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744B1 -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744B1
KR101431744B1 KR1020110098311A KR20110098311A KR101431744B1 KR 101431744 B1 KR101431744 B1 KR 101431744B1 KR 1020110098311 A KR1020110098311 A KR 1020110098311A KR 20110098311 A KR20110098311 A KR 20110098311A KR 101431744 B1 KR101431744 B1 KR 101431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belt
unit
screw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707A (ko
Inventor
류동수
이수희
김명환
김채주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Priority to KR102011009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4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다량으로 투입되는 파프리카와 같은 선별 대상물들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세척 및 정렬되어 등급 판별되고 선별 배출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선별 대상물의 이송, 정렬 및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브러쉬부, (ii)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를 거쳐 열을 지어 이송된 선별 대상물의 각각의 등급을 판별하는 등급 판별부, 및 (iii) 판별된 등급에 따라 선별 대상물의 각각을 소정의 배출구로 내보내는 선별 배출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Sorter for Farming Products with Belt-type Weigh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파프리카, 피망, 당근, 감자, 양파, 단호박, 오이 등과 같이 수확된 농산물을 세척 공정부터 중량, 색상 또는 크기 등에 따라 등급 판별한 후 선별 배출할 수 있는 선별 공정까지 수행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 분야에서 생력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확 이후의 농산물의 투입, 가공, 선별 및 포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중요한 것은 선별의 정확성 및 전체 작업의 신속성이다. 즉, 수확 후 처리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되면서도 등급별로 정확하게 선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선별 대상물의 각 개체들이 등급 판별에 적합하도록 세척되고, 잘 정렬되며, 각 과정을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는, 다량으로 투입되는 파프리카와 같은 선별 대상물들이 자동으로 세척, 정렬되어 등급 판별되고 선별 배출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등급 판별부인 중량 측정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 선별 대상물의 이송, 정렬 및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브러쉬부, (ii)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를 거쳐 열을 지어 이송된 선별 대상물의 각각의 등급을 판별하는 등급 판별부, 및 (iii) 판별된 등급에 따라 선별 대상물의 각각을 소정의 배출구로 내보내는 선별 배출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는 선별 대상물들을 적어도 하나의 열을 지어 이송시키며, 어느 한 열에서의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류 브러쉬들이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스크류 브러쉬의 외주부에는 헬리컬 모양으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크류 브러쉬의 진행 방향 말단부에는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는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농산물 선별 장치는 이송 중인 선별 대상물의 상부 측에서 선별대상물에 세척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급 판별부는 중량 계측부이며, 상기 중량 계측부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긴 벨트에 의하여 선별 대상물이 이동되는 동안 로드셀(load cell)에 의해 선별 대상물의 개별 무게를 계측한다. 상기 중량 계측부는 상기 벨트 위로 진입한 선별 대상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 배출부는 중량이 계측된 선별 대상물이 소정의 배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 소정의 배출구에 도달한 선별 대상물을 배출구로 배출하고, 배출된 선별 대상물이 소정의 위치에 적재되도록 구성된다.
농산물 선별 장치는,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의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의 기단 측에 설치되며, 그 중심축들이 상기 진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회전 브러쉬들을 구비하며, 상기 선별 대상물이 브러쉬로 세척되면서 한 스텝씩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 쪽으로 이송되게 하는 육안 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산물 선별 장치는, 투입된 선별 대상물들을 상기 육안 선별부의 기단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육안 선별부의 진행 방향 기단측에 진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투입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산물 선별 장치는, 선별 대상물들을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로 일정량씩 투입하도록,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 기단측에 설치되며, 진행 방향 말단부에 일정 무게 이상의 선별 대상물들이 모이면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로 낙하될 수 있게 하는 회동 받침판을 구비하는 호퍼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산물 선별 장치는,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로부터 이송된 선별 대상물들 사이의 진행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의 진행 방향 말단측에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정렬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는 양 측부에 상기 벨트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안내 이동 벨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산물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된 선별 대상물들 사이의 진행 간격을 더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 말단측에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부의 벨트의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벨트를 구동하는 제2 정렬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에 의하면, 파프리카와 같은 선별 대상물이 진행되는 동안 세척, 정렬, 등급 판별 및 선별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일련의 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생력화 및 고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량 계측부의 구성이 간단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 장치의 호퍼 컨베이어부 및 투입 컨베이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퍼 컨베이어부의 회동 받침판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육산 선별부 및 스크류 브러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어느 한 열에서의 스크류 브러쉬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크류 브러쉬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제1 및 제2 정렬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정렬 컨베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중량 계측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선별 대상물을 파프리카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농산물 선별 장치는 호퍼 컨베이어부(10), 투입 컨베이어부(20), 육안 선별부(30), 스크류 브러쉬부(40),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 제2 정렬 컨베이어부(60), 등급 판별부(70), 및 선별 배출부(80)를 구비한다.
