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352A -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352A
KR20100125352A KR1020107021188A KR20107021188A KR20100125352A KR 20100125352 A KR20100125352 A KR 20100125352A KR 1020107021188 A KR1020107021188 A KR 1020107021188A KR 20107021188 A KR20107021188 A KR 20107021188A KR 20100125352 A KR20100125352 A KR 2010012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body
connection
sheet
metal foil
conn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브뤽크
페테르 히르쓰
카이트 알쐬페르
볼프강 마우스
Original Assignee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01N3/2807Metal other than sintered metal
    • F01N3/281Metallic honeycomb monoliths made of stacked or rolled sheets, foil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voiding stress caused by expansions or contractions due to temperature vari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02Metallic plates or honeycombs, e.g. superposed or rolled-up corrugated or otherwise deformed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30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 F01N2330/44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made of stacks of sheets, plates or foils that are folded in S-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4Honeycomb, or with grain orientation or elongated elements in defined angular relationship in respective components [e.g., parallel, inter- sec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49Honeycomb-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atalys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몸체(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셀룰러 몸체는 복수의 채널(2)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금속 시트(3)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시트(3)는 진행부(4)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자신이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매끈한 금속 시트(5)나 구성된 금속 시트(3)에 대해 상측의 연결점(6)과 하측의 연결점(37)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상측의 연결점(6) 또는 하측의 연결점(37)은 만곡된 연결선(33)을 형성하고 신축 조인트(38)는 만곡된 연결선(33)의 각각의 연결점 사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Cellular component with flexible connecting points}
본 발명은 다수의 덕트를 갖는 허니콤 몸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허니콤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시트-금속 포일로 형성된다. 여기서, 시트-금속 포일은 프로파일 방향을 갖고 연결점에 의해 서로 고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더욱 매끈한 또는 구성된-금속 포일에 고정된다. 상기 타입의 허니콤 몸체는 특히 이동가능한 내연기관의 배기 시스템에서 촉매 변환기 기판 몸체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디젤 기관이나 불꽃-점화 기관과 같은 배기-가스 정화 내연기관에 있어서, 허니콤 몸체는 특히 큰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유리하고, 이에 따라 매우 근접한 접촉이 덕트 벽을 통해 유동하는 배기 가스 사이에서 보장된다. 덕트 벽에 의해 주로 형성된 상기 표면적이 종종 적합한, 즉 상이한 촉매로 코팅되어, 배기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의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타입의 허니콤 몸체는 주로 세라믹 재료나 금속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금속의 촉매 변환기 기판 몸체는 50㎛ 이하 또는 3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시트-금속 포일과 같은 매우 얇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배기 가스가 세라믹 기판 구조부와 관련된 허니콤 몸체를 통과해 유동함에 따라, 이러한 얇은 두께는 매우 큰 형상 표면적을 제공하고 배기 가스 유동의 압력 손실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한 장점은, 각각의 경우에 금속 재료가 서로 혼합되기 때문에, 배기 시스템(예를 들면, 배기 파이프)의 나머지부와의 연결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타입의 허니콤 구조부는, 이동가능한 배기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지속되는 동안에, 다수의 상이한 부하를 받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극대의 부하가 부분적으로 계속 중첩되어 상기 허니콤 몸체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극대부 온도 정점(1000℃ 이상)과 같은 열 부하로서, 가열 및 냉각되는 동안의 온도의 상당한 변동율과, 유입하는 배기-가스 유동의 온도 분포는 중요한 인자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인자는 기계적인 부하와 관련하여, 특히 예를 들면, 최대 가속 레벨과 관련하여, 고유 진동수(eigenfrequencies)와 관련된 여기 진동수 범위와 관련하여, 및 가스 맥동(gas pulsation)의 결과로서 가스의 동적 부하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로에 대한 상기 타입의 허니콤 몸체의 개별 구성요소(시트-금속 포일, 하우징,…)의 특정 연결 구역이 특히 고 부하를 받고, 매우 오랜 시간 동안에 계속 변하는 열적 및/또는 동적 부하를 견딜 수 있다.
(땜납 포일, 땜납 파우더 및/또는 땜납 페이스트(paste)와 같은) 경납땜이 상기 타입의 허니콤 몸체의 임의의 구역에 위치되어 금속의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스트립-형상의, 둘러싸인 구역은 하우징과 허니콤 몸체의 시트-금속 포일 사이에 종종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구역은 허니콤 몸체나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 상에 형성된다. 시트-금속 포일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상기 포일이 허니콤 몸체의 축방향의 부분 구역의 전체 단면부 상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및/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덕트를 둘러싸는 구역(단부면에서 보았을 경우)도 형성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동심의 링, 스트립, 삼각형 등의 방식으로 단부-측 패턴을 만들 수 있다.
