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188A -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188A
KR20100123188A KR1020090042264A KR20090042264A KR20100123188A KR 20100123188 A KR20100123188 A KR 20100123188A KR 1020090042264 A KR1020090042264 A KR 1020090042264A KR 20090042264 A KR20090042264 A KR 20090042264A KR 20100123188 A KR20100123188 A KR 20100123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ixed liquid
air
suppl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849B1 (ko
Inventor
공성욱
Original Assignee
(주) 인우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우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 인우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9004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84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with means keeping the working surfaces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탈취제와 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공급하는 혼합액 공급부; 상기 혼합액 공급부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상기 혼합액이 흐르는 배관; 상기 배관에 기설정된 피치를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배관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혼합액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공급부는 탈취제가 저장되는 탈취제탱크와 상기 탈취제를 공급하는 정량펌프를 가지는 탈취제 공급부;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를 가지는 물 공급부; 및 상기 탈취제 공급부와 물 공급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혼합액을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배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배관의 일단부에서 공기를 공급하고 배관의 타단부에서 혼합액을 공급하여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에도 혼합액 공급부에서 멀리 이격된 배관에서 공기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므로 배관의 말단에 혼합액의 압력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분사노즐에서 혼합액이 분사될 때 액체상태로 바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축분장내의 축분의 발효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Figure P1020090042264
악취, 축분장, 탈취제, 악취배출시설

Description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ffensive odor treatment}
본 발명은 악취제거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와 작동 종료 시에 분사노즐에서 탈취제와 물의 혼합액이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악취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사, 축분장, 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지하상가, 산업공정시설 등 악취배출시설로부터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악취배출시설로부터의 악취 때문에 주변 거주민들의 민원 발생하여 악취배출시설의 운용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축분장은 축분에 톱밥을 혼합하여 이를 발효시켜 재생비료로 만드는 장소이다. 이때에 축분은 톱밥과 충분히 섞여야 하고, 수분이 접촉하지 않게 건조시켜야 한다.
상기 악취는 주변 거주민들에게 견디기 힘든 고통이 되기 때문에, 축분장 주변 거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상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고 그 중 한 가지 방법은 축분장 내부와 주변에 탈취제를 분사하여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중화 및 분자결합 방식을 통하여 악취분자를 중화하거나 악취를 마스킹(masking)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탈취제를 분사시키는 경우, 탈취제가 축분에 액적상태로 낙하하여 축분이 흡습을 통해 발효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와 작동 종료 시에 분사노즐에서 탈취제와 물의 혼합액이 액적상태로 접촉하지 않게 하기 위한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탈취제와 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공급하는 혼합액 공급부; 상기 혼합액 공급부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상기 혼합액이 흐르는 배관; 상기 배관에 기설정된 피치를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배관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혼합액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공급부는 탈취제가 저장되는 탈취제탱크와 상기 탈취제를 공급하는 정량펌프를 가지는 탈취제 공급부;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를 가지는 물 공급부; 및 상기 탈취제 공급부와 물 공급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혼합액을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배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펌프의 출구측에는 수분을 감지하는 제 1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컴프레서의 출구측에는 수분을 감지하는 제 2 수분감지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펌프의 출구측에는 혼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컴프레서의 출구측에는 혼합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 2 체크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수평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의 가동을 개시하는 경우에 악취제거 방법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1 공기압력(PA1)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을 공급하며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혼합액을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의 가동을 종료하는 경우에 악취제거 방법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2 공기압력(PA2)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1 공기압력(PA1)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을 공급하며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혼합액을 분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시단계; 및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2 공기압력(PA2)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공기압력(PA1)과 상기 혼합액압력(PB)과 상기 제 2 공기압력(PA2) 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Ⅰ)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Ⅰ)
PA1 < PB < PA2
상기한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과 악취제거 방법에 따르면, 배관의 일단부에서 공기를 공급하고 배관의 타단부에서 혼합액을 공급하여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에도 혼합액 공급부에서 멀리 이격된 배관에서 공기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므로 배관의 말단에 혼합액의 압력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분사노즐에서 혼합액이 분사될 때 액체상태로 바닥으로 흐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시스템의 작동 초기에도 혼합액 공급부에서 멀리 이격된 분사노즐에서도 혼합액이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고, 시스템의 종료 시에도 혼합액 공급부에서 멀리 이격된 분사노즐에서도 혼합액이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악취배출시설 중 축분장의 경우 발효과정에서 수분이 포함되면 발효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축분장 내부에 수분을 흘리지 않고 공기 중에 분사시키므로 축분장의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축분의 발효효율 저하를 방지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혼합액 공급부(100)와, 배관(200)과, 분사노즐(300)과, 공기 공급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사용되는 곳은 악취가 심하게 나는 축분장 등에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악취 제거의 목적에 적합하게 축사, 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지하상가, 산업공정시설 등 다른 악취배출시설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분장은 가축의 분뇨(축분)에 톱밥을 혼합하여 이를 발효시켜 비료로 만드는 재생비료 제조공정에서 축분을 건조시키고, 발효시키는 장소를 말한다.
