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729A -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729A
KR20150145729A KR1020150088171A KR20150088171A KR20150145729A KR 20150145729 A KR20150145729 A KR 20150145729A KR 1020150088171 A KR1020150088171 A KR 1020150088171A KR 20150088171 A KR20150088171 A KR 20150088171A KR 20150145729 A KR20150145729 A KR 2015014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ngerprint
signal
fingerprint senso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철
주효민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ublication of KR2015014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에서, 지문 입력을 통해 화면 이동 및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MOVING SCREEN AND SELECTING SERVICE THROUGH FINGERPRINT INPUT,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고, 스와이프 신호에 따라 화면을 이동하여 표시하고, 클릭 신호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휴대형 전자 장치에 대한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전자 장치 이용 시, 사용자는 휴대형 전자 장치를 손에 들고 이동하거나 가방 또는 포켓 등에 넣고 이동하면서 필요할 때에만 꺼내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 장치를 손에 들고 이동하는 경우,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없고 실수로 떨어뜨려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 장치를 가방이나 포켓에 넣고 이동하는 경우, 이동 중 전화가 걸려오거나 다른 필요에 의해 휴대형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 장치를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휴대성을 개선한 착용형 전자 장치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착용형 전자 장치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만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터치 스크린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착용형 전자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착용형 전자 장치 이용 시, 지문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면,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별도로 지문 센서에 지문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착용형 전자 장치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화면 이동과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선택이 가능하고, 화면 이동과 서비스 실행을 위해 움직이는 동작으로 사용자 인증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고, 스와이프 신호에 따라 화면을 이동하여 표시하고, 클릭 신호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에서, 지문 입력을 통해 화면 이동 및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환 표시 단계는, 전환되는 정보의 양 및 전환 속도를 각각 상기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량 및 이동 속도에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인식된 지문을 통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부분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강조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표시 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부분과 상기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지문 센서 모듈;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에서, 상기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 등 착용형 전자 장치에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지문 센서를 통해 스와이프 신호 또는 클릭 신호가 입력되어, 화면 이동과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선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위해 별도로 지문을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화면 이동과 서비스 실행을 위해 입력되는 지문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소자 각각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모듈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프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온/오프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0), 출력부(20), 통신부(30), 저장부(40), 제어부(50) 및 전원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기능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지문 이미지, 정맥 패턴 이미지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등록 또는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센서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기울기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온도 변화 또는 사용자의 심박수 변화, 혈압 변화, 체온 변화, 산소포화도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지문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정맥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로, 지문 센서를 통해 사용자 등록이나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착용형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고, 데이터 유출에 의한 보안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지문 센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7를 통해 후술하기도 한다.
자이로 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검출할 수 있는데,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정잔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한 물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를 향한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심박 센서는 2개의 광원(예를 들면, 적외선 광원과 적색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나 혈압 또는 산소포화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착용형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정맥 센서는 사용자의 피부(예를 들면, 손목이나 손가락)를 향해 적외광을 방출하고, 투과 또는 반사된 적외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목 또는 손가락에 분포하는 혈관을 패턴으로 이미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등록이나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능키는 사용자 설정 및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능키는 버튼식 키, 포인팅 디바이스, 조이스틱, 터치 키, 터치 패드, 휠 키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3개의 버튼식 키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0)는 A/V(Audio/Video)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V 입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와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출력부(2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0)는 디스플레이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 등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이용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홈 화면, 메시지 표시 화면, 통화 화면, 시계 화면 등을 비롯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터치 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출력 기능 외에 입력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피사체(예를 들면, 사용자 손가락, 스타일러스, 전자 펜 등)가 접촉 또는 근접되는 경우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피사체의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른 물리량(예를 들면, 정전용량, 저항값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고, 터치 이벤트의 종류 및 터치 위치 정보를 제어부(50)에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3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은 