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558A -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 - Google Patents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558A
KR20100123558A KR1020090042847A KR20090042847A KR20100123558A KR 20100123558 A KR20100123558 A KR 20100123558A KR 1020090042847 A KR1020090042847 A KR 1020090042847A KR 20090042847 A KR20090042847 A KR 20090042847A KR 20100123558 A KR20100123558 A KR 2010012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rika
sorting
sorting object
discharge
mai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809B1 (ko
Inventor
류동수
이수희
김명환
김채주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Priority to KR1020090042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8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농산물이 배출될 때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높은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선별 대상물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메인 이송부, (ii)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메인 이송부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이송부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means for deviating), (iii) 상기 메인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편향된 선별 대상물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을 대략적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충격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프리카 선별기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42847
파프리카, 선별 배출, 충격 완화

Description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 {Apparatus of Sorting and Ejecting Paprika and Paprika Sort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프리카와 같이 훼손에 따른 상품성이 저하되는 농산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선별 배출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농업 분야에서 생력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확 이후의 농산물의 투입, 가공, 선별,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농산물의 훼손에 큰 영향을 주는 공정 중 하나가 배출 공정이다.
특히, 파프리카와 같이 꼭지부의 훼손이 상품성 저하에 직결되는 농산물의 경우, 배출시의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선별 배출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는 파프리카 등의 농산물이 배출될 때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높은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 선별 대상물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메인 이송부, (ii)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메인 이송부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이송부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means for deviating), (iii) 상기 메인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편향된 선별 대상물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을 대략적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충격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편향 수단은 상기 메인 이송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화 수단은 선별 대상물의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충격 완화 수단은, 편향된 선별 대상물이 들어오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편향 수단을 향하여 투입구가 형성된 배출함; 및 상기 배 출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방향으로 배출되는 선별 대상물과 부딪히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형된 후 원 상태로 복귀되는 복수 개의 제1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실리콘 튜브이며, 상기 실리콘 튜브의 일 단은 고정단으로서 상기 배출함의 상기 투입구 반대측 내벽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실리콘 튜브의 타 단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제3 방향으로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된다.
충격 완화 수단은, 상기 실리콘 튜브의 타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선별 대상물의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 제2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회전 브러쉬부이며, 상기 회전 브러쉬부는 자유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배출함의 상기 투입구의 반대측 내벽면에 장착된다.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는 상기 충격 완화 수단을 거쳐 제3 방향으로 낙하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i) 선별 대상물의 이송, 정렬 및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크류 브러쉬부, (ii)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를 거쳐 열을 지어 이송된 선별 대상물의 각각의 등급을 판별하는 등급 판별부, (iii) 선별 대상물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메인 이송부, (iv)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의 상기 메인 이송부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이송부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means for deviating) 및 (v) 상기 메인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편향된 선별 대상물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을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충격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프리카 선별기는 파프리카 등의 농산물이 배출될 때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높은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프리카 선별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파프리카 선별기는 호퍼 컨베이어부(10), 투입 컨베이어부(20), 육안 선별부(30), 스크류 브러쉬부(40),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 제2 정렬 컨베이어부(60), 등급 판별부(70), 및 선별 배출 장치(80)를 구비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파프리카가 선별 배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수확되어 선별하고자 하는 파프리카가 다량으로 호퍼 컨베이어부(10)에 올려지면 파프리카들이 투입 컨베이어부(20)쪽으로 이송되는데, 호퍼 컨베이어부(10)는 지속적으로 파프리카들을 일정 량씩 투입 컨베이어부(2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행 방향 말단 측에 설치된 회동 받침판(미도시)에 의하여 일정 량 이상의 파프리카들이 쌓이면 회동 받침판이 회전하여 쌓여진 파프리카들을 투입 컨베이어부(20)로 이송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투입 컨베이어부(20)는 진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호퍼 컨베이어부(10)로부터 이송된 파프리카들을 높은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후, 파프리카들은 육안 선별부(30)로 이동된다. 육안 선별부(30)는 지면에 대략적으로 수평 또는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약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육안 선별부(30)는 복수 개의 회전 브러쉬(미도시)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구성을 가지며, 회전 브러쉬들의 회전으로 인하여 파프리카들이 브러쉬로 세척되면서 한 스텝씩 전진 이송된다. 이 과정 중에 작업자는 육안으로 불량 파프리카들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다.
