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179A -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179A
KR20100123179A KR1020090042245A KR20090042245A KR20100123179A KR 20100123179 A KR20100123179 A KR 20100123179A KR 1020090042245 A KR1020090042245 A KR 1020090042245A KR 20090042245 A KR20090042245 A KR 20090042245A KR 20100123179 A KR20100123179 A KR 2010012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o
dye
sensitized solar
solar cel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454B1 (ko
Inventor
강만구
윤호경
박헌균
김진식
전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4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TiO2 나노입자 용액,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에 액상의 TiO2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액상의 TiO2가 TiO2 나노입자들 표면에 코팅되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의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켜 광전변환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킨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 페이스트 조성물, 액상의 TiO2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Non-aqueous Paste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Electrod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Dye-Sensitized Solar Cel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비수용성 나노입자 TiO2 페이스트 조성물에 액상의 TiO2를 도입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중 대표적인 예로서 1991년 스위스의 그라첼(Gratzel) 등에 의하여 발표된 태양전지가 있다. 그라첼 등에 의한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는 감광성 염료 분자와 나노입자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 지는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로서, 10% 이상의 광전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고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루테늄계 염료가 흡착된 다공성의 나노 산화물 입자 박막이 코팅된 반도체 전극과, 촉매로써 백금 혹은 탄소가 코팅된 대향 전극, 그리고 두 전극 사이에 요오드계 산화 환원 전해질을 주입, 밀봉하여 만들어진다.
종래 고효율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약 20nm 크기의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을 전도성 기판에 코팅함으로써 비표면적이 넓은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제조하였다. 상세하게,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수열 반응을 통해 합성한 후, TiO2 나노입자 용액에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킨 비수용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656365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을 전도성 기판 위에 도포하고 건조 및 열처리를 통해 TiO2 나노입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비수용성 나노입자 페이스트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나노입자들 간의 전기적 접촉과 전도성 기판과의 밀착성에서 일부 불완전하여 염료로부터 생성되어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에 주입된 전자 일부가 손실되어 광전변환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6365호에서 제시한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액상의 TiO2를 도입하는 경우, 액상의 TiO2가 나노입자 TiO2 표면에 코팅되어 나노입자 TiO2의 입자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열처리 과정에서 나노입자 박막의 전기적 접촉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광전변환 효율도 현저히 개선시킴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반도체 전극의 나노입자 TiO2 박막층의 전기적 접촉성을 개선시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반도체 전극의 나노입자 TiO2 박막층의 전기적 접촉성을 개선시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반도체 전극의 나노입자 TiO2 박막층의 전기적 접촉성을 개선시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iO2 나노입자 용액,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 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액상의 TiO2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TiO2는 TiO2 나노입자의 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타늄 알콕사이드 및 용매를 수열반응시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알코올로 치환하는 단계;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유기 페이스트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알코올로 치환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유기 페이스트 액과 액상의 TiO2와 혼합하고 알코올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전도성 기판 상에 TiO2 나노입자 용액,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 는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로 형성된 TiO2 나노입자 박막층이 도포된 반도체 전극, 제 2 전도성 기판 상에 촉매층이 도포된 대향 전극, 및 상기 반도체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상기 TiO2 나노입자 박막층 상에 염료 분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TiO2 나노입자 박막층을 구성하는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TiO2가 포함된 TiO2 나노입자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용매의 휘발로 인해 조성이 변화됨을 방지하여 장기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로 제작된 반도체 전극의 나노입자 TiO2 박막층은 TiO2 나노입자들 표면에 액상의 TiO2가 코팅되어 TiO2 나노입자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현저히 향상되어 염료로부터 생성된 전자가 나노입자 TiO2층을 통과하여 전도성 기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의 전자 손실을 최소화하여 기존 기술에 비하여 광전변환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TiO2 나노입자 용액,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에, 액상의 TiO2를 더 포함한다.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에서, TiO2 나노입자는 5 내지 30nm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터피네올, 부틸 카르비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프로필 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로릴 산, 수산화 벤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상의 TiO2는 TiO2 나노입자의 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의 TiO2는 단분자 또는 분자 크기가 매우 작은 것으로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액체상태를 의미한다. 반면, TiO2 나노입자는 TiO2 단분자들이 결합된 고형의 나노입자로 성장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상의 TiO2는 화학 구조식으로는 같은 물질이나 고형의 TiO2 나노입자의 거대한 분자 표면에 액상의 TiO2 단분자가 코팅되어 나노입자-나노입자 사이의 가교역할을 한다.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티타늄 알콕사이드 및 용매를 수열반응시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알코올로 치환하는 단계(S1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유기 페이스트 액을 제조하는 단계(S13); 및 상기 알코올로 치환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유기 페이스트 액과 액상의 TiO2와 혼합하고 알코올을 증발시켜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는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알코올과 혼합하고, 이어서 용매와 혼합하여 교반한 후, 가열을 통해 수열반응시킨다.
