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430Y1 - 온수온돌 배관 패널 - Google Patents

온수온돌 배관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430Y1
KR970005430Y1 KR2019930027329U KR930027329U KR970005430Y1 KR 970005430 Y1 KR970005430 Y1 KR 970005430Y1 KR 2019930027329 U KR2019930027329 U KR 2019930027329U KR 930027329 U KR930027329 U KR 930027329U KR 970005430 Y1 KR970005430 Y1 KR 970005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ping
hot water
pip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057U (ko
Inventor
김혁태
Original Assignee
김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태 filed Critical 김혁태
Priority to KR2019930027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430Y1/ko
Publication of KR950020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요약 : 요약없음.

Description

온수온돌 배관 패널
제1도 2도는 본고안과 관련한 온수온돌장치의 온수순환 파이프 배관예들을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
제4도 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패널을 통한 파이프 배관례들을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배관 패널6 : 결합수단
7,8,9,10,11,12 : 패널의 한 방향을 따른 직선 배관홈들
13,13',14,14',15,15',16,16',17,17',18,18' : 곡선 배관홈들
19,19',20,20',21,21',22,22',23,23' : 패널의 다른 방향을 따른 직선 배관홈들
24 : 걸림편
본 고안은 온수온돌 시공시 온수순환파이프의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배관패널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방바닥 아래에 깔린 파이프라인을 통해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하는 타입의 온수온돌 난방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난방을 행하고자 하는 방의 기초 바닥면에 온수순환 파이프를 적정형태로 깔아 배관하고, 그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덮어 마감하는 방법으로 시공되는데, 이와 같이 시공된 전형적인 온수온돌장치는 파이프의 막힘이나 누수과 같은 고장이 있을 때 이를 수리복구하고자 하면 시멘트모르타르로 마감형성되어 있는 방바닥을 완전히 뜯어내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난해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파이프를 배관지지시킬수 있도록 된 일정규격의 배관 패널들을 난방대상 방의 기초바닥면상에 전후좌우로 잇대어 조립배치하고 이와 같이 조립배치된 패널들상에 온수순환 파이프라인을 깔아 배치한 후 그 위에 그 상측 표면구역이 실질적인 방바닥을 이루는 상판을 조립마감토록 된 타입의 온수온돌장치가 널리 시공되고 있으며, 이 온수온돌장치는 시공이 간편하고 사용중 파이프의 막힘이나 누수와 같은 고장시 그 수리복구 또한 간편히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조립식 배관 패널을 이용하는 타입의 온수온돌 시공에 유리하게 적용될수 있는 배관패널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보일러로 적어도 두구역이상 다수 구역의 난방규역(예컨대 한 주택내에 있는 여러개의 방들이나 거실, 또는 주방과 같은 난방대상규역)들을 동시에 난방하거나 혹은 원하는 구역만 선택적으로 난방제어할 수 있는 온수온돌을 시공함에 있어서, 통상적인 배관 패널들과의 조합사용으로 통상적인 직선배관은 물론 통상의 배관패널로는 가능하지 않는 조밀한 곡선배관이 필요한 곳까지 목적한 형태의 배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하여 이러한 온수온돌 시공상의 편리와 융통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될수 있는 한 온수온돌장치의 온수순환 파이프라인 배관형태를 도식적인 방법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부호 R1,R2,R3는 예컨대 한 주택에내서 서로 인접하여 있는 세개의 방과 같은 복수의 난방구역들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복수의 인접한 난방 구역(R1)(R2)(R3)들을 한 보일러(1)로 동시난방하거나 원하는 구역만 선택난방할 수 있는 온수온돌을 시공코자 하면 상호 독립된 온수순환 파이프라인(L1)(L2)(L3)들을 각 난방구역(R1)(R2)(R3)마다 하나씩 예컨대 도시된 배관형태로 깔아 배치하되 각 파이프라인(L1)(L2)(L3)의 입수측(L1a)(L2a)(L3a)및 출수측(L1b)(L2b)(L3b)관들은 상기 난방구역(R1)(R2)(R3)들의 한쪽으로 가급적 조밀한 배관 간격으로 몰아 배관한 후 적정의 온수분배수단(2)을 통해 보일러(1)측에 함께 연결시켜주어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난방구역(R1)(R2)(R3)들에 깔리는 온수순환 파이프라인(L1)(L2)(L3)들의 입,출수측(L1a,L1b)(L2a,L2b))(L3a,L3b)관들이 보일러(1)측으로 연결되어지는 구역에 있어서의 배관형태는 난방구역(R1)(R2)(R3)들의 배치상태와 이들 난방구역(R1)(R2)(R3)에 대한 보일러(1) 및 온수분배수단(2)의 설치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달라지게 되는데, 예컨대 주택설계상 임의의 인접한 복수의 난방구역(R1)(R2)(R3)과 이들 난방구역을 위한 보일러(1) 및 온수분배수단(2)의 배치상태가 제1도나 제2도의 예와같이 되는 경우는 난방규역(R1)(R2)(R3)들에 깔리는 온수순환 파이프라인(L1)(L2)(L3)의 입,출수측(L1a,L1b)(L2a,L2b))(L3a,L3b)관들과 보일러(1)측 사이에는 제1도와 같이 조밀한 곡선 배관이 필요한 구역(3)이나 제2도와 같이 조밀한 곡선 및 직선의 조합배관이 필요한 구역(4)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구역(3)(4)이 생겨날 경우 종래에는 이들 구역(3)(4)에 있어서 요구되는 배관형태로 파이프를 배관시킬 수 있는 배관패널이 없었기 때문에 그 구역만 따로 배관패널없이 파이프를 바닥면상에 직접 배관한후 그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덮어 마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배관 패널을 이용한 온수온돌 시공에 있어서 통상적인 배관 패널들과 조합사용될 수 있고 통상의 배관 패널들보다 조밀한 곡선배관이나 곡선 및 직선의 조합배관을 허용토록 구성된 배관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온돌 배관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인데, 이 패널(5)은 예컨대 450mm×450mm의 넓이와 2mm의 높이를 갖는 통상적인 패널규격으로 형성되고, 또 그 측벽부들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수단(6)들을 이용하여 임의의 난방대상구역의 기초바닥면상에 통상적인 배관패널들과 조합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관 패널(5)은 패널의 한쪽 길이방향(도면상에서는 패널의 종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4줄이상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6줄의 배관홈(7)(8)(9)(10)(11)(12), 이들 각 배관홈상의 두 지점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을 이루어 각각 연장형성된 복수의 곡선 배관홈(13,13')(14,14')(15,15')(16,16')(17,17')(18,18')쌍들과, 이들 각 곡선 배과홈 단부로부터 상기 종방향 직선배관홈(7~12)들에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패널(5)상에 연장형성된 복수의 직선 배관홈(19,19')(20,20')(21,21')(22,22')(23,23')쌍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패널(5)에 있어서, 부호 24에 해당되는 부위들은, 상기 각 배관홈들에 삽입배관된 파이프가 그 배관홈으로부터 임의로 되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편들을 나타낸다.
제4도, 5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관패널(5)을 통한 가능한 파이프 배관례들을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들인데, 제4도의 배관례를 통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도의 온수온돌 시공례에 있어서 조밀한 곡선배관이 필요한 구역(3)에 상기 본 고안의 배관패널(5)을 깔고 이를 통해 파이프를 요구되는 배관형태로 배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제5도의 배관례를 통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2도의 온수온돌 시공례에서와 같이 조밀한 곡선 및 직선의 조합배관이 필요한 구역(4)에 상기 본 고안의 배관 패널(5)을 깔고 이를 통해 파이프를 역시 요구되는 배관형태로 배관시킬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나아가서, 본 고안의 배관 패널(5)은 상기 제4도,5도의 예와 같은 형태의 배관뿐만 아니라 통상의 배관패널로는 어려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조밀한 곡선배관이나 곡선 및 직선의 조합배관을 가능케 하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관패널(5)은 상기 구성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온수온돌시공에 있어서 통상적인 배관 패널들로는 파이프의 배관이 어려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조밀한 곡선배관이나 곡선 및 직선의 조합배관이 가능하므로 관련 온수온돌장치의 온수순환 파이프 배관상에 다대한 편리와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신규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정규격의 정방향 패널형태를 이룬 몸체상에 형성된 배관홈들을 통해 온수순환 파이프들이 배관지지되는 배관패널(5)로서, 패널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4~6줄의 직선 배관홈(7~12)들과, 이들 각 배관홈(7~12)상의 간격을 둔 지점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을 이루어 각각 연장형성된 4~6쌍의 곡선 배관홈(13,13')(14,14')(15,15')(16,16')(17,17')(18,18')들과, 이들 각 곡선 백관홈 단부로서 상기 직선 배관홈(7~12)들에 각각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패널(5)상에 연장형성된 4~6 쌍의 직선 배관홈(19,19')(20,20')(21,21')(22,22')(23,23')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 배관 페널.
KR2019930027329U 1993-12-11 1993-12-11 온수온돌 배관 패널 KR970005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329U KR970005430Y1 (ko) 1993-12-11 1993-12-11 온수온돌 배관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329U KR970005430Y1 (ko) 1993-12-11 1993-12-11 온수온돌 배관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057U KR950020057U (ko) 1995-07-26
KR970005430Y1 true KR970005430Y1 (ko) 1997-06-04

