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070A -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070A
KR20100124070A KR1020090043129A KR20090043129A KR20100124070A KR 20100124070 A KR20100124070 A KR 20100124070A KR 1020090043129 A KR1020090043129 A KR 1020090043129A KR 20090043129 A KR20090043129 A KR 20090043129A KR 20100124070 A KR20100124070 A KR 2010012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ical
precision
forest
storage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주형
정진현
김성호
김준섭
심우범
김종찬
서수안
조현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09004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4070A/ko
Publication of KR2010012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컬러 낱장항공사진을 이용하여 1:5,000의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를 제작 또는 편집하고, 제작 또는 편집된 수치임상도에 속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의 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종래의 1:2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보다 명확하고 세밀한 수치임상도를 제작할 수 있고, 수치임상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치임상도, 정밀임상도, 임상속성, 낱장항공사진

Description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of Database of Detailed Forest Map}
본 발명은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1:5,000의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를 제작하고, 수치임상도의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림의 종류와 모습은 지역과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어디에 어떠한 산림이 어떤 모습으로 있는지를 아는 것은 산림을 관리하는 일의 첫걸음이다. 나아가 국토의 이용계획 수립, 환경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보존 등의 활동에 있어서도 유용한 토대를 제공하는 일이다.
임상도(林相圖, forest map)는 어떤 산림이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지도이다. 우리나라에서 임상도는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촬영한 1:15,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왔다. 즉, 산림영상을 휴대용 입체경으로 판독하여 수종, 영급(age class), 경급(diameter class), 소밀도(crown density)의 속성으로 구분 구획하고, 도화기를 이용하여 1:25,000 축척의 지형도에 옮김으로써 도면으로 완성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임상도는 수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아날로그 방식의 종이 임상도이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형 산불, 병해충 발생, 산사태 등 수정이나 갱신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쉽게 반영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더구나 종래의 임상도는 항공사진의 축척과 지형도의 축척이 상이하기 때문에 임상도 제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며, 면적산출 작업 역시 구적판 등을 이용한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정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방대한 양의 항공사진이나 종이 임상도는 분류, 보관, 검색, 관리, 활용 등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아울러, 현재 제작되는 1:25,000 축척의 수치임상도보다 더욱더 명확하고 세밀한 수치임상도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1: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를 제작 또는 편집하고, 제작 또는 편집된 수치임상도에 속성을 부여할 때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의 속성 이외에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의 속성을 추가로 부여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치임상도 제작 또는 편집 시에 수행하는 현장조사에 따르는 시간낭비와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치임상도 제작 또는 편집 과정을 운영하고 그 성과물을 관리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산림영상, 수치지형도,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며, 상기 산림영상을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스토리지 서버, 축척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도엽의 상 기 산림영상을 검색하며,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검색된 산림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검색된 산림영상의 판독을 수행하여 상기 정밀임상도를 제작하거나, 기제작된 상기 정밀임상도의 임상경계 편집, 임상 내 경계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산림영상, 수치지형도,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DB구축부, 상기 산림영상을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영상압축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밀임상도에 상기 다수개의 속성을 부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B구축부는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를 포함하는 속성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B구축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상기 입목지를 천연림과 인공림으로 분류하고, 상기 천연림과 인공림을 각각 침엽수림 및 활엽수림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에 대한 승인요청 기능, 작업현황 생성 및 조회 기능, 반려사유 입력 및 오류스케치 기능, 작업진도 조회 기능, 상기 정밀 임상도 저장 및 저장이력 생성 기능, 저장이력 조회 기능, 비밀번호 및 이름 변경 기능, 권한/계정 등록 및 변경을 포함하는 관리기능을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림영상은 정사항공사진, 낱장항공사진을 포함하는 산림항공사진, 위성영상, 디지털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정밀임상도가 수신되면 상기 정밀임상도에 상기 다수개의 속성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스토리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 접속하고, 축척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도엽의 산림영상을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서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산림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검색/통계부, 상기 검색된 산림영상의 판독을 수행하고, 상기 산림영상의 판독을 통하여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의 제작 기능을 제공하거나, 기제작된 정밀임상도의 임상경계 편집, 임상내경계 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을 포함하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정밀임상도에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를 포함하는 속성을 부여한 후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통계부는 축척, 도엽명, 행정구역명, 도엽번호, 영역선택, 작업자를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특정 