육안 선별부(30)에서 브러쉬로 1차 세척된 파프리카들은 스크류 브러쉬부(40)로 넘어 가기 전에 추가적으로 고압 에어로 세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육안 선별부(30)와 스크류 브러쉬부(40)의 사이에는 에어 세척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1차 및 2차에 걸쳐 세척되고 이송된 다량의 파프리카들은 메인 이송부(81)의 라인 개수에 대응하는 3열로 된 스크류 브러쉬부(40)를 거치면서 등급 판별을 위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메인 이송부(81)의 라인에 대응하게 일렬로 정렬 이송된다. 또한 스크류 브러쉬부(40)를 거치면서 추가적인 세척 작용도 수행된다.
스크류 브러쉬부(40)로부터 열을 지어 이송된 파프리카들 사이의 간격이 충 분히 벌어지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스크류 브러쉬부(40)의 말단측에는 정렬 컨베이어부(50, 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정렬 컨베이어부(50, 60)를 거치면서 열을 지어 이송되는 파프리카들 사이의 간격이 각 개체의 등급을 판별하기에 충분한 간격으로 벌어지게 된다.
각 개체간에 충분한 간격으로 벌어진 파프리카들은 등급 판별부(70), 예를 들면 벨트식 중량 계측부(70)를 거치면서 각각의 등급이 매겨지고 등급 정보가 제어부에 저장된다. 벨트식 중량 계측부(70)는 롤러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구조물과 연결된 탄성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비하는 로드 셀(미도시)을 이용한다. 또한 롤러 컨베이어에 존재하는 파프리카의 존재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에서 나온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파프리카가 거의 붙은 채로 이송되더라도 짧은 간격이라도 서로 간에 약간의 시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파프리카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등급 판별을 하면서도 등급 판별의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 계측 방식이 기존의 회동 컵식이 아닌 벨트식이기 때문에 회동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부품들에 비해 내구성 및 수리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파프리카들이 메인 이송부(81)를 따라 이송되면서 판별된 등급에 따라 소정의 배출구로 내보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측면도인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선별 배출 장치는 편향 수단(85) 및 충격 완화 수단(100)을 구비한다. 편향 수단(85)은 메인 이송부(81)를 따라 진행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파프리카를 소정 등급의 배출함(105)을 향하여 제2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편향 수단의 일 예는 공기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공기 분사부(85, 86)일 수 있다. 공기 분사 노즐(85)은 메인 이송부(81)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분사 노즐(85)의 개수는 판별 등급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별 등급을 3개로 분류하고, 배출구(105)도 각 등급 당 하나씩 두는 경우에는 공기 분사 노즐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다만,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각 배출구에 대응하는 공기 분사 노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일 경우도 있으므로 공기 분사 노즐의 개수는 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편향 수단은 반드시 공기 분사부일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물리적으로 파프리카를 제2 방향으로 타격하는 회동 바(bar)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즉, 당업자가 선별 대상물인 농산물의 종류, 크기, 무게 등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등급 판별부(70)를 거치면서 등급이 매겨진 해당 파프리카는 미리 정해진 속도로 메인 이송부(81)를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등급 판별 시점과 이송 속도를 이용하면 해당 등급을 위한 배출구(105)로 파프리카가 배출되도록 공기 분사 노즐(85)을 구동해야 하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시점에 공기 분사 노즐(85)이 고압의 공기를 제2 방향으로 분사하면 해당 파프리카는 빠른 속도로 배출함의 투입구로 보내진다. 파프리카는 크기에 따라 수십 그램에서 수백 그램까지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투입구를 거쳐 배출함(105)에 부딪힐 때의 충격력이 커서 파프리카의 외관, 특히 꼭지부에 손상을 가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인 이송부(81)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으로 대응하는 편향 수단(85)과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충격 완화 수단(100)을 구비한다.
충격 완화 수단(100)은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킨다. 그와 동시에 충격 완화 수단(100)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별 대상물의 이동 방향을 제3 방향, 즉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구체적으로 충격 완화 수단(100)은 파프리카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구성을 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수단(100)은 배출함(105) 및 제1 완충 부재(110)를 구비한다. 배출함은 메인 이송부(81)의 어느 일 측면에 설치되며, 제2 방향으로 편향된 파프리카가 들어오는 공간을 구획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완충 부재(110)는 투입구와 대향하는 배출함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제2 방향으로 편향된 파프리카가 부딪힐 때 제2 방향으로 변형된 후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설치된다.
