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382A -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382A
KR20100124382A KR1020090043345A KR20090043345A KR20100124382A KR 20100124382 A KR20100124382 A KR 20100124382A KR 1020090043345 A KR1020090043345 A KR 1020090043345A KR 20090043345 A KR20090043345 A KR 20090043345A KR 20100124382 A KR20100124382 A KR 20100124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field communication
input
input position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109B1 (ko
Inventor
김새롬
이종림
허창룡
박경모
김철진
송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09B1/ko
Priority to PCT/KR2010/003155 priority patent/WO2010134751A2/en
Priority to US12/783,255 priority patent/US9921706B2/en
Priority to EP10777938.1A priority patent/EP2433206A4/en
Publication of KR2010012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09B1/ko
Priority to US15/925,324 priority patent/US104300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는 터치스크린에 부착되며,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과, 상기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에서 감지한 전기장의 세기들을 비교하여 입력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리시버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IC는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 생성된 상기 입력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격자를 만들지 않고 전기장 통신의 비접촉 민감도(Sensitivity)를 조절하여 격자 간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다.
전기장 통신, 터치스크린, E-Field Communication

Description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put position using E-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장 통신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멀티터치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기장 통신(E-Field Communication, EFC) 기술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EFC 기술의 개념은 무선 이동 통신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전기장 통신 기술은 RF(Radio Frequency)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의 피부를 매질로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술이다. 현재까지 데이터 전송률은 2Mbps 정도로 유지되며, 전력 소비 측면에서 약 5mW를 소모하여 다른 방식과 구분 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 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 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채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시스템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종래 터치스크린 기술은 사용자의 입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직접 센서 표면에 접촉하거나 단일 위치 이외에 다양한 복합적인 입력을 인식하는 측면에서는 어려움이 많다. 또한 분해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특정 기술의 경우 감도 향상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현재 EFC 기술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은 비접촉 방식으로 멀티터치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는 터치스크린에 부착되며,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과, 상기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에서 감지한 전기장의 세기들을 비교하여 입력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리시버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IC는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 생성된 상기 입력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장착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들로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들에서 측정한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전기장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전기장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실행 후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 생성된 상기 입력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이 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및 방법에 의하면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격자를 만들지 않고 전기장 통신의 비접촉 민감도(Sensitivity)를 조절하여 격자 간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장 통신은 인체 표면의 매질 특성에 신호 손실(Signal loss)이 달라지므로, 별도의 인체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없고 보정이 용이하다. 또한 가상의 홀로그램이나 은막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동하면 격자를 만들기 위해 필요로 했던 각막 기술 없이도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전기장 통신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장 통신이란 인체의 표면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구현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즉 사람의 몸을 케이블 대신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인체는 물리적으로 도체이므로 인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장이 인체 주변에 발생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전기장 통신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송신기(101)에 전압이 가해지면 그 전압에 의하여 인체의 표면 전기장이 변화하고, 사용자의 몸에 근접하는 수신 전극(102)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위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수신 강도가 변화한다. 이러한 수신 강도 변화를 분석하여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전기장 통신 방식이다.
전기장 통신은 기존의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12~1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송수신 특성 측면에서 어느 일정 지역(약전계 또는 강전계)이 수신 강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인체 구성 특성(커패시터 기능)과 송신기(101)와 수신 전극(102)과의 거리에 따라 수신 강도가 결정이 된다. 따라서 어느 특정한 사용자가 사용할 것인가(또한, 두 사람 혹은 다자간의 접촉을 통하여 통신로를 결정할 것인가) 혹은 사용자가 어떤 거리를 가지고(귀에서부터 발까지 또는 손목에서부터 손가락까지 등) 전기장 통신을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서 송수신 레벨의 차이가 결정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는 전기장 통신 송신기(201),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격자 모양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 배열부(202), 디스플레이 패널(203), 리시버 IC(Integrated Circuit)(204), 디스플레이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전기장 통신 송신기(201)는 인체에 장착하여 전압을 가하고, 그 전압에 의하여 인체의 표면 전기장이 생성된다. 격자 모양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 배열부(202)는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 전기장의 크기 정보를 리시버 IC(Integrated Circuit)(204)로 전송한다.