도엽의 상기 산림영상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통계부는 상기 특정 도엽의 정사항공사진 및 컬러 낱장항공사진과 정밀임상도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통계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와 관련된 행정구역별, 도엽별, 수종별 산림면적의 통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검색조건으로 선택된 축척에 해당하는 레이아웃에 상기 정밀임상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현재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하는 측위부, 상기 측위부와 연동하여 경로탐색과 경로안내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항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스토리지 서버가 산림영상, 수치지형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가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에 부여할 다수개의 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산림영상을 요청하면 상기 산림영상을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된 정밀임상도에 상기 다수개의 속성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스토리지 서버에 접속하고, 축척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이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도엽의 상기 산림영상을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서 검색된 산림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산림영상의 판독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산림영상의 판독을 통하여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를 제작하거나, 기제작된 정밀임상도의 임상경계 편집, 임상내경계 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을 포함하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정밀임상도를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를 제작 또는 편집하고, 제작 또는 편집된 수치임상도에 속성을 부여할 때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의 속성 이외에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의 속성을 추가로 부여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종래의 1:2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보다 명확하고 세밀한 수치임상도를 제작할 수 있고, 수치임상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치임상도 제작 또는 편집 시에 수행하는 현장조사에 따르는 시간낭비와 불편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치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 과정과 현장조사를 연계하여 작업 효율성과 연속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치임상도 제작 또는 편집 과정을 운영하고 그 성과물을 관리함으로써, 수치임상도 제작 또는 과정의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제작 또 는 편집된 수치임상도의 편집이력, 작업현황, 작업진도, 저장이력 등의 조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토리지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스토리지 서버(10),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20), 네트워크(30)로 구성된다.
스토리지 서버(10)는 정사항공사진과 낱장항공사진을 포함하는 산림영상과 수치지형도, 클라이언트 단말(20)에서 제작이 완료되거나 편집 중인 1:5,000 축척의 수치임상도(이하, 정밀임상도라 함)를 저장하고,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스토리지 서버(10)는 정밀임상도에 부여할 수 있는 속성들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스토리지 서버(10)는 제1 통신부(11), 제1 입출력부(12), 제1 제어부(13), 제1 저장부(14)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입출력부(12)는 통상적인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서 서버 관리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셍성하여 제1 제어부(13)로 제공한다. 표시장치는 LCD모니터 등이며,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화면을 표시한다.
제1 입출력부(12)의 입력장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서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제1 제어부(13)로 제공한다. 한편, 제1 입출력부(12)는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및 각종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나 플로터 등의 출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는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거나 복원한다. 이를 위해, 제1 제어부(13)는 DB구축부(13a), 영상압축부(13b), 관리부(13c)를 구비하고, 제1 제어부(13)는 DB구축부(13a)와 영상압축부(13b), 관리부(13c)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DB구축부(13a)는 제1 입출력부(12)의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수개의 속성을 이용하여 1:5,000의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DB(14e)에 저장한다. 이때, 다수개의 속성은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 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를 포함한다. 종래의 1:25,000의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의 속성은 임상, 경급, 영급, 소밀도의 네 종류뿐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여덟 종류의 속성을 갖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고 세밀한 정밀임상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B구축부(13a)에서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수종코드
산림
(Forest)
입목지
(Stocked land)
천연림
(Natural Forest)
침엽수림
(Conifer forest)
소나무림 ND
해송림 NT
활엽수림
(Broadleaf forest)
참나무림 NE
은행나무림 NG
상록활엽수림 NE
침엽수혼효림 NC
활엽수혼효림 NB
침활혼효림 NM
죽림 NBm
인공림
(Forest Plantations)
침엽수림
(Conifer forest)
소나무림 Pd
잣나무림 PK
낙엽송림 PL
리기다소나무림 PR
삼나무림 PCr
편백나무림 PCo
기타침엽수림 PC
활엽수림
(Broadleaf forest)
포푸라림 PPo
밤나무림 PCa
백합나무림 PLt
자작나무림 PBp
전나무림 PAb
기타활엽수림
무립목지
(Unstocked land)
무립목지
(Unstocked land)
무립목지
(Unstocked land)
벌채적지 C
미립목지 O
황폐지 E
초지 G
경작지 L
제지 R
임간나지 Dn
비산림
(Non Forest)
비산림
(Non Forest)
비산림
(Non Forest)
과수원
(Fruit Farm)
수체 W
과수원 F
기타
영상압축부(13b)는 제1 저장부(14)에 산림영상을 저장할 때 영상을 압축하는 기능과, 제1 저장부(14)에 저장된 산림영상을 읽어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때 압축 영상을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압축부(13b)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 소위 MIP mapping으로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부(13c)는 승인요청 기능, 작업현황 생성 및 조회 기능, 반려사유 입력 및 오류스케치 기능, 작업진도 조회 기능, 정밀임상도 저장 및 저장이력 생성 기능, 저장이력 조회 기능, 비밀번호 및 이름 변경 기능, 권한/계정 등록 및 변경 등의 다양한 기능을 클라이언트 단말(20)로 제공한다. 특히, 관리부(13c)는 작업자의 권한에 따라 3가지의 계정(즉, 판독자, 중간 관리자, 최종 관리자)을 부여한다.