이 경우, 티타늄 알콕사이드로는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티타늄 부톡사이드, 티탄늄 에톡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알코올로는 이소프로판올, 이 사용될 수 있고, 티타늄 알콕사이드와 알코올은 부피비로 1 : 0.2 내지 0.3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로써는 아세트산과 물이 티타늄 알콕사이드의 부피를 기준으로 2 내지 2.3 : 6 내지 7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티타늄 알콕사이드와 알코올이 혼합된 용액은 용매 중에 적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용액은 맑고 투명한 TiO2 용액이 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한다. 이어서,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1차 가열하고 210 내지 230℃에서 13 내지 14시간 동안 수열반응시키는 것을 통해 결정화(성장)시켜 약 5 내지 30㎚의 입자 크기를 갖는 TiO2 나노입자 용액을 합성한다.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를 알코올로 치환하는 단계(S12)는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 중 TiO2 나노입자의 함량이 5 내지 15중량%가 될 때까지 용매를 증발시킨 후, 원심 분리를 통해 용매를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로 치환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의 분산도를 높이기 위해서 초음파 분쇄 또는 볼 밀링 공정을 더 행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유기 페이스트 액을 제조하는 단계(S13)는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 중에 함유된 TiO2 나노입자 중량을 기준으로 유기용매 2 내지 5 중량비, 결합제 0.1 내지 2 중량비 및 계면활성제 0.01 내지 2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다.
상기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S14)는 단계(S12)에서 얻은 알코올로 치환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단계(S13)에서 얻은 유기 페이스트 액과 액상의 TiO2와 혼합하고 알코올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액상의 TiO2는 TiO2 나노입자 중량에 기초하여 0.01 내지 0.1의 중량비로 첨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TiO2를 포함하는 TiO2 나노입자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반도체 전극(100), 대향 전극(20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전해질 용액(300)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전극(100)은 제 1 전도성 기판(110)에 TiO2 나노입자 용액,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에 액상의 TiO2를 더 포함하는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도포 및 소성하여 TiO2 나노입자 박막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TiO2 나노입자 박막층(120)은 약 10 내지 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도성 기판(110)으로는 전도성 유리기판, 전도성 금속기판, 반도체 기판 또는 부도체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으로 스크린 프린트법, 즉 인쇄하고자 하는 패턴이 그려진 망사조직(스크린) 위에 상기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도포하고 스퀴지로 상기 조성물을 밀어서 패턴대로 인쇄하는 방식이, 양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 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전도성 기판(110) 위의 TiO2 나노입자 박막층(120)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루테늄 착제로 이루어진 염료 분자층을 포함시켜 반도체 전극(100)을 완성한다.
이 경우, 염료 분자층은 루테늄 착제로 이루어진 염료 용액 내에 24시간 이상 TiO2 나노입자 박막층(120)이 도포된 제 1 전도성 기판(110)을 담지시키는 것으로 흡착시킨다.
