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385A -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385A
KR20100122385A KR1020090041393A KR20090041393A KR20100122385A KR 20100122385 A KR20100122385 A KR 20100122385A KR 1020090041393 A KR1020090041393 A KR 1020090041393A KR 20090041393 A KR20090041393 A KR 20090041393A KR 20100122385 A KR20100122385 A KR 2010012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power
adapter
electrical applianc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960B1 (ko
Inventor
육상조
Original Assignee
육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상조 filed Critical 육상조
Priority to KR102009004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96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성이 확보되어 있을 뿐만아리나 간편하게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절전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전력으로, 기기의 동작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기전력을 막기위한 방안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거나 혹은 자동절전멀티탭(multitap)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안들은 일일이 손수 플러그를 뽑아 주거나 혹은 직접 멀티탭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자동절전멀티탭은 그 크기가 커지면서 그리고 꽂혀있는 플러그와 노출된 전선들로 인해 미관상 좋치 않았다.
더욱이 종래의 자동절전멀티탭은 꽂혀있는 다수개의 전원플러그들 중 특정 전기 제품만을 따로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차단시켜 줄 수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범용성이 확보되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개별적으로 편리하게 원거리에서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범용성이 확보된 자동절전장치, 개별적으로 전기제품을 차단시켜 줄 수 있는 시스템, RFID 시스템, 대기전력

