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681B1 - 난방용 온수판넬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수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681B1
KR101465681B1 KR1020140086609A KR20140086609A KR101465681B1 KR 101465681 B1 KR101465681 B1 KR 101465681B1 KR 1020140086609 A KR1020140086609 A KR 1020140086609A KR 20140086609 A KR20140086609 A KR 20140086609A KR 101465681 B1 KR101465681 B1 KR 101465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t water
filler
water circulation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정남순
윤의균
Original Assignee
(주)유일히팅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히팅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유일히팅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8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판넬에 관한 것으로,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고, 열전도율이 유수하여 열효율이 높으며, 완충력이 뛰어나 충격 및 소음 흡수가 우수한 온수판넬 이다.
이를 위하여, 금속판의 각각의 측면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클립(12)과 일측면에 구비되는 커버부(13) 및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관인출구(14)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우레탄 또는 발포우레탄 중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충격흡수와 보온기능을 하는 충진제(20)와 상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은박처리된 유선지로 형성되는 마감부재(30) 및 상기 프레임(10)의 프레임본체(1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2)에 결속되되, 일측평면이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내측에 온수순환호스(40)가 결속된 상태에서 온수순환호스(40)를 내포하도록 충진제(20)가 프레임(10)의 내측에 충진되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마감부재(30)의 유선지부분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Description

난방용 온수판넬{HOT WATER FLOWING HEATING PANEL}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판넬에 관한 것으로,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고, 열전도율이 유수하여 열효율이 높으며, 완충력이 뛰어나 충격 및 소음 흡수가 우수한 난방용 온수판넬 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난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난로 등에 의해 공기를 덮혀주는 간접난방과 온돌 등과 같이 바닥을 직접 덮혀주는 직접난방 방식이 있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온돌 등과 같이 바닥을 직접 덮혀주는 직접난방 방식이 주를 이루었고, 이러한 직접 난방 방식의 일종으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수 순환방식은 바닥에 온수순환 배관을 설치한 후, 시멘트 등으로 미장처리하는 습식방법과 온수순환배관을 구비하는 난방패널을 조립하는 건식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습식방법은 시멘트가 양생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설치장소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으며, 온수배관 등의 시설이 파손되면 보수작업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54791호(온돌 패널, 2007년 08월 28일 등록)에서는 단열 판재(1)와, 단열 판재(1)의 상면에 형성되는 열교환관 설치홈(11)과, 열교환관 설치홈(11)에 설치되는 열교환관(2), 열교환관(2)의 상면을 눌러 열교환관(2)의 상단을 평탄화시켜 그 상향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며 열교환관 설치홈(11)의 여유 공간을 감소시키는 상면판(3)과, 단열판재(1)의 저면을 보강하는 저면판(4)으로 이루어지며, 상면판(3)의 길이 방향으로 골(31)이 진 금속의 골판재이고, 상기 골(31)은 충전재(32)로 메워져 패널 상면이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돌 패널은, 열교환관(2)이 길게 배치되어 막힘이나 유동 불량시 열교환관(2)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고, 또한 단열 판재(1)에 홈을 형성한 뒤 열교환관(2)을 설치하고 상면판(3)을 덮은 후 상면판(3)과 단열 판재(1)의 접착력을 위하여 상기 상면판(3)에 오목하게 형성된 골(31)에 충진재(32)를 주입하는 제조 공정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난방용 오수판넬은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하며, 완충력이 뛰어난 난방용 온수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난방용 온수판넬은 금속판의 각각의 측면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클립(12)과 일측면에 구비되는 커버부(13) 및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관인출구(14)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우레탄 또는 발포우레탄 중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충격흡수와 보온기능을 하는 충진제(20)와 상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은박처리된 유선지로 형성되는 마감부재(30) 및 상기 프레임(10)의 프레임본체(1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2)에 결속되되, 일측평면이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내측에 온수순환호스(40)가 결속된 상태에서 온수순환호스(40)를 내포하도록 충진제(20)가 프레임(10)의 내측에 충진되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마감부재(30)의 유선지부분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보강턱(11a)을 형성하되, 프레임본체(11)의 단부의 형상이 'ㄷ'로 형성되도록 하여 프레임본체(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프레임본체(11)의 내측에 인입되는 충진제(20)가 프레임본체(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상기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는 금속띠를 절곡하여 한쌍의 돌출턱을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하는 클립부(12a) 복수개를 형성하는 고정클립(12)를 구비하여,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수(40)를 결속해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부분의 내측에 공간부(21)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간부에는 온수순환호스(40)의 일부분이 인출되도록, 커버부(13)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충진제(20)가 인입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수순환호스(40)는 내측에 온수순환통로가 형성되고, 