또한, 관리부(13c)는 속성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로 클라이언트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정밀임상도에 속성을 부여하여 제1 저장부(14)에 저장한다.
제1 저장부(14)는 정밀임상도를 제작하는데 기반이 되는 산림영상과 수치지형도 등의 이미지를 각 도엽별로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0)에서 제작 및 편집된 정밀임상도를 저장하며, 상기 이미지들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제1 저장부(14)는 정밀임상도의 제작이나 편집에 이용되는 산림영상과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예컨대 정사항공사진DB(14a), 낱장항공사진DB(14b), 정밀임상도DB(14c), 수치지형도DB(14d), 데이터DB(14e)를 포함한다.
정사항공사진DB(14a)와 낱장항공사진DB(14b)는 각각 정사항공사진과 낱장항공사진 및 그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낱장항공사진DB(14b)에 저장되는 낱장항공사진은 1:5,000 축척의 정밀임상도를 위한 컬러 낱장항공사진일 수 있고, 1:25,000 축척의 수치임상도를 위한 흑백 낱장항공사진일 수 있다. 낱장항공사진은 촬영, 인화, 스캐닝한 개개의 항공사진 원본을 일컬으며, 정사항공사진은 낱장항공사진을 정사보정(ortho-rectification)하여 좌표를 부여한 항공사진을 일컫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항공사진 대신에 위성영상이나 그 밖의 디지털 영상을 산림영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정밀임상도DB(14c)는 기존의 정밀임상도 및 신규로 제작되거나 편집된 정밀임상도를 저장한다.
수치지형도DB(14d)는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과 같은 수치지형도를 저장한다.
데이터DB(14e)는 정밀임상도의 속성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의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에서 제작 및 편집된 정밀임상도를 저장하는데, 이때 데이터DB(14)에 저장되는 정밀임상도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속성이 부여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DB(14e)는 정밀임상도의 편집이력, 작업현황, 저장이력을 저장한다.
편집이력 데이터의 필드에는 편집이력번호, 판독자, 도엽명(또는 도엽번호), 편집이력명, 편집일시, 편집내용 등이 포함된다.
작업현황 데이터의 필드에는 도엽번호, 도엽명, 승인/반려 상태, 판독자, 요청자, 요청날짜, 승인자, 승인날짜, 반려자, 반려날짜, 최종승인자, 최종승인날짜 등이 포함된다. 이때, 조회조건에 따라 작업현환 데이터는 전체 도엽목록, 작업예정 도엽목록, 작업중 도엽목록, 승인요청 도엽목록, 승인 도엽목록, 반려 도엽목록, 최종승인요청 도엽목록, 최종승인 도엽목록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편집이력 데이터와 작업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독자별, 도엽별 작업진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저장이력 데이터의 필드에는 저장유형, 저장코드, 저장자, 저장일시, 저장사유, 배포처 등이 포함된다.