착용형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키 신호 입력 등의 각종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듈은 제어부(5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세기와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호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및 각종 이벤트 발생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모듈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주파수, 이동방향, 이동 속도 등은 진동신호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통신부(30)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며, 착용형 전자 장치(100)가 이동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la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40)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0)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착용형 전자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기타 옵션 기능(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 문자 메시지, 발신 문자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40)는 플래시 메모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40)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각종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착용형 전자 장치(100) 내부 구성 요소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전원부(60)로부터 내부 구성 요소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추가적으로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원부(6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내부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내부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착용형 전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유/무선 헤드셋, 이어폰,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SIM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 모듈(12), 제 1 내지 제 3 기능 버튼(14)(16)(18), 터치 스크린(22) 및 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문 센서 모듈(12) 일부분을 터치하면, 터치된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지문 이미지와 기 등록된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과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7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기능 버튼(14)(16)(18)은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일부분(예를 들면,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능 버튼(14)은 메뉴 화면 출력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기능 버튼(16)은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터치 스크린(22)의 온/오프, 시계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3 기능 버튼(18)은 터치 스크린(22)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서 이전에 표시되었던 화면 출력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기능 버튼(14)(16)(18) 중 적어도 둘 이상 버튼이 동시에 눌러진 경우,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리셋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은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출력부(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2)은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여, 이벤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터치 스크린(22)을 통해 출력부(20)의 동작을 설명하지만, 터치 스크린(22) 이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출력부(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출력부(20)가 터치 스크린(22)으로 구현된 경우, 터치 스크린(22) 자체로 입력부(1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나, 출력부(20)가 터치 스크린 (22) 이외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된 경우, 입력부(10)의 역할은 지문 센서 모듈(12)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밴드부(70)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밴드부(70) 끝에는 버클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버클을 통해 상측 및 하측으로 각기 연장된 밴드부(7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손목 시계 용도로 사용되어, 밴드부(70)를 포함하지만, 시계 이외에 다른 용도(예를 들면, 옷에 부착하는 용도 등)로 사용되는 경우, 밴드부(70)를 제외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모듈(1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문 센서 모듈(12)은 지문 센서(121) 및 브래킷(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121)는 기판에 도전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센싱부(미도시) 및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기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지문에서 산과 골의 전기신호 차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센서회로부(미도시)는 지문 이미지를 센싱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지문 센서(121)는 센싱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거쳐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센서회로부(미도시)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브래킷(122)은 지문 센서(121)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부재로서, 지문 센서(121)를 보호하면서도 지문 센서 모듈(12)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122)은 몰드(mold)에 의해 형성되는 몰드품일 수 있다.
브래킷(122)은 지문 센서(121)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싱부(미도시)를 덮는 커버층을 가질 수 있으며, 커버층의 상면에는 손가락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인 터치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터치면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센싱부(미도시)는 손가락을 거쳐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브래킷(122)은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D: Epoxy Molding Compound), 불소 수지 및 20~40%의 유리가 포함된 나일론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유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지문 센서(121)를 보호할 수 있도록 브래킷(122)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모듈(1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문 센서 모듈(12)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복수 개의 지문 센서 소자(123)로 이루어지는 센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문 센서 소자(123)는 수평 스캔부(124)와 수직 스캔부(125)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지문 검출과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신호는 버퍼(12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버퍼(126)는 일 열의 지문 센서 소자(123)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하나의 열에 배치된 지문 센서 소자(123)로부터의 신호가 하나의 버퍼(12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소자(123) 각각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지문 센서 소자(123)는 손가락과의 관계에서 센싱 정전용량(Cf)을 형성하는 센싱 전극(127), 제1 입력단(N1)이 센싱 전극(127)에 연결되며, 제2 입력단은 기준 전압(Vref) 공급단 또는 이와 다른 전위와 연결되는 증폭기(A), 증폭기(A)의 제1 입력단(N1)과 출력단(N2) 사이에 연결되는 피드백 정전용량(Cfb)을 포함한다.
지문 검출 동작 시에는 지문 센서 소자(123)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전극(미도시됨)으로부터 구동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구동 신호 공급에 따른 손가락으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센싱 전극(127)을 통해 증폭기(A)의 제1 입력단(N1)에 입력된다.