프레임(10)과 접촉면이 넓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부 양측 모서리는 원형으로 모따기 하여 절곡시 모서리부분이 꺽이는 현상을 감소시키며, 내열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여 고온의 난방온수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EPDM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며,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간부(21)에는 빈공간을 채워주기 위해 충진제(20)와 동일한 재질로, 저면부에 배관가이드(22a)가 형성되는 채움부재(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판넬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뿐만 아니라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으며, 완충력이 뛰어나 층간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일부분을 절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프레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온수순환호스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온수판넬의 설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채움부재(22)의 저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 및 그 제조방법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일부분을 절개한 저면사시도, 도 5는 프레임의 저면사시도, 도 6과 도 7은 온수순환호스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의 설치를 도시한 예시도 및 도 9는 채움부재(22)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은 금속재질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제(20)와 상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마감부재(30) 및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금속판의 각각의 측면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클립(12)과 일측면에 구비되는 커버부(13) 및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관인출구(14)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우레탄 또는 발포우레탄 중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충격흡수와 보온기능을 하는 충진제(20)와 상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은박처리된 유선지로 형성되는 마감부재(30) 및 상기 프레임(10)의 프레임본체(1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2)에 결속되되, 일측평면이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내측에 온수순환호스(40)가 결속된 상태에서 온수순환호스(40)를 내포하도록 충진제(20)가 프레임(10)의 내측에 충진되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마감부재(30)의 유선지부분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10)은 금속판의 각각의 측면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클립(12)과 일측면에 구비되는 커버부(13) 및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관인출구(1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본체(11)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패널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단부는 보강턱(11a)을 형성하여 프레임본체(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프레임본체(11)의 내측에 인입되는 충진제(20)가 프레임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본체(11)의 절곡된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보강턱(11a)을 형성하게 되어 프레임본체(11)의 단부의 형상이 'ㄷ'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본체(11)의 4면에 모두 보강턱(11a)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내부에 인입되는 충진제(20)의 일부분이 보강턱(11a)에 의해 지지되어 프레임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클립(12)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클립(12)은 금속띠를 절곡하여 복수개의 클립부(12a)를 형성하여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를 결속해주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개의 금속띠를 절곡하여 한쌍의 마주보는 형상으로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클립부(12a)의 한쌍의 돌출턱 사이에 온수순환호스(40)를 내삽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온수순환호수(40)의 일측단부가 프레임본체(11)에 접하도록 하여 결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개의 고정클립(12)에 복수개의 클립부(12a)를 형성하여 배치함으로써, 온수순환호수(40)를 연속하여 설치할 때, 각각의 클립부(12a)에 내삽하여 결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클립(12)은 프레임본체(11)의 내주면에 접착제 또는 스팟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일측단부 모서리에는 공간부(21)를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커버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3)는 프레임본체(1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온수판넬의 시공시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를 타측에 시공되는 또다른 온수판넬의 온수순환호스(40)와 결선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부(13)은 프레임본체(1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배관연결 및 보수 작업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13)와 인접한 프레임본체(11)의 측면에는 배관인출구(14)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인출구(14)는 복수개의 판넬을 연장하여 설치할 경우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를 타측에 위치하는 판넬의 온수순환호스에 연결하기 위해,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인출구(14) 중 일개의 인출구는 프레임본체(11)의 상측일부를 절개한 절개구(14a : 도 8 참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절개구(14a)에는 커버부(13)의 일부분이 내삽되어 결합되며, 배관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일측면 측면에는 인입구(15)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입구(15)는 충진제(20)를 충진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액상 상태의 충진제를 프레임(10)의 내측에 인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10)의 내측에 인입되는 충진제(20)는 우레탄 폼 또는 발포우레탄이 사용된다.