열ID 데이터타입 길이
식별번호 OBJECTID
객체형태 SHAPE
면적 AREA
둘레 PERIMETER
도엽번호 MAP_NUM Integer 2
FGIS 지형지물목록 표준코드 FCODE Text 8
산림/비산림 FOREST Integer 2
입목지/무입목지 TYPE Integer 2
임종 NATURAL Integer 2
임상 RF_TYPE Integer 2
수종 SPECIES Text 2
영급 AGE Integer 4
경급 DIAMETER Integer 2
소밀도 DENSITY Integer 2
맵심볼 SYMBOL Text 10
특이사항 COMMENT Text 40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스토리지 서버(10)에 접속하여 스토리지 서버(10)에 저장된 산림영상을 검색한 후 스토리지 서버(1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1:5,000의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를 제작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제2 통신부(21), 제2 입출력부(22), 제2 저장부(23), 측위부(24), 차량항법부(25), 제2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2 입출력부(22)는 통상적인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서, 작업자의 조작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입력장치로서 16개의 버튼과 휠로 이루어지는 토포마우스(TopoMouse)를 이용할 수 있다. 토포마우스는 각 버튼별로 기능을 할당할 수 있고 휠을 이용하여 입체시의 고도값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편리한 판독환경을 제공한다. 표시장치는 LCD 모니터 등이며, 산림영상과 정밀임상도 등을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특히, 표시장치로서 모니터 Zscreen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모니터 전면에 장착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장비이다. 제2 입출력부(22)는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및 각종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나 플로터 등의 출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3)는 산림영상의 판독을 수행하고, 정밀임상도 제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측위부(24)는 클라이언트 단말(2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GPS 수신기가 대표적이다. GPS 수신기는 작업자가 휴대 가능한 근거리 통신형이거나, 클라이언트 단말(20)에 착탈 가능한 착탈식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측위부(24)는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위치한 좌표값을 산출하여 제2 제어부(26)로 제공한다. 제2 제어부(26)는 이를 토대로 현재 위치를 제2 입출력부(22)의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고, 제2 통신부(21)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10)에 현장조사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항법부(25)는 측위부(24)와 연동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차량항법부(25)는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탐색, 경로안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측위부(24)와 차량항법부(25)를 포함한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해 정밀임상도의 현장조사를 가능하게 하여 현장조사 및 정밀임상도 제작의 작업 효율성 및 연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제어부(26)는 스토리지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산림영상과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정밀임상도를 제작 및 편집한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26)는 검색/통계부(26a)와 편집부(26b)를 포함한다.
검색/통계부(26a)는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 작업자에게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검색/통계부(26a)는 축척, 도엽명, 도엽번호, 행정구역명, 영역선택, 작업자 등의 각종 검색조건을 검색창에 표시하고, 선택된 검색어로 스토리지 서버(10)로부터 산림영상을 검색한다.
검색/통계부(26a)는 검색된 산림영상을 검색결과창에 표시하며, 현재 선택된 도엽을 알려준다. 또한, 마우스로 선택한 포인트를 기준으로 해당 도엽이나 주점을 검색하고, 선택된 도엽이나 주점의 메타데이터를 검색하며, 그 결과를 메타검색창에 보여준다.
검색/통계부(26a)는 스토리지 서버(10)의 영상압축부(13b)에 접속하여 제1 저장부(14)로부터 산림영상을 읽어오고, 제1 저장부(14)에서 수치지형도를 읽어온다. 또한, 검색/통계부(26a)는 마우스 조작에 따른 각종 이벤트를 처리하고, 다양한 영상처리 및 화면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이벤트는 마우스 버튼 클릭, 마우스 이동 등을 위미하고, 영상처리 기능은 영상의 투명도(transparency), 밝기(brightness), 대조(contrast), 히스토그램(histogram)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며, 화면처리 기능은 영상 이동/확대/축소, 영역확대, 전체화면보기 등의 기능이다.
검색/통계부(26a)는 정밀임상도와 관련된 각종 통계(예컨대, 행정구역별, 도엽별, 수종별 산림면적 산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색/통계부(26a)는 정밀임상도의 통계를 생성하고자 하는 필드와 속성을 설정하고, 설정된 값으로 통계를 생성하며, 생성된 통계를 엑셀 형식으로 스토리지 서버(10)로 전송하고, 제2 저장부(23)에 저장하고, 제2 입출력부(22)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편집부(26b)는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 작업자에게 정밀임상도의 제작, 편집, 판독 기능을 제공한다. 편집부(26b)는 검색/통계부(26a)로부터 작업자 아이디, 산림영상 경로, 기제작된 정밀임상도명 등의 정보를 넘겨받아 산림영상과 기제작된 정밀임상도 등을 표시한다. 제작된 또는 편집을 위한 기제작된 정밀임상도를 표시할 때 심볼라이징(symbolizing)과 레이블(lable)을 설정한다.
