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투입구(20) 및 배출구(30)의 개폐 방식을 끈으로 조이는 방식뿐 아니라 지퍼를 이용하여 여닫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여 더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직육면체 형상의 마대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의 본체(10) 상부 및 하부에는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하는 투입구(20) 및 배출구(30)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는 개폐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양면 상단 부분을 동시에 감싸면서 부착된 보강부재(40)의 상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올림고리(50)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파티션(6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마대의 개폐 장치로 지퍼를 추가로 사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더욱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마대의 안에 내용물을 채웠을 때에는 마대의 바닥면이 사각형이어도 마대는 입방체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둘레가 불룩하게 부풀어서 볼륨이 커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마대 내부에 곡물 등을 가득히 채우면서도 창고나 컨테이너 등에 저장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체(10)의 전높이에 해당하는 보강부재(40)를 구비하여 마대의 부족한 강성을 보충해 줄 수 있으며, 마대의 개폐장치로 끈뿐 아니라 지퍼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의 내부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의 사시도로, 투입구와 배출구의 개폐장치로 지퍼를 사용한 경우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마대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의 본체(10) 상부 및 하부에는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하는 투입구(20) 및 배출구(30)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는 개폐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양면 상단 부분을 동시에 감싸면서 부착된 보강부재(40)의 상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올림고리(50)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파티션(6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대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유연성이 있어서 형상의 변화가 비교적 자유로운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외부로 돌출된 투입구(20) 및 배출구(30)를 각각 구비하게 된다. 상기 투입구(20)와 배출구(30)가 외부로 돌출된 것은 양곡 등을 담거나 배출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0)는 복수 개의 낱장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본체(10)는 한 장 단위의 각 면이 상호 모서리에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즉, 육면체의 육면이 각각 한장 단위로 구성되어 각 면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호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육면체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각 측면모서리에 이웃하는 양면 상단 부분을 동시에 감싸면서 부착된 보강부재(40)는 마대에 곡물 등을 가득 채우고 들어올리거나 옮기는 경우에는 올림고리(50)와 본체(10)의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강부재(40)를 부착하여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강부재(40)나 올림고리(50)는 박음질 등에 의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와 이웃하는 양면 본체(10)의 전높이에 걸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부재(40)는 올림고리(50)와 본체(10)의 연결부위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는게 주 목적이기는 하나, 보강부재(40)를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의 양변에 본체(10)의 전높이에 걸쳐 부착하여 본체(10) 자체의 부족한 강도를 보충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외부로 돌출된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는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구비해야 하며, 상기 투입구(20)와 배출구(30)를 끈(15)으로 동여매는 구조가 가능하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끈(15)으로 묶는 방법 이외에도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의 중간 부위에 지퍼(17)를 설치하여 지퍼(17)에 의해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퍼(17)에 의하는 경우에는 매우 간단하게 개폐가 가능하여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10)는 파티션(60)을 구비한다. 파티션(60)은 각각 육면체의 옆면 중 대면 상호 간을 가로질러 연결해줘서, 마대의 안에 내용물을 채웠을 때에 마대의 바닥면이 사각형이어도 마대는 입방체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둘레가 불룩하게 부풀어서 볼륨이 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60)은 본체와 결합되는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직물(61)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직물(61)은 상기 파티션(60)의 단부가 본체(1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파티션(60)과 본체(10)가 서로 만나는 면에 동시에 젖ㅂ하도록 L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티션(60) 단부의 양 측면에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파티션(60)과 본체(10)의 결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파티션(60)은 상기 본체(10)의 전높이보다 길이가 짧아서 상기 본체(10)에 부착된 파티션(60)의 상부 및 하부로 오픈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파티션(60)이 상면 및 하면과는 결합되지 않아서 오픈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양곡 등의 주입과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의 내부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의 사시도로, 투입구와 배출구의 개폐장치로 지퍼를 사용한 경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5 : 끈
17 : 지퍼
20 : 투입구
30 : 배출구
40 : 보강부재
50 : 올림고리
60 : 파티션
61 : 보조직물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의 마대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의 본체(10) 상부 및 하부에는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하는 투입구(20) 및 배출구(30)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는 개폐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양면 상단 부분을 동시에 감싸면서 부착된 보강부재(40)의 상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올림고리(50)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파티션(6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0) 및 배출구(30)의 개폐는 끈(15) 또는 지퍼(17)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복수 개의 낱장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60)은 본체와 결합되는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직물(61)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직물(61)은 상기 파티션(60)의 단부가 본체(1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파티션(60)과 본체(10)가 서로 만나는 면에 동시에 젖ㅂ하도록 L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티션(60) 단부의 양 측면에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파티션(60)과 본체(10)의 결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60)은 상기 본체(10)의 전높이보다 길이가 짧아서 상기 본체(10)에 부착된 파티션(60)의 상부 및 하부로 오픈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모서리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양변에 본체(10)의 전높이에 걸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KR1020090045137A 2009-05-22 2009-05-22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KR20100126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37A KR20100126085A (ko) 2009-05-22 2009-05-22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37A KR20100126085A (ko) 2009-05-22 2009-05-22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85A true KR20100126085A (ko) 2010-12-01

Family

ID=4350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137A KR20100126085A (ko) 2009-05-22 2009-05-22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60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46B1 (ko) * 2013-11-19 2014-11-05 박은숙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KR101504645B1 (ko) * 2014-03-07 2015-03-30 이찬호 마대가 부착된 포장박스
KR20200089035A (ko) * 2019-01-16 2020-07-24 (주)엔티코리아 십자형 내피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46B1 (ko) * 2013-11-19 2014-11-05 박은숙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KR101504645B1 (ko) * 2014-03-07 2015-03-30 이찬호 마대가 부착된 포장박스
KR20200089035A (ko) * 2019-01-16 2020-07-24 (주)엔티코리아 십자형 내피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369A (en) Stabilized flexible container for flowable materials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KR100678622B1 (ko)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WO2000009404B1 (en) Bulk container
US5230689A (en) Method of making stabilized flexible container for flowable materials
US5785175A (en) Flexible bulk bag with improved base
KR20100126085A (ko) 파티션을 구비한 마대
WO2001028880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supporting side beams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KR200422738Y1 (ko) 콘테이너 백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KR101832881B1 (ko)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SK500202015U1 (sk) Skladací viacposchodový obal s vkladacími bunkami na prepravu tovaru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JP2015151194A (ja) 排出口が二重に構成されたコンテナバッグ用の内皮及びそれを含むコンテナバッグ
DK146883B (da) Pallebeholder
KR101011503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US20050100248A1 (en) Easy-to-transport sack
KR100921883B1 (ko) 공기충전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US3028986A (en) Reusable combat expendable container for gasoline or water
US3443832A (en) Self-unloading bag
BR202022015820U2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tampa roscada para contêiner saciforme
CN109178592A (zh) 一种具有缓震功能的包装瓦楞纸纸箱
US20240101328A1 (en) Self-standing foldable container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