내구성과 관련된 납땜 패턴의 설계와 관련하여 여러 상이한 제안이 있었으나, 그러나 이들 제안은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에서의 현재 효과적인 모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이를 시작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강조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 배기 시스템에 있어서 극도의 열 부하 및 동적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도 사용 기간이 상당히 향상된 허니콤 몸체를 구현하는 것이다. 특히, 이 경우, 서로에 대한 시트-금속 포일의 연결점이 보다 긴 사용 수명으로 설계될 수 있다. 허니콤 몸체는 상당히 향상된 열충격 특성 및/또는 상당히 향상된 진동 특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허니콤 몸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종속청구항은 허니콤 몸체의 장점이 되는 실시예에 의해 특정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각각 특정된 특징이 임의의 필요한 기술적 방식으로 서로 합쳐지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 및 기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몸체는 다수의 덕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시트-금속 포일로 형성된다. 시트-금속 포일은 프로파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자체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 즉 구성된-금속 포일에 대해 적어도 상측-면 연결점과 하측면 연결점을 구비한다. 더욱이, 적어도 상측-면 연결점이나 하측면 연결점은 만곡된 연결선을 형성하고, 팽창 조인트는 만곡된 연결선의 각각의 연결점 사이에 형성된다.
덕트의 갯수와 관련하여, 허니콤 몸체가 100 내지 1000 인치, 보다 상세하게는 200 내지 600 인치의 범위의 평방 인치(cpsi) 당 덕트 밀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매끈하고, 구성된(예를 들면, 주름진) 시트-금속 포일이 허니콤 몸체로 만들어져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입의 시트-금속 포일이 예를 들면, 나선형으로 휘감길 수 있으나, 그러나 상기 시트-금속 포일이 상기 나선형과 상이한, 예를 들면 S-형상, V-형상, W-형상, U-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에 대해 시트-금속 포일이 배치되어, 결국에는 허니콤 몸체의 (원형, 타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단면부를 일정하게 채운다. 상기 시트-금속 포일은 다양한 지점, 소위 연결점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납땜 연결, 특히 고온의 진공 납땜 연결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로파일 방향이 마무리가공된(휘감기거나 말린) 허니콤 몸체와 전반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 명확하다.
상이한 연결점의 구성과 관련하여, 구성된-금속 포일은 면적 구역부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2개의 면은 상측면과 하측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결점이 상측면이나 하측면에만 제공되지만, 상기 연결점은 상측면과 하측면 양자에 규칙적으로 제공된다.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 섹션이 기술적으로 연결된 상기 면을 통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면 및/또는 상측-면 연결점이 배치되어, (휘감긴 및/또는 감겨진 상태의) 허니콤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현저하게 그리고 특히 만곡된 연결선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선은 특히 리브, 낫(sickle), 아크 등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연결점의 하나의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의 배치는, 상기 연결선이 하나의 단부에서 최대로 허니콤 몸체의 에지까지 뻗어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허니콤 몸체의 단면부를 고려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허니콤 몸체의 중심 축선과 접촉하지 않거나 허니콤 몸체의 에지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선의 곡률이 그 구역부 상에서 변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의 경우에, 그러나, 허니콤 몸체 자체의 반경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이 유리하게도 고려된다. 특정 경우에 있어서, 연결선이 교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측-면 연결점의 연결선이 하측면 연결점의 연결선과 교차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선 자체는 시트-금속 포일 섹션의 강성의 연결부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들 구역부는 연결점 사이의 신축 조인트에 의한 작동 동안에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 조인트는 특히 라인 세그먼트를 이루며 이 세그먼트에서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 섹션이 연결되지 않고, 시트-금속 포일 섹션이 이에 따라 서로로부터 적당하게 이격되어 이동하고, 확대된 셀을 형성한다. 연결선 상에 배치된 연결점과 신축 조인트가 교호로 제공되고, 신축 조인트의 부분이 연결선의 전체 구역부에 (허니콤 몸체의 휘감긴 또는 감겨진 상태에서 보았을 경우에)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특정된 "연결선"은 단지 실제 "연속의" 선이 아니며, 한 세트의 연결점의 (형상학적 또는 가상의) 연결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은 수의 연결점이 연결선을 이룬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모든 (내측의) 연결점이 (정확하게 단지) 하나의 연결선을 형성하는지 바람직하게 체크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시트-금속 포일의 변형이나 부정확한 연결점의 생성으로부터 초래된 공차가 본 발명에서 허용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 실현된 허니콤 몸체의 가요성 작동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영향을 받더라도), 연결부의 손상이 일반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더욱이, 상측-면 연결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과 하측면 연결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이 허니콤 몸체의 각각의 반경 방향에 대해 제공되도록 허니콤 몸체가 제안된다. 즉, 이는 특히 허니콤 몸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에지까지 임의의 반경방향 경로가 상측-면 연결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과, 하측면 연결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을 교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2개 이상의 연결선, 특히 4개까지의 연결선이 교차하는 허니콤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섹터가 바람직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선은 교호의 상측-면 연결점과 하측면 연결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더욱이, 허니콤 몸체에 있어서, 모든 인접한 연결선이 프로파일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면 유리할 것이다. 이로서, 제조 비용이 적게 유지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 가요성의 허니콤 몸체가 얻어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상측-면 및 하측면 연결점 모두가 또한 프로파일 방향에서 시트-금속 포일의 다음 연결점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허니콤 몸체가 다수의 연결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 연결선은:
- 적어도 2개의 연결선의 곡률은 서로 상이하고,
-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의 곡률은 연결선의 구역부 상에서 변하고,
- 연결점에 의해 경계가 설정된 다수의 연결선은 허니콤 몸체의 축선과 에지에 대해 오프셋되어 뻗어있고,
