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875A -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875A
KR20100124875A KR1020090043800A KR20090043800A KR20100124875A KR 20100124875 A KR20100124875 A KR 20100124875A KR 1020090043800 A KR1020090043800 A KR 1020090043800A KR 20090043800 A KR20090043800 A KR 20090043800A KR 20100124875 A KR20100124875 A KR 2010012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ont cover
cleaning device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045B1 (ko
Inventor
정인
Original Assignee
(주)그린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그린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4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4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투시공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 전면이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 1 투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는 세척 필터, 전면이 상기 세척 필터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센터홀이 형성된 원형의 유리부재, 전면이 상기 유리부재의 후면에 밀착설치되는 후면 커버, 상기 센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간에 결합되는 중심축부재 및 상기 원형의 유리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마찰력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부재가 회전하면서 세척 필터에 의해 먼지나 유분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유리면 세척 기능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CCTV, 하우징, 먼지, 세척, 청소, 필터, 전동모터, 밀링기어.

Description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An Apparatus For Cleaning Glass Of CCTV Housing}
본 발명은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사이에 유리부재를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유리부재와 전면 커버 사이에 세척 필터를 설치하여 유리부재의 회전 시에 유리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CCTV 카메라는 도로상의 불법 주차, 방범 등의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CCTV 카메라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부착되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나 도로나 제철소, 시멘트공장, 화학공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다량의 먼지나 유분과 같은 분진들이 공기 중에 부유하며 이러한 분진들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 전면 유리부위에 안착하게 되어 카 메라의 시야를 흐리게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종래 CCTV 카메라 하우징의 유리를 세척하기 위한 기술에는 윈도우 브러쉬와 물 공급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부착한 경우가 있으나, 윈도우 브러쉬의 고무부분의 열화 또는 물 공급 장치에 물이 없을 때 브러쉬를 작동할 경우 유리면에 부착된 먼지나 유분으로 오염상태가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물 공급을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을 해야하고 물이 부족할 경우 물 보충을 해야하며 온도가 낮은 겨울에는 동파방지를 해야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0189288호에 따른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 먼지 제거장치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 먼지 제거장치는 카메라 하우징(1)을 내벽(1a)과 외벽(1b)으로 된 2중벽으로 형성하여 내외벽(1a), (1b)사이에 공기공급로(4)가 구성되도록 형성하고, 공기공급로(4)의 선후 양단부에 내측에 필터(7)를 장착한 공기공급구(5)와 유리창(3)의 표면부에 도입된 공기분사구(6)를 각각 형성하며, 공기공급구(5)에 타이머(9)와 연결시킨 송풍팬(8)을 설치하여 송풍팬에서 공급된 기류에 의해 유리창의 전면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기류에 의한 먼지 세척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2003-0083544호에 따른 종래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클리닝 장치의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클리닝 장치는 풀림측 필름롤(360)에 감겨 있는 얇고 투명한 필름(330)의 일정량을 일정주기로 감김측 필름롤(350)에 필름을 감는 방법으로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320)에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에 부착된 기어(340a)를 통해 감김롤측 기어(340b)를 회전시켜 풀림측 필름롤(360)에 감겨있는 필름을 감김측 필름롤(350)에 감는 방법으로 하우징 전면의 유리창 표면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 또한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필름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의 전면 측에 설치되는 유리부재, 상기 유리부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진동수단 및 상기 진동수단에 초음파 신호를 인가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척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하우징을 제안하여 국내특허등록 제870116호로 등록된 바 있으나, 상기 장치는 진동에 의해 부착물을 털어내는 방식이므로 먼지 제거에는 효과가 높으나 유분 등 유리면에 밀착된 물질은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부재가 회전하면서 세척 필터에 의해 먼지나 유분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유리면 세척 기능이 탁월한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의 전면 측에 설치되는 유리 세척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제 1 투시공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 전면이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 1 투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는 세척 필터, 전면이 상기 세척 필터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센터홀이 형성된 원형의 유리부재, 전면이 상기 유리부재의 후면에 밀착설치되는 후면 커버, 상기 센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간에 결합되는 중심축부재 및 상기 원형의 유리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마찰력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부재는 전면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중심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세척필터를 상기 유 리부재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의 하단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본체가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회전축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외주면이 상기 유리부재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밀링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밀링 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필터는 일측에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에는 1단 절곡된 형상의 고리부재가 복수개 돌출형성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고리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각 고리부재가 상기 각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전면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제 1 투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투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부재가 회전하면서 세척 필터에 의해 먼지나 유분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유리면 세척 기능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유리세척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유리세척장치의 분해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필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유리세척장치는 내부에 카메라(95)가 설치된 하우징 본체(9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 커버(10), 세척필터(20), 유리부재(30), 후면 커버(50) 및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커버(10)는 하우징 본체(90)의 전면부 선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카메라(95)의 