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669B1 -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1669B1 KR101561669B1 KR1020140192809A KR20140192809A KR101561669B1 KR 101561669 B1 KR101561669 B1 KR 101561669B1 KR 1020140192809 A KR1020140192809 A KR 1020140192809A KR 20140192809 A KR20140192809 A KR 20140192809A KR 101561669 B1 KR101561669 B1 KR 101561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species
- calculating
- irradiation
- frequenc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51 Integrated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02 ger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7 stra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야장 장치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관련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조사구에 대한 세부 식생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상기 식생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지 및 산림 환경의 현황을 조사하고 예측하는 일은 동식물에 대한 서식상태와, 환경의 양과 질, 인위적 영향과 생태/자연적 문제점 등의 조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사는 대상이 되는 생태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존 및 보전, 복원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과 틀을 제시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적이며 주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식생조사는 녹지 및 산림 생태계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체계화나 종 조성 식물사회학적 구조 등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항목이다. 식생조사는 주로 직접 관찰을 우선으로 하며, 현지에서 야장을 작성하거나 사진촬영, 녹음 등을 통한 기록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국내에서는 군락의 종조성에 의한 분류를 중심으로 발전한 중부 유럽의 Z.-M.학파(Central European Tradition)에 따른 식생연구가 최근 환경부 혹은 산림청의 주된 연구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환경 경향 분석을 통한 식생분류를 중심으로 발전한 위스콘신 학파(American tradition)의 방형구법을 통한 상대우점도, 종다양성, 최대종다양성, 우점도, 균재도, 유사도, 상이도 등 환경 경향분석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식생조사시 획득한 정보를 기입하는 종이를 일반적으로 야장(혹은 조사표)이라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종이야장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식생평가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수기로 기록된 야장을 직접 컴퓨터에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복귀 후 별도의 정보 이동 입력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며,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력오류, 입력 지체에 따른 야장 망실 및 훼손 우려, 입력 후 종이야장 정보와 컴퓨터 입력 정보의 대조 시간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조사 시스템은 현장에서의 조사 수행시 간편하고 효율적인 수 있지만, 조사에서 복귀한 후 추가적인 노동력과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사정보의 오류 및 누락 등으로 잘못된 식생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기존의 종이 야장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 식생정보 기입과 공유가 가능한 모바일 전자 야장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사회학적 식생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우점도(dominance) 계급, 군도(sociability) 계급,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종다양도(H'), 최대다양도(H'max), 균재도(J'), 우점도(D), 유사도 지수(Similarity Index), 상이도 지수(Dissimilarity Index), Raunkiaer 빈도 계급 등의 분석 및 산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조사에 대비해 각 수목의 위치를 전자야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조사구 이력관리를 위한 RFID 기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관련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조사구에 대한 세부 식생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상기 식생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야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생 관련 정보는 각 개체목에 대한 개체수, 평균 수고, 평균 흉고 직경을 포함하되,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의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수고 및 평균 흉고 직경을 이용하여 층위별 각 개체목에 대한 상대피도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개체목의 개체수를 이용하여 층위별 상대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개체목의 빈도를 각각 계산한 후 계산된 빈도를 이용하여 각 개체목에 대한 층위별 상대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상대밀도, 상기 상대피도 및 상기 상대빈도를 이용하여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층위별 상대우점치에 각 층위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상대우점치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 관련 정보는 각 조사구별 각 개체목에 대한 개체수와 전체 종수를 포함하되,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의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구별 개체목의 개체수와 상기 전체 종의 개체수를 이용하여 종다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체 종수를 이용하여 최대다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종다양도를 상기 최대다양도로 나누어 균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균재도를 기반으로 우점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 관련 정보는 각 조사구별 개체 총수와 공통종의 개체수를 포함하되,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의 분석하는 단계는, 두 조사구간 각 조사구의 개체 총수와 상기 두 조사구의 공통종의 개체수 중 작은 개체수를 이용하여 유사도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유사도 지수를 기반으로 상이도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각 조사구를 기반으로 다른 조사구와의 계산된 유사도 지수 및 상이도 지수를 2차원 배열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생 관련 정보는 각 조사구별 개체목 명을 포함하되,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의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구별 개체목 명을 이용하여 개체목별 출현빈도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개체목별 출현빈도를 이용하여 출현빈도가 낮은 순으로 20% 단위로 빈도 계급을 각각 부여하는 단계; 상기 부여된 빈도 계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빈도 계급의 계산된 비율이 최하위 빈도 계급과 최상위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이 