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932B1 -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932B1
KR102644932B1 KR1020230015647A KR20230015647A KR102644932B1 KR 102644932 B1 KR102644932 B1 KR 102644932B1 KR 1020230015647 A KR1020230015647 A KR 1020230015647A KR 20230015647 A KR20230015647 A KR 20230015647A KR 102644932 B1 KR102644932 B1 KR 10264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upport
dome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는, 고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 구동수단이 마련된 설치 하우징과, 상기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 회전하도록 상기 설치 하우징에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지지체와, 양쪽의 상기 지지단 사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도록 상기 설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돔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돔형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는 각 상기 지지단의 외측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지지체; 각 상기 연결 지지체의 타단에 한쪽이 결합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내측면에 밀착되기 위한 내측 세정부재가 마련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세정 지지체;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는 제2 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제1,2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돔형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 세정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세정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세정부재와 상기 외측 세정부재가 상기 제1,2 자석에 의해 상기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작동시 상기 내,외측 세정부재가 상기 내,외측면을 동시에 세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DOME TYPE CAMERA DEVICE WITH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정장치를 갖는 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방향 전환시 카메라와 연동되어 미세먼지 등 각종 이물질로 오염된 돔 카메라의 투명 하우징 내,외부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도로상의 불법 주차, 방범 등의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CCTV 카메라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부착되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나 도로나 제철소, 시멘트공장, 화학공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다량의 먼지나 유분과 같은 분진들이 공기 중에 부유하며 이러한 분진들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 전면 유리부위에 안착하게 되어 카메라의 시야를 흐리게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종래 CCTV 카메라 하우징의 유리를 세척하기 위한 기술에는 윈도우 브러쉬와 물 공급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부착한 경우가 있으나, 윈도우 브러쉬의 고무부분의 열화 또는 물 공급 장치에 물이 없을 때 브러쉬를 작동할 경우 유리면에 부착된 먼지나 유분으로 오염상태가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물 공급을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을 해야하고 물이 부족할 경우 물 보충을 해야하며 온도가 낮은 겨울에는 동파방지를 해야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CCTV 카메라의 세정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89288호(공고일 : 1999.06.01)에 따른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 먼지 [0005] 제거장치의 구조가 도 1에 도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 먼지 제거장치는 카메라 하우징(1)을 내벽(1a)과 외벽(1b)으로 된 2중벽으로 형성하여 내외벽(1a), (1b)사이에 공기공급로(4)가 구성되도록 형성하고, 공기공급로(4)의 선후 양단부에 내측에 필터(7)를 장착한 공기공급구(5)와 유리창(3)의 표면부에 도입된 공기분사구(6)를 각각 형성하며, 공기공급구(5)에 타이머(9)와 연결시킨 송풍팬(8)을 설치하여 송풍팬에서 공급된 기류에 의해 유리창의 전면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기류에 의한 먼지 세척에는 한계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83544호(공개일 : 2003.10.30)에는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클리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클리닝 장치는 풀림측 필름롤에 감겨 있는 얇고 투명한 필름의 일정량을 일정주기로 감김측 필름롤에 필름을 감는 방법으로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에 부착된 기어를 통해 감김롤측 기어를 회전시켜 풀림측 필름롤에 감겨있는 필름을 감김측 필름롤에 감는 방법으로 하우징 전면의 유리창 표면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클리닝 장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필름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89288호(공고일 : 1999.06.01)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83544호(공개일 : 2003.10.30)
본 발명의 목적은, 돔형 CCTV 카메라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의 방향 전환 작동과 연동되어 투명 하우징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동시에 세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 구동수단이 마련된 설치 하우징과, 상기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 회전하도록 상기 설치 하우징에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지지체와, 양쪽의 상기 지지단 사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도록 상기 설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돔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돔형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는 각 상기 지지단의 외측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지지체; 각 상기 연결 지지체의 타단에 한쪽이 결합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내측면에 밀착되기 위한 내측 세정부재가 마련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세정 지지체;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는 제2 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제1,2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돔형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 세정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세정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세정부재와 상기 외측 세정부재가 상기 제1,2 자석에 의해 상기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작동시 상기 내,외측 세정부재가 상기 내,외측면을 동시에 세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세정 지지체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영역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세정부재는, 융을 포함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세정 지지체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외측면을 향하는 제2 영역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세정부재는, 융을 포함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세정부재; 및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는 폭방향 일단부가 첨단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세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영역의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세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체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단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세정 지지체를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확장 형성되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세정 지지체를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탄력 지지하도록 중간부에서 양 단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되되, 상기 내측면을 향하는 면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돔형 CCTV 카메라 장치의 투명한 돔형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내,외측 세정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내,외측 세정부재가 각각의 자석들에 의해 돔형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작동시 내,외측 세정부재가 돔형 하우징의 내,외측면을 동시에 세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에 구비된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에 구비된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10)는, 고정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 구동수단(22)이 마련된 설치 하우징(20)과, 회전 구동수단(22)에 의해 수평 회전하도록 설치 하우징(20)에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단(34)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지지체(30)와, 양쪽의 지지단(34) 사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40)과,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40)을 보호하도록 설치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돔형 하우징(50)을 포함한다.