상기 혼합액 공급부(100)는 탈취제와 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상기 배관(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탈취제 공급부와 물 공급부와 공급펌프(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취제 공급부는 탈취제가 저장되는 탈취제탱크(110)와 상기 탈취제를 상기 공급펌프(160)로 설정된 양을 공급하는 정량펌프(120)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펌프(12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악취배출시설의 악취 정도에 따라 탈취제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취제 공급부는 축분장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탈취제의 보충 등에 있어서 편리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정량펌프(120)의 출구측에는 탈취제의 충진 시에 사용되는 밸브(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40)와 상기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150)를 가진다.
상기 물탱크(140)에 저장된 물은 상기 가압펌프(150)를 거쳐 상기 공급펌프(16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펌프(160)는 상기 탈취제 공급부와 물 공급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200)에 혼합액을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펌프(16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탈취제와 물은 상기 공급펌프(160)에 공급될 때 미리 배관에서 혼합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상기 정량펌프(120)에 의해 탈취제와 물의 배합비율이 조정된다.
상기 배관(200)은 상기 혼합액 공급부(100)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상기 혼합액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200)에는 기설정된 피치를 가지는 다수의 분사노즐(3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관(200)은 축분장 등의 악취배출시설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300)의 피치는 악취배출시설을 악취 정도에 따라 조절가능하고, 특히 악취가 외부로 퍼져나가는 창문, 출입구 등에 분사노즐(300)을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악취제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300)은 수평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300)이 수평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면, 혼합액 분무 입자의 체공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공기와 접촉시간을 향상시켜서 공기와 탈취제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키며, 결과적으로 악취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배관(200)이 설치될 때 혼합액 분무입자의 체공시간을 위해 악취배출시설의 내부와 외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공급부(400)는 상기 배관(200)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200)에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부(400)은 상기 배관(200)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200)에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컴프레서(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컴프레서(410)는 상기 제어부(410)에 의해 공기공급압력이 조절되고, ON/OFF 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혼합액 공급부(100)와 공기 공급부(4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급펌프(160)를 제어하여 상기 배관(200)에 공급되는 혼합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컴프레서(410)를 제어하여 상기 배관(2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을 개시하면 제어부(500)가 컴프레서(410)를 제어하여 제 1 공기압력(PA1)으로 배관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후, 제어부(500)가 물 공급부와 탈취제 공급부를 제어하여 악취배출시설에 맞게 설정된 비율로 물과 탈취제를 혼합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공급펌프(160)을 제어하여 혼합액압력(PB)으로 배관에 혼합액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압력(PB)은 제 1 공기압력(PA1)보다 높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에 배관(200)에는 제 1 공기압력(PA1)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고, 이후 제 1 공기압력(PA1)보다 높은 압력의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이 배관(200)으로 공급되면서 분사노즐(300)에 의해 분사된다.
이후, 제어부(500)가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컴프레서(410)를 OFF시킨다. 여기서, 설정된 시간은 혼합액압력(PB)의 압력에 의해 공기가 배관(200)의 일단부로 밀리고 모든 분사노즐(300)에 혼합액이 공급되는 충분한 시간을 설정한다.
악취제거 시스템의 종료 시에는 먼저 제어부(500)가 컴프레서(410)를 제어하여 혼합액압력(PB)보다 높은 제 2 공기압력(PA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혼합액이 배관(200)의 일단부로 밀려나면서 분사노즐(300)에서 혼합액이 분사된다.
