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677A -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5677A KR20100125677A KR1020090044500A KR20090044500A KR20100125677A KR 20100125677 A KR20100125677 A KR 20100125677A KR 1020090044500 A KR1020090044500 A KR 1020090044500A KR 20090044500 A KR20090044500 A KR 20090044500A KR 20100125677 A KR20100125677 A KR 201001256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gangform
- guide
- climbing system
- guide sho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6—Strutting means for wall parts; Supports or the like, e.g. for holding in position prefabricated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과 견출단을 분리하여 서로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견출단에 네트와 레일 시스템을 설치하여 갱폼의 인양 시 견출단이 네트와 함께 레일로 승강되도록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벽체 시공을 위한 판재들이 결합되고, 판재들의 하단에 프레임과 안전발판으로 구성된 견출단이 구비된 갱폼을 이용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견출단이 갱폼과 분리되며, 상기 견출단의 전면에는 네트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레일 시스템이 설치된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GCS와 같은 효과를 가지면서도 경량이고, 일반 갱폼과 같이 갱폼의 고정 및 해체가 간단하여 공수를 줄일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된 견출단에 네트를 설치하여 갱폼과 함께 인양하므로 층마다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위험이 해소되며,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갱폼, 견출단, 분리
Description
본 발명은 갱폼과 견출단을 분리하여 서로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견출단에 네트와 레일 시스템을 설치하여 갱폼의 인양 시 견출단이 네트와 함께 레일로 승강되도록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설물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과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해체할 수 있는 다수의 판재들이 결합된 거푸집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공기단축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타설층의 하층 벽체에 형성된 거푸집 연결 자국, 콘크리트 타설 시 붙은 찌꺼기나, 홈 및 돌출된 부분을 마감하여 콘크리트 벽체 표면을 평평하고 매끈하게 하는 외부견출 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견출단이 함께 형성된 갱폼(Gang Form)이 벽체 시공용 거푸집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대부분 타워크레인으로 인양하며, 갱폼 인양 시 타워크레인의 고장이나 갱폼과 타워크레인을 연결하고 있는 로프의 파단 등에 의해 갱폼이 하부로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풍압에 의해 인양중인 갱폼이 흔들리거나 주변 시공물에 부딪치는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GCS(Guide Climbing System)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GCS를 적용한 갱폼 인양은 인건비 등을 포함하여 공수가 많아지게 되어 일반 갱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2.5배의 소요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공기가 지연되는 부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이 고층 건물의 시공 시에는 고층에서 낙하 되는 낙하물을 잡아주는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가 규정화 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을 층층이 쌓아 놀라감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낙하물 방지망(120)을 지속적으로 외벽체(100) 둘레에 설치하고 있어서 자재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낙하물 방지망(120)의 설치는 갱폼(110)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나 갱폼(110)은 다음층 시공을 위해 계속 상층으로 인양되기만 하므로 하층 중간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낙하물 방지망(120)의 해체 는 작업자가 로프 등에 매달려서 작업하거나 크레인 등을 추가로 이용하여야 하므로 해체작업이 위험하고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한층한층 시공됨에 따라 작업층은 상승하나 낙하물 방지망(120)은 매층마다 설치할 수 없어서 일정 층간에 설치하므로 작업층과 낙하물 방지망(120)과의 거리가 이격될 수 있어서 상부 작업층의 낙하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갱폼과 갱폼의 견출단을 분리하고, 갱폼과 견출단을 와이어로 연결하며, 견출단에만 네트와 레일을 설치하여 갱폼의 인양 시 견출단이 네트와 함께 레일로 승강되도록 하는 네트 클라이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 시공을 위한 판재들이 결합되고, 판재들의 하단에 프레임과 안전발판으로 구성된 견출단이 구비된 갱폼을 이용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견출단이 갱폼과 분리되며, 상기 견출단의 전면에는 네트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레일 시스템이 설치된 것으로 상기 갱폼의 하단과 견출단의 상단이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견출단이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레일 시스템에 의해 벽체와 연결되어 타워크레인에 상기 갱폼을 연결하고 벽체와 분리한 후 상층으로 인양할 때 상기 견출단이 풍압에 의한 상기 