돔형 카메라 장치(10)에 적용되는 세정장치(60)는, 카메라 모듈(40)의 회전 작동시 투명한 돔형 하우징(50)의 내측면(52) 및 외측면(54)를 동시에 닦아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세정장치(60)는, 돔형 하우징(50)의 내측면(52)을 향하는 각 지지단(34)의 외측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지지체(62)와, 각 연결 지지체(62)의 타단에 한쪽이 결합되고, 반대쪽에는 내측면(52)에 밀착되기 위한 내측 세정부재(64A)가 마련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64B)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세정 지지체(64)와, 제1 자석(64B)에 대응되는 제2 자석(66B)이 마련되어 제1,2 자석(64B,66B)의 자력에 의해 돔형 하우징(50)의 외측면(54)에 밀착되는 외측 세정부재(66A)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세정 지지체(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치 하우징(20)은, 벽이나 천장, 브라켓 등을 포함하는 고정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회전 구동수단(22)은, 카메라 지지체(30)를 소정의 각도 내에서 수평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설치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전 구동수단(22)은 구동기어(22B)를 구비한 구동모터(22A)와, 구동기어(22B)에 맞물린 피동기어(22C)로 구성된다. 피동기어(22C)의 축은 설치 하우징(20)을 관통하여 카메라 지지체(30)와 결합된다.
카메라 지지체(30)는, 설치 하우징(20)의 바깥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동기어(22C)의 축과 결합된다. 이때, 설치 하우징(20)에는 카메라 지지체(3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거나 다수개의 가이드용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이나 가이드 베어링들은 카메라 지지체(30)가 설치 하우징(2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겸한다. 카메라 지지체(30)는 피동기어(22C)의 축과 결합되고 회전 지지되므로 회전 구동수단(22)의 작동시 도 3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체(30)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단(34)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다. 양쪽의 지지단(34) 사이에는 카메라 모듈(40)이 결합된다. 양쪽의 지지단(34)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40)을 양쪽의 지지단(34)들 사이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보조 회전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세정장치(6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연결 지지체(62)는, 돔형 하우징(50)의 내측면(52)을 향하는 각 지지단(34)의 외측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각각의 고정부(62A)와, 각 고정부(62B)의 타단부에서 제1 세정 지지체(64)를 내측면(52)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확장 형성되는 지지부(6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62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확장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방사형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지지부(62B)는, 제1 세정 지지체(64)를 내측면(52) 방향으로 균일하게 탄력 지지하도록 중간부(62B-1)에서 양 단부(62B-2)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되되, 내측면(52)을 향하는 면(62B-3)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지지부(62B)가 중간부(62B-1)에서 양 단부(62B-2)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제1 세정 지지체(64)를 내측면(52) 방향으로 균일하게 탄력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지지체(62)의 고정부(62A)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62B)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 지지체(62)의 고정부(62A)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62B)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정장치(60)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1 세정 지지체(64)는, 내측 세정부재(64A)가 내측면(52)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측면(52)을 향하는 제1 영역(64C)에는 제1 자석(64B)이 다수개 배치되어 고정된다. 한 쌍의 제1 세정 지지체(64)는 각 연결 지지체(62)의 지지부(62B)에 각각 결합된다.