도 2는 호퍼 컨베이어부(10) 및 투입 컨베이어부(20)의 구성을 보여주며, 도 3은 호퍼 컨베이어부(10)의 회동 받침판(12)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호퍼 컨베이어부(10)에는 수확되어 선별하고자 하는 파프리카들이 다량으로 올려지며 파프리카들이 진행 방향으로 이송된다.
호퍼 컨베이어부(10)의 말단부에는 회동 받침판(12)이 구비될 수 있다. 동시에, 회동에 따른 회동 받침판(12)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13) 및 근접 센서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호퍼 컨베이어부(10)의 이송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말단’은 진행 방향에 있어서 더 진행한 측의 단부를 의미하며, ‘기단’은 진행 방향에 있어서 덜 진행한 측의 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회동 받침판(12)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회동 받침판(12)에 소정 무게 이상의 파프리카들이 쌓이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투입 컨베이어부(20)로 파프리카들을 전달하고, 회동 받침판(12)이 비워지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파프리카들이 쌓이도록 구성된다. 회동 받침판(12)이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여 파프리카들을 비우게 되면, 근접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호퍼 컨베이어부(1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그럼으로써 투입 컨베이어부(20)로 전달되는 파프리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투입 컨베이어부(20)는 호퍼 컨베이어부(10)로부터 이송된 파프리카들을 육안 선별부(30)까지 이송한다. 투입 컨베이어부(20)는 진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벨트(21)의 외표면에는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 라인(22)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프리카들이 돌기 라인(22)들에 걸려 높은 곳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는 육안 선별부 및 스크류 브러쉬부(40)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육안 선별부(30)는 투입 컨베이어부(20)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이송된 파프리카들을 1차로 세척하면서 한 스텝씩 전진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회전 브러쉬(31a, 31b)들이 진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어 있다. 즉, 각 회전 브러쉬(31a, 31b)들의 중심축을 이어보면 일직선이 된다. 각 회전 브러쉬(31a, 31b)들은 파프리카들을 진행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럼으로써 파프리카들은 한 스텝씩 전진 이송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 브러쉬(31a, 31b)들의 중심축을 이은 일직선이 진행 방향으로 약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육안 선별부(30)가 반드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필요는 없다.
회전 브러쉬(31a, 31b)들이 회전하면서 파프리카를 이송하기 때문에, 파프리카의 외표면의 이물질은 브러쉬(31b)들에 의해 1차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육안 선별부(30)에서 파프리카들이 천천히 한 스텝씩 이송되며 세척되는 동안 작업자들이 육안으로 불량 파프리카들을 선별 제거할 수 있다. 불량으로 판별된 파프리카들은 작업자의 측면에 설치된 불량 배출 컨베이어부(95)를 타고 소정의 적재함(96)에 저장될 수 있다.
육안 선별부(30)의 말단측 상부에는 에어 세척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에어 세척부(90)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들로부터 나온 고압의 공기들이 육안 선별부(30)를 타고 이송되는 파프리카들에 묻은 이물질 등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세척부(90)의 설치 위치는 반드시 육안 선별부(30)의 말단측으로 고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크류 브러쉬부(40)는 파프리카들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나란한 열을 복수 열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 브러쉬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브러쉬부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브러쉬부(40)의 경우, 각 열의 스크류 브러쉬부(40)는 세 개의 스크류 브러쉬를 구비한다. 스크류 브러쉬들(41, 42, 43)은 진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회전축의 중심이 둔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브러쉬(41)의 외주부에는 헬리컬(helical)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크류 브러쉬(41)와 제2 스크류 브러쉬(42)는 그 중심축을 이은 직선이 대략적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3 스크류 브러쉬(43)는 제1 스크류 브러쉬(41) 측 상부에 배치된다.
제1, 제2 및 제3 스크류 브러쉬(41, 42, 43)는 모두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파프리카들은 제1 스크류 브러쉬(41)와 제2 스크류 브러쉬(42)의 사이의 골에 열을 지어 놓여지고, 스크류 브러쉬부(40)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스크류 브러쉬(41, 42)가 회전함에 따라 브러쉬 사이의 골에 있던 파프리카들이 진행 방향으로 이송된다. 제1 내지 제3 스크류 브러쉬들(41, 42, 43)은 피망들이 열을 지어 잘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 방향, 예를 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동시에 조를 이루고 있는 다른 스크류 브러쉬와의 마찰에 의하여 파프리카는 추가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특히, 제1 스크류 브러쉬(41)의 외주부에 형성된 헬리컬 형상 홈(41a)으로 인하여 파프리카들은 더욱 잘 이송된다.