다른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보다 높으면 동일성으로 판단하고, 최하위 빈도 계급과 최상위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이 다른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보다 낮으면 이질성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야장 장치에서 식물사회학적 식생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야장 장치에서 식물사회학적 식생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조사구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각 조사구 관련 정보를 입력받은 후 각 조사구별 세부 식생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상기 식생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사회학적 식생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리더기를 기반으로 각 조사구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태그를 읽어 조사구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조사구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사구 번호에 대응하는 조사구 관련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구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식생 관련 정보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한 수정 및 삭제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는 조사 전산화를 통한 조사활동의 능률 향상이다. 이를 위해 현지에서 종이야장에 조사내용을 수기로 작성한 후 행해지던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변환 작업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에서 조사된 내용을 모바일 전자야장에 기입하고 이를 온라인 통신을 통해 별도의 서버에 실시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업로드된 조사내용은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있더라도 온라인 통신만 가능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열람가능 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현장에서의 조사 능률 뿐만 아니라, 사후 데이터 분석업무의 능률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기내용을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정보의 오입력 및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는 조사정보의 실시간 수정 및 갱신이다. 이를 위해 현지 식생조사시 조사된 정보의 수정과 추가 내용을 온라인 서버와 실시간 동기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동 동기화 방식을 채택하여 자동 동기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의 의도치 않는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조사 내용을 모바일 기기 내부 저장장치에 자동저장 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동기화하고 싶은 시점에 온라인 서버와의 동기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 서버와의 동기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차후 통신이 원활한 곳에서 동기화를 가능케 함으로써, 오프라인 환경에서 조사된 결과를 열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 및 조사활동의 효율성을 강화하였다.
셋째는 GPS와 RFID 기술의 연동을 통해 조사의 신속성과 정확성, 그리고 관리 효율성의 강화이다. 이를 위해 GIS 기반의 고해상도 UAV 촬영 영상과 온라인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항공영상 등을 조사구 및 지형정보와 융복합 중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사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나아가, 수많은 조사구의 이력관리를 RFID 기술을 접목하여 일원화된 관리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현장에서 해당 조사구의 정보를 숙지하지 못한 어느 누구든지 모바일 전자야장을 통해 RFID 태그를 읽어 들이는 순간 해당 조사구의 조사정보 및 이력을 자동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조사구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인터페이스의 하위 메뉴가 표출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식생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상대우점치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종다양도 분석부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유사도/상이도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도계급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조사구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인터페이스의 하위 메뉴가 표출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식생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상대우점치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종다양도 분석부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유사도/상이도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도계급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사회학적 식생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우점도(dominance) 계급, 군도(sociability) 계급,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종다양도(H'), 최대다양도(H'max), 균재도(J'), 우점도(D), 유사도 지수(Similarity Index), 상이도 지수(Dissimilarity Index), Raunkiaer 빈도 계급 등의 분석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연속조사에 대비해 각 수목의 위치를 모바일 전자 야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조사구 이력관리를 위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조사구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인터페이스의 하위 메뉴가 표출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식생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상대우점치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종다양도 분석부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유사도/상이도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도계급 분석부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100)는 GPS 모듈(110), 통신부(115), 메모리(120), 표시부(125)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GPS 모듈(110)은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100)에 대한 GPS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GPS 정보는 위치 정보로, 위도 및 경도일 수 있다. GPS 모듈(110)에 대한 상세 기능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15)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과 서버와의 데이터 동기화 기능을 담당한다. 