상기 대향 전극(200)은 제 2 전도성 기판(210)에 도포된 촉매층(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도성 기판(210)은 제 1 전도성 기판(110)과 마찬가지로 전도성 유리기판, 전도성 금속기판, 반도체 기판 또는 부도체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촉매층(220)으로는 백금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대향 전극(200)의 촉매층(220)은 상기 반도체 전극(100)의 TiO2 나노입자 박막층(120)과 대향 되도록 배치된다.
반도체 전극(100)과 대향 전극(200) 사이에 밀폐층(400)을 놓고 상기 두 전극을 밀착시킨다. 이때,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밀폐층(400)이 상기 두 전극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거서, 밀폐층(400)으로는 이 분야의 일반적인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분자층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이 부착된 후, 대향 전극(200)에 형성된 미세 구멍(230)을 통하여 전해질 용액(300)을 채워 넣는다.
상기 전해질 용액(300)으로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요오드계 산화-환원제 전해질 또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계 산화-환원제 전해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1,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과 I2 (iodine)을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킨 I3 -/I-의 전해질 용액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용매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대신에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를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또는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 MP) 용매에 용해시킨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질 용액(300)이 다 채워진 후, 상기 미세 구멍(230)을 막아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완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액상의 TiO2가 포함된 TiO2 나노입자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예와 태양전지의 광전환효율을 측정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서 설명되는 제조예 및 실험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제조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와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부피비로 1 : 0.25로 혼합한 용액을 아세트산과 물이 2.2 : 6.5의 부피비로 혼합된 0℃ 용액에 한 방울씩 첨가하여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가 용해된 아세트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맑고 투명한 액상의 TiO2 용액이 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액상의 TiO2용액을 75℃로 4시간 가열하고 22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수열합성방법에 의하여 약 20㎚의 TiO2 나노입자 용액을 합성하였다. TiO2 나노입자의 함량이 중량비로 5∼15 중량%가 되도록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의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원심분리를 통해 용매를 에탄올로 치환하였다. 이어서,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에 함유된 TiO2 나노입자 중량을 기준으로 3.5 중량비의 테피네올, 0.5 중량비의 에틸 셀룰로오스, 0.1 중량비의 로릴 산을 혼합하고 80℃에서 가열 교반하여 유기 페이스트 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열합성한 약 20㎚ TiO2 나노입자의 에탄올 용액에 액상의 TiO2 용액을 TiO2 나노입자의 중량에 기초하여 0.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상기 유기 페이스트 액에 첨가 한 후 약 80℃에서 가열 교반하여 에탄올을 증발시켜 액상의 TiO2를 포함하는 TiO2 나노입자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액상의 TiO2를 포함하는 TiO2 나노입자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전도성 유리기판 상에 도포하고 500℃에서 30분간 소성하여 TiO2 나노입자 박막층을 15㎛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TiO2 나노입자 박막층이 도포된 전도성 유리기판을 루테늄 착제로 이루어진 염료 용액 내에서 24시간 이상 담가 염료 분자층이 화학적으로 흡착된 반도체 전극을 제작하였다.