제1 완충 부재(110)는 예를 들면 실리콘 튜브(silicon tube)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리콘 튜브(110)의 일 단은 배출함(105)의 내벽면에 제2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단이며, 실리콘 튜브의 타 단은 자유단으로서 자중에 의하여 대략적으 로 제3 방향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설치된다. 파프리카가 제2 방향으로 빠르게 투입될 때 실리콘 튜브의 자유단은 파프리카의 운동량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파프리카의 제2 방향으로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키며, 파프리카가 떠난 이후에는 실리콘 튜브(11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실리콘 튜브(110)의 자유단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럼으로써 선별 배출되는 파프리카의 꼭지부 등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실리콘 튜브(110)들은 제1 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변형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완충 부재(110)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실리콘 튜브(110)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리콘이 아닌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튜브이면서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는 부재라면 제1 완충 부재(110)로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충격 완화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실리콘 튜브(110) 및 실리콘 튜브(110)의 자유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완충 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제2 완충 부재(120)는 브러쉬(121) 및 플레이트(122)를 구비하며, 플레이트(122)는 메인 이송부(81)를 향하고 브러쉬(121)는 배출함(105)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제2 완충 부재(120)의 브러쉬(121)는 파프리카의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고, 제3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제2 방향으로 날아오던 파프리카가 제1 완충 부재(110) 의 자유단에 부딪혀 튀어 나올 때의 제3 방향으로의 분력 및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분력을 줄임으로써 훨씬 감소된 속도로 자중에 의하여 제3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특히, 파프리카의 무게에 따라서 제2 방향으로 날아오던 파프리카가 제1 완충 부재(110)의 자유단에 부딪히고 반대 방향으로 튀어 나와 메인 이송부(81)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제2 완충 부재(120)로 인하여 메인 이송부(81)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의 제1 완충 부재(210)는 예를 들면 회전 브러쉬부일 수 있다. 회전 브러쉬부(210)는 자유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회전 브러쉬부(210)는 그 축의 양 단이 제1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제2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날아온 파프리카는 회전 브러쉬부(210)의 외주부에 달린 브러쉬들에 의해 제2 방향으로의 속도 및 충격력이 감소되고, 자중에 의해 제3 방향으로 굴절 낙하된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의 제1 완충 부재(310)는 예를 들면 직립 브러쉬부일 수 있다. 직립 브러쉬(310)의 일 면은 배출함(105)의 내벽면에 부착되고, 브러쉬는 메인 이송부(81)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제2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날아온 파프리카는 브러쉬들에 의해 제2 방향으로의 속도 및 충격력이 감소되고, 자중에 의해 제3 방향으로 굴절 낙하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의 제1 완충 부재(410)는 배출함(105)의 상부에 부착된 직물이다. 직물의 종류, 굵기, 형상 등은 선별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2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날아온 파프리카는 브러쉬들에 의해 제2 방향으로의 속도 및 충격력이 감소되고, 자중에 의해 제3 방향으로 굴절 낙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는 배출 컨베이어부(88, 8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배출 컨베이어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충격 완화 수단(100)에 부딪혀 제3 방향으로 낙하된 파프리카는 제2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럼으로써 메인 이송부(81)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작업자들에게 각 등급별로 선별 분리 배출된 파프리카를 자동으로 이송됨으로써 포장용 상자에 담는 작업 및 봉함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배출 컨베이어는 제1 배출 컨베이어(88)만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배출 컨베이어(88)는 도 1에서의 3개의 메인 이송부(81)에서 각각 낙하 배출된 파프리카들을 모두 이송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다른 예로서, 배출 컨베이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 컨베이어(89)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배출 컨베이어(88)는 3개의 메인 이송부(81)에서 각각 낙하 배출된 파프리카들을 모두 이송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2 배출 컨베이어(89)는 제1 배출 컨베이어(88)의 일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파프리카들이 작업자를 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1 배출 컨베이어(88)의 속도(V3)은 제2 배출 컨베이어(89)의 속도(V4)보다는 커야 하는데, 이는 메인 이송 부(81)의 라인 마다 해당 등급 배출구로 파프리카들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적체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배출 컨베이어(89)의 폭은 제1 배출 컨베이어(88)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파프리카를 주워 담은 작업자들의 작업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자 인근에서는 파프리카들을 천천히 이송하되, 제1 배출 컨베이어(88)로부터 배출되는 파프리카들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배출 컨베이어(88)는 낙하하면서 충격으로 품질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이송 컨베이어(88)는 벨트 컨베이어이되, 바퀴에 감겨 회전되는 벨트(88a)의 표면에 완충 부재 더 구비된다. 여기서 완충 부재의 예로는 벨트(88a)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박형 스펀지(88b) 및 상기 스펀지의 외표면에 감싸지는 인조 가죽(88c)의 조합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벨트의 표면에 결합되어 낙하되는 농산물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선별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프리카 선별기는 비록 파프리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농산물, 예를 들면, 파프리카, 당근, 감자, 피망, 양파, 단호박, 오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 가공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프리카 선별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프리카 선별기의 선별 배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별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선별 배출 장치의 일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호퍼 컨베이어부 20: 투입 컨베이어부