증폭기(A)의 출력 전압(Vout), 즉, 지문 센서 소자(123)의 출력 전압(Vout)은 증폭기(A)의 이득, 즉, 피드백 정전용량(Cfb)과 센싱 정전용량(Cf)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센싱 정전용량(Cf)의 크기는 센싱 전극(127)에 손가락의 융선(ridge)이 닿는지 또는 골(valley)이 닿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을 통해서 센싱 전극(127)에 손가락 지문의 어느 부분이 닿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 모듈(120)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문 센서 모듈(12) 일부분을 터치하면, 터치된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지문 센서 모듈(12)은 손가락 터치의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이면,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손가락 터치의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초과이면, 롱 프레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움직이지 않는 손가락의 지문 이외에,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문 센서 모듈(12)은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P1~P4)을 연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연속으로 획득된 지문 영상의 변화를 기초로, 손가락의 이동 방향, 이동향, 이동 속도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손가락의 이동 방항, 이동량, 이동 속도 등이 계산되면,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는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와이프 신호 생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프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문 센서 모듈(12)이 센싱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이 지문 센서 모듈(12)의 일부분에 닿으면, 단편화된 지문 영상이 연속적으로 수집된다(S701). 이때, 지문 센서 모듈(12)은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손가락이 떨어질 때까지 단편화된 지문 영상을 계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손가락이 지문 센서 모듈(12)의 일부분에 닿은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은 경우, 지문 센서 모듈(12)은 손가락이 닿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이면, 클릭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초과이면, 롱 프레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손가락이 지문 센서 모듈(12)의 일부분에 닿은 상태에서 움직인 경우, 지문 센서 모듈(12)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이동하는 지문 연상을 연속적으로 획득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지문 센서 모듈(12)은 S701 단계에서 수집된 지문 영상을 분석한다(S702). 구체적으로, 지문 센서 모듈(12)은 연속적으로 획득된 지문 영상들 각각의 특징 정보가 어디에 위치하는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 모듈(12)은 제 1 단편 지문 영상에 있는 특징점과 제 1 단편 지문 영상 다음으로 획득된 제 2 단편 지문 영상에 있는 특징점의 위치를 각각 분석할 수 있다.
지문 영상 분석 시, 지문 센서 모듈(12)은 분석된 지문 영상과 미리 등록된 지문 영상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지문 센서 모듈(12)은 S702 단계에서 분석된 지문 영상을 기초로, 지문 영상의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 등을 계산한다(S703).
지문 센서 모듈(12)은 분석된 지문 영상들 각각의 특징 정보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지문 영상의 이동 방향, 즉,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편 지문 영상에 있는 특징점과 제 2 단편 지문 영상에 있는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면, 지문 센서 모듈(12)은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상측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분석된 지문 영상의 변화량 벡터를 분석하여, 손가락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지문 센서 모듈(12)은 순차적으로 획득된 단편 지문 영상을 토대로, 지문 영상들에 있는 특징점에 대한 이동의 정도를 분석하여, 손가락의 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도출된 이동량과 지문 영상이 획득되는 시간 간격을 분석하여, 손가락의 이동 속도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지문 센서 모듈(12)은 S703 단계에서 계산된 손가락의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 등을 토대로 스와이프 신호를 생성한다(S704). 이후, 지문 센서 모듈(12)은 센싱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22)이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동안,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제어부(50)는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의 화면 상에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0)는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터치 스크린(22)의 화면 상에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해보면,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제어부(50)는 제 1 정보의 우측 방향에 배열된 제 2 정보가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뿐만 아니라, 이동량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터치 스크린(22)에 표시되는 정보가 전환되는 양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터치 스크린(22)의 화면 상에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해보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량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50)는 제 2 정보가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량이 기준 값 초과인 경우, 제어부(50)는 제2 정보를 거쳐 제 3 정보가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터치 스크린(22)에 표시되는 정보가 전환되는 속도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신호 발생 시, 순차적으로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해본다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제어부(50)가 터치 스크린(22)에 제 1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정보로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에는, 제어부(50)가 터치 스크린(22)에 제 1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정보를 거쳐 제 3 정보로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이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데,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제어부(50)는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22)이 화면 상에 현재 날씨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데,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제어부(50)는 날씨 정보 선택에 대한 서비스로 시간별 상세 날씨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22) 온/오프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착용형 전자 장치(100)는 온 상태, 즉 켜져 있는 상태이나, 터치 스크린(22)은 오프 상태로서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제2 기능 버튼(16)에 대한 입력 신호 또는 지문 센서 모듈(12)을 통한 클릭 신호가 발생된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이 온 상태로 변경되어, 시계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기능 버튼(16)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거나 지문 센서 모듈(12)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이에 따른 입력 신호 또는 클릭 신호를 발생시켜 터치 스크린(22) 화면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2 기능 버튼(16)에 대한 입력 신호 또는 지문 센서 모듈(12)의 클릭 신호가 재차 발생되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에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에 