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764A -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764A
KR20100125764A KR1020090044617A KR20090044617A KR20100125764A KR 20100125764 A KR20100125764 A KR 20100125764A KR 1020090044617 A KR1020090044617 A KR 1020090044617A KR 20090044617 A KR20090044617 A KR 20090044617A KR 20100125764 A KR20100125764 A KR 20100125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panel
pipes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506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화성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성에너지 filed Critical (주)화성에너지
Priority to KR102009004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50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난방용 온수가 경유하는 온수관을 삽입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관에 의해 난방기능을 수행하는 온수판넬에서 온수관의 온수순환이 용이하도록 한 구성에 의해 난방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공급관로와,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로 이루어진 온수관이 판넬본체에 배치되는 온수판넬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관로는 단일관체로 구비되어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부와, 온수보일러로 보내지도록 하는 온수유출부로 이루어진 구성과, 상기 온수순환관로는 단일관체로 된 온수유입부에서 분기되어 복수관체로 구비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온수순환관로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관체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체로 된 온수출수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온수판넬, 온수관, 수용홈, 온수순환관로, 복수관체

Description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A panel structure with warm water pipe}
본 발명은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판넬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난방용 온수가 경유하는 온수관을 삽입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관에 의해 난방기능을 수행하는 온수판넬에서 온수관의 온수순환이 용이하도록 한 구성에 의해 난방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용 온수판넬은 건축물의 슬라브 바닥에 온수관을 배관하고 그 상면을 미장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온수관의 배관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온수관 수용홈이 구비된 판넬본체를 슬라브 바닥에 깔고 온수관 수용홈을 따라 온수관을 삽입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후 상부에 덮판을 씌워 온수판넬의 조립을 완성하는 구성으로 된 조립식 온수판넬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난방용 조립식 온수판넬의 경우에는 호스로 이루어진 온수관을 배치하되 판넬본체의 일측에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유입부와 온수출수부를 구비하되 온수유입부에서 단일선으로 이루어진 온수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넓은 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장대한 길이로 배치가 되고 끝단부에서는 다시 역순으로 이미 배치된 온수관과 등간격을 두고 온수관 측부를 따라 선회되어 배치되어 온수출수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는 판넬본체의 온수유입부에서 온수유출부까지 단일선으로 이루어진 온수관이 선회되어 되돌아나오는 온수관 길이가 장대해지므로 이러한 온수관의 장대한 이동경로에 의해 물이 순환압력이 높아져서 물의 순환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판넬본체에 배치되는 온수관은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공급관로와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로 이루어지되 온수유입부와 온수출수부로 이루어진 상기 온수공급관로는 단일관체로 구비되고 온수순환관로는 온수유입부에서 분기된 복수관체로 구비되어 판넬본체의 수용홈에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되고 온수순환관로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로의 온수출수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온수보일러에서 판넬본체에 배치된 온수순환관로를 따라 순환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크게 단축시켜 온수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난방효율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한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넬본체에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와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로 이루어진 온수관의 연결부위를 안정적으로 접속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공급관로와,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로 이루어진 온수관 이 판넬본체에 배치되는 온수판넬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관로는 단일관체로 구비되어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부와, 온수보일러로 보내지도록 하는 온수유출부로 이루어진 구성과, 상기 온수순환관로는 단일관체로 된 온수유입부에서 분기되어 복수관체로 구비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온수순환관로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관체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체로 된 온수출수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수판넬은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되는 온수유입부와 온수출수부로 이루어진 온수공급관로는 단일관체로 구비되고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는 온수유입부와 분기된 복수관체로 구비되어 판넬본체의 수용홈에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되고 온수순환관로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로의 온수출수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온수보일러에서 판넬본체에 배치된 온수순환관로를 따라 순환하여 난방이 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크게 단축시켜 