전술한 내측 세정부재(64A)는, 융을 포함한 섬유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영역(64C)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내측 세정부재(64A)는 제1 영역(64C)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구조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끼움구조는, 제1 영역(64C)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2줄의 제1 끼움홈(64C-1)과, 내측 세정부재(64A)의 일면 양쪽에서 끼움홈(64C-1)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끼움돌기(64A-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장치(60)의 제1 세정 지지체(64)와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돔형 하우징(5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2 세정 지지체(66)는, 제1 자석(64B)에 대응되는 제2 자석(66B)이 마련되어 제1,2 자석(64B,66B)의 자력에 의해 돔형 하우징(50)의 외측면(54)에 밀착되는 외측 세정부재(66A)를 포함한다.
제2 세정 지지체(66)는, 제1 세정 지지체(64)에 대응되도록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다. 제2 세정 지지체(66)가 연질의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구성되는 것은 제1 세정 지지체(64)와 제2 세정 지지체(66)가 제1,2 자석(64B,66B)들의 자력에 의해 돔형 하우징(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내측면(52)와 외측면(54)에 각각 밀착될 때 곡면을 이루는 돔형 하우징(50)의 외측면(54)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세정 지지체(64)와 마주보는 제2 영역(66C), 즉 돔형 하우징(50)의 외측면(54)을 향하는 제2 영역(66C)에는 제2 자석(66B)들이 배치되어 고정된다. 각 자석(66B)들은 제2 영역(66C)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외측 세정부재(66A)는, 융을 포함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영역(66C)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세정부재(66A-1)와,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측면(54)에 밀착되는 폭방향 일단부가 첨단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제1 세정부재(66A-1)를 사이에 두고 제2 영역(66C)의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세정부재(66A-2)를 포함한다.
제1 세정부재(66A-1)는 외측면(54)에 묻은 이물질은 닦는 역할을 하고, 양쪽의 각 제2 세정부재(66A-2)는 외측면(54)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와이퍼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영역(66C)의 중앙에는 제1 세정부재(66A-1)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 끼움홈(66D)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 끼움홈(66D)의 양쪽에는 제2 세정부재(66A-2)들이 각각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3 끼움홈(66E)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세정부재(66A-1)에는 제2 끼움홈(66D)에 끼워지기 위한 제2 끼움돌기(66A-1A) 형성되고, 제2 세정부재(66A-2)에는 제3 끼움홈(66E)에 끼워지기 위한 제3 끼움돌기(66A-2B)들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2 세정부재(66A-1,66A-2)들은 제2 세정 지지체(66)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각 제1,2 세정부재(66A-1,66A-2)들은 나사 등을 포함한 기타 결합수단에 의해 제2 세정 지지체(6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하우징(20)의 내부에 회전 구동수단(22)이 마련되고, 카메라 모듈(40)이 구비된 카메라 지지체(30)가 회전 구동수단(22)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 회전하도록 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4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 구동수단(2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시킨다.
회전 구동수단(2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시키면, 돔형 하우징(30)의 내측면(52)과 외측면(54)에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된 내,외측 세정부재(64A,66A)는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40)와 함께 내,외측면(52,5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외측 세정부재(64A,66A)가 돔형 하우징(50)의 내,외측면(52,54)에 각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므로 카메라 모듈(40)이 회전하는 궤적에 해당하는 돔형 하우징(50)의 내측면(52) 및 외측면(54)에 묻은 이물질은 동시에 세정될 수 있다.