- 허니콤 몸체의 마주한 단부면에서의 연결선은 주름이 잡혀있지 않고,
- 상측-면 연결점에 의해 형성된 연결선이 곡률 및/또는 구역부에 대해 하측면 연결점에 형성된 연결선과 적어도 상이하다는 특징을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적어도 2개의 또는 3개의 상기 특징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곡률은 특히 연결선의 (국부적으로 평균적인) 곡률 반경임을 나타낸다. 연결선의 "불-일치(non-congruence)"는 특히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연결점이 단부에만 가깝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의미한다. 이는 특히 연결선이 허니콤 몸체의 축선 방향에서 적어도 상이한 위치, 곡률 또는 구역부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위치, 곡률 및 구역부가 서로 상이한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허니콤 몸체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파일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최종, 즉 조립된 위치에서의) 시트-금속 포일은, 즉 예를 들면, S-형상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서로에 대해 적어도 20mm의 간격을 갖는 연결점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다른 한 실시예로서, 간격은 적어도 60mm이거나 90mm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간격이 150mm보다 크지 않게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간격"은 2개의 인접한 연결점 사이의 거리이며, 상기 연결점은 즉, 한쪽에서 보았을 경우(상측에서만 또는 하측에서만) 하나의 시트-금속 포일과 동일한 다른 하나의 시트-금속 포일 사이에 형성된다. 결국 이러한 구성은 2개의 직접적으로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 사이의 연결점이 비교적 이격되어, 특히 구성된-금속 포일이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의 상이한 특성을 보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허니콤 몸체의 시트-금속 포일의 방향/위치 또는 프로파일에 따라, 인접한 연결점이나 연결선이 허니콤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형성되지 않게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성은 특히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의 연결점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즉 인접한 시트 금속 포일이 접촉점 없이 접촉 구역 사이에서 연결점을 형성하고, 여기서 시트-금속 포일은 (단지) 서로 지지된다(연결선 사이의 신축 조인트 및/또는 연결선 사이의 신축 구역)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은 중앙으로부터 나아가는 모든 가능한 반경 방향(360°)의 적어도 85%로 그리고 중앙으로부터 하우징까지 허니콤 몸체의 전체 구역부 상에서 유리하게 실현가능하고; 이는 반경 방향의 95% 이상 또는 99% 이상까지도 제공되는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연결점의 간격이 이에 따라 적당하게 사용되며, 상기 간격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층에서 일정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허니콤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택으로부터 다수의 구성된-금속 포일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택이 배치되어 감겨지거나 휘감겨 복수의 층을 형성하여 허니콤 몸체를 형성하고, 인접한 층은 반경 방향으로 연결점을 교호로 구비한다. 즉, 이러한 구성은 층이 하나의 매끈하고 하나로 구성된-금속 포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택 내에 배치된) 구성된-금속 포일을 살펴보면, 상기 구성된-금속 포일은 동일한 층의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과 한 측에서 접촉하고, 인접한 층의 연결된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과 다른 한 측에서 접촉한다. 이 경우, 연결점이 하나의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에 교호로(즉, 상측-면과 하측면 연결점이 교호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간격은 동일한 시트-금속 포일(시트-금속 포일의 상측면이나 하측면)에 형성된 2개의 연결점 사이에서 다시 결정된다. 교호로 위치하는 연결점에 의해, 특히 먼저 프로파일 방향으로 그러나 프로파일 방향과 관련하여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또는 상기 프로파일 방향에 수직하여, 특히 많은 구역부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정도의 이동성 가요성은 사용되는 동안에 상기 타입의 허니콤 몸체의 내측 변형 특성에 조력하며, 연결점에서의 부하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점이 최대 2개의 납땜 연결부에 의해 구조부 극대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극대부는 연결 방향에서 서로 인접한다. 특히 매우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 그러나, 허니콤 몸체에서의 각각의 연결점이나 다수의 연결점이 정확하게 단지 단일의 납땜 연결부를 구비하여, 간격이 상기 개별 구조부 극대부로부터 나아가는 시트-금속 포일의 프로파일의 양 방향으로 제공된다. 단지 정확하게 단일의 납땜 연결부를 제공하여, 연결선이 2개의 납땜 연결에 의한 실시예에서 보다 더 얇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 공차에 의해 각각의 납땜점의 정확한 위치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제공된 2개의 납땜 연결부는 안전 측정부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제조 측면을 고려하였을 경우, 연결점을 만드는, 제공된 단일의 정확한 납땜 연결부가 안전하다면, 이는 하중 용량에 충분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2개의 납땜 연결부는 함께 프로파일 방향으로 (개재하는 거리 없이) 많아야 3mm, 특히 단지 1.8mm의 연결점을 형성한다. 이 경우, 프로파일 방향으로의 단일의 납땜 연결부의 연결점이 시트-금속 포일의 프로파일 방향으로의 최대 덕트폭의 대략 30% 내지 50%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니콤 몸체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시트-금속 포일은 경사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구조부를 구비하고, 연결점은 프로파일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오목부 외측에 교호로 형성된다. 특히 연결점이 측면(flanking) 스트립으로서, 경사부나 오목부에 각각의 경우에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즉 특히 경사부 및/또는 오목부의 중심은 연결부 없이 형성되고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지탱한다. 따라서, 특히 서로 접촉하는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의 이음부(crotches)는 납땜 구역 실질적으로 납땜 재료로 충전된 납땜 구역이다. 단일의 경사부나 오목부에서의 상기 2개의 납땜 구역은 하나의 납땜 연결부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연결부에 있어서, 유리하게도 프로파일 방향에서의 연결점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15개의 구조부 극대부를 포함한다. 즉, 이는 연결점이 경사부(상측면)에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15개의 경사부는 대응하는 연결점, 특히 인접한 20개의 구조부 극대부나 그 이상의 극대부 없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당하다면 허니콤 몸체의 에지 및/또는 중앙 영역을 제외하고는 허니콤 몸체에서의 구성된 포일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상관없이, 다른 한 시트-금속 포일에 대한 연결점이 인접한 오목부(하측면)에 보다 짧은 거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와 오목부 상의 연결점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대략 중앙에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인접한 연결점이 감겨지거나 휘감긴 허니콤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여러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이 사용된다.