편집부(26b)는 화면 제어, 임경지 편집, 임상 판독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화면 제어 기능은 축척선택, 작업영역 확대, 전체영역 보기, 출력 미리보기 등이고, 임경지 편집 기능은 임상경계 편집, 임상내경계 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 편집완료, 오류검출 등이며, 임상 판독 기능은 입체시 연동, 축척 동기화 등이다. 그 밖에 편집부(26b)는 새 도엽검색, 메모 남기기, Shape 파일 내보내기, 현재 도엽 작업종료 등의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편집부(26b)는 제작 또는 편집이 완료된 정밀임상도에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를 포함하는 속성을 부여한 후 스토리지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스토리지 서버(10)와 클라이언트 단말(20)을 연결하며, 상용화된 각종 유무선 통신망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된 시스템(100)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20)이 네트워크(30)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1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하는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100)이 반드시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을 아니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의 구분 없이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 안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1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제어부(13)는 서버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정밀임상도의 속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모드에 진입하여 DB구축부(13a)를 구동시킨다. S12단계에서 1:5,000 축척이 선택되면 제1 제어부(13)는 S13단계로 진행하고, 1:5,000이 아닌 다른 축척이 선택되면 제1 제어부(13)는 S14단계로 진행한다.
S13단계에서 제1 제어부(13)는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의 속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때, 제1 제어부(13)는 제1 입출력부(12)의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표 1과 같이 정밀임상도에 대한 여덟 개의 속성을 수신하여 이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반대로, S14단계에서 제1 제어부(13)는 1:5,000 축척이 아닌 타 축척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예컨대, 1:2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의 속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1:2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의 속성은 임상, 경급, 영급, 소밀도에 한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는 1:25,000 축척을 갖는 수치임상도보다 명확하고 세밀하게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S15단계에서 제1 제어부(13)는 제1 입출력부(12)의 입력장치로부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완료신호가 수신되면 S17단계로 진행하고, 구축완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16단계로 진행하여 S13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의 수정을 수행한다.
S17단계에서 제1 제어부(13)는 구축이 완료된 데이터베이스를 제1 저장부(14)의 데이터DB(14e)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 제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21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20)의 제2 제어부(26)는 작업자가 정밀임상도의 제작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로그인을 수행하면 스토리지 서버(10)에 접속한다.
이후, S22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S23단계 또는 S27단계로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22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새 도엽에 대한 정밀임상도 제작이 선택되면 S23단계로 진행하고, 기존에 작업 중이던 정밀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이 선택되면 제2 제어부(26)는 S27단계로 진행한다.
S23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새로운 검색이 가능한 화면을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고, S24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제2 입출력부(22)의 입력장치로부터 정밀임상도의 제작을 위한 새로운 도엽을 선택받는다.
이후, S25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선택된 도엽에 대한 산림영상을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저장부(14)로부터 검색하여 불러오고, S26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선택된 도엽에 대한 수치지형도를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저장부(14)로부터 검색하여 불러온 후 S28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S24단계 내지 S26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축척, 행정구역별, 도엽명, 도엽번호, 판독자 등의 검색조건에 따라 도엽, 산림영상, 수치지형도를 불러온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는 스토리지 서버(10)로부터 불러온 산림영상과 수치지형도를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한다.
반대로, S27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기존에 작업 중이던 도엽, 산림영상, 수치지형도와 제작 중이거나 편집 중이던 정밀임상도를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저장부(14)로부터 불러와서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한 후 S28단계로 진행한다.
S28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정밀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을 위한 판독환경을 열어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어서, S29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산림영상이 판독된 후,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임지와 경지를 구분하는 임경지 편집을 수행한다. 이때, 임경지 편집은 임상경계 편집, 임상내경계 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 등의 다양한 편집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임상경계 편집은 둘 이상의 임상이 공유하고 있는 임상의 경계를 수정하는 작업이고, 임상내경계 편집은 임상내부에 새로운 임상을 생성하는 작업이다. 임상결합은 둘 이상의 다른 임상을 하나의 속성을 가진 하나의 임상으로 결합하는 작업이고, 임상분할은 하나의 임상을 둘 이상의 다른 속성을 가진 임상으로 분할하는 작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임상경계 편집을 선택한 경우, 수정하고자 하는 임상의 경계를 선택하고, 새로운 경계를 디지타이징하고 더블클릭하여 종료한다. 임상내경계 편집을 선택한 경우, 하나의 임상 내부에서 디지타이징을 종료한 후 속성창을 선택하여 새로 생성된 임상에 속성을 부여한다. 임상결합을 선택한 경우,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 이상의 임상을 선택한 후 병합창이 열리면 기준 임상을 선택한다. 임상분할을 선택한 경우, 분할하고자 하는 임상을 선택하고 분할 경계를 디지타이징한 후, 속성을 변경한다.