또한 리시버 IC(204)는 상기 입력 전기장의 크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전기장 통신 신호 검출기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03)은 일반적인 정보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LED(Light Emitting Diode) 및 은막 또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프레젠테이션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205)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3)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3)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전기장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전기장 통신의 특징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근거리(Near-Field) 영역에 해당되어 방사되는 특성보다 폐루프(close loop) 특성이 더 크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송신기와 수신 전극이 근접한 경우에만 입력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3)의 네 모서리에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 배열부(202)를 위치시키고 전기장 통신 송신기를 장착한 사용자는 지시하고자 하는 위치에 손을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네 모서리에 설치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202)마다 상기 입력 전기장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측정되며, 이러한 서로 다른 측정값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지시하는 위치가 대략적으로 어느 지점인지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격자 모양으로 배열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 배열부(202)의 어느 특정한 위치에 사용자 신체가 근접하여 입력 전기장이 가해지면, 리시버 IC(204)는 네 방향의 전극에서 측정한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여 어느 위치에서 발생한 입력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입력 전기장의 위치 정보들은 설정된 시간 단위 당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2차원적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2차원적인 데이터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어느 위치이며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격자 형태로 다수 배치하게 되면 비접촉 방식으로 멀티 터치도 인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신호의 위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등은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현되거나 특정 명령어에 링크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는 송신기(301), 터치스크린 모듈(302), 시스템(309)을 포함한다. 특히 송신기(301)는 사용자의 인체에 장착하여 전압을 가하고, 그 전압에 의하 여 인체의 표면 전기장이 유도한다. 시스템(309)은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터치스크린 모듈(302)로 전송하고, 터치스크린 모듈(302)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송받아 설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터치스크린 모듈(302)은 수신 전극 배열부(303), 디스플레이 패널(304), 비트 라인(305), 디지타이저(306), 리시버 IC(307), 디스플레이 제어부(308)를 포함한다. 수신 전극 배열부(303)는 상기 송신기(301)에 의하여 유도된 인체 표면 전기장을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입력 전기장 크기 정보를 리시버 IC(Integrated Circuit)(203)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308)는 디스플레이 패널(304)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며 시스템(309)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3)을 제어한다.
디지타이저(306)는 디스플레이 패널(304)과 비트 라인(305)을 통하여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304)의 좌표 정보 디지털 정보화하여 리시버 IC(307)로 전송한다. 리시버 IC(307)는 디스플레이 패널(304)의 좌표 정보와 입력 전기장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4)의 입력 위치 정보와 입력 위치의 이동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시스템(309)으로 전송한다.
도 3b는 도 3a에서 상술한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에 근접 센서 패널(350)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접 센서 패널(350)은 입력 전기장이 입력 위치 추적 장치에 얼마나 근접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근접 센서 패널(350)의 출력값은 리시버 IC(307)로 입력되어 입력 전기장의 위치 또는 이동 방향 등을 측정할 경우 근접도에 따른 입력 전기장 크기의 보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는 근접 센서 패널(350)이 수신 전극 배열부(303)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근접 센서 패널(350)이 수신 전극 배열부(303)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LCD TV에 본 발명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LCD TV의 모서리에는 각각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401 내지 404)이 배열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전기장 통신 송신기(405)를 장착하고 있다. 전기장 통신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LCD TV에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전기장 통신 송신기(405)에 의하여 유도된 인체 표면 전기장에서는 손가락을 통해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401 내지 404)에 인가되고,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401 내지 404)에서는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어느 위치인지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도 4b는 은막 또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프레젠테이션 장치에 본 발명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젠테이션 장치의 모서리에는 각각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411 내지 414)이 배열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전기장 통신 송신기(415)를 장착하고 있다. 앞서 서술한 구현예와 마 찬가지로 사용자가 전도성을 가진 포인팅 장치(416)를 프레젠테이션 장치에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411 내지 414)에서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어느 위치인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 정보를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프레젠테이션 자료의 페이지를 넘기는 등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도 4c와 도 4d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본 발명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모서리에는 각각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421 내지 424)이 배열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전기장 통신 송신기를 장착하고 있다. 특히 도 4c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특정 모서리에 근접할 때 특정 모서리에 배열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에서 측정된 전기장이 다른 모서리에 배열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들에서 측정된 전기장보다 강하게 측정되는 것을 도시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이 어느 위치인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4d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근접하여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로서, 사용자의 입력이 어느 위치의 전극에서 발생한 것인지 측정하고,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의 사용자 입력의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2차원적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2차원적인 데이터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어느 위치인지 또한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화면 전환, 메뉴 전환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e는 멀티터치 입력을 위하여 본 발명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가 적용된 입력 장치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e에 도시된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의 각 모서리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전체에 격자로 형성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 배열(431)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전기장 통신 송신기(432)를 장착하고 있다. 상술한 구현예와 달리 도 4e의 입력 장치는 격자로 형성된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 배열(431)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측정하여, 다수의 입력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501에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은 전기장 통신 송신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력 전기장이 인가받아 그 크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LCD TV에 근접하거나 전도성을 가진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프레젠테이션 장치에 근접하면,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에서는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측정한다.