온수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난방효율성도 극대화하고 난방비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있고 슬라브 바닥면에 깔게 되어 있는 다수의 판넬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판넬본체(10)의 표면에 수용홈(12)이 형성되어 호스로 이루어진 온수관(20)을 삽입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넬본체(10)에 배치되는 온수관(20)은 온수보일러(미도시)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공급관로(22)와,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수공급관로(22)는 판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온수보일러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부(22a)와, 상기 온수유입부(22a)에서 온수순환관로(24)를 거친 온수를 온수보일러로 보내지도록 하는 온수유출부(22b)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수공급관로(22)는 단일관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온수순환관로(24)는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입부(22a)에서 분기되어 복수관체로 구비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는 판넬본체(10)의 수용홈(12)에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되고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관체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출부(22b)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입부(22a)와 온수유출부(22b)는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와 "Y"형 접속구(26)에 의해 분기되게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넬본체(10)에 연결브라켓(30)을 구비하여 온수관(20)의 연결부위를 안정적으로 접속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연결브라켓(30)은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출부(22b)를 일직선상으로 안내하기 위해 평행선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편(32)과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를 분할하고 곡선으로 안내하기 위한 분할돌편(34) 및 곡선안내돌편(36)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온수판넬을 구성하기 위한 조립형태는, 도 1에서와 같이 평판상의 보드(10a)를 준비하는 단계(A), 상기 보드(10a)에 호스를 삽입하기 위한 수용홈(12)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보드(10a)의 수용홈(12)에 호스로 된 온수관(20)을 끼워 삽입하는 단계(C), 상기 보드(10a)의 일측에 연결브라켓(30)을 부착하여 온수관(20)의 연결부위를 접속 안내하여 온수관(20)을 마감 배치하는 단 계(D), 상기 온수관(20)이 배치된 보드(10a)의 저면을 철판으로 된 판넬(10b)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F)를 거친 다음 상기 보드(10a)의 상면에 보온재 등의 커버(미도시)를 씌워 완성하는 단계로 온수판넬을 조립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온수판넬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온수판넬을 슬라브 바닥에 깔고 온수판넬의 판넬본체(10)에 형성된 수용홈(12)에 삽입된 온수관(20)의 온수공급관로(22)인 온수유입부(22a)와 온수유출부(22b)를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순환관로(24)가 온수가 순환공급되게 한 수단으로 통상의 온수판넬과 같은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온수판넬은 판넬본체(10)에 형성된 수용홈(12)에 온수관(2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되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유입부(22a)와 온수유출부(22b)는 단일관체로 구비되어 사용되고 상기 단일관체의 온수유입부(22a)에서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24)와 연결하되 "Y"형 접속구(26)에 의해 온수유입부(22a)에서 분기되어 복수관체로 구비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로 연결되어 판넬본체(10)의 수용홈(12)에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된 다음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관체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출 부(22b)와 연결된 구성으로 온수관(20)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판넬을 구성하게 되므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에 의해 온수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난방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온수보일러에서 판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단일체의 온수유입부(22a)와 연결하되 단일관체의 온수유입부(22a)에서는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와 분기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판넬본체(10)에 배치된 온수순환관로(24)를 따라 온수가 순환하는 경로가 종래의 단일관체로 된 온수순환관로에 비해 절반 정도가 단축되어 온수가 순환되기 때문에 이러한 단축된 온수순환경로에 의해 온수순환압력을 크게 줄여주므로 온수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온수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온수관(20)의 온수유입부(22a)로 유입되어 온수순환관로(24)를 거쳐 온수유출부(22b)까지 선회되는 이동하는 경로가 복수관체로 된 온수순환관로(24)에 의해 크게 단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온수유출부(22b)를 일직선상으로 안내하기 위해 평행선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편(32)과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를 분할하고 곡선으로 안내하기 위한 분할돌편(34) 및 곡선안내돌편(36)으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30)이 판넬본체(10)에 부착되어 온수관(20)의 연결부위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온수판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판넬본체의 평단면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온수판넬에 배치된 온수관의 배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6은 종래의 온수판넬에서 온수관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넬본체 10a : 보드
10b : 판넬 12 : 수용홈
20 : 온수관 22 : 온수공급관로
22a : 온수유입부 22b : 온수유출부
24 : 온수순환관로 26 : 접속구
30 : 연결브라켓 32 : 가이드돌편
34 : 분할돌편 36 : 곡선안내돌편