Description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The device and system to block standby power ndividually}
본 발명은 범용성이 확보되어 간편하게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인식하여 원거리에서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자동절전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전력으로, 기기의 동작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계속해서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대기전력을 막기위한 방안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거나, 혹은 멀티탭(multitap)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특히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자동절전멀티탭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안은 일일이 손수 플러그를 뽑아 주거나 혹은 멀티탭의 스위치를 손수 동작시켜줘야 한다는 등의 불편한 점들이 많았고, 특히 노출된 다수의 전선들로 인한 합선등의 위험과 미관상 좋치 않치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자동절전멀티탭은 멀티탭 내부에 혹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장치가 있어, 그 크기가 대형화될 뿐만아니라 꽂혀 있는 전기장치를 인식하고 개별적으로 해당 전기제품만 따로 차단시켜주거나 작동시켜 줄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네트워킹 시스템과 발맞춰 범용성이 확보되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개별적으로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전기제품마다 플로그와 콘센트 사이에 장착되어 해당 전기제품의 전력의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는 리더부, 그리고 상기 리더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전기제품마다 플로그와 콘센트 사이에 장착되어 해당 전기제품의 전력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이때 사용중이지 않다면은 일정시간동안 대기전력을 차지하고 이 차지된 전력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전환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당 전기제품의 플러그에 꽂혀 있으면서, 그 제품의 전력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더욱이 해당 전기제품마다 설치되어지고 식별정보와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전기제품만을 별도로 관리하여 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기제품 내부에 별도로 네트워크장치를 설치하여야만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어댑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이용해 간단하게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3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과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제품(10)의 플러그(20)와 콘센트(40) 사이에 끼워져 평상시 해당 전기제품(10)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만일 해당 전기제품(10)이 사용정지중이라면 이를 감지하여 식별정보와 함께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어댑터(30)와, 상기 어댑터(3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와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이를 기반으로 해당 전기제품(10)의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50)은 전송된 감지신호 및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51)와 상기 리더기가 수신한 식별정보와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각 라인별로 배선되어 있는 분전반(53)을 제어하여 해당 전기제품(1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주는 홈 서버(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홈 서버(52) 는 원격적으로 휴대폰이나 기타 이동단말기(60)를 통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30)는 전원플러그(20)와 콘센트(40) 사이에 위치하며, 후단에 플러그(20)가 양단이 끼워지고 상단에는 콘센트(40)에 꽂혀져, 콘센트(40)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플러그(20)를 통해 해당 전기 제품에 공급하여 준다.
따라서 어느 전기제품(10)이나 플러그(20)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확보되어 지게 되고, 특히 해당 전기제품(10)의 플러그(20)에 어댑터(30)를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네트워크 기구설치 없이 간단하게 홈 네트워킹 시스템(50)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어댑터(30)는 실시 예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인가되는 전원이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 해당 전기제품(10)이 사용중이라하고 판단하고, 반대로 해당 전원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전기제품(10)이 사용정지중이라고 판단하는 대기전원감지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어댑터(30)는 상기 대기전원감지부(31)를 통해 해당 전기제품(10)이 사용정지중이라고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리더기(51)에 전송토록 하는 RFID tag(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어댑터(30)의 RFID tag(32)는 Tag 자체 식별정보와 함께 감지정보를 상위의 리더기(51)에 전송되도록 하여 어떠한 전기제품(10)이 사용정지중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리더기(51)는 감지된 정보와 식별정보를 홈 서버(52)에 인가하여 주고, 홈 서버(52)는 인가받은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 라 인별로 분기되어져 있는 분전반(53)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전기제품(10)의 전원만을 차단시켜 준다.
이때, 상기 분전반(53)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각 라인별로 분기하여 일정한 전원을 콘센트(40)에 공급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홈 서버(52)는 어댑터(30)의 식별정보를 등록하여 해당 어댑터(30)가 설치되는 전기제품(10)이 어떠한 전기제품(10)인지 등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송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어떠한 전기제품(10)이 사용정지중인지 혹은 사용중이 홈 서버(52)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출하여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댑터(30)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기전원충전부(33)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당 전기제품(10)의 작동이 정지중일 때에는 소모되는 대기전원을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전원이 기준전력 이상이 되면 RFID tag(32)를 동작시켜 식별신호를 상위의 리더기(51)에 전송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홈 서버(52)는 이렇게 전송된 식별정보에 의해 해당 전기제품(10)의 사용여부를 파악하고 그 전기제품(10)만을 별도로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라 홈 서버(52)와 리더기(51)의 설치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30) 내부에 스위치전환 부와, 대기전원충전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전원감지부(31)를 통해 해당 전기제품(10)의 사용여부를 파악하고, 만일 해당 전기제품(10)의 사용이 정지중이라면 대기전원충전부(33)를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는 대기전력을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대기전원충전부(33)는 대기전력 발생시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충전하고 그 값이 기준치 이상이 되게 되면 자동으로 충전된 전원에 의해 스위치 전환부를 동작시켜 해당 전기제품(10)에 인가되고 있는 전원을 차단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이때 차단제어부(34)가 동작하게 되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감지신호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50)과 발맞춰 RF전송부(35)를 통해 식별정보와 함께 리더기(51)에 전송되어 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송된 정보는 상기 홈 서버(5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 전기제품(10)이 작동정지중임을 표출하여 주게 된다.
더불어 이때 대기전원감지부(31)는, 대기전원충전부(33)를 통해 충전된 전원이 기준전력보다 높기 때문에 해당 전기제품(10)이 사용중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전력을 차단된 후에는 대기전원충전부(33)가 계속해서 대기전력을 충전하지 않게 되어 대기전력이 계속해서 인가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어댑터(30)는 RF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적외선 통신을 통해 실시될 수도 있고, 특히 상기 홈 서버(52)와 리더기(51) 혹은 분전반(53)이 일체로 이루어져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30)가 홈 서버(5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더불어 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차단제어부(34)가 해당 전기제품(10)을 직접 ON/Off제어할 수도 있도록 구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를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제품(10)의 플러그(20) 전면에 어댑트를 끼워 콘센트(40)에 꽂게 된다.
그리고 해당 전기 제품이 사용중이라면 대기전원감지부(31)에 의해 감지신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해당 전기제품(1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만일 전기제품(10)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면, 대기전원감지부(31)에 의해 감지신호가 생성되게 되고, RFID tag(32)를 통해 식별정보와 감지정보가 전송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송된 식별정보와 감지정보는 리더기(51)에 의해 수신되어져 홈 서버(52)에 인가되고, 홈 서버(52)는 인가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라인별로 분기되어져 있는 분전반(53)을 각각 제어하여 해당 전기제품(10)의 전력을 차단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해당 전기제품(10)의 대기전력 소모가 없게 되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홈 서버(52)는 이동단말기(60) 혹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제어되어지도록 하여 원거리에서 간편하게 해당 전기제품(10)을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50)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30)를 플러그(20) 전면에 꽂아둔 어댑터(30)를 꽂아줌으로써 간단하게 해당 전기제품(10)을 인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별도의 장비를 해당 전기제품(10)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간편하게 홈네트워킹 시스템(50)을 구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0)만으로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다.
즉, 먼저 전기제품(10)의 플러그(20) 전면에 어댑트를 끼워 콘센트(40)에 꽂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전기제품(10)이 사용 정지중이라면 대기전원감지부(31)에 의해 이사실이 감지되어 대기전원충전부(33)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대기전원충전부(33)는 대기전원감지부(31)를 통해 인가되고 있는 대기전원을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충전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된 전원이 기준치 이상이 되게 되면 스위치전환부를 동작시켜 해당 전기제품(10)으로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실시 예에 따라 홈네트워킹 시스템(50)과 발맞춰 해당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이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감지신호와 식별신호를 RF전송부(35)를 통해 상위의 홈 서버(52)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절전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절전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절전시스템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절전시스템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기제품 20:플러그
30:어댑터 31:대기전원감지부
32:RFID 태그 33:대기전원충전부
34: 차단제어부 35:RF전송부
36:스위치전환부 40:콘센트
50:홈 네트워킹 시스템 51:리더기
52:홈 서버 53:분전반
60:이동단말기