데이터 동기화 기능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120)는 모바일 전자야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표시부(125)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130)는 모바일 전자야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에서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하기로 함)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모드(210)와 분석 모드(220)를 포함한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모드는 조사구 입력 모드와 식생 입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초기 화면은 조사구 입력 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조사구 입력 모드에 대한 실행 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출력부(310), 조사구 정보편집부(315), 조사구 목록출력부(320) 및 메뉴 인터페이스(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각 실행화면은 일예에 불과하며, 각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지도출력부(310)는 GPS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전자야장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일정 반경 이내의 지도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지도출력부(310)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예를 들어, 다음 포털 사이트)와 연계되어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일정 반경 이내의 지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지도출력부(310)는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위성사진(예를 들어, 스카이뷰)와 일반지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지도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고해상도 지도 및 주제도를 포맷에 맞도록 변환하여 전자야장 장치(100)에 저장한 후, 지도출력부(310)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조사구 정보편집부(315)는 조사구 관련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 등과 같이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조사구 정보편집부(315)에 의해 편집된 조사구 관련 정보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사구 관련 정보는 조사구 번호, RFDI 식별정보(번호), 조사명, 조사일자, 조사자, 조사구 좌표, 지형, 경사, 암석 노출, 조사구 향, 조사구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조사구는 조사구별로 독립적인 정보체계를 가지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저장/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일과 조사구 좌표를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야장 장치(100)의 시스템 날짜를 기초로 조사일이 입력될 수 있으며, 조사구 좌표는 GPS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를 기초로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조사일과 조사구 좌표를 제외한 나머지 조사구 관련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전자야장 장치(1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조사구 목록출력부(320)는 저장된 조사구의 목록을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조사구 목록출력부(320)에 의해 조사구 번호, 조사명, 조사일, 조사자, 조사구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목록출력부(320)에 의해 표시된 조사구 목록에 대한 편집 기능(예를 들어, 수정 및 삭제)도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사구 목록출력부(320)를 통해 표시된 조사구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즉, 특정 조사구가 선택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선택된 특정 조사구에 대한 수정 또는 삭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목록출력부(320)를 통해 표시된 조사구 목록 중 특정 조사구가 선택되면, 지도출력부(310)와의 연계를 통해 선택된 특정 조사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메뉴 인터페이스(325)를 포함하며, 메뉴 인터페이스(3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확대 및 축소 메뉴(410), 조사구 회전 메뉴(415), 조사구 검색 메뉴(420), 동기화 메뉴(425), 지도선택 메뉴(430), 입력 활성화 메뉴(435), RFID 메뉴(440) 등과 같은 다양한 서브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확대 및 축소 메뉴(410)는 지도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된 지도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지도 확대 및 축소 메뉴(410)는 마우스 조작을 통한 지도 확대 및 축소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터치 조작을 통한(예를 들어, 직접 화면을 멀티 터치하여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 지도 확대 및 축소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조사구 회전 메뉴(415)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 각도를 입력하면, 입력된 적정 각도로 조사구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회전 메뉴(415)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 각도가 입력되면, 입력된 적정 각도로 조사구를 회전시켜 표시부(12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조사구 회전 메뉴(415)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직접 적정 각도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각도가 표시된 바(Bar)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마우스 조작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적정 각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조사구 검색 메뉴(420)는 저장된 조사구에 대한 검색 기능을 위한 것으로, 조사구 검색 메뉴(420)가 선택된 후 사용자에 의해 특정 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특정 키워드에 대한 조사구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동기화 메뉴(425)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온라인 서버(미도시)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동기화 메뉴(425)를 통해 사용자는 조사구 관련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서버와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동기화 메뉴(425)를 통해 동기화가 설정된 경우, 이후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지도선택 메뉴(430)는 지도출력부(310)를 통해 출력할 지도 포맷 또는 지도 출력 형태를 선택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지도선택 메뉴(430)에 의해 위성사진 또는 일반지도를 선택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위성사진 또는 일반지도를 별도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도선택 메뉴(430)에 의해 위성사진과 일반지도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위성사진과 일반지도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입력 활성화 메뉴(435)는 사용자에 의해 의도치 않게 조사구 관련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기 위한 메뉴 인터페이스이다.
즉, 입력 활성화 메뉴(435)에 의해 입력 활성화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관련 정보가 수정 또는 삭제시킬 수 있다. 즉, 입력 활성화 메뉴(435)에 의해 입력 활성화 기능이 미선택된 상태이면(즉, 입력 비활성 상태이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비록 사용자에 의해 조사구 관련 정보 수정 또는 삭제를 위한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다.