더욱이, 허니콤 몸체가 제시되며 이 허니콤 몸체에서 연결 방지 수단은 적어도 프로파일 방향으로 또는 허니콤 몸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결점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납땜 연결이 실제로 필요한 구역에만 생성되고, 즉 경납땜이 불필요한 구역으로 나아가게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금속 포일 및/또는 하우징에는 경납땜 및/또는 상기 경납땜을 위치시키는 접착제의 접착을 방지하는 부동태 층이 제공될 수 있다 . 이를 위해, 특히 시트-금속 포일 및/또는 하우징의 금속의 세라믹 코팅부 및/또는 산화물에 대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시트-금속 포일이 허니콤 몸체의 생산 공정에 공급되기 전에 예비-산화(pre-oxidize)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단지) 각각의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이 (적당하다면 양측에서) 알루미늄 산화물로 이루어진 최상의 층을 구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경납땜에 의한 연결이 필요한 연결점의 구역에서만 가능하다(예를 들면, 경납땜에 대해 부분 연결에 적당한 연결 방지 수단의 구조부의 및/또는 산화물 층의 부분 제거에 의해). 또한 상기 연결 방지 수단은, 확산 연결이 필요한 연결점 사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확산 연결이 사용 중에 허니콤 몸체의 작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작용한다.
가요성을 증가시키고 열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결점이 많아야 15mm 정도의 덕트 방향으로의 폭을 가지도록 제시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연결점이 허니콤 몸체의 단부면에만 근접하여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면, 최대 3mm의, 특히 최대 1mm의 에지에 대한 거리로). 이에 따라 각각의 연결점의 폭은 많아야 15mm, 바람직하게는 7mm이하이거나 3mm이하이다. 따라서 시트-금속 포일이, 그 양 단부면에서, 한면에서 및/또는 교호의 면에서 연결점을 동일한 구조부 극대부 상에 각각의 경우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공될 축방향 전체 폭이 많아야 30mm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덕트의 각각의 단부-측 구역에서의 폭을 더한) 상기 총 폭은 12mm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즉, 시트-금속 포일이 연결부 없이, 특히 납땜없이 중첩된 구역에서 서로에 대해 모두 지탱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중첩된 구역은 예를 들면, 허니콤 몸체 길이의 80% 이상이다.
더욱이, 허니콤 몸체가 축선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연결점이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으로부터 뻗어있는 길이의 많아야 20%의 허니콤 몸체의 구역에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고 알려졌다. 특히 연결점이 양 단부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양 구역은 함께 상기 길이의 많아야 20% 정도이다.
상기 타입의 허니콤 구조부가 유동 입구 측에서 열충격을 받으면 바람직하고 유동 출구 측에서 열충격을 받으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납땜점의 분산된 배치 때문에, 예를 들면 시트-금속 포일의 비틀림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상될 수 있는 반경방향 압축 응력을, 바람직하게 열 충격이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반경방향 인장 응력이, 예를 들면, 출구 측에서 나타나고, 이처럼 반경방향 인장 응력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납땜 패턴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이와 상관없이, 연결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부분 구역이나, 단면부는 또한 여러 위치에, 예를 들면, 허니콤 구조부의 축방향 중심 구역에 제공될 수 있다.
허니콤 구조부가 모든 금속층에 의해 그리고 허니콤 구조부의 전체 구역부 상에서 하우징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고 가요성의 허니콤 구조부와 하우징의 신뢰할만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모든 금속 층은 그 양단부가 각각의 경우에 하우징에 대해 지탱되는 상태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양단부의 전체 구역부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납땜 연결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금속층을 하우징과 연결하기 위한 땜납 재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둘러싸인 스트립 패턴이 예를 들면, 유리한데, 이는 허니콤 구조부가 모든 금속층에 의해 그러나 허니콤 구조부의 전체 구역부의 일부 상에서만 하우징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단부면 및/또는 축방향 중심 구역에서 둘러싸인 스트립은 제시된 바와 같이 5mm 내지 10mm 사이의 폭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폭이 예를 들면, 축방향 구역부의 5% 내지 30%의 범위로, 허니콤 구조부의 구조부 함수로 선택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방향 섹션에서의 허니콤 몸체의 단면부를 고려하여, 시트-금속 포일의 다수의 접촉점이 형성되고, 많아야 20%의 상기 접촉점(예를 들면, 구성된-금속 포일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의 경사부/오목부 사이의 모든 접촉점)이 특히 많아야 10%나 단지 5%만 연결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이 제공되고, 허니콤 몸체가 적어도 하나의 스택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구성된-금속 포일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로 형성된 상기 허니콤 몸체는 S-형상으로 감겨지고, 더욱이 모든 시트-금속 포일이 내측에서 하우징에 대해 그 2개의 단부에 의해 지탱되고 허니콤 몸체의 축선 방향으로 섹션에서의 하우징과 연결된다. 이 경우, 제시된 시트-금속 포일의 S-형상 프로파일 방향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시트-금속 포일의 모든 단부가 하우징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에 대한 단단한 연결이 여기서, 특히 하우징의 길이의 적어도 80%에 상당하는 섹션 상에서 제공되므로, 하우징 자체에서의 허니콤 몸체의 고정이 보장된다. 시트-금속 포일의 단부가 이에 따라 하우징에 단단하게 영구적으로 고정되지만, 서로에 대한 시트-금속 포일의 대응하는 이동에 의해, 내측에서 시트-금속 포일의 상이한 열적 및 동적 작동을 보상될 수 있다.