Claims (4)

  1. 온수보일러와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공급관로(22)와, 온수가 순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수순환관로(24)로 이루어진 온수관(20)이 판넬본체(10)에 배치되는 온수판넬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관로(22)는 단일관체로 구비되어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부(22a)와, 온수보일러로 보내지도록 하는 온수유출부(22b)로 이루어진 구성과,
    상기 온수순환관로(24)는 단일관체로 된 온수유입부(22a)에서 분기되어 복수관체로 구비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의 끝단부에서는 분기된 복수관체가 다시 합류되는 형태로 단일관체로 된 온수유출부(22b)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는 판넬본체(10)의 수용홈(12)에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입부(22a)와 온수유출부(22b) 는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와 "Y"형 접속구(26)에 의해 분기되게 연결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본체(10)에 연결브라켓(30)을 구비하여 온수관(20)의 연결부위를 안정적으로 접속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연결브라켓(30)은 단일관체로 된 온수공급관로(22)의 온수유출부(22b)를 일직선상으로 안내하기 위해 평행선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편(32)과 복수관체로 된 복수의 온수순환관로(24)를 분할하고 곡선으로 안내하기 위한 분할돌편(34) 및 곡선안내돌편(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KR1020090044617A 2009-05-21 2009-05-21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KR10108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617A KR101089506B1 (ko) 2009-05-21 2009-05-21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617A KR101089506B1 (ko) 2009-05-21 2009-05-21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764A true KR20100125764A (ko) 2010-12-01
KR101089506B1 KR101089506B1 (ko) 2011-12-05

Family

ID=4350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617A KR101089506B1 (ko) 2009-05-21 2009-05-21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81B1 (ko) * 2014-07-10 2014-11-26 (주)유일히팅시스템 난방용 온수판넬
US20150159884A1 (en) * 2012-01-09 2015-06-11 Kjrd Co., Kr Floor heating panel and floor heating panel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9884A1 (en) * 2012-01-09 2015-06-11 Kjrd Co., Kr Floor heating panel and floor heating panel assembly
KR101465681B1 (ko) * 2014-07-10 2014-11-26 (주)유일히팅시스템 난방용 온수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506B1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KR101458421B1 (ko) 더블 열전소자와 삼방밸브를 이용한 냉온수 매트용 냉온수 생성모듈, 상기 냉온수 생성모듈이 내장된 냉온수 보일러 및 냉온수 매트
KR101089506B1 (ko)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US20120285970A1 (en) Storage Tank for Pressurized Water
KR101231173B1 (ko) 환수구조를 구비한 온돌패널 조립체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271714B1 (ko) 전기 보일러
KR20150142400A (ko) 패널을 이용한 냉난방 순환장치
CN205447960U (zh) 用于水暖板的独立加热结构和水暖板
KR20130128564A (ko)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온수매트
JP2010032086A (j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
KR101168891B1 (ko) 바닥판넬 시스템
KR101635069B1 (ko) 에어매트와 온수매트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매트와 보일러를 구비한 휴대용 난방장치
KR200408531Y1 (ko) 온수매트
KR101235166B1 (ko) 에어 포켓형 온수 플로링 패널
KR101137104B1 (ko) 저 에너지 온수 난방시스템
KR20120019717A (ko) 대류 순환식 전기 보일러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110118220A (ko) 난방용 배관파이프 결합형 히트파이프 방열유니트
KR20110011786A (ko) 저 에너지 온수 난방시스템 시공 방법
JP6449583B2 (ja) 非居室用床暖房装置
KR970005430Y1 (ko) 온수온돌 배관 패널
JP2009058211A (ja) 温水床暖房用パネル
KR970005429Y1 (ko) 온수온돌 배관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