이러한 우레탄 폼 또는 발포우레탄은 프레입(10)의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되는 것으로 발포우레탄의 경우 발포되며 경화되어 온열효과 및 충격흡수가 우수하여 방음효과도 우수하다.
이는 바닥에 설치되는 패널의 특성상 충격을 보다 잘 흡수함과 동시에 방음효과도 우수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진제(20)는 커버부(13)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인입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부분의 내측에 공간부(21)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간부(21)에는 온수순환호스(40)의 일부분이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충진제(20)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인입될 때, 프레임본체(11)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순환호스(40)를 내포하도록 프레임(10)의 내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10) 및 충진제(20)의 상측에는 마감부재(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와 같은 마감부재는 일측면에 은박처리된 유선지 즉, 기름종이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일측면에 은박처리된 유선지가 사용되는 것은 단열효과를 위한 것으로, 바닥난방의 특성상 열기가 패널의 상측면으로 발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감부재(30)를 적용하여 프레임(10)의 내측에 인입되는 충진제(20)가 프레임에 보다 잘 융착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10)의 반대측면의 표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는 내측에 온수순환통로(40a, 40b)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절곡이 유리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프레임(10)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단면형상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이는 통상의 온수순환호스의 특성상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패널에 부착시 접촉면이 적어지게 되어 열전도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온수순환호스(4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를 위해 일부분을 절곡할 때, 사각형의 모서리부분이 꺽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모서리 양측을 원형으로 모따기 하여 절곡시 모서리 부분이 꺾이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온수순환호스(40)의 단부는 정사각형,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모서리부분을 모따기하여 절곡시 꺽임현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는 설치시 패널과의 접촉면을 최대로 하여 열전도율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수순환호스(40)는 EPDM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rubber) 재질로 형성되어, 내열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여, 고온의 난방온수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무재질로서 유연성을 구비하여 절곡 등의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수순환호스(40)의 일부분이 인출되는 공간부(21)에는 채움부재(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채움부재(22)는 충진제(20)와 동일한 재질로 공간부(21)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며, 저면부에 배관가이드(22a)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관가이드(22a)는 온수순환호스(40)의 설치위치 및 방향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복수개의 온수판넬을 설치할 때, 측면에 연속하여 배치할 경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형성된 배관가이드가 적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경우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배관가이드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채움부재(22)는 배관연결이 마감된 후 공간부(21)의 빈 공간을 채워주기 위한 것으로, 커버부(13)를 통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설치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10)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볼트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볼트홈은 프레임(10)의 상측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가 결합되어 위치하지 않는 빈공간에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을 바닥면이 아닌 측면 이나 벽면 등에 설치할 때, 결합볼트 등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의 상측면에 다수개의 볼트홈을 구현하여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바닥면이 아닌 벽면에 시공시 내측에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를 파손시키지 않고 체결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체결하는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판넬이 완성되는 것이다.
10 : 프레임 11 : 프레임본체
12 : 고정클립 13 : 커버부
14 : 배관인출구 20 : 충진제
21 : 공간부 22 : 채움부재
30 : 마감부재 40 : 온수순환호스

Claims (6)

  1. 온수 판넬에 있어서,
    금속판의 각각의 측면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하고, 절곡된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보강턱(11a)을 형성하되, 단부의 형상이 'ㄷ'로 형성되도록 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내측에 인입되는 충진제(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내주면에 부착되도록 금속띠를 절곡하여 한쌍의 돌출턱을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하는 클립부(12a) 복수개를 형성하여 온수순환호스(40)를 결속해주는 고정클립(12)과 일측면에 구비되는 커버부(13) 와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는 온수순환호스(40) 중 일부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형성되는 배관인출구(14)가 형성되되, 그 중 일개의 인출구는 프레임본체(11)의 상측일부를 절개한 절개구(14a)가 더 형성되며, 충진제(20)를 충진하기 위해 외부에서 액상 상태의 충진제를 프레임(10)의 내측에 인입시키기 위해 프레임본체(11)의 일측면 측면에 인입구(15)가 더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우레탄 또는 발포우레탄 중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충격흡수와 보온기능을 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13)가 위치하는 부분의 내측부분을 제외하고 충진시켜 공간부(21)를 형성하는 충진제(20);와
    상기 충진제(20)와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은박처리된 유선지로 형성되는 마감부재(30); 및
    상기 프레임(10)의 프레임본체(1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2)에 결속되되, 일측평면이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온수순환호스(40)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내측에 온수순환호스(40)가 결속된 상태에서 온수순환호스(40)를 내포하도록 충진제(20)가 프레임의 내측에 충진되며, 충진제(20)와 프레임의 일측면에 마감부재(30)의 유선지부분이 결합되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판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호스(40)는 내측에 온수순환통로가 형성되고, 프레임(10)과 접촉면이 넓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부 양측 모서리는 원형으로 모따기 하여 절곡시 모서리부분이 꺽이는 현상을 감소시키며, 내열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여 고온의 난방온수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EPDM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판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21)에는 빈공간을 채워주기 위해 충진제(20)와 동일한 재질로, 저면부에 배관가이드(22a)가 형성되는 채움부재(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판넬.