단계 502에서 리시버 IC는 각각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에서 측정한 입력 전기장의 크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입력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격자로 형성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들에서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측정하고, 이러한 입력 전기장의 크기들을 비교하여 입력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단계 503에서 리시버 IC는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 생성된 입력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프 레임으로 생성하고, 단계 504에서 이러한 하나의 프레임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계속하여, 리시버 IC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위치의 이동 정보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에서 수신 전극 배열과 리시버 IC의 연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는 특정한 위치에 사용자 신체가 근접하면 수신 전극 배열부(601 내지 604)에서 입력 전기장들을 수신하고, 이러한 입력 전기장들을 다중화기(605)를 통하여 하나의 선로를 통하여 다중화 한다. 이러한 다중화된 신호는 신호 분석을 위하여 증폭기(606)를 통하여 증폭된다.
마지막으로 증폭된 신호는 리시버 IC(607)로 입력되고, 리시버 IC(607)는 네 방향의 전극에서 측정한 입력 전기장의 크기를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여 어느 위치에서 발생한 입력인지 파악한다.
도 6b는 도 6a에서 설명한 수신 전극 배열부(601 내지 604)와 리시버 IC(607)의 연결 구성에 근접 센서 패널(608)을 더 포함한다. 근접 센서 패널(60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전기장이 입력 위치 추적 장치에 얼마나 근접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근접 센서 패널(608)의 출력값은 리시버 IC(607)로 입력되어 입력 전기장의 위치 또는 이동 방향 등을 측정할 경우 근접도에 따른 입력 전기장 크기의 보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는 근접 센서 패널(608)이 수신 전극 배열부(601 내지 604)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근접 센서 패널(608)이 수신 전극 배열부(601 내지 604)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사항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전기장 통신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의 다른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방법의 순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에서 수신 전극 배열과 리시버 IC의 연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6)

  1. 터치스크린에 부착되며,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과
    상기 다수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에서 감지한 전기장의 세기들을 비교하여 입력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리시버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IC는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 생성된 상기 입력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장 통신 전극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각 모서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장 통신 전극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각 모서리 이외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에 격자 형태로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5. 터치스크린에 장착된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들로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전기장 통신 수신 전극들에서 측정한 입력된 전기장의 세기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전기장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전기장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실행 후
    설정된 시간 단위동안 생성된 상기 입력 위치 정보들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방법.
KR1020090043345A 2009-05-19 2009-05-19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KR10161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45A KR101610109B1 (ko) 2009-05-19 2009-05-19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PCT/KR2010/003155 WO2010134751A2 (en) 2009-05-19 2010-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put positions via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US12/783,255 US9921706B2 (en) 2009-05-19 2010-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put positions via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EP10777938.1A EP2433206A4 (en) 2009-05-19 2010-05-19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INPUT POSITIONS BY ELECTROFIELD COMMUNICATION
US15/925,324 US10430011B2 (en) 2009-05-19 2018-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put positions via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45A KR101610109B1 (ko) 2009-05-19 2009-05-19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82A true KR20100124382A (ko) 2010-11-29
KR101610109B1 KR101610109B1 (ko) 2016-04-11

Family

ID=4312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45A KR101610109B1 (ko) 2009-05-19 2009-05-19 전기장 통신을 이용한 입력 위치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921706B2 (ko)
EP (1) EP2433206A4 (ko)
KR (1) KR101610109B1 (ko)
WO (1) WO20101347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6958A (ko) * 2009-05-25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EP3407778B1 (en) 2016-01-27 2021-01-06 Life Detec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hysical changes without physical contact
US10631752B2 (en) * 2016-01-27 2020-04-28 Life Detec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hysical changes without physical contact
US10963157B2 (en) * 2016-05-12 2021-03-30 Lsi Industries, Inc. Outdoor ordering system with interactive menu elements
US10949021B2 (en) * 2019-03-08 2021-03-16 Chargepoint, Inc. Electric field touchscreen
US11467664B2 (en) * 2019-10-11 2022-10-11 Carnegie Mello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robust touch detection for on-skin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151A (en) * 1989-10-02 1995-03-28 U.S. Philip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with a touch screen and a digitizing tablet, both integrated in an input device
JPH04191736A (ja) 1990-11-27 1992-07-10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KR100395863B1 (ko) 1995-05-08 2003-11-14 매사츄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러지 신호송신매질로서인체를사용한비접촉센싱및신호송신용시스템
US5956020A (en) * 1995-07-27 1999-09-21 Microtouch Systems, Inc. Touchscreen controller with pen and/or finger inputs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ES2183524T3 (es) 1998-04-06 2003-03-16 Ethertouch Ltd Posicionamiento de un cursor en la pantalla de presentacion de un ordenador.