RFID 메뉴(440)는 RFID 리더기의 연동, 고유번호 입력, 태그 읽기와 같은 하부 메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전자야장 장치(100)는 RFID 리더기(미도시)를 포함하지 않은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RFID 리더기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RFID 리더기의 연동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타렉스에서 개발한 모바일 기기 전용 리더기 "Secret Code- Plus II"를 이용하여 연동하였다. 물론, 이외에도 모바일 기기 전용 리더기의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어 당해 전자야장 장치(100)와 연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의 리더기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며,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900MHz 대역의 RFID 태그를 제어할 수 있다.
RFID 리더기를 연동하여 RFID 태그를 읽어 특정 태그번호를 획득한 후 해당 특정 태그번호로 등록된 조사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직관적으로 열람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RFID 기반 기술을 통해 특정 RFID 태그를 읽어 직관적으로 조사구의 모든 정보에 대한 열람이 가능하므로, 특정 조사구를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 입력을 통한 수동 검색과 이를 확인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본적인 조사구에 대한 입력 과정이 완료되면, 식생 입력 모드로 동작되어 세부 식생에 대한 속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식생 입력 모드의 실행 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구 출력부(510), 개체목 정보편집부(515), 개체목 목록 출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형구 출력부(510)는 조사구를 정사각형 형태의 1m 간격 격자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식생 입력 모드의 실행 화면 중 방형구 출력부(510)가 선택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를 정사각형 형태의 1m 간격 격자로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방형구 출력부(510)를 통해 조사구가 일정 간격 격자로 표시된 상태에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하는 모든 개체목의 위치를 층위별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방형구 출력부(510)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지도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지도선택 메뉴(43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지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층위별로 입력되는 개체목의 위치는 방형구 출력부(510)를 통해 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방형구 출력부(510)는 각 층위별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층위별로 입력되는 개체목에 대해 각각 고유한 개체목 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개체목 번호는 층위별로 입력되는 개체목의 위치에 대응하여 방형구 출력부(510)에 표시된 점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개체목 정보편집부(515)는 개체목별 정보를 입력 또는 편집(수정 및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체목 정보편집부(515)는 개체목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화면을 통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개체목별 정보는 층위, 종명, 높이, 지하고, 흉고직경, 근원직경, 수관폭, 피도, 건전도, 우점도, 군도 등을 포함한다. 개체목 번호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층위별로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부여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개체목 좌표는 GPS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외의 개체목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개체목 목록 출력부(520)는 저장된 개체목 목록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통해 개체목 목록 출력부(520)를 선택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개체목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개체목 목록 출력부(520)는 개체목 목록과 함께 개체목번호, 층위, 종명, 높이, 흉고직경, 건전도, 피도, 우점도, 군도와 같은 개체목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체목 목록 출력부(520)를 통해 출력된 개체목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특정 개체목 목록에 대한 수정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사장 관련 정보 및 이에 대한 세부 식생 관련 정보가 입력 및 저장이 완료되면, 1차적으로 전자야장 장치(100)에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자료 백업시 저장된 파일을 별도의 저장장치에 복사하여 이용이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추후 필요시 전자야장 장치(100)에 파일 덮어쓰기 기능을 통해 백업 당시의 저장정보를 되돌릴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저장된 조사구 관련 정보, 식생 관련 정보는 서버에 동기화되어 있으며, 정보가 손실되더라도 동기화 기능을 통해 최근 동기화 시점으로 자료가 복구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서버에 의해 동기화된 자료는 온라인 웹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수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작업 여건에 따라 인터넷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통해 열람 및 수정이 가능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저장이 완료된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조사구별 상세정보(예를 들어, 세부 식생 관련 정보)는 서버와 동기화된 후 웹 페이지에 의해 파일 보내기 기능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엑셀'프로그램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파일 형식(.xls, .xlsx)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된다.