갱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추락방지기능을 하며 함께 인양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GCS와 같은 효과를 가지면서도 경량이고, 일반 갱폼과 같이 갱폼의 고정 및 해체가 간단하여 공수를 줄일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된 견출단에 네트를 설치하여 갱폼과 함께 인양하므로 층마다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위험이 해소되며,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갱폼의 승강에 의하여 네트가 함께 승강되므로 최적의 낙하물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별도의 승강을 위한 구성이 필요 없어서 설비가 단순하고 저렴하면서도 갱폼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견출단이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갱폼의 인양 시 풍압에 의한 흔들림과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로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체 시공을 위한 판재들이 결합되고, 판재들의 하단에 프레임과 안전발판으로 구성된 견출단(30)이 구비된 갱폼(20)을 이용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갱폼(20)의 견출단(30)이 갱폼(20)과 분리되며, 상기 견출단(30)의 전 면에는 네트(32)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레일 시스템이 설치된 것으로 상기 갱폼(20)의 하단과 견출단(30)의 상단이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31)로 연결되고, 상기 견출단(30)이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레일 시스템에 의해 벽체와 연결되어 타워크레인에 상기 갱폼(20)을 연결하고 벽체와 분리한 후 상층으로 인양할 때 상기 견출단(30)이 풍압에 의한 상기 갱폼(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추락방지기능을 하며 함께 인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레일 시스템은 도 3과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견출단(30)의 후면에 고정되는 H빔 형태이며, 그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41)을 형성하여 통공(4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는 회동이 제안되고, 하방으로만 회동 가능한 걸림부재(42)를 통공(41)에 설치하여서 된 가이드 레일(40)과,
일단은 거치형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일측을 감싸 인양 시 승강을 가이드 하는 T자형 요홈(51)이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 슈(50)로 구성될 수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50)의 T자형 요홈(51)에 가이드 레일(40)의 일측을 끼워 승강 후 상기 가이드 슈(50)에 상기 걸림부재(42)가 걸려 낙하가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걸림부재(42)는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통공(4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상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전면 빔 내측에 걸려 상방으로의 회동에 제안되고, 걸림부재(42) 내측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타단의 하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일측이 끼워져 가이드 되는 상기 가이드 슈(50)의 상단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전술한 가이드 레일(40)에 부착 설치된 견출단(30)이 갱폼(20)과 함께 상층으로 인양될 때 가이드 레일(40)의 승강은 상기 걸림부재(42)가 하방으로의 회동은 가능하므로 상측에서 신규로 가이드 레일(40)을 일측에 끼워진 가이드 슈(50)의 안내를 방해하지 않고, 인양 후에는 걸림부재(42) 내측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걸림부재(42)가 가이드 레일(40)의 전면 빔 내측에 걸려 상방으로의 회동이 제안되는 상태인 제자리로 복귀된 상태에서 더 이상 상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걸림부재(42) 타단의 하측을 가이드 슈(50)의 상단이 지지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40)에 고정된 견출단(30)의 낙하가 방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견출단(30)에 연결부재(31)로 연결된 갱폼(20) 또한 낙하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고정부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개방부(53)가 형성되도록 개방부(53) 양측에 제1,2각부(54, 55)가 형성된 C자형 크램프(52)이며, 상기 제1각부(54)의 외측에 전술한 가이드 슈(5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각부(55)에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나사공(56)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5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개방부(53)에 삽입되는 건물의 난간(10)을 지지 고정하는 파지편(57)이 구성된 것이어서,