이후에, 배관(200)에 존재하는 혼합액이 분사노즐(300)에 모두 분사되는 충 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제어부(500)가 공급펌프(160)와 컴프레서(410)를 OFF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의 일단부에서 공기를 공급하고 배관의 타단부에서 혼합액을 공급하여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 또는 종료 시에 혼합액 공급부에서 멀리 이격된 배관에 공기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므로 배관의 말단에 혼합액의 압력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혼합액이 분사될 때 액체상태로 바닥으로 흐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시스템의 작동 초기 또는 작동 종료 시에도 혼합액 공급부에서 멀리 이격된 분사노즐에서도 혼합액이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1 수분감지센서와 제 2 수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수분감지센서(170)는 상기 공급펌프(16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한다.
상기 제 2 수분감지센서(420)는 상기 컴프레서(41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펌프(160)의 출구측에는 혼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1 체크밸브(1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서(410)의 출구측에는 혼합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 2 체 크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을 개시하면 제어부(500)가 컴프레서(410)를 제어하여 제 1 공기압력(PA1)으로 배관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후, 제어부(500)가 물 공급부와 탈취제 공급부를 제어하여 악취배출시설에 맞게 설정된 비율로 물과 탈취제를 혼합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공급펌프(160)을 제어하여 혼합액압력(PB)으로 배관에 혼합액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압력(PB)은 제 1 공기압력(PA1)보다 높게 한다.
따라서, 악취제거 시스템의 작동 초기에 배관(200)에는 공기가 제 1 공기압력(PA1)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고, 이후 제 1 공기압력(PA1)보다 높은 압력의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이 배관(200)으로 공급되면서 분사노즐(300)에 의해 분사된다.
이후, 제어부(500)가 제 2 수분감지센서(420)에 수분이 감지되면 컴프레서(410)를 OFF시킨다.
악취제거 시스템의 종료 시에는 먼저 제어부(500)가 컴프레서(410)를 제어하여 혼합액압력(PB)보다 높은 제 2 공기압력(PA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혼합액이 배관(200)의 일단부로 밀려나면서 분사노즐(300)에서 혼합액이 분사된다.
이후에, 제 1 수분감지센서(170)에 수분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제어부(500)가 공급펌프(160)와 컴프레서(410)를 OFF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수분감지센서와 제 2 수분감지센서에 의해 수분감 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부가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어하므로 제어부가 설정된 시간으로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보다 좀 더 정확한 제어를 가능케 한다.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의 가동을 개시하는 경우의 악취제거 방법은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 제 1 공기압력(PA1)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배관(200)의 타단부로 혼합액압력(PB)으로 혼합액을 공급하며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300)을 통해 상기 혼합액을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제 1 공기압력(PA1)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컴프레서(410)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을 공급하기 위해 공급펌프(160)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는 수동 또는 제어부(5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액압력(PB)은 제 1 공기압력(PA1)보다 높게 설정된다.
한편,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의 가동을 종료하는 경우의 악취제거 방법은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 제 2 공기압력(PA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200)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200)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는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제어부(500)를 사용하여 전기적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은 개시단계와 종료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시단계는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 제 1 공기압력(PA1)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200)의 타단부로 혼합액압력(PB)으로 혼합액을 공급하며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300)을 통해 상기 혼합액을 분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료단계는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 제 2 공기압력(PA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200)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200)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공기압력(PA1)과 상기 혼합액압력(PB)과 상기 제 2 공기압력(PA2) 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Ⅰ)을 만족한다.
수학식(Ⅰ)
PA1 < PB < PA2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악취제거 시스템의 개시 또는 종료 시에도 분사노즐에서 혼합액이 흐르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0: 혼합액 공급부 110: 탈취제탱크
110: 탈취제탱크 120: 정량펌프
130: 밸브 140: 물탱크
150: 가압펌프 160: 공급펌프
170: 제 1 수분감지센서 180: 제 1 체크밸브
200: 배관 300: 분사노즐
400: 공기 공급부 410: 컴프레서
420: 제 2 수분감지센서 430: 제 2 체크밸브
500: 제어부

Claims (8)

  1. 탈취제와 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공급하는 혼합액 공급부;
    상기 혼합액 공급부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상기 혼합액이 흐르는 배관;
    상기 배관에 기설정된 피치를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배관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혼합액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공급부는,
    탈취제가 저장되는 탈취제탱크와 상기 탈취제를 공급하는 정량펌프를 가지는 탈취제 공급부;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를 가지는 물 공급부; 및
    상기 탈취제 공급부와 물 공급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혼합액을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배관에 연통되어 상기 배관에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악취제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펌프의 출구측에는 수분을 감지하는 제 1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컴프레서의 출구측에는 수분을 감지하는 제 2 수분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악취제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펌프의 출구측에는 혼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컴프레서의 출구측에는 혼합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 2 체크밸브가 더 포함되는 악취제거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수평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시스템.