특히, 내측 세정부재(64A)와 외측 세정부재(66A)가 제1,2 자석(64B,66B)들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측 세정부재(66A)를 돔형 하우징(50)이나 설치 하우징(20) 등에 설치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10)의 카메라 모듈(40)이 회전함에 따라 돔형 하우징(50)의 내측면(52) 및 외측면(54)이 동시에 세정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돔형 카메라 장치 20 : 설치 하우징
22 : 회전 구동수단 30 : 카메라 지지체
32 : 지지단 40 : 카메라 모듈
50 : 돔형 하우징 52 : 내측면
54 : 외측면 60 : 세정장치
62 : 연결 지지체 62A : 고정부
62B : 지지부 64 : 제1 세정 지지체
64A : 내측 세정부재 64B : 제1 자석
66 : 제2 세정 지지체 66A : 외측 세정부재
66B : 제2 자석

Claims (7)

  1. 고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 구동수단이 마련된 설치 하우징과, 상기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 회전하도록 상기 설치 하우징에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지지체와, 양쪽의 상기 지지단 사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도록 상기 설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돔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돔형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는 각 상기 지지단의 외측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지지체; 각 상기 연결 지지체의 타단에 한쪽이 결합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내측면에 밀착되기 위한 내측 세정부재가 마련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세정 지지체;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는 제2 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제1,2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돔형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 세정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세정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정 지지체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외측면을 향하는 제2 영역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외측 세정부재는,
    융을 포함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세정부재; 및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는 폭방향 일단부가 첨단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세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영역의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세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세정부재와 상기 외측 세정부재가 상기 제1,2 자석에 의해 상기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작동시 상기 내,외측 세정부재가 상기 내,외측면을 동시에 세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 지지체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영역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세정부재는,
    융을 포함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체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단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세정 지지체를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확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세정 지지체를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탄력 지지하도록 중간부에서 양 단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되되, 상기 내측면을 향하는 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KR1020230015647A 2023-02-06 2023-02-06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KR10264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647A KR102644932B1 (ko) 2023-02-06 2023-02-06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647A KR102644932B1 (ko) 2023-02-06 2023-02-06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932B1 true KR102644932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647A KR102644932B1 (ko) 2023-02-06 2023-02-06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288B1 (ko) 1996-02-15 1999-06-01 윤종용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KR20030083544A (ko) 2002-08-22 2003-10-30 남완주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크리닝 장치
JP2017098816A (ja) * 2015-11-26 2017-06-01 Necエンベデッドプロダクツ株式会社 清掃装置、清掃装置を備えた監視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装置
CN114192459A (zh) * 2022-02-17 2022-03-18 鹰驾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污型车载摄像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288B1 (ko) 1996-02-15 1999-06-01 윤종용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KR20030083544A (ko) 2002-08-22 2003-10-30 남완주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크리닝 장치
JP2017098816A (ja) * 2015-11-26 2017-06-01 Necエンベデッドプロダクツ株式会社 清掃装置、清掃装置を備えた監視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装置
CN114192459A (zh) * 2022-02-17 2022-03-18 鹰驾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污型车载摄像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144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세정장치
US9733472B2 (en) Monitoring camera device
KR101499607B1 (ko) Cctv 세척장치
US9774768B1 (en) Wipeable camera system and device
KR100189288B1 (ko)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KR102520753B1 (ko) 자동 세척장치를 갖는 돔 카메라 장치
KR102644932B1 (ko) 세정장치를 갖는 돔형 카메라 장치
US7946301B1 (en) Laser powered automobile window cleaning system and method
WO2023092762A1 (zh) 监控装置
JP2009150648A (ja) 空気調和機
KR100870116B1 (ko) 유리세척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하우징
KR101006045B1 (ko) Cctv 하우징의 유리 세척 장치
US5383404A (en) Printing cylinder cleaning apparatus
KR100481156B1 (ko) 건조장치
KR20120135666A (ko) 세정용 브러쉬
CN211613532U (zh) 一种片材偏光片自动擦拭清洁装置
KR20030083544A (ko) 카메라 및 센서 하우징의 윈도우 크리닝 장치
JP2005266019A (ja) ラビング方法及び装置
CN210839739U (zh) 一种自清洁镜罩装置
JP3367066B2 (ja) ワイパ装置
KR200299654Y1 (ko) 카메라 및 센서하우징의 윈도우 크리닝 장치
CN218460213U (zh) 摄像机清洁装置和摄像机
CN210863453U (zh) 一种新型扬尘检测仪
CN114187840B (zh) 一种户外电子信息展示栏
CN109204149A (zh) 一种汽车后视镜除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