한편, 파프리카는 상품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꼭지가 붙은 상태로 선별 포장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파프리카끼리 엉켜서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1열이 아닌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제3 스크류 브러쉬(43)는 위에 올라탄 파프리카들이 제1 및 제2 스크류 브러쉬(41, 42)의 사이의 골 쪽으로 안내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 스크류 브러쉬(41)에만 헬리컬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파프리카들이 위와 아래에 엉켜 있는 경우에도, 제1 스크류 브러쉬(41)에 접촉되고 이송되는 아래쪽 파프리카의 이송 속도와 제3 스크류 브러쉬에 접촉되고 이송되는 위쪽 파프리카의 이송 속도 간에 속도차로 인하여 엉켜 있던 파프리카들을 서로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서로 풀리면서 제1 및 제2 스크류 브러쉬(41, 42) 사이의 골을 따라 결국은 1열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프리카들이 각 열마다의 스크류 브러쉬들(41, 42, 43)에 의하여 이송되므로 3개의 열로 정렬되어 이송된다.
변형된 실시예로서, 스크류 브러쉬의 진행 방향 말단부에는 헬리컬 형상의 홈(41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스크류 브러쉬(41)에 의해 이송되는 파프리카는 헬리컬 형상의 홈(41a)에 걸려 어느 정도 회전을 하면서 이송되기 때문에, 만약 제1 스크류 브러쉬(41)의 전체에 걸쳐 헬리컬 형상의 홈(41a)이 있다면 파프리카의 회전 관성으로 인하여 다음 단계, 예를 들면 제1 정렬 컨베이어로 넘어갈 때 정렬된 파프리카가 회전되면서 정렬이 흐뜨러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행 방향으로의 말단부에는 헬리컬 형상의 홈이 형성되지 않게 함으로써 스크류 브러쉬(41)의 회전 속도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파프리카들이 더욱 정확하게 열을 지어 정렬될 수 있게 한다.
변형된 실시예로서, 스크류 브러쉬(41)의 피치를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열을 지어 진행되는 파프리카와 다른 파프리카 사이의 거리가 스크류 브러쉬부(40) 내에서 진행 방향을 따라 말단으로 갈수록 더 커지게 될 것이다. 그럼으로써 초기에 다량으로 투입된 파프리카들의 각각이 등급 판별부(70)에서 하나씩 계측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적인 여유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로서, 스크류 브러쉬부(40)는 제1 스크류 브러쉬(41)와 제2 스크류 브러쉬(42)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프리카들이 제1 및 제2 스크류 브러쉬(41, 42) 사이의 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스크류 브러쉬(41) 측과 제2 스크류 브러쉬(42) 측에는 각각 가이드 판(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브러쉬부(40)의 진행 방향 말단부에는 제1 정렬 컨베이어가 도 7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 장치의 제1 및 제2 정렬 컨베이어부(50, 60)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는 롤러(52) 및 이에 감긴 벨트(51)를 구비한다. 벨트(51)는 평탄한 벨트일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와 같은 방식의 벨트일 수도 있다. 후자의 벨트의 경우, 파프리카가 벨트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잘 이송될 수 있어서 파프리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에서의 벨트의 이송 속도(V1)는 스크류 브러쉬부(40)에서 파프리카가 이송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가 되도록 설계된다. 그럼으로써 스크류 브러쉬부(40)로부터 열을 지어 이송될 때의 파프리카들의 간격보다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를 타고 이송될 때의 파프리카들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등급 판별부(70)에서의 각각의 파프리카의 등급을 판별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의 양 측부에는 벨트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의 안내 이동 벨트부(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안내 이동 벨트부(53)는 파프리카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도록 구동된다. 안내 이동 벨트부(53)는 모터에 의해 벨트가 무한 루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안내 이동 벨트부(53)는 스크류 브러쉬부(40)로부터 넘어오는 파프리카의 꼭지부가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의 부품들 사이에 끼어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안내 이동 벨트부(53)는 파프리카들이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의 벨트 위로 잘 안착되어 이동시키는 안내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의 말단에는 제2 정렬 컨베이어부(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 정렬 컨베이어부(60)에서의 벨트의 이송 속도(V2)는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에서의 벨트의 이송 속도(V1)보다 더 빠르다. 그럼으로써 제1 정렬 컨베이어부(50)에서 열을 지어 이송될 때의 파프리카들의 간격보다 제2 정렬 컨베이어부(60)에서 이송될 때의 파프리카들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등급 판별부(70)에서의 각각의 파프리카의 등급을 판별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일 실시예로서, 등급 판별부(70)는 중량 계측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등급 판별부(70)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색상 또는 크기로 등급을 판별하는 영상 촬영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등급 판별부(70)로서 중량 계측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중량 계측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량 계측부(70)는 제2 정렬 컨베이어부(60)의 말단 측에 설치된다. 중량 계측부는 롤러(71), 벨트(72) 및 로드 셀(74)을 구비한다. 벨트(72)는 롤러(71)에 감겨 무한 궤도를 형성한다. 