이와 같이 엑셀 파일 형태로 내보내기된 정보(조사구 관련 정보 및 세부 식생 관련 정보)는 식물사회학적 식생 분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수식에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조사구별 세부 식생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물사회학적 식생 분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사회학적 식생 분석을 위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모드에 따른 실행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우점치 분석부(610), 종다양도 분석부(615), 유사도 및 상이도 분석부(620), Raunkiaer 빈도 계급 분석부(6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각의 식물사회학적 식생 분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대우점치 분석부(610)는 일반적으로 층위별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해 Curtis and McIntosh(1951)의 중요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I.P.)와 식생 층위별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 : 임과전, 1980)를 각각 산출하여 각 군락의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상대우점치는 상대피도, 상대밀도 및 상대빈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우점치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피도(Relative Coverage;RC), 상대밀도(Relative Density;RD) 및 상대빈도(Relative Frequency;RF)는 조사구 관련 정보 및 각 조사구별 세부 식생 관련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식생정보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대피도는 하기 수학식2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대피도를 계산시, 관목층은 수관목의 편적을 피도로 계산하고, 아교목층과 교목층은 흉고단면적을 피고로 하여 상대피도가 계산될 수 있다.
상대밀도는 어떤 수종의 개체수를 모든 수종의 총 개체수로 나눈 백분율로 계산될 수 있다. 즉, 상대밀도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대빈도는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빈도는 여러 개의 조사구를 통합 분석할 시 사용되며, 수종별 전체 조사구 개수에 대한 출현한 조사구 개수를 빈도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식생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상대우점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상대피도, 상대밀도, 상대 빈도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이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상대우점치 분석부(610)가 선택되면, 층위별-개체목별 계산된 상대피도, 상대밀도 및 상대빈도를 이용하여 상대우점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우점치가 계산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층위별-개체목별 계산된 상대우점치를 기반으로 평균상대우점치를 계산할 수 있다.
평균상대우점치는 각 개체목에 대한 층위별 계산된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평균상대우점치는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위별 가중치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가 계산되면, 그에 따른 결과 화면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출력할 수 있다.
종다양도 분석부(615)는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세부 식생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군락별 종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이다. 종다양도 분석부(615)는 종구성 상태의 다양성 정보를 나타내는 척도로, 희귀종(rare species)에 중요성을 두는 Shannon의 수식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각 군락별 종다양성 분석을 위해, 종다양도 분석부(615)는 각 조사구별, 전체 종수와 총 개체수를 이용하여 종다양성(H'), 최대다양도(H'max), 균재도(J') 및 우점도(D)를 계산할 수 있다.
종다양성(H')는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Pi는 어떤 종의 개체수대 전체종의 총 개체수의 비를 나타낸다.
최대다양도(H'max)는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S는 구성 종수를 나타낸다.
또한, 균재도는 종다양성을 최대다양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8과 같다.
또한, 우점도는 균재도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우점도는 수학식 9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각 군락별 종다양성 분석을 위해 필요한 종다양도, 최대다양도, 균재도 및 우점도가 계산되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사구별로 계산된 결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유사도 및 상이도 분석부(620)는 종구성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비교하기 위해 Whittaker의 수식을 이용하여 유사도 지수(S.I.: Similarity Index)와 상이도 지수(DSI: Dissimilarity Index)를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유사도 지수 및 상이도 지수는 비교하고자 하는 두 조사구 각각의 개체 총수와 두 조사구의 공통종에 있어서의 두 조사구 중 개체수가 적은 것의 개체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지수는 하기 수학식 10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C는 두 조사구의 공통종에 있어서의 두 조사구 중 개체수가 적은 조사구의 개체수를 나타내고, S1은 제1 조사구의 개체 총수를 나타내며, S2는 제2 조사구의 개체 총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이도 자수는 하기 수학식 1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즉, 상이도 지수는 유사도 지수를 지정된 기준값에서 차감하여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도 지수는 백분율로 계산되므로, 상이도 지수는 100에서 유사도 지수를 차감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각 조사구별 유사도 및 상이도 지수를 각각 계산하여 테이블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각 조사구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조사구와 가장 상이한 조사구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빈도 계급 분석부(625)은 식생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Raunkiaer의 빈도 계급에 기반하여 출현 빈도를 각각 계산한다.
Raunkiaer는 8000여개의 빈도계급을 분석한 결과 A급 59%, B급 14%, C급 9%, D급 8%, E급 16%fh 나타난 것에 의거 빈도계급을 다음과 같이 나타냈다. A급>B급>C급 >=D급 <E급.