이러한 C자형 크램프(52)의 형상으로 된 고정부의 개방부(53)에 건물 벽체의 난간(10)을 끼워 상기 제1,2각부(54, 55)에 의해 난간(10)의 양 측면과 상측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각부(55)에 형성된 나사공(56)에 상기 파지편(57)을 나사결합하여 파지편(57)의 일단이 상기 개방부(53)에 끼워진 난간(1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고정된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슈(50)를 통해 가이드 레일(40)이 연결된 상태로 상층으로의 승강만이 가능한 견출단(30)이 벽체와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층으로의 인양 시 견출단(30)은 풍압에 의한 흔들림이 전혀 없고, 이러한 견출단(30)에 연결부재(31)로 연결된 갱폼(20) 또한 견출단(30)에 의해 갱폼(20)의 하단이 연결 고정 되므로 인양 시 풍압에 의한 흔들림과 위험성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풍압의 악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갱폼(20)과 함께 견출단(30)이 인양 되면, 하층 벽체의 난간(10)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슈(50)는 전술한 파지편(57)을 풀어주는 작업만으로 난간(10)으로부터 가이드 슈(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가이드 슈(50)를 재활용하기에 용이하며, 이때 벽체에는 어떠한 홈이나 흔적을 남기지 않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견출 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하층 벽체의 난간(10)에서 분리한 가이드 슈(50)를 상층 벽체 난간(10)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끼움 고정하여 가이드 슈(50) 전체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량의 가이드 슈(50)만으로 레일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그 구성이 단순 간단하여 레일 시스템의 구성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레일 시스템은 갱폼(20) 보다 상당히 경량인 견출단(30)을 고정 지지하는 인양 보조 기구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경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7과 같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공층에 갱폼(20)을 고정하고, 상기 갱폼(20) 하단에 연결부재(31)로 연결된 본 발명에 의한 견출단(30)이 레일 시스템으로 낙하 방지 되며 하층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내외측 갱폼(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 벽체를 형성하고, 아래 견출단(30)에서는 견출작업을 실시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되면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갱폼(20)의 상단을 타워크레인과 연결하고, 벽체와 분리한다.
이때 상기 갱폼(20)과 분리되어 있으면서 연결부재(31)로 상기 갱폼(20)의 하단과 이격되어 연결된 상기 견출단(30)은 낙하방지되는 레일 시스템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갱폼(20)이 타워크레인에 의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음층의 시공을 위해 상층으로 승강될 때 연결부재(31)로 연결된 상기 견출단(30)도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0)과 벽체 난간(10)에 고정된 가이드 슈(50)가 끼워진 상태로 상층으로 인양되므로 견출단(30)은 풍압에 의한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견출단(30)에 연결부재(31)로 연결된 갱폼(20)의 하단도 견출단(30)에 의해 고정 되므로 인양 시 풍압에 의한 흔들림과 위험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견출단(30)이 상층으로 승강되면 최하층 벽체 난간(10)에 고정되어 있던 가이드 슈(50)는 가이드 레일(40)과 분리되어 남게 되며, 이와 같이 남아 있는 가이드 슈(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편(57)의 나사결합을 풀어주는 작업만으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고가의 가이드 슈(50)를 재활용하기에 용이하며, 이때 벽체에는 어떠한 홈이나 흔적을 남기지 않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견출 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하층 벽체의 난간(10)에서 분리한 가이드 슈(50)를 상층 벽체 난간(10)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끼움 고정하여 가이드 슈(50) 전체를 재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견출단(30)의 전면에는 네트(32)가 설치되어 있어서 시공층에서 시공 작업 도중 발생하는 낙하물이나 견출단(30)에서 견출작업 도중 발생하는 낙하물을 잡아주므로 낙하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이러한 네트(32)가 견출단(30)과 함께 시공층으로 계속해서 승강 되므로 추가적으로 네트(32)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네트(32) 설치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고 네트(32)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따르는 위험성이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점 및 효과가 있는 네트(32)와 레일 시스템이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견출단(30)은 갱폼(20)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므로 갱폼(20)과 별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견출단(30)의 하단에 전술한 연결부재(31)로 연결되고 전술한 레일 시스템이 설치된 네트단을 구비하여 견출단(30)의 인양과 동시에 네트단도 인양 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한 것으로 이와 같은 단순 변형은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건물에 설치된 낙하물 방지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3,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의 레일 시스템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5, 6, 7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난간 20:갱폼 30:견출단
31:연결부재 32:네트 40:가이드레일
41:통공 42:걸림부재 50:가이드슈
51:요홈 52:크램프 53:개방부
54:제1각부 55:제2각부 56:나사공
57:파지편
Claims (5)