JP3237629B2 (ja) * 1998-10-27 2001-12-10 ぺんてる株式会社 直接触式タッチパネル装置
AU2002343751A1 (en) * 2001-11-19 2003-06-10 Stanton Advanced Ceramics Llc Thermal shock resistant ceramic composites
US7109979B2 (en) * 2002-02-08 2006-09-19 Virtual In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writing performed on a surface
US7175438B2 (en) * 2002-03-01 2007-02-13 Digit Wireless Fast typing system and method
US6927761B2 (en) * 2002-03-29 2005-08-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isture deflector for capacitive NFI touch screens for use with bezels of conductive material
US7176897B2 (en) * 2002-05-17 2007-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ection of memory effect errors in force-based touch panel systems
US7154481B2 (en) * 2002-06-25 2006-1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or
JP3828474B2 (ja) * 2002-10-07 2006-10-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位置検出入出力装置
US7783892B2 (en) * 2003-05-30 2010-08-24 Privaris, Inc. System and methods for assignation and use of media content subscription service privileges
US7065589B2 (en) * 2003-06-23 2006-06-20 Hitachi, Ltd. Three data center remote copy system with journaling
US7145552B2 (en) 2003-10-22 2006-12-05 Solectron Corporation Electric field proximity keyboards and detection systems
US7330178B2 (en) * 2004-04-30 2008-02-12 Motorola, Inc. Display-input apparatus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device
US20060020297A1 (en) * 2004-07-20 2006-01-26 Gerber Martin T Neurostimulation system with distributed stimulators
US7511292B2 (en) * 2004-10-28 2009-03-31 Nfs-Radiation Protection Systems, Inc. Radiation protection shield
US7633301B2 (en) 2004-12-23 2009-12-15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Track position sensor and method
KR101226354B1 (ko) * 2004-12-23 2013-01-24 터치센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공유 전극 패턴 전계 효과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조이스틱
US9019209B2 (en) 2005-06-08 2015-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involving multiple touch location processes
JP4191736B2 (ja) 2006-01-11 2008-12-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界通信システム
US7903092B2 (en) 2006-05-25 2011-03-08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with position dependent reduced keying ambiguity
US20070279399A1 (en) * 2006-05-31 2007-12-0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navigation information from a ball mounted in a stylus
KR101274034B1 (ko) * 2006-08-25 2013-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079707A1 (en) 2007-09-24 2009-03-26 Motorola, Inc. Integrated capacitive sensing devices and methods
US20090109181A1 (en) * 2007-10-26 2009-04-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W200921483A (en) * 2007-11-09 2009-05-16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control display panel with an electric-field shielding layer
US20090207130A1 (en) * 2008-02-16 2009-08-20 Pixart Imaging Incorpo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EP2104024B1 (en) * 2008-03-20 2018-05-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the same
US20100060588A1 (en) * 2008-09-09 2010-03-11 Microsoft Corporation Temporally separate touch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109B1 (ko) 2016-04-11
WO2010134751A2 (en) 2010-11-25
WO2010134751A3 (en) 2011-01-27
US10430011B2 (en) 2019-10-01
EP2433206A4 (en) 2014-04-30
US20100295809A1 (en) 2010-11-25
US20180210582A1 (en) 2018-07-26
EP2433206A2 (en) 2012-03-28
US9921706B2 (en)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0454B2 (en) Touch sensor detector system and method
KR102550668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104300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put positions via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US20150138144A1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80239417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input method
KR20170090968A (ko) 능동형 스타일러스 펜과 그를 포함한 터치 센싱 시스템
US10809856B2 (en) Wristwatch-type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less control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for such a device
EP3049902A1 (en) Capacitive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CN103389804B (zh) 坐标指示设备和用于测量其输入位置的坐标测量设备
CN103631369A (zh) 电子设备以及控制方法
TWI622902B (zh) 觸控系統與觸控筆裝置的傾斜狀態決定方法
KR20150145729A (ko)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80997A (ko) 이종의 입력장치를 지원하는 펜 입력장치
KR102404776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확인 장치 및 방법
US9223499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user interaction arrangement
KR101375072B1 (ko) 전자 디바이스의 원격 조정을 위한 터치 센싱 장치
KR101660846B1 (ko) 복수의 무선 바를 기반으로 한 터치 센서의 동작 방법 및 복수의 무선 바를 기반으로 한 터치 센서
KR20230087961A (ko) 브러쉬형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과 이를 이용한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