  5. 제 1 항의 악취제거 시스템의 가동을 개시하는 경우에,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1 공기압력(PA1)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을 공급하며 상기 다수의 분 사노즐을 통해 상기 혼합액을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방법.
  6. 제 1 항의 악취제거 시스템의 가동을 종료하는 경우에,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2 공기압력(PA2)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방법.
  7. 제 1 항의 악취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1 공기압력(PA1)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 혼합액압력(PB)의 혼합액을 공급하며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혼합액을 분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시단계; 및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 제 2 공기압력(PA2)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일단부로의 공기공급과 상기 배관의 타단부로의 혼합액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압력(PA1)과 상기 혼합액압력(PB)과 상기 제 2 공기압력(PA2) 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Ⅰ)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시스템.
    수학식(Ⅰ)
    PA1 < PB < PA2
KR1020090042264A 2009-05-14 2009-05-14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KR10100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64A KR101003849B1 (ko) 2009-05-14 2009-05-14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64A KR101003849B1 (ko) 2009-05-14 2009-05-14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188A true KR20100123188A (ko) 2010-11-24
KR101003849B1 KR101003849B1 (ko) 2010-12-23

Family

ID=4340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264A KR101003849B1 (ko) 2009-05-14 2009-05-14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8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116B1 (ko) * 2011-12-23 2012-04-06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170092510A (ko) 2017-08-01 2017-08-11 정재억 복합악취 제거설비
KR20190120666A (ko) * 2018-04-16 2019-10-24 (주)누리에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20210044436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도로공사 노면절삭기의 먼지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46B1 (ko) 2017-11-06 2018-07-1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포기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악취제거설비
KR101895039B1 (ko) * 2018-06-14 2018-09-07 정창호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387B1 (ko) 2006-09-22 2008-09-04 권상동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116B1 (ko) * 2011-12-23 2012-04-06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170092510A (ko) 2017-08-01 2017-08-11 정재억 복합악취 제거설비
KR20190120666A (ko) * 2018-04-16 2019-10-24 (주)누리에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20210044436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도로공사 노면절삭기의 먼지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849B1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849B1 (ko) 악취제거 시스템 및 악취제거 방법
KR101798427B1 (ko) 급속혼화 및 등분배 혼화식 약액 세정 탈취장치
US7360503B2 (en) Atomization system for odor and environmental control in livestock holding areas
KR100860077B1 (ko)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00034808A (ko)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798003B1 (ko) 지능형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경 플랜트 통합 원방감시용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
CN106178902A (zh) 一种集成式喷淋除臭主机及方法
CN205216574U (zh) 一种生物过滤净化臭气装置
CN206168205U (zh) 一种用于垃圾处理厂的智能化喷雾除臭降温装置
CN202288959U (zh) 填埋场喷雾墙固定喷雾机除臭系统
KR101025327B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CN203737094U (zh) 一种智能植物液洗涤除臭设备
CN211246071U (zh) 一种除臭装置
CN203803361U (zh) 一种漆气氧化装置
KR100749726B1 (ko) 악취 탈취장치
CN202277551U (zh) 垃圾中转站喷雾除臭系统
KR20160131636A (ko) 우회관로가 구비된 탈취장치
CN103406008B (zh) 一种植物提取液除臭系统
JP6808187B1 (ja) 畜舎用殺菌洗浄脱臭生物育成材システム
KR101044953B1 (ko) 이중분사노즐을 이용한 악취제거 시스템
CN106914126A (zh) 一种生物除臭箱
KR20100128136A (ko) 악취제거 시스템
CN203764131U (zh) 一种去除臭气的生物-喷雾组合除臭装置
CN219399637U (zh) 一种生物除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