Raunkiaer의 빈도 계급은 식생의 종류와 관계없이 적용되는 법칙으로 A급과 E급이 높으면, 해당 조사구는 동질적인 것으로 판단하며, B급, C급 및 D급이 높으면 이질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Raunkiaer의 빈도 계급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A급(20% 이하), B급(21 ` 40%), C급(41-60%), D급(61-80%), E급(81-100%)
빈도 계급에 따른 동질성과 이질성을 판단하기 위해 빈도 계급 분석부(625)는 하기 수학식 12를 기반으로 출현빈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빈도 계급 분석부(625)는 군집 내에서 종의 분포가 고른 정도 및 이것에 따른 종 사이의 양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조사구별 개체목 명만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빈도 계급 분석부(625)는 개체목별로 출현빈도를 각각 계산한 후 빈도가 낮은 개체목부터 하위 20% 기준으로 상기에서 제시한 각 빈도 계급(A급, B급, C급, D급 및 E급)으로 5계급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각 빈도 계급으로 분류한 후 각 빈도 계급이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함으로써 동질적인지 또는 이질적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각 수종에 대한 출현빈도를 계산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빈도 계급별 비율을 도출한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동일성 또는 이질성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파방해를 이용한 인증공격 방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GPS 모듈
115: 통신부
120: 메모리
125: 표시부
130: 프로세서
115: 통신부
120: 메모리
125: 표시부
130: 프로세서
Claims (11)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모듈;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과 원격의 관리 서버와의 통신 및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상기 조사구에 대한 식생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조사구 관련 정보 및 상기 식생 관련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조사구 입력 모드와 식생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와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분석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조사구 입력 모드에서,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조사구 좌표를 자동 입력하고, 상기 조사구 좌표에 상응하여 조사구 번호, 조사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사구 목록을 실행 화면 상에 표시하고, 선택된 조사구에 관한 지도 정보를 상기 실행 화면 상에 표시하며, 조사구 검색 메뉴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조사구 검색 결과를 화면 상에 출력하고, 입력 활성화 메뉴를 통해서 입력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조사구 관련 정보의 수정 또는 삭제를 위한 편집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생 입력 모드에서, 방형구 출력 실행 화면이 선택된 경우 조사구가 일정 간격으로 격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조사 대상인 개체목의 위치를 층위별로 실행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개체목에 관한 정보가 입력 또는 편집될 수 있도록 기능 실행하며,
상기 입력되는 식생 관련 정보는, 각 조사구별 개체 총수, 공통종의 개체수, 각 조사구별 개체목 명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분석 모드에서, 어느 두 조사구간에 각 조사구의 개체 총수와 상기 두 조사구의 공통종의 개체수 중 작은 개체수를 이용하여 유사도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유사도 지수를 기반으로 상이도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 조사구를 기반으로 다른 조사구와의 관계에서 계산된 유사도 지수 및 상이도 지수를 2차원 배열로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여, 종 유사도 및 상이도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야장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분석 모드에서, 상기 조사구별 개체목 명을 이용하여 개체목별 출현빈도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개체목별 출현빈도를 이용하여 출현빈도가 낮은 순으로 소정 출현 비율 단위로 빈도 계급을 각각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빈도 계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빈도 계급의 계산된 비율이 최하위 빈도 계급과 최상위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이 다른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보다 높으면 동일성으로 판단하고, 최하위 빈도 계급과 최상위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이 다른 빈도 계급의 비율의 합보다 낮으면 이질성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하여, 빈도 계급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야장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관련 정보는 각 개체목에 대한 개체수, 평균 수고, 평균 흉고 직경을 포함하되,
상기 분석 모드에서,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수고 및 평균 흉고 직경을 이용하여 층위별 각 개체목에 대한 상대피도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개체목의 개체수를 이용하여 층위별 상대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개체목의 빈도를 각각 계산한 후 계산된 빈도를 이용하여 각 개체목에 대한 층위별 상대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상대밀도, 상기 상대피도 및 상대빈도를 이용하여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층위별 상대우점치에 각 층위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상대우점치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야장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관련 정보는 각 조사구별 각 개체목에 대한 개체수와 전체 종수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 모드에서, 상기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구별 개체목의 개체수와 상기 전체 종의 개체수를 이용하여 종다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체 종수를 이용하여 최대다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종다양도를 상기 최대다양도로 나누어 균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균재도를 기반으로 우점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야장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2809A KR101561669B1 (ko) | 2014-12-30 | 2014-12-30 |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2809A KR101561669B1 (ko) | 2014-12-30 | 2014-12-30 |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1669B1 true KR101561669B1 (ko) | 2015-10-30 |