상기 타입의 허니콤 몸체는 특히 자동차와 같은 배기-가스 후처리 유닛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 분야와 여러 변형예가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닌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은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 도면이고,
도 2는 허니콤 몸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몸체의 스택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허니콤 몸체에 대한 다른 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몸체의 일 실시예의 단부-측 평면도이다.
도 1에는 자동차(21)에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배기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21)는 예를 들면, 불꽃-점화 기관이나 디젤 기관과 같은 내연기관(22)을 구비한다. 상기 내연기관에서 연소된 연료는 대응하는 배기 라인(29)을 통해 배기가스 처리 유닛(25)으로 배기가스로 유도된다. 여기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되어, 결국 상대적으로 유해하지 않은 배기-가스 성분만이 대기로 흘러간다. 상기 타입의 배기 시스템에서의 상기 배기가스 처리 유닛(25)의 갯수, 타입 및/또는 위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한 사항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배기 라인(29)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몸체(1)에 대한 여러 실시예 역시 예시를 위한 것이라는 것은 명확하다.
설계된 허니콤 몸체(1)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원형) 허니콤 몸체(1)의 축선(20)을 따라 도시된 상기 허니콤 몸체의 길이방향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허니콤 몸체(1)는 특히 금속관으로 형성된 하우징(22)에 의해 외측면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있어서, 허니콤 몸체(1)는 다수의 덕트(2)로 형성된다. (별도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분리된) 덕트(2)는 2개의 단부면(21) 사이를 뻗어있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구역부(17)의 덕트 방향은 특히 허니콤 몸체(1)의 전체 길이(19) 상에서 축선(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는 자명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제공될 구역부(17)의 여러 덕트 방향이 가능하다. 또한, 덕트 벽은 직선형으로 뻗어있을 필요가 없고; 축선 방향으로 제공될 프로파일(예를 들면, 가이드면) 및/또는 제공될 인접한 덕트(2)를 연결하는 개구가 또한 가능하다.
허니콤 구조부(3)의 덕트(2)에는 종종 촉매 활성 코팅부(38)가 제공되어, 유동 방향(27)으로 유동하는 배기 가스는 덕트(2)를 통해 유동하면서 촉매와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난류 지점 및/또는 평정 구역이 덕트(2)에 제공되어, 상기 난류 지점 및/또는 평정 구역이 배기 가스와 덕트 벽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싱 연결부(24)는 허니콤 몸체(1)와 하우징(22)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납땜 연결부로) 현재 형성되어 있고, (거의) 허니콤 몸체(1)의 길이(19)에 대응하는 특히 연속하는 섹션(24) 상에 현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허니콤 몸체(1)를 이루도록 제공된 모든 시트-금속 포일이나 금속층이 하우징(22)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것을 보장한다.
2개의 단부면(21)에 근접하여, 연결 구역이 각각의 경우에 해치(hatching)로 도시되었다. 전체 구역이 여기서 해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구역에 있어서 연결점이 각각의 경우에 폭넓게 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오프셋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여기서, 연결점은 단부면(21)에서 뻗어있고, 상기 단부면의 폭은 각각 최대 15mm이나, 바람직하게는 최대 5mm이다.
도 3에는 구성된-금속 포일(3)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10)을 구비한 스택(9)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스택(9)은 감져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프로파일 방향(4)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시트-금속 포일의 연결점(6)이 서로 상이한 해치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연결점(6)(납땜 연결)이 조립된 상태, 즉 감겨진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에서 먼저 형성된다는 현상의 결과로서, 도 3에는 특히 접착제에 대한 위치가 도시되어 있고, 이 위치에서 예를 들면, 파우더의 경납땜이 코일링 공정 이후에 위치되고, 상기 경납땜은 결국 본 명세서에서 예시와 설명을 위해 기재된, 구성된-금속 포일(3)과 관련된 상측면 연결점(6) 및 하측면 연결점(37)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동일한 하측면 연결점(37), 즉 본 발명의 아래쪽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과의 연결점(37)이, 적어도 20mm의 프로파일 방향(4)으로 특정 간격(7)을 유지한 채로 도 3의 하부에 도시되었다. 또한 스택에서의 각각의 연결점 사이의 간격(7)이 동일하므로, 예를 들면, 인접한 연결선(33) 모두가 마무리가공된 허니콤 몸체(1)에서의 프로파일 방향(4)으로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간격(7)을 갖는다. 이는 바람직하게 여러 (상부) 시트-금속 포일에 대한 상측-면 연결점(6)(보다 어두운 점으로 도시됨)이 상기 하측면 연결점(37)(보다 밝은 점으로 도시됨) 사이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다.