시계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22)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터치 스크린(22) 화면이 시계 화면에서 홈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기능 버튼(16)에 대한 입력 신호가 발생되면, 터치 스크린(22)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시계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어서 재차 제2 기능 버튼(16)에 대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22)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에 시계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 모듈(12)에 특정 방향(예를 들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화면이 전환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8의 (c)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 모듈(12)에 특정 방향(예를 들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 화면이 전환 표시될 수도 있고, 이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가 다시 발생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이 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스크린(22)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먼저 시계 화면을 표시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자마자 홈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22)에서의 화면 변경을 위해 제어부는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데, 제어부가 터치 스크린(22)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22)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면, 터치 스크린(22)은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홈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22)은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부분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로 방향, 매트릭스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은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할 때,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함께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확인하지 않은 정보의 숫자를 화면 상에 더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22)의 중앙에는 현재 활성화, 즉 선택 대기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강조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측과 하측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좌측과 우측으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App title 2'와 'App title 4'는 터치 스크린(22)의 상측과 하측에 작게 표시된 반면, 'App title3'는 터치 스크린(22)의 중앙에 크고 진하게 강조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선택 대기 상태인지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도 9의 (a)에서는 화면 상에 총 3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으며,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숫자나 애플리케이션의 배열 방향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화면 상에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부분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를 지문 센서 모듈(12)에 대해 입력한 경우,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22)을 통해 스와이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22)은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p title 2', 'App title 3' 및 'App title 4'를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App title 3'을 중앙에 강조 표시하고 있는데,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가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생성된 경우, 화면 하단에 위치하던 'App title 4'가 중앙으로 이동하여 강조 표시되고, 화면 중앙에 위치하던 'App title 3'가 화면 상단으로 이동하며 강조 표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App title 2'는 더 이상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며, 'App title 4'의 아래에 배치된 'App title 5'가 화면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에 상응하여,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변경될 수 있으며, 선택 대기 중으로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도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표시 변경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터치 스크린(22)의 화면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App title 4'가 화면 중앙에서 선택 대기 중으로 강조 표시되고 있는 동안,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클릭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제어부는 'App title 4'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2)의 화면 상에 'App title 4'이 표시된 부분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App title 4'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클릭 신호가 생성되어, 'App title 4'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그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라면, 지문 센서 모듈(12)을 통한 클릭 신호 생성 시 지문 인증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안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진정 사용자가 자신의 지문을 기 등록해놓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마다 지문 인증이 필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은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지문 센서 모듈(12)을 통한 클릭 신호 생성 시, 지문 인식 또한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식된 지문을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등록된 지문과 비교하여 지문 인증을 실시할 수 있고, 지문 인증이 성공할 때에만 클릭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지문 센서 모듈(12)에 대한 한번의 클릭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지문 인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22)의 화면 상에 표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숫자가 N개이고, 'App title N'이 터치 스크린(22)의 중앙에 강조 표시된 경우, 'App title N'의 아래에는 'App title 1'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지문 센서 모듈(12)에서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는 그 이동 속도 또는 이동량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동 속도 및 거리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속도, 즉, 지문 센서 모듈(12)에 입력되는 손가락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이동 속도도 빠르게 변경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신속하게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스와이프 신호를 입력하는 손가락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1회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면, 스와이프 신호를 입력하는 손가락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3회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2)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2x2, 3x3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후, 지문 센서 모듈(12)에 스와이프 신호가 입력되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화면 