Claims (13)

  1.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기제품의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끼워져 평상시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만일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 정지중이라면 이를 감지하여 식별정보와 함께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와 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전기제품의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시켜 주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은 어댑터로부터 전송된 식별신호와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가 수신한 식별정보와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각 라인별로 배선되어 있는 분전반을 제어하여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홈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3. 제2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일정시간동안 인가되는 전원이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이라하고 판단하고, 반대로 해당 전원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고 판단하는 대기전원감지부와,
    상기 대기전원감지부를 통해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 정지중이라고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리더기에 전송토록 하는 RFID Ta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 정지중일 때에는 소모되는 대기전원을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전원이 기준전력 이상이 되면 RFID Tag를 동작시켜 주도록 하는 대기전원충전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대기전원충전부을 통해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대기전원을 충전하고 그 값이 기준치 이상이 되게 되면 자동으로 충전된 전원에 의해 스위치 전환부를 동작시켜 해당 전기제품에 인가되고 있는 전원을 차단하여 주는 스위치전환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휴대폰이나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절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홈서버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전기제품을 직접 ON/OFF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8. 콘센트에 꽂혀져 있는 전기제품의 대기전원 자동으로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전장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끼워진 어댑터가 평상시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만일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 정지중이라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기제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대기전원감지부와, 상기 대기전원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실을 바탕으로 소모되는 대기전원을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인가받아 충전하는 대기전원충전부,
    그리고 상기 대기전원충전부가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하게 되면 이 충전된 전 원에 의해 해당 전기제품의 대기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스위치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대기전원충전부에 의해 식별정보 및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홈서버에 전송하는 차단제어부 및 RF전송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적외선통신 방식에 의해 감지된 신호와 식별신호를 홈서버에 전송하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휴대폰이나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홈서버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전기제품을 ON/OFF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20090041393A 2009-05-12 2009-05-12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11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93A KR101110960B1 (ko) 2009-05-12 2009-05-12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93A KR101110960B1 (ko) 2009-05-12 2009-05-12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85A true KR20100122385A (ko) 2010-11-22
KR101110960B1 KR101110960B1 (ko) 2012-02-20

Family

ID=4340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93A KR101110960B1 (ko) 2009-05-12 2009-05-12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13B1 (ko) * 2011-10-05 2014-08-01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97B1 (ko) * 2005-02-18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홈 서버
KR100801042B1 (ko) * 2005-09-02 2008-02-11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100912004B1 (ko) * 2007-05-23 2009-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13B1 (ko) * 2011-10-05 2014-08-01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960B1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791596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KR100927337B1 (ko)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KR101877913B1 (ko) 전기기기를 자동 감지하는 전원 콘센트, 이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AU2012100197B4 (en) Power sensor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KR101746223B1 (ko)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WO2007097576A1 (en) Green consent
KR101425211B1 (ko)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WO2019045206A1 (ko) 도플러 센서를 사용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20100083393A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20170130664A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20130072450A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KR20110111050A (ko)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20140062809A (ko) 지능형 플러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식
KR101110960B1 (ko)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801808B1 (ko)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7664U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20210024828A (ko) 원격 제어형 스마트 멀티탭 장치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2016003266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080112781A (ko) 타임설정이 가능한 그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