전도성 유리기판에 백금을 코팅하여 대향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상기 대향 전극의 백금층과 상기 반도체 전극의 TiO2 나노입자 박막층이 대향 되도록 배치하였다. 반도체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밀폐층(40)을 놓고 밀착시킨 후 90℃ 및 2기압 하에서 상기 밀폐층이 상기 두 전극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전극이 부착된 후, 대향 전극에 형성된 미세 구멍을 통하여 0.8M의 1,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와 40mM의 I2 (iodine)을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킨 I3 -/I-의 전해질 용액을 채운 후,미세 구멍을 막아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 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액상의 TiO2 를 사용하지 않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특성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개방전압(V) 전류밀도(mA/㎠) 광전변환효율(%)
실시예 0.771 15.37 8.2
비교예 0.737 14.18 7.1
상기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전지에 비하여 전류밀도 및 개방전압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광전변환 효율이 현저히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Claims (8)

  1. TiO2 나노입자 용액,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액상의 TiO2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TiO2는 TiO2 나노입자의 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4. 티타늄 알콕사이드 및 용매를 수열반응시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TiO2 나노입자 용액를 알코올로 치환하는 단계;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유기 페이스트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알코올로 치환된 TiO2 나노입자 용액을 유기 페이스트 액과 액상의 TiO2와 혼합하고 알코올을 증발시켜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도록 제조되는 것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 전도성 기판 상에 나노입자 TiO2 용액,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 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로 형성된 나노입자 TiO2 박막층이 도포된 반도체 전극,
    제 2 전도성 기판 상에 촉매층이 도포된 대향 전극, 및
    상기 반도체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TiO2 박막층 상에 염료 분자층을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8. 제 6항에 있어서,
    나노입자 TiO2 박막층을 구성하는 TiO2 나노입자, 액상의 TiO2, 유기용매,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는 1: 0.01~0.1 : 2~5 : 0.1~2 : 0.01~2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20090042245A 2009-05-14 2009-05-14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22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45A KR101220454B1 (ko) 2009-05-14 2009-05-14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45A KR101220454B1 (ko) 2009-05-14 2009-05-14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179A true KR20100123179A (ko) 2010-11-24
KR101220454B1 KR101220454B1 (ko) 2013-01-18

Family

ID=4340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245A KR101220454B1 (ko) 2009-05-14 2009-05-14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34B1 (ko) * 2011-04-06 2013-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465B1 (ko) 2014-02-07 2015-12-10 주식회사 웰나노스 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52B1 (ko) * 2004-09-23 2006-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바인더 및 고점도 나노 입자 산화물 페이스트를 이용한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나노 입자 산화물 전극 형성 방법
KR100656367B1 (ko) * 2005-11-24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온에서 소결 가능한 반도체 전극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염료감응 태양 전지
KR100783766B1 (ko) * 2006-07-21 2007-12-07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 전극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염료감응형 태양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34B1 (ko) * 2011-04-06 2013-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454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158B1 (ko) 메조 다공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용 광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JP5389372B2 (ja) 中空球状の金属酸化物ナノ粒子を含む色素増感太陽電池用の光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58920B1 (ko) 금속산화물 나노볼층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5742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 제조방법
KR100656365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034640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나노입자 금속산화물-고분자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JP2002075477A (ja) 光電変換膜、光電変換用電極、および光電変換素子
WO2004068627A1 (ja) 光電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Lue et al. Functional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s electron lifetime, electrical conductance enhancer, and long-term performance booster in quasi-solid-state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1020493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구형 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090080205A (ko) 숙성 및 해교를 통한 티타니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
DE10249246B4 (de) Farbstoffsensibilisierte photovoltaische Zell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photovoltaischen Zellen sowie deren Verwendung
JP4807020B2 (ja) 半導体微粒子分散用バインダー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830786B1 (ko) 산화타이타늄 입자, 이 산화타이타늄 입자를 이용한 광전 변환 소자 및 그 산화타이타늄 입자의 제조방법
Ito et al. Porous carbon layers for counter electrod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Recent advances and a new screen-printing method
KR101406427B1 (ko) 우수한 촉매활성도와 전기전도도를 갖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용 전도성 고분자-탄소 복합체 전극과 이를 이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220454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도체 전극용 비수용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JP2001247314A (ja) 薄膜形成方法及び光電変換素子
JP2000319018A (ja) 多孔質酸化チタン薄膜及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US20070113889A1 (en)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electrode sintered at low temperature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ing the composition
US20100288340A1 (en) Photoelectode of dye-sensitized solar cell containing glass powder
Bharwal et al. Bimodal titanium oxide photoelectrodes with tuned porosity for improved light harvesting and polysiloxane-based polymer electrolyte infiltration
Nam et al. Photovoltaic enhancement of dye-sensitized solar cell prepared from [TiO2/ethyl cellulose/terpineol] paste employing TRITON™ X-based surfactant with carboxylic acid group in the oxyethylene chain end
JP2005174695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法
JP2002075476A (ja) 光電変換膜、光電変換用電極、および光電変換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