Family
ID=5443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2809A KR101561669B1 (ko) | 2014-12-30 | 2014-12-30 |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166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2037B1 (ko) * | 2016-09-05 | 2018-01-25 | (주)휴먼플래닛 | IoT 기반의 자연생태 조사 시스템 |
KR102308456B1 (ko) | 2020-09-25 | 2021-10-0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라이다 및 카메라 수집정보 기반 수종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종탐지방법, 수종탐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
KR102520676B1 (ko) | 2022-02-25 | 2023-04-11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라이다 및 카메라 수집정보 기반 수목정보 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목정보 탐지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39493A (ja) | 2012-08-22 | 2014-03-06 | Chiba Univ | 自然評価方法及び自然評価プログラム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2809A patent/KR1015616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39493A (ja) | 2012-08-22 | 2014-03-06 | Chiba Univ | 自然評価方法及び自然評価プログラム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산림식생 조사방법 및 식물상 조사 방법 2007.06.24*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2037B1 (ko) * | 2016-09-05 | 2018-01-25 | (주)휴먼플래닛 | IoT 기반의 자연생태 조사 시스템 |
KR102308456B1 (ko) | 2020-09-25 | 2021-10-0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라이다 및 카메라 수집정보 기반 수종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종탐지방법, 수종탐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
KR102520676B1 (ko) | 2022-02-25 | 2023-04-11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라이다 및 카메라 수집정보 기반 수목정보 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목정보 탐지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assnacht et al. | Remote sensing in forestry: current challenges, considerations and directions | |
Stojanova et al. | Estimating vegetation height and canopy cover from remotely sensed data with machine learning | |
Fisher et al. | Clustered disturbances lead to bias in large‐scale estimates based on forest sample plots | |
Strandgard et al. | Estimating harvester productivity in Pinus radiata plantations using StanForD stem files | |
US20150371161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valuating and predicting land use and agricultural production | |
Szabó et al. | Possibilities of land use change analysis in a mountainous rural area: a methodological approach | |
Maltamo et al. | Non-parametric prediction of diameter distributions using airborne laser scanner data | |
Braun | More accurate less meaningful? A critical physical geographer’s reflection on interpreting remote sensing land-use analyses | |
KR101561669B1 (ko) |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조사를 위한 모바일 전자야장 장치 및 이에 대한 방법 | |
Söderberg et al. | Operational prediction of forest attributes using standardised harvester data and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in Sweden | |
Maltamo et al. | Prediction of forest canopy fuel parameters in managed boreal forests using multispectral and unispectral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and aerial images | |
Sumnall et al. | Analysis of a lidar voxel-derived vertical profile at the plot and individual tree scales for the estimation of forest canopy layer characteristics | |
Nelson et al. | Existing vegetation classification, mapping, and inventory technical guide. Version 2.0 | |
Saad et al. | Estimating stem diameter distributions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and their effects on long term forest management planning | |
Atkins et al. | Integrating forest structural diversity measurement into ecological research | |
Hosseini et al. | Influence of plot and sample sizes on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s in plantation forests using very high resolution stereo satellite imagery | |
Alexander | Delineating tree crowns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point cloud data using Delaunay triangulation | |
Prendes et al. | An algorithm for the automatic parametrization of wood volume equations from Terrestrial Laser Scanning point clouds: application in Pinus pinaster | |
Shao et al. | Delineation of individual deciduous trees in plantations with low-density LiDAR data | |
Dubois et al. | An introduction to the Digital Observatory for Protected Areas (DOPA) and the DOPA Explorer (Beta) | |
Shettles et al. | Examination of uncertainty in per unit area estimates of aboveground biomass using terrestrial LiDAR and ground data | |
Harfizar et al. | Desig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nitoring waqf at the cikupa sub-district religious affairs office | |
Cattaneo et al. | Clime: climate data processing in GIS environment. | |
Bastin et al. | Web services for forest data, analysis and monitoring: developments from EuroGEOSS | |
Schröder et al. | Improving planning by integrating spatial data into decision support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