Family

ID=1937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329U KR970005430Y1 (ko) 1993-12-11 1993-12-11 온수온돌 배관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4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69B1 (ko) * 2016-02-24 2016-11-04 이영준 난방용 분배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798B1 (ko) * 2007-11-19 2008-07-25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패널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69B1 (ko) * 2016-02-24 2016-11-04 이영준 난방용 분배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057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7746A (en) Floor covering for radiant heating installations
IT1193408B (it) Scambiatore di calore a stuoia di tubi e procedimento per la sua messa in opera
US3442058A (en) Concrete floor construction with duct-forming voids
KR970005430Y1 (ko) 온수온돌 배관 패널
EP0094953A1 (en) Floor element for making a heated floor
US7240721B2 (en) Assembly and method of radiant/structural floor system
JPH09303803A (ja) 床暖房設備
US2681796A (en) Radiant floor heating panel
CZ283171B6 (cs) Způsob výroby plošného topného nebo chladicího tělesa a deska pro vytvoření obkladu stěny
KR970005429Y1 (ko) 온수온돌 배관 패널
JPS60164139A (ja) 床暖房パネルおよび床暖房方法
KR101089506B1 (ko)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DE19819230A1 (de) Heizvorrichtung für einen Raum
JP2002013749A (ja) 冷暖房用パネルユニット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KR20100058818A (ko) 조립식 온수판넬
KR20050108807A (ko) 바닥재 겸용 조립식 온돌패널 구조
JPH01277138A (ja) 温水循環式床暖房装置
KR101073177B1 (ko) 보호판이 있는 온수 난방 방법
KR102172061B1 (ko) 배관 설치용 바닥 패널
JP4003154B2 (ja) 温水暖房パネル
JP3160117B2 (ja) 配管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方法
RU2166699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отопления
JPH06147504A (ja) 暖房装置
KR970005175Y1 (ko) 난방기기의 온수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