렌즈가 위치하는 높이에 제 1 투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커버(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나, 얇으면서도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커버(10)는 하우징 본체(9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서 4개의 꼭지점 부근에 "ㄱ"자 형상으로 1차 절곡형성된 고리부재(11)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중앙에는 중심축부재(13)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커버(10)의 하단 일측에는 제 1 만곡부(14)가 외측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밀링 기어(8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전면 커버(1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프레스를 이용하여 고리부재(11), 중심축부재(13) 및 제 1 만곡부(14)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세척필터(20)는 전면 커버(10)의 내측면에 밀착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 만곡부(14)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만곡부(14)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의 개구(2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중심축부재(13)에 대응되는 센터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필터(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유리부재(30)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서 하단 일측에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개부(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장기간 사용시 세척필터(20)에 의해 탈거된 이물질이 쌓여 유리부재(30)를 재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쌓인 먼지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탈거된 이물질에 의한 재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세척필터(20)는 회전하는 유리부재(30)에 밀착하여 유리부재(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것이므로 표면이 부드럽고 세척력이 우수한 양모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부재(30)는 세척필터(20)와 후면 커버(50)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이 용 이하도록 원형 디스크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 중심축부재(13)에 대응되는 센터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부재(30)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이 유리부재(30)의 내외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 등의 실링부재(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커버(50)는 유리부재(3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카메라(95)의 렌즈가 위치하는 높이에 제 2 투시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커버(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나, 얇으면서도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일 전면 커버(10)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 2 투시공(52)이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후면 커버(50)는 하우징 본체(9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서 전면 커버(10)의 고리부재(11)에 대응되는 부분에 장공(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고리부재(11)가 장공(51)에 삽입된 후 전면 커버(10)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ㄱ"자 형상의 고리부재(11)가 장공(51)에 걸리면서 상호 체결되며, 장공(51)은 고리부재(11)의 회전궤적에 상응하는 곡률(R)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면 커버(50)의 중앙에는 하우징 본체(9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2 만곡부(53)가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삽입공(54)이 형성되어 있다.
후면 커버(50)의 제 2 만곡부(53)에는 탄성부재(60)가 위치하여 유리부재(30)를 전면 커버(10) 및 세척필터(20)에 강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재(60)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는 모터 본체(71)의 일측으로 회전축(72)이 돌출형성되는 전동모터(70)와 일단이 상기 삽입공(54)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72)에 축결합되는 밀링 기어(80)로 구성된다.
밀링 기어(80)는 원형의 유리부재(3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유리부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고무나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모터 본체(71)가 밀링 기어(80)에 직결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밀링 기어(80)에 보다 강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동모터(70)와 밀링 기어(80) 사이에 감속기(미도시)가 삽입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동모터(70)는 타이머에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일정 시간만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시간 간격으로 전동모터(70)가 동작하여 유리부재(30)를 30°씩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유리부재가 세척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들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유리 세척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전동모터(70)가 동작하여 일정 회전량만큼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동모터(70)의 회전 축(72)에 축결합된 밀링 기어(80)가 동반회전하게 된다.
밀링 기어(80)가 회전하면서 밀링 기어(80)의 외주면과 닿아있는 유리부재(30)에 회전 마찰력를 제공하게 되고, 유리부재(30)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홀(31)에 중심축부재(13)에 의해 유리부재(30)가 중심축부재(1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유리부재(30)는 탄성부재(60)의 탄발력에 의해 전면 커버(10)측으로 강하게 밀착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를 사용하여 밀링 기어(80)에 큰 회전력을 제공하고 밀링 기어(80)로서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회전 마찰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부재(30)가 회전하면 투시공(12, 52)에 대응되는 위치의 면이 투시공(12, 52)이 형성되지 않은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50)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리부재(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은 유리부재(30)가 360°회전하는 동안 전면 커버(10)의 내측면에 밀착설치된 세척필터(20)에 의해 제거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커버(10)와 유리부재(30) 간에 세척필터(20)가 개재되어 유리부재(30)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경우만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유리부재(30)와 후면 커버(50) 간에도 세척필터(20)를 개재하여 유리부재(30) 내측면에 부착된 먼지도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심축부재를 전면 커버(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중심축부재를 후면 커버(50)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5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50)의 체결에 있어서도 보다 강한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해 볼트 등을 통해 상호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 먼지 제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클리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유리세척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유리세척장치의 분해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필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유리부재가 세척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전면 커버 11 : 고리부재
12, 52 : 투시공 13 : 중심축부재
14 : 제 1 만곡부 20 : 세척필터
21 : 개구 22, 31 : 센터홀
23 : 절개부 30 : 유리부재
40 : 실링부재 50 : 후면 커버
51 : 결합공 53 : 제 2 만곡부
54 : 삽입공 60 : 탄성부재
70 : 전동모터 71 : 모터 본체
72 : 회전축 80 : 밀링 기어
90 : 하우징 본체 95 : 카메라