로드 셀(74)은 금속 재질의 탄성체에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부착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휘스톤 브릿지 형태로 결선한 것으로서, 하중에 따른 탄성체의 변형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센서이다. 벨트(72)와 롤러(71)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탄성체에 연결됨으로써 중량 계측부의 벨트 위에 올라온 파프리카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중량 계측부(70)는 위치 센서(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위치 센서(73)는 중량 계측부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파프리카가 중량 계측부의 벨트 위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위치 센서(73)를 이용하면 두 개 이상의 파프리카가 거의 붙은 채로 이송되더라도 짧지만 서로 간에 약간의 시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파프리카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파프리카가 위치 센서(73)에 의해 별개의 개체로 인식될 정도의 간격만 유지한다면 비록 두 개 이상의 파프리카가 중량 계측부의 벨트 위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고 하더라도 벨트(72)의 이송 속도와 감지 시점 및 각 시점에서의 무게의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파프리카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전 단계에서 열을 지어 이송된 파프리카들의 간격이 충분히 벌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각 파프리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중량 선별의 실패 확률을 줄이고, 선별 처리 속도 및 전체 시스템의 처리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식 중량 계측부는 벨트(72)의 장력만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방식의 중량 계측 장치, 예를 들면 회전 컵식 중량 계측부에 비하여 내구성 및 수리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에에 따른 농산물 선별 장치는 선별 배출부(80)를 구비한다. 선별 배출부(80)는 판별된 등급에 따라 파프리카들을 소정의 배출구로 내보낸다. 이를 위하여, 선별 배출부(80)는 등급이 판별된 선별 대상물이 소정의 배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 소정의 배출구에 도달한 선별 대상물을 배출구로 배출하고, 배출된 선별 대상물이 소정의 위치에 적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별 배출부(80)는 공기 분사 노즐에 의해 파프리카를 배출구로 내보내는 방식, 또는 회동 바(bar)로 파프리카를 타격하여 배출구로 내보내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산물 선별 장치는 다양한 농산물, 예를 들면, 파프리카, 피망, 당근, 감자, 양파, 단호박, 오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호퍼 컨베이어부 11: 근접 센서
12: 회동 받침판 20: 투입 컨베이어부
30: 육안 선별부 31a, 31b: 회전 브러쉬
40: 스크류 브러쉬부 41: 제1 스크류 브러쉬
42: 제2 스크류 브러쉬 43: 제3 스크류 브러쉬
50: 제1 정렬 컨베이어부 53: 안내 이동 벨트
60: 제2 정렬 컨베이어부 70: 등급 판별부
73: 위치 센서 74: 로드 셀
80: 선별 배출부

Claims (9)

  1. 선별 대상물의 이송, 정렬 및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브러쉬부;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를 거쳐 열을 지어 이송된 선별 대상물의 각각의 등급을 판별하는 등급 판별부; 및
    판별된 등급에 따라 선별 대상물의 각각을 소정의 배출구로 내보내는 선별 배출부; 를 포함하며,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의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의 기단 측에 설치되며, 그 중심축들이 상기 진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회전 브러쉬들을 구비하며, 상기 선별 대상물이 브러쉬로 세척되면서 한 스텝씩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 쪽으로 이송되게 하는 육안 선별부;
    투입된 선별 대상물들을 상기 육안 선별부의 기단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육안 선별부의 진행 방향 기단측에 진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투입 컨베이어부;
    선별 대상물들을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로 일정량씩 투입하도록,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 기단측에 설치되며, 진행 방향 말단부에 일정 무게 이상의 선별 대상물들이 모이면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로 낙하될 수 있게 하는 회동 받침판을 구비하는 호퍼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는 선별 대상물들을 적어도 하나의 열을 지어 이송시키며, 어느 한 열에서의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에는 적어도 2개의 스크류 브러쉬들이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스크류 브러쉬의 외주부에는 헬리컬 모양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스크류 브러쉬의 진행 방향 말단부에는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농산물 선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는 선별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농산물 선별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이송 중인 선별 대상물의 상부 측에서 선별대상물에 세척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판별부는 중량 계측부이며, 상기 중량 계측부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긴 벨트에 의하여 선별 대상물이 이동되는 동안 로드셀(load cell)에 의해 선별 대상물의 개별 무게를 계측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계측부는 상기 벨트 위로 진입한 선별 대상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배출부는 중량이 계측된 선별 대상물이 소정의 배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 선별 대상물을 소정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배출된 