이후, S30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작업자로부터 특정 주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주점이 포함된 도엽의 항공사진의 원본인 낱장항공사진을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저장부(14)로부터 불러와서 입체시를 구성한 후 임상판독을 수행한다. 낱장항공사진을 이용하는 이유는 임경지 편집에 사용되는 정사항공사진은 수고 및 수관의 모양을 판독하기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입체시 연동 기능을 선택하면, 스테레오 창이 열리고 Zscreen 상에 입체시가 구현되어 정밀임상도의 경계가 표시된다. 입체시창과 편집창의 축척을 동기화시켜 편집한 판독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축척을 1:5,000으로 동기화하고, 레이어 창에서 컬러의 낱장항공사진을 선택하면 편집창에 컬러 낱장항공사진이 표시된다. 낱장항공사진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더블클릭하면 해당 지역을 입체시로 구성하여 판독할 수 있다.
이후, S31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정밀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이 종료됨을 수신하면 S32단계로 진행하여 제작 또는 편집이 종료된 정밀임상도를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저장부(14)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S33단계로 진행하여 정밀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 작업을 종료한다. 이때, 제2 제어부(26)는 제작 또는 편집이 종료된 정밀임상도에 대한 속성을 스토리지 서버(10)의 관리부(13c)에서 부여하도록 스토리지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정밀임상도에 속성을 부여한 후 스토리지 서버(10)의 제1 저장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2 제어부(26)는 정밀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 작업이 종료되면 스토리지 서버(10)와의 접속을 종료한다.
반대로, S31단계에서 제2 제어부(26)는 정밀임상도의 제작 또는 편집이 종료됨을 수신되지 않으면 S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재수행하면서 정밀임상도를 수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에 속성이 표시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5,000의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에 속성은 표 1과 같이 스토리지 서버(10)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무립목지의 경우 임상필드의 데이터만 표시되고, 입목지의 경우 도 6의 61과 같이 임종+임상_수종+영급+경급+소밀도+수고와 같은 형태로 속성이 표시된다. 61에 기재된 NH_PD2-Ⅲ''20은 61에 해당하는 구역이 인공림+침엽수_소나무림+중경목-3영급+중+20 인 구역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정밀임상도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된 이후에 작업자가 제2 입출력부(22)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71에서 1:5,000을 선택하면, 제2 제어부(26)는 72와 같이 71에서 선택된 수치임상도의 축척에 해당하는 레이아웃에 1:5,000의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를 제2 입출력부(22)의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표시장치에 표시된 정밀임상도를 출력장치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수치임상도를 표시장치에 표시할 때는 축척에 따라 서로 다른 레이아웃에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토리지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 제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에 속성이 표시된 화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임상도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Claims (16)

  1. 산림영상, 수치지형도,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며, 상기 산림영상을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스토리지 서버;
    축척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도엽의 상기 산림영상을 검색하며,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검색된 산림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검색된 산림영상의 판독을 수행하여 상기 정밀임상도를 제작하거나, 기제작된 상기 정밀임상도의 임상경계 편집, 임상 내 경계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2.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산림영상, 수치지형도,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정밀임상도에 대한 다수개의 속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DB구축부;
    상기 산림영상을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영상압축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밀임상도에 상기 다수개의 속성을 부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B구축부는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를 포함하는 속성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B구축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상기 입목지를 천연림과 인공림으로 분류하고, 상기 천연림과 인공림을 각각 침엽수림 및 활엽수림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에 대한 승인요청 기능, 작업현황 생성 및 조회 기능, 반려사유 입력 및 오류스케치 기능, 작업진도 조회 기능, 상기 정밀임상도 저장 및 저장이력 생성 기능, 저장이력 조회 기능, 비밀번호 및 이름 변경 기능, 권한/계정 등록 및 변경을 포함하는 관리기능을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영상은
    정사항공사진, 낱장항공사진을 포함하는 산림항공사진, 위성영상, 디지털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정밀임상도가 수신되면 상기 정밀임상도에 상기 다수개의 속성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스토리지 서버.