도 4에는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서 각각의 연결점(6, 37)이 인접한 구조부 극대부(12), 즉 경사부(14)나 오목부(15) 중 어느 하나에서 2개의 납땜된 연결부(11)로 형성된다. 구성된-금속 포일(3)의 구조부(13)의 다수의 구조부 극대부(12)가 연결점(6, 37)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동일한 연결점(동일한 색깔로 도시된 연결점) 사이의 구조부 극대부(12)의 갯수는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갯수보다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15개의 구조부 극대부가 사이에 위치된다.
더욱이,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에는 연결 보호층(16)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보호층(16)이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의 상측면(34)과 하측면(35)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어느 한면에 산화층이 제공되어 예외적인 상황을 충족시킬 수도 있다. 여하튼, 예를 들면, 확산의 결과로서, 금속층이 연속되지 않게 되고 비교적 큰 셀(28)이 결론적으로 하중을 받아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즉, 상기 타입의 셀(28)은 예를 들면,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의 섹션과, 구성된-금속 포일(3)의 섹션으로 형성되고, 상기 셀(28)이 2개의 동일한 연결점(하측면 연결점에 대해 도시됨)에 의해 외곽이 형성되고, 더욱이 상기 구성된-금속 포일(3)에 의해 형성된 셀의 경계가 적어도 15개의 구조부 극대부(12)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히 셀(28)의 높은 변형도 또는 인접한 시트-금속 포일의 가요성 배치가 프로파일 방향(4) 및 이 방향의 횡방향에서 가능하다.
도 5에는 허니콤 몸체(1)의 일 실시예로서, 단면부(40)와 같은 납땜 패턴이 현재 도시되어 있다. 허니콤 몸체(1)는 S-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과, 구성된-금속 포일(3)로 형성된다. 시트-금속 포일, 즉 시트-금속 포일 자체의 층(10)의 모든 단부(23)가 하우징(22)을 외측에서, 즉 에지(39)에서 현재 지탱하고 있다. 다수의 덕트(2)는 매끈하고 주름잡힌 시트-금속 포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납땜 패턴과 관련하여, 상측-면 연결점(6)(밝은 색 점으로 도시됨)과 하측면 연결점(37)(검은색 점으로 도시됨)은 각각의 경우에 만곡된 연결선(33)을 형성하고, 신축 조인트(38)는 만곡된 연결선(33)의 각각의 연결점 사이에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축 조인트(38)의 비율은 연결선(33)의 총 구역부(41)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즉 특히 80%보다 상당히 더 클 만큼 현저하다. 상측-면 연결점(6)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33)과 하측면 연결점(37)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33)이 허니콤 몸체(1)의 각각의 반경 방향(8)에 대해 제공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강조된 원주방향 섹터(42)에 있어서, 4개까지의 연결선(33)이 중앙으로부터 에지(39)까지의 경로를 교차하며, 또한 상이한 타입의 연결선(33)이 교호로 교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선(33)이 중앙 영역(32) 근처의 한 지점으로부터 에지(39) 쪽으로 현저하게 뻗어있으나, 이 뻗어있는 방향은 반경 방향(8)이 아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연결점(6, 37)이나 연결선(33)이 허니콤 몸체(1)의 반경 방향(8)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확하다. 반경 방향(8)에서 보았을 경우 연결선(33) 사이에 형성된 것은 신축 구역(43)이며, 이 신축 구역은 서로에 대해 연결선(33) 사이에 배치된 시트-금속 포일 섹션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비접합 구역). 중앙 영역(32)에 있어서, (외측 환형 구역과 관련하여) 비교적 적은 수의 연결점이 형성된다. 연결점의 형성과 관련하여, (종종 참고하기 위한) 구성된-금속 포일(3)의 예를 들면, 상측면에 대한 연결점(상측-면 연결점(6))은 검은색 점이고, 하측면에 대한 연결점(하측면 연결점(37))은 하얀색 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택에서의 각각의 연결점은 감겨진 상태로 연결선(33)을 형성하고, 본 명세서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니콤 몸체의 반경 방향(8)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인접한 연결점이 직접적으로 형성되지 않지만, 연결 구역이 없는 시트-금속 포일이 항상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측-면 연결점(6)과 하측면 연결점(37)은 반경 방향(8)에서 교호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변형예에 있어서, 구성된-금속 포일(3)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 사이의 가능한 모든 접촉점의 단지 20%만이 서로 연결된다. 연결점을 별도로 고려하면(각각의 연결점이 2개의 납땜점으로 형성됨), 연결부의 비율은 10% 만큼 낮다. 이 결과, 단부면에서, 큰 면적의 구역이 납땜되는 경우에, 단지 개략적으로 지시된 연결점(6, 37)이 각각의 경우에 낫-형상이나 만곡된 연결선(33)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허니콤 몸체 2 덕트