Claims (10)

  1.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의 전면 측에 설치되는 유리 세척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제 1 투시공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
    전면이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 1 투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는 세척 필터;
    전면이 상기 세척 필터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센터홀이 형성된 원형의 유리부재;
    전면이 상기 유리부재의 후면에 밀착설치되는 후면 커버;
    상기 센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간에 결합되는 중심축부재; 및
    상기 원형의 유리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마찰력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재는 전면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중심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세척필터를 상기 유리부재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하단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본체가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회전축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외주면이 상기 유리부재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밀링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밀링 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필터는 일측에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에는 1단 절곡된 형상의 고리부재가 복수개 돌출형성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고리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각 고리부재가 상기 각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전면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제 1 투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투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KR1020090043800A 2009-05-20 2009-05-20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KR10100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00A KR101006045B1 (ko) 2009-05-20 2009-05-20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00A KR101006045B1 (ko) 2009-05-20 2009-05-20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875A true KR20100124875A (ko) 2010-11-30
KR101006045B1 KR101006045B1 (ko) 2011-01-06

Family

ID=4340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800A KR101006045B1 (ko) 2009-05-20 2009-05-20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0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87B1 (ko) * 2020-05-15 2020-09-07 진승원 Cctv용 거미줄 제거 및 방지 장치
KR20200141708A (ko) * 2019-06-11 2020-12-2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US20210392254A1 (en) * 2018-11-03 2021-12-16 Tracy Of Sweden Ab Arrangement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of lo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9450B2 (en) 2013-03-12 2016-10-04 AVAK Henderson Limited Partnership Systems for automatically removing spider webs and other debris from surveillance camera lenses
KR102458430B1 (ko) 2021-03-17 2022-10-26 (주)스텝이엔지 오염환경부에 노출된 관찰용 카메라의 오염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190A (ja) * 1991-08-30 1993-03-23 Tanaka Kikinzoku Kogyo Kk ハンダシート形成法
JPH0568191A (ja) * 1991-09-05 1993-03-19 Fuji Photo Optical Co Ltd ワイパ装置
KR20030083544A (ko) * 2002-08-22 2003-10-30 남완주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크리닝 장치
KR100870116B1 (ko) * 2008-04-21 2008-11-25 (주)그린텍시스템 유리세척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하우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2254A1 (en) * 2018-11-03 2021-12-16 Tracy Of Sweden Ab Arrangement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of log
KR20200141708A (ko) * 2019-06-11 2020-12-2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KR102152787B1 (ko) * 2020-05-15 2020-09-07 진승원 Cctv용 거미줄 제거 및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045B1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045B1 (ko)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JP7207864B2 (ja) 光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運転支援システム
US9380190B2 (en) Rotating lens apparatus
CN109661278B (zh) 用于保护光学传感器的装置和包括光学传感器的驾驶辅助系统
JP6211417B2 (ja) 監視カメラ装置
JP7362236B2 (ja) 光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組み立て方法
JP2007130628A (ja) 空気調和機
EP3064736B1 (en) Rotary dust screen
US20180335505A1 (en) Device for protecting an optical sensor and associated driving assistance system
US20200047718A1 (en) Cleaning device
CN1754070A (zh) 具有附带空气过滤器自动清扫功能的室内单元的空气调和机
KR100870116B1 (ko) 유리세척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하우징
JP5202614B2 (ja) 空気調和機
KR102124996B1 (ko) 카메라 렌즈 전면 자동 세척장치
KR100762484B1 (ko) 스트립 표면의 압연유 제거장치
KR102644932B1 (ko)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CN213602701U (zh) Cctv检测装置
JP4690022B2 (ja) 顕微鏡のレボルバ
CN211299798U (zh) 清洁设备及吸尘器
CN218460213U (zh) 摄像机清洁装置和摄像机
US20220176416A1 (en) Self-cleaning optical housing arrangement
JP4400399B2 (ja) 塵埃付着防止装置及び塵埃付着防止装置を備えたカメラハウジング
CN115566539A (zh) 一种建筑工程用电力箱
KR200299654Y1 (ko) 카메라 및 센서하우징의 윈도우 크리닝 장치
GB2359899A (en) Optical element protection device with rotatable transparent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