  8. 스토리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 접속하고, 축척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도엽의 산림영상을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서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산림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검색/통계부;
    상기 검색된 산림영상의 판독을 수행하고, 상기 산림영상의 판독을 통하여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의 제작 기능을 제공하거나, 기제작된 정밀임상도 의 임상경계 편집, 임상내경계 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을 포함하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편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정밀임상도에 산림/비산림, 입목지/무립목지, 임종, 임상,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를 포함하는 속성을 부여한 후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통계부는
    축척, 도엽명, 행정구역명, 도엽번호, 영역선택, 작업자를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특정 도엽의 상기 산림영상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통계부는
    상기 특정 도엽의 정사항공사진 및 컬러 낱장항공사진과 정밀임상도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통계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와 관련된 행정구역별, 도엽별, 수종별 산림면적의 통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검색조건으로 선택된 축척에 해당하는 레이아웃에 상기 정밀임상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현재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하는 측위부;
    상기 측위부와 연동하여 경로탐색과 경로안내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항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
  15. 스토리지 서버가 산림영상, 수치지형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가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에 부여할 다수개의 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산림영상을 요청하면 상기 산림영상을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된 정밀임상도에 상기 다수개의 속성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6. 클라이언트 단말이 스토리지 서버에 접속하고, 축척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이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도엽의 상기 산림영상을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스토리지 서버에서 검색된 산림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산림영상의 판독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산림영상의 판독을 통하여 1:5,000 축척을 갖는 정밀임상도를 제작하거나, 기제작된 정밀임상도의 임상경계 편집, 임상내경계 편집, 임상결합, 임상분할을 포함하는 상기 정밀임상도의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정밀임상도를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KR1020090043129A 2009-05-18 2009-05-18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4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29A KR20100124070A (ko) 2009-05-18 2009-05-18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29A KR20100124070A (ko) 2009-05-18 2009-05-18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070A true KR20100124070A (ko) 2010-11-26

Family

ID=4340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129A KR20100124070A (ko) 2009-05-18 2009-05-18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40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47B1 (ko) * 2017-03-06 2018-06-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재해위험 저수지의 정밀안전진단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N113626411A (zh) * 2021-08-11 2021-11-09 四川省林业和草原调查规划院 一种森林资源一张图成果质检方法、系统及云平台
CN117044554A (zh) * 2023-09-13 2023-11-14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一种杉木大径材定向培育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47B1 (ko) * 2017-03-06 2018-06-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재해위험 저수지의 정밀안전진단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N113626411A (zh) * 2021-08-11 2021-11-09 四川省林业和草原调查规划院 一种森林资源一张图成果质检方法、系统及云平台
CN113626411B (zh) * 2021-08-11 2022-04-19 四川省林业和草原调查规划院 一种森林资源一张图成果质检方法、系统及云平台
CN117044554A (zh) * 2023-09-13 2023-11-14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一种杉木大径材定向培育方法
CN117044554B (zh) * 2023-09-13 2024-04-19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一种杉木大径材定向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2776B2 (en) Spatial data portal
US6854087B1 (en) Document editing apparatus
CA2814596C (en) Creating and linking 3d spatial objects with dynamic data, and visualizing said object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N111462305B (zh) 应用于农村房地一体的三维不动产管理方法
US65078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product colors
US20090070667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platform independent presentation design
CN111580947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在线协同化遥感图像标注系统
CN107209773A (zh) 自动调用统一的可视化界面
JPWO2012124065A1 (ja) 作業支援方法、作業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作業支援装置
CN111723171B (zh) 一种基于公共地图开发的新基建项目调查系统
Jennings et al. Guidelines for describing associations and alliances of the US National Vegetation Classification
CN106202156A (zh) 一种基于WebGIS系统的钻孔柱状图在线生成方法
KR100797518B1 (ko) 산림영상 판독 및 수치임상도 제작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124070A (ko) 정밀임상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7101A (ko) 전자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956029A (zh) 一种技术文档处理方法和系统
CN114332439A (zh) 一种三维数据编辑生成系统
CN112907732A (zh) 基于三维建模的协同工作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17056284A (zh) 水运工程钻孔成果的管理系统
KR101561669B1 (ko)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KR101224046B1 (ko) 데이터 백업방식을 이용한 산림영상 판독 및 정밀 수치임상도 구축 시스템
CN103759720B (zh) 航测外业数字化刺点方法
KR100839568B1 (ko) 수치임상도의 표준제작 방법 및 시스템
CN106951461A (zh) 一种基于科考船的海洋航次数据管理系统及方法
CN111563085A (zh) 一种bim模型的多维度分组与业务数据绑定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