3 구성된-금속 포일 4 프로파일 방향
5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 6 상측-면 연결점
7 간격 8 반경 방향 
9 스택 10 층
11 납땜 연결 12 구조부 극대부
13 구조부  14 경사부
15 오목부 16 연결 방지 수단 
17 구역부의 덕트 방향  18 폭
19 길이  20 축선
21 단부면 22 하우징
23 단부  24 섹션
25 배기-가스 처리 유닛 26 자동차
27 유동 방향 28 셀
29 배기 라인 30 내연기관
31 케이싱 연결부 32 중앙 영역
33 연결선 34 상측면
35 하측면 36 코팅부
37 하측면 연결점 38 신축 조인트
39 에지 40 단면부
41 구역부 42 원주방향 섹터
43 신축 구역

Claims (14)

  1. 다수의 덕트(2)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시트-금속 포일(3)로 형성된 허니콤 몸체(1)로서,
    상기 시트-금속 포일(3)은, 그 자신에 대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이나 상기 구성된-금속 포일(3)에 대해, 프로파일 방향(4)과 상측-면 연결점(6) 및 하측면 연결점(37)을 갖고, 적어도 상기 상측-면 연결점(6)이나 상기 하측면 연결점(37)은 만곡된 연결선(33)을 형성하고, 신축 조인트(38)는 상기 만곡된 연결선(33)의 각각의 연결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몸체(1)는 다수의 연결선(33)을 갖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들 연결선은:
    - 적어도 2개의 연결선(33)의 곡률이 서로 상이하고,
    -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33)의 곡률이 상기 연결선(33)의 구역부(41) 상에서 변하고,
    - 연결점(6, 37)에 의해 외곽이 형성된 상기 다수의 연결선(33)이 상기 허니콤 몸체(1)의 에지(39)와 축선(20)에 대해 오프셋되어 뻗어있고,
    - 상기 허니콤 몸체(1)의 양 단부면(21)에 형성된 상기 연결선(33)에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으며,
    - 상측-면 연결점(6)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연결선(33)이 적어도 곡률 및/또는 구역부(41)와 관련하여, 하측면 연결점(37)에 의해 형성된 연결선과 상이하다는 특징적인 사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 연결점(6)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33)과, 상기 하측면 연결점(37)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연결선(33)이 상기 허니콤 몸체(1)의 각각의 반경 방향(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인접한 연결선(33)은 상기 프로파일 방향(4)으로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간격(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택(9)은 다수의 구성된-금속 포일(3)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로 형성되고, 상기 스택(9)은 복수의 층(10)으로 감겨지거나 휘감기도록 배치되어 상기 허니콤 몸체(1)를 형성하고, 상기 반경 방향(8)에서 인접한 상기 층(10)은 교호로 연결점(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점(6)은 구조부 극대부(12)에서 최대 2개의 납땜된 연결부(11)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프로파일 방향(4)에서 서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시트-금속 포일(3)은 경사부(14)와 오목부(15)가 형성된 구조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점(6)은 상기 프로파일 방향(4)에서 경사부(14)와 오목부(15) 외측에 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방향(4)에서 상기 연결점(6) 사이의 상기 간격(7)은 적어도 15개의 구조부 극대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방지 수단(16)은 적어도 상기 프로파일 방향(4)으로 또는 상기 허니콤 몸체(1)의 축선(20) 방향으로 상기 연결점(6)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점(6)의 폭(18)은 구역부(17)의 덕트 방향으로 많아야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몸체(1)는 축선(20) 방향으로 길이부(19)를 갖고, 상기 연결점(6)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21)으로부터 뻗어있는 상기 길이부(19)의 많아야 20%의 상기 허니콤 몸체(1)의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2)이 제공되고, 상기 허니콤 몸체(1)는 적어도 하나의 스택(9)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구성된-금속 포일(3)과 매끈한 시트-금속 포일(5)로 이루어진 상기 스택은 S-형상으로 감겨지고, 더욱이 모든 상기 시트-금속 포일(3, 5)은 그 2개의 단부(23)로 상기 하우징(22)에 대해 내측에서 더욱 지탱하고 상기 허니콤 몸체(1)의 축선(20)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과 섹션(24)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몸체(1).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허니콤 몸체(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 유닛(25).
  14. 청구항 13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기-가스 처리 유닛(2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26).