- 벽체 시공을 위한 판재들이 결합되고, 판재들의 하단에 프레임과 안전발판으로 구성된 견출단이 구비된 갱폼을 이용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갱폼의 견출단이 갱폼과 분리되며, 상기 견출단의 전면에는 네트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레일 시스템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전술한 갱폼의 하단과 견출단의 상단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견출단이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레일 시스템에 의해 벽체와 연결되어 타워크레인에 상기 갱폼을 연결하고 벽체와 분리한 후 상층으로 인양할 때 상기 견출단이 풍압에 의한 상기 갱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추락방지기능을 하며 함께 인양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전술한 레일 시스템은 견출단의 후면에 고정되는 H빔 형태이며, 그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을 기준으로 상방으로는 회동이 제안되고, 하방으로만 회동 가능한 걸림부재를 통공에 설치하여서 된 가이드 레일과,일단은 거치형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을 감싸 인양 시 승강을 가이드 하는 T자형 요홈이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 슈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슈의 T자형 요홈에 가이드 레일의 일측을 끼워 승강 후 상기 가이드 슈에 상기 걸림부재가 걸려 낙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전술한 걸림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통공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상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면 빔 내측에 걸려 상방으로의 회동에 제안되고, 타단의 하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이 끼워져 가이드 되는 상기 가이드 슈의 상단에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전술한 고정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개방부 양측에 제1,2각부가 형성된 C자형 크램프이며, 상기 제1각부의 외측에 전술한 가이드 슈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각부에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삽입되는 건물의 난간을 지지 고정하는 파지편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4500A KR20100125677A (ko) | 2009-05-21 | 2009-05-21 |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4500A KR20100125677A (ko) | 2009-05-21 | 2009-05-21 |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5677A true KR20100125677A (ko) | 2010-12-01 |
Family
ID=4350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4500A KR20100125677A (ko) | 2009-05-21 | 2009-05-21 |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567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108A (ko) * | 2020-11-02 | 2022-05-10 | 조희찬 |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
JP2022094180A (ja) * | 2020-12-14 | 2022-06-24 | 信和株式会社 | クライミング足場 |
-
2009
- 2009-05-21 KR KR1020090044500A patent/KR2010012567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108A (ko) * | 2020-11-02 | 2022-05-10 | 조희찬 |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
JP2022094180A (ja) * | 2020-12-14 | 2022-06-24 | 信和株式会社 | クライミング足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00609C2 (ru) |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 |
US20060027726A1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CN205077885U (zh) | 建筑物核心筒液压智能爬升防护平台 | |
GB2529470A (en) | Climbing screen support | |
US20100032235A1 (en) | Safety arrang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a wood frame building | |
KR20180007838A (ko) | 건축용 안전망의 안전 설치 및 해체장치 | |
CN104929353A (zh) |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 |
KR20070005533A (ko) | 갱폼 | |
KR20100125677A (ko) |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
CN102287045B (zh) | 一种方钢管升降式外脚手架 | |
KR200445310Y1 (ko) |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 |
KR200392054Y1 (ko) |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 |
CN202718375U (zh) | 高空悬挑结构安装操作平台 | |
KR102276294B1 (ko) |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 |
JP6084936B2 (ja) |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この据付装置の組立方法 | |
KR101596939B1 (ko) |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 |
KR100901016B1 (ko) |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 |
CN214169873U (zh) | 用于安装上料平台的挂篮 | |
CN220036560U (zh) | 一种悬挂式笼梯 | |
CN218862058U (zh) | 高层建筑竖百叶外遮阳板与玻璃幕墙兼用的外脚手架装置 | |
CN104975707A (zh) | 棚架和其三角形支撑架体 | |
JP7122080B2 (ja) | 仮設足場 | |
CN214831948U (zh) | 垂直钢塔斜拉桥安装支架平台 | |
CN218714945U (zh) | 一种装配式建筑组合自提升防护架 | |
JP6120711B2 (ja) | ユニット構造物における吊下部材の掛止構造および吊下部材の掛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