KR1020140086609A 2014-07-10 2014-07-10 난방용 온수판넬 KR101465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09A KR101465681B1 (ko) 2014-07-10 2014-07-10 난방용 온수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09A KR101465681B1 (ko) 2014-07-10 2014-07-10 난방용 온수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681B1 true KR101465681B1 (ko) 2014-11-26

Family

ID=5229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609A KR101465681B1 (ko) 2014-07-10 2014-07-10 난방용 온수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6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12B1 (ko) 2017-07-21 2018-11-30 임원기 배관연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패널
KR101933374B1 (ko) 2018-05-17 2018-12-28 조성기 탄소 난방 에너지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2022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난방용 온수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10Y1 (ko) * 2002-02-14 2002-05-18 세원실업 (주) 열전도율을 향상시킨 온돌용 온수패널
KR20090006092U (ko) * 2007-12-17 2009-06-22 오택화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90075320A (ko) * 2008-01-04 2009-07-08 유재현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100125764A (ko) * 2009-05-21 2010-12-01 (주)화성에너지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10Y1 (ko) * 2002-02-14 2002-05-18 세원실업 (주) 열전도율을 향상시킨 온돌용 온수패널
KR20090006092U (ko) * 2007-12-17 2009-06-22 오택화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90075320A (ko) * 2008-01-04 2009-07-08 유재현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100125764A (ko) * 2009-05-21 2010-12-01 (주)화성에너지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12B1 (ko) 2017-07-21 2018-11-30 임원기 배관연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패널
KR101933374B1 (ko) 2018-05-17 2018-12-28 조성기 탄소 난방 에너지 판넬 및 그 제조방법
WO2019221348A1 (ko) * 2018-05-17 2019-11-21 Jo Seonggi 탄소 난방 에너지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2022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난방용 온수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8774B1 (es) Panel de cerramiento arquitectonico colector de energia solar, y cubierta colectora de energia solar transitable.
KR101465681B1 (ko) 난방용 온수판넬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US20170023277A1 (en) Solar panel
JP2018035662A (ja) 振動吸収用耐震パネルを備えた壁体断熱システム組立体
ITVR20120036A1 (it) Vasca raccogli-condensa dotata di un sistema di riscaldamento
JP6577076B2 (ja) トンネルの剥落防護構造
KR101039317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101298271B1 (ko) 금속 패널 지붕의 연결 구조 및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EP1371918A2 (en) Covering component with heat exchanger for protecting outer surfaces of buildings from atmospheric agents
KR20090108195A (ko) 히트 파이프 설치용 조인트 보드, 확장보드, 그 결합체인확장패널 및 이들을 이용한 히팅 시스템.
KR101553534B1 (ko)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JP4008005B2 (ja) 円形ないし楕円形の内部流路を有する暖房パネルを含む浮床構造の暖房システム
KR101178598B1 (ko) 조립식 건식패널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20100090183A (ko) 바닥재 어셈블리 및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JP6139832B2 (ja) 輻射パネル
KR101597155B1 (ko) 강재단위패널이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보온 물탱크 및 그 시공 방법
KR200337482Y1 (ko) 조립식 온수 온돌판넬
KR200484577Y1 (ko) 방열특성이 향상된 온수패널
RU169454U1 (ru)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JPH1082013A (ja) 融雪パネル及び融雪構造
RU180366U1 (ru) Радиатор отопления
JP6073580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