KR1020107021188A 2008-02-27 2009-02-06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 KR201001253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1261.5 2008-02-27
DE102008011261A DE102008011261A1 (de) 2008-02-27 2008-02-27 Wabenkörper mit flexiblen Verbindungsste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352A true KR20100125352A (ko) 2010-11-30

Family

ID=4064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188A KR20100125352A (ko) 2008-02-27 2009-02-06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71821B2 (ko)
EP (1) EP2250354B1 (ko)
JP (1) JP5689686B2 (ko)
KR (1) KR20100125352A (ko)
CN (1) CN101960111A (ko)
DE (1) DE102008011261A1 (ko)
ES (1) ES2416481T3 (ko)
PL (1) PL2250354T3 (ko)
RU (1) RU2500901C2 (ko)
WO (1) WO2009106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2518A1 (de) * 2008-05-07 2009-11-1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radial verschieden ausgeführten Verbindungsstellen
DE102008025593A1 (de) * 2008-05-28 2009-12-0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Metallischer Wabenkörper mit definierten Verbindungsstellen
CN103906904B (zh) * 2011-09-05 2017-12-15 巴斯夫公司 向金属蜂窝载体施用钎焊材料的方法,金属蜂窝载体及其制造方法
RU2595463C2 (ru) * 2012-01-13 2016-08-27 Эмитек Гезельшафт Фюр Эмиссионстехнологи Мбх Электрически обогреваемое сотовое тело с несколькими электрически соединенными с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штырьком слоями листового металла
CN104235591B (zh) * 2014-08-15 2017-02-01 华南理工大学 一种抗冲击的混合网格结构及其压缩方法
DE102015118693A1 (de) * 2015-11-02 2017-05-04 Oberland Mangold Gmbh Tragkörper für Partikelabscheider sowie Verfahren zu seinem bereichsweisen Belote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4904A1 (de) * 1985-09-30 1987-04-02 Interatom Aus blechen gewickelter oder geschichteter metallischer katalysatortraegerkoerper mit doppel- oder mehrfachwellenstruktur
DE3760428D1 (en) * 1986-05-12 1989-09-14 Interatom Metallic honeycomb body, particularly a catalyst carrier, provided with a supporting wal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DE8710628U1 (ko) * 1986-08-11 1987-09-24 Interatom Gmbh, 5060 Bergisch Gladbach, De
DE3818512A1 (de) * 1988-05-31 1989-12-07 Interatom Verfahren zum beleimen und beloten eines metallischen katalysator-traegerkoerpers und zugehoerige vorrichtung
JPH08112536A (ja) * 1994-10-14 1996-05-07 Usui Internatl Ind Co Ltd メタル担体
DE19530850A1 (de) * 1995-08-22 1997-02-27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abenkörpers aus zumindest zum Teil schichtartig aufgebauten Metallblechlagen
JP3337612B2 (ja) * 1995-10-02 2002-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加熱式触媒装置
JP3474357B2 (ja) * 1996-04-18 2003-12-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電気加熱担体
DE19922358C1 (de) * 1999-05-14 2001-01-25 Helmut Swars Wabenkörper
TW534944B (en) * 2000-01-17 2003-06-01 Emitec Emissionstechnologie Catalyst carrier body having a sleeve with microstructures allowing expansions and method of producing a catalyst carrier body
DE10018641A1 (de) * 2000-04-14 2001-10-25 Emitec Emissionstechnologie Gehäuse mit keramischer Innenschicht für einen Katalysatorträger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talysator-Trägerkörpers mit einem solchen Gehäuse
DE10137897A1 (de) * 2001-08-02 2003-02-20 Emitec Emissionstechnologie Kontraktionsbegrenzer für einen Wabenkörper
DE10200069A1 (de) * 2002-01-03 2003-07-24 Emitec Emissionstechnologie Wab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Beleimung und Belotung
US7345824B2 (en) * 2002-03-26 2008-03-18 Trivium Technologies, Inc. Light collimating device
US20050054526A1 (en) * 2003-09-08 2005-03-10 Engelhard Corporation Coated substrate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DE102004058285A1 (de) * 2004-12-02 2006-06-0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bindungsmaterial zum Positionieren von Lotmateria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benkörpers und entsprechender Wabenkörper
DE102004058258A1 (de) * 2004-12-03 2006-06-08 Voith Turbo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aus einer Meeresströmung
DE102005028044A1 (de) * 2005-06-17 2006-12-2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Herstellung von, insbesondere großen, Wabenkörpern für die mobile Abgasnachbehand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0111A (zh) 2011-01-26
EP2250354B1 (de) 2013-04-10
PL2250354T3 (pl) 2013-08-30
US20110033344A1 (en) 2011-02-10
US8771821B2 (en) 2014-07-08
DE102008011261A1 (de) 2009-09-03
JP2011513044A (ja) 2011-04-28
RU2500901C2 (ru) 2013-12-10
JP5689686B2 (ja) 2015-03-25
EP2250354A1 (de) 2010-11-17
RU2010139582A (ru) 2012-04-10
ES2416481T3 (es) 2013-08-01
WO2009106418A1 (de)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892B1 (ko) 반경방향으로 상이하게 형성된 연결점을 갖는 허니콤 몸체
KR20100125352A (ko)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
KR100495790B1 (ko) 배기가스 촉매 장치용 단열부를 갖춘 하니컴 몸체
US5380501A (en) Exhaust gas cleaning device
KR100581469B1 (ko) 단일체형 벌집형상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3065B1 (ko) 비접합 구역을 구비한 허니콤 몸체
US9091196B2 (en) Metallic honeycomb body with defined connecting points and motor vehicle having the honeycomb body
US7736717B2 (en) Honeycomb body with double tubular casing
KR101369609B1 (ko) 가요성 구역을 구비한 허니콤 부재
US5403558A (en) Heat and fatigue resistant metallic carrier for automobile exhaust gas-purifying catalyst
US7241427B2 (en) Catalyst carrier body with sleeve and shortened tubular jacket and catalytic converter having the catalyst carrier body
CN101262946B (zh) 用于制造环形蜂窝体的方法以及环形蜂窝体
US6423276B1 (en) Heater unit
US20100180560A1 (en) Device for Exhaust Gas Aftertreatment
EP0389645A1 (en) Metal carrier having thermal fatigue resistance for automobile exhaust gas cleaning catalysts
JPH04235717A (ja) 排気ガス浄化触媒用メタル担体
JPH0386244A (ja) 耐熱疲労性の優れた触媒用金属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