하단에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가 전체 페이지 중 어느 부분인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에 터치 스크린(22)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지문 센서 모듈(12)을 통해 스와이프 신호 또는 클릭 신호가 입력되어, 화면 이동과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선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위해 별도로 지문을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화면 이동과 서비스 실행을 위해 입력되는 지문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한번의 터치 동작만으로 명령의 입력과 본인 인증이 가능해져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터치 스크린, 특히, 착용형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작은 크기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할 때 손가락이 선택 대상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도 가리게 됨으로써, 터치를 통한 선택이 잘못되거나, 선택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과 별도로 구비되는 지문 센서 모듈을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및 명령 입력 등이 가능하므로 터치 스크린을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 원하는 동작에 대한 정확한 입력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 모듈은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에 존재하는 융선과 골을 구별하여야 하므로, 센싱 단위가 터치 스크린에 비해 매우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문 센서 모듈을 통해 원하는 동작을 입력할 때에는 미세한 조절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이 매우 작게 구현되는 경우일지라도, 정밀한 명령 입력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입력부
12 : 지문 센서 모듈
14 : 제 1 기능 버튼
16 : 제 2 기능 버튼
18 : 제 3 기능 버튼
20 : 출력부
22 : 터치 스크린
30 : 통신부
40 : 저장부
50 : 제어부
60 : 전원부
70 : 밴드부
100 : 착용형 전자 장치
121 : 지문 센서
122 : 브래킷
123 : 지문 센서 소자
124 : 수평 스캔부
125 : 수직 스캔부
126 : 버퍼
127 : 센싱 전극

Claims (7)

  1.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에서, 지문 입력을 통해 화면 이동 및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표시 단계는,
    전환되는 정보의 양 및 전환 속도를 각각 상기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량 및 이동 속도에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인식된 지문을 통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부분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강조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표시 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부분과 상기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강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6.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지문 센서 모듈;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7.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에서,
    상기 지문 센서에 입력된 지문을 인식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스와이프 신호 또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스와이프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와이프 신호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클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88171A 2014-06-21 2015-06-22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145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6149 2014-06-21
KR1020140076149 2014-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729A true KR20150145729A (ko) 2015-12-30

Family

ID=5508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171A KR20150145729A (ko) 2014-06-21 2015-06-22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7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3630A (zh) * 2017-01-11 2017-05-31 贵州大学 一种智能手表及其使用方法
CN109241957A (zh) * 2018-11-19 2019-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指纹采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1935406B1 (ko) * 2018-03-21 2019-04-03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지문 센서를 이용한 버튼 시스템
US11113504B2 (en) 2017-11-30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GB2564885B (en) * 2017-07-26 2023-01-25 Afolabi Gabriel Wearable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3630A (zh) * 2017-01-11 2017-05-31 贵州大学 一种智能手表及其使用方法
GB2564885B (en) * 2017-07-26 2023-01-25 Afolabi Gabriel Wearable device
US11113504B2 (en) 2017-11-30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KR101935406B1 (ko) * 2018-03-21 2019-04-03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지문 센서를 이용한 버튼 시스템
WO2019182239A1 (ko) * 2018-03-21 2019-09-26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지문 센서를 이용한 버튼 시스템
CN109241957A (zh) * 2018-11-19 2019-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指纹采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5490B2 (en) Controlling inadvertent inputs to a mobile device
US9772605B2 (en) Reverse battery protec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5068296U (zh) 电子设备和便携式电子设备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ES2759786T3 (es) Reactivación rápida de gestos
CN102262476B (zh) 传输触觉信息的系统和方法
US20140198068A1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in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KR101696930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보호 모드 실행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145729A (ko) 지문 입력을 통한 화면 이동 및 서비스 선택 방법, 지문 센서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6293076A (zh) 通信终端及智能终端手势识别方法和装置
JP2015121979A (ja) 装着型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KR102367184B1 (ko)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8907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07192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20119440A (ko)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KR2016007126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253908B (zh) 按键功能执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78160A (ko)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68710B1 (ko)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437015B (zh) 用于电子设备上的物体的方向感测的系统和方法
KR102079033B1 (ko) 장소 인식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9235338B1 (en) Pan and zoom gesture detection in a multiple touch display
US20140210739A1 (en) Operation receiver
KR20160054799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211808B1 (ko) 동작인식장치 및 동작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