선별 대상물이 소정의 위치에 적재되도록 구성되는 농산물 선별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로부터 이송된 선별 대상물들 사이의 진행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의 진행 방향 말단측에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정렬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는 양 측부에 상기 벨트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안내 이동 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된 선별 대상물들 사이의 진행 간격을 더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 말단측에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렬 컨베이어부의 벨트의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벨트를 구동하는 제2 정렬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KR1020110098311A 2011-09-28 2011-09-28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KR101431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11A KR101431744B1 (ko) 2011-09-28 2011-09-28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11A KR101431744B1 (ko) 2011-09-28 2011-09-28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46A Division KR101096789B1 (ko) 2009-05-15 2009-05-15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707A KR20110123707A (ko) 2011-11-15
KR101431744B1 true KR101431744B1 (ko) 2014-08-20

Family

ID=4539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11A KR101431744B1 (ko) 2011-09-28 2011-09-28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752B1 (ko) * 2016-12-08 2017-02-24 주식회사 씨앤 어류 중량 선별장치
CN106482775A (zh) * 2016-11-28 2017-03-0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双重传感器检测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66B1 (ko) * 2014-08-21 2015-03-31 전인식 스틱형 포장제품용 다열 중량선별장치
KR101955815B1 (ko) * 2017-09-18 2019-03-07 선병수 통마늘 선별 충진기
KR102280479B1 (ko) 2020-12-21 2021-07-22 주식회사 씨앤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64Y1 (ko) 2005-12-02 2006-04-07 주식회사 평화인더스트리 다목적 멀티 선별기
KR100752243B1 (ko) 2007-01-05 2007-08-27 주식회사 아이엔텍 혼합 재활용품 선별방법
JP2009011996A (ja) 2007-06-29 2009-01-22 Yokozaki Co Ltd 果実選別機の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64Y1 (ko) 2005-12-02 2006-04-07 주식회사 평화인더스트리 다목적 멀티 선별기
KR100752243B1 (ko) 2007-01-05 2007-08-27 주식회사 아이엔텍 혼합 재활용품 선별방법
JP2009011996A (ja) 2007-06-29 2009-01-22 Yokozaki Co Ltd 果実選別機の供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2775A (zh) * 2016-11-28 2017-03-0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双重传感器检测组件
CN106482775B (zh) * 2016-11-28 2019-01-01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双重传感器检测组件
KR101709752B1 (ko) * 2016-12-08 2017-02-24 주식회사 씨앤 어류 중량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707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789B1 (ko)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US10773897B2 (en) Off-loading, typing and item separation system
KR101431744B1 (ko)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US10226795B2 (en) Vision based item typing and separation system
US10358298B2 (en) Slide sorter pop-up diverting conveyor with transfer rate based on article characteristics
US20190193945A1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WO2018213053A2 (en) Vision based item typing and separation system
US5871080A (en) Product aligning system
US6621014B1 (en) Load sensitive, variable speed mechanical dynamics adjusting system
KR102504509B1 (ko) 과일 크기별 안정적 이송이 가능한 과일 선별장치
JP2017105596A (ja) 果菜引継ぎ移送方法と、果菜引継ぎ移送装置と、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果菜容器詰め方法と、果菜容器詰め装置と、果菜選別容器詰め方法と、果菜選別容器詰め装置
EP0098311B1 (en) Conveyor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orting articles
JP3779055B2 (ja) 農産物の選別装置
JP2017006826A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選別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キャリア
CN209849344U (zh) 一种果蔬分级筛选机及果蔬分级筛选系统
JP2015020155A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EP1577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crop articles for grading
JP2577716Y2 (ja) 組合せ秤の物品供給装置
KR101588296B1 (ko) 과일 선별장치
KR101194182B1 (ko) 농산물 선별장치
KR101750532B1 (ko) 장형 농산물 선별기
JP3396073B2 (ja) 小物品の外観検査装置における振り分け装置
CN110732492A (zh) 一种带有分料箱结构的果实优选设备
JP5780667B2 (ja) 作物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