30: 육안 선별부 40: 스크류 브러쉬부
50: 제1 정렬 컨베이어부 60: 제2 정렬 컨베이어부
70: 등급 판별부 80: 선별 배출부
81: 메인 이송부 85: 공기 분사부
88: 제1 배출 컨베이어 89: 제2 배출 컨베이어
100: 충격 완화 수단 105: 배출함
110, 210, 310, 410: 제1 충격 완화 부재

Claims (9)

  1. 선별 대상물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메인 이송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메인 이송부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이송부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means for deviating);
    상기 메인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편향된 선별 대상물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을 대략적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충격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상기 메인 이송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수단은 선별 대상물의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수단은, 편향된 선별 대상물이 들어오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편향 수단을 향하여 투입구가 형성된 배출함; 및
    상기 배출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방향으로 배출되는 선별 대상물과 부딪히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형된 후 원 상태로 복귀되는 복수 개의 제1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실리콘 튜브이며, 상기 실리콘 튜브의 일 단은 고정단으로서 상기 배출함의 상기 투입구 반대측 내벽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실리콘 튜브의 타 단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제3 방향으로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된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튜브의 타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선별 대상물의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 제2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회전 브러쉬부이며, 상기 회전 브러쉬부는 자유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배출함의 상기 투입구의 반대측 내벽면에 장착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수단을 거쳐 제3 방향으로 낙하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9. 선별 대상물의 이송, 정렬 및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크류 브러쉬부;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를 거쳐 열을 지어 이송된 선별 대상물의 각각의 등급을 판별하는 등급 판별부;
    선별 대상물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메인 이송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메인 이송부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이송부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means for deviating); 및
    상기 메인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편향된 선별 대상물의 이송 속도 및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을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충격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선별기.
KR1020090042847A 2009-05-15 2009-05-15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KR10113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47A KR101130809B1 (ko) 2009-05-15 2009-05-15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47A KR101130809B1 (ko) 2009-05-15 2009-05-15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58A true KR20100123558A (ko) 2010-11-24
KR101130809B1 KR101130809B1 (ko) 2012-03-29

Family

ID=4340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47A KR101130809B1 (ko) 2009-05-15 2009-05-15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2216A1 (de) 2010-12-06 2012-06-06 Hyundai Motor Co. Fed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247B2 (ja) 1996-11-25 2002-11-05 株式会社サークル鉄工 農産物分別装置とその整列搬送手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2216A1 (de) 2010-12-06 2012-06-06 Hyundai Motor Co. Fed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809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944B2 (en) Device for sorting out incorrectly positioned cylindrical bodies in a separating and conveying unit
US4889241A (en) Discharge chute with variable slope bottom for fragile article sorting system
US7107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feeding articles
US20110088810A1 (en) Unit For Filling Containers With Products In Particular Pharmaceutical Products
US20090199512A1 (en) Filling Unit
EP0033211B1 (en) Rejection system for an automatic sorting machine
KR20100123557A (ko)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US7121399B2 (en) Small item pneumatic diverter
JP5711011B2 (ja) 物品選別装置
KR20160146939A (ko) 분배 반송 장치, 분배 반송 방법, 선별 포장 장치 및 선별 포장 시설
KR101130809B1 (ko) 파프리카 선별기용 선별 배출 장치
KR101431744B1 (ko)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EP2196417B1 (en) Apparatus for orienting items, more particularly caps.
US8333273B2 (en) Receiving and conveying device
US6961638B2 (en) Reject bottle detection and ejection mechanisms
US8714366B2 (en) Guide plate for guiding bulk products and sorting machine with such a guide plate
JP2017006826A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選別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キャリア
US5480278A (en) Automatic stacker apparatus and method
US11033934B2 (en) Packet sorting/handling system having a platform conveyor and a gravity transfer unit
CN110076095A (zh) 次品剔除输送装置
KR20040093698A (ko) 계란 세척 시스템 및 방법
CN111196482B (zh) 一种用于莲子单颗连续输送的振动送料装置
KR20150142994A (ko) 과일 선별장치
CN205034748U (zh) 分配装置
JP7342747B2 (ja) ノズル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色彩選別機のノズルメンテナン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