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271A -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 Google Patents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271A
KR20100122271A KR1020090041229A KR20090041229A KR20100122271A KR 20100122271 A KR20100122271 A KR 20100122271A KR 1020090041229 A KR1020090041229 A KR 1020090041229A KR 20090041229 A KR20090041229 A KR 20090041229A KR 20100122271 A KR20100122271 A KR 2010012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tank
carbon dioxide
wat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신
홍승모
신영환
박종남
장용식
김기문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9004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2271A/ko
Publication of KR2010012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9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cathodic or alkaline water, e.g. for 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방법은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침출수를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되어 생성된 처리수와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을 분리시킨 뒤 각각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고, 본원 발명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장치는 슬래그와 접촉된 뒤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집 및 저장하는 원수 저장조; 상기 원수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침출수에 이산화탄소 용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동기가 포함된 냉각수조; 냉각수조에서 냉각된 침출수와 탄산가스를 가압하여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 반응 탱크; 상기 가압 반응 탱크로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조; 및 상기 가압 반응 탱크에서 침출수와 탄산가스의 중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탄산칼슘을 비중차를 이용해 처리수 하부로 침전시키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며, 대용량으로 발생되는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41229
침출수, 탄산가스, 중화반응, 냉각기, 가압 반응 탱크, 마그네틱믹서, 필터

Description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IZATION OF HIGH-ALKALINE LEACHATE BY SLAG}
본원 발명은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소 부산물인 슬래그를 해안이나 도로건설 등에 연약지반의 보강 및 수평배수재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지하수와 우수가 상기 수평배수재로 사용된 슬래그와 접촉되어 강알카리수로 변하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생성된 알카리수를 방류 가능할 정도로 중화시키는 강알카리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철강을 생산하는 공정에서는 부산물로 다량의 슬래그가 발생된다.
이러한 슬래그를 폐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비용이 필요함으로 슬래그를 폐기하는데 사용되는 처리비용의 절약과 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폐기되는 슬래그의 사용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슬래그를 고로 시멘트 원료로 활용하는 것과 연약지반 개량공사에서 지반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투수 배수층에 기 존에 사용되던 모래를 대체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폐 슬래그를 다른 산업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폐기물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고 자연에서 자원을 체취하지 않고 폐기물을 재활용 하는 것임으로 폐기물을 처리하는 비용의 절감 및 공사비의 절약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제철소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는 중금속 및 유기 오염물질의 농도는 매우 낮으나 철강을 생산하기 위해 행해지는 용융과정에서 사용된 탄산칼슘으로 인해 강알카리성을 띠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지하수와 우수가 이와 같은 슬래그와 접촉되면 강알카리수로 변하게 된다.
강알카리수는 생물의 생육에 아주 해로운 것으로서, 강알카리수가 아무런 중화처리 없이 하천으로 유입된다면 하천에 서식하는 각종 동·식물들이 괴사하게 되는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경보호 차원에서 슬래그와 접촉된 침출수는 별도로 수집 되어 중화처리 된 뒤 배출되어야만 한다.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중화시키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11268호 "슬래그에 기인한 알칼리성 침출수 중화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슬래그와 물이 접촉되어 생성된 강알카리수가 형성된 지역에 인산석고를 첨가, 혼합함으로써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중화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산석고를 이용하여 침출수를 중화시키는 경우, 강알카리수와 인산석고가 중화반응 되는 시간이 길어 침출수가 대량으로 유입되는 경우 강알카리수와 인산석고간의 중화반응 시간이 길어 연속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강알카리수가 대량으로 발생되어도 신속하게 강알카리수를 중화시킬 수 있는 중화반응효율을 개선하는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량으로 발생되는 침출수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강알카리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설치된 각각의 지역 특성에 맞게 운전환경을 개선 하여 최적의 비용으로 침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강알카리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방법은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침출수를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되어 생성된 처리수와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을 분리시킨 뒤 각각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단계는 침출수의 온도를 0~20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단계는 압력을 3~5㎏/㎠으로 가압하고 침출수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장치는 슬래그와 접촉된 뒤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집 및 저장하는 원수 저장조; 상기 원수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침출수에 이산화탄소 용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동기가 포함된 냉각수조; 냉각수조에서 냉각된 침출수와 탄산가스를 가압하여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 반응 탱크; 상기 가압 반응 탱크로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조; 및 상기 가압 반응 탱크에서 침출수와 탄산가스의 중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탄산칼슘을 비중차를 이용해 처리수 하부로 침전시키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 반응 탱크에는 침출수와 이산화탄소의 중화반응 시 발생되는 탄산칼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출수와 이산화탄소의 중화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침출수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마그네틱믹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조는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이 배출구에 침하되도록 하부를 향해 콘 형상의 경사면이 구비되고, 침전조의 상부에는 탄산칼슘이 분리된 처리수만을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는 강알카리 침출수가 다량이 발생되어도 상기 다량의 침출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운전환경에 맞게 최적의 비용으로 침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방법은 크게 슬래그와 접촉되어 생성된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단계(S100), 수집된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110), 상기 냉각된 침출수를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단계(S120), 상기 가압단계(S120)에서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되어 생성된 처리수와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을 분리시킨 뒤 각각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1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집단계(S100)는 연약지반개량공사의 투수 배수층에 수평배수재로 사용된 슬래그와 우수 및 지하수 등이 접촉되어 생성된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수집하는 단계로서, 침출수의 수리 부하량 및 오염 부하량의 균등화를 위하여 12시간 정도 체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집단계(S100)에서 균등화가 이루어진 침출수는 냉각단 계(S110)에서 0~20도의 온도로 냉각된다. 이와 같이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것은 후술될 가압단계(S120)에서 침출수에 대한 탄산가스의 용해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때, 침출수의 온도는 경제성 및 처리 효율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현장에 맞게 0~2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침출수의 온도를 0~20도의 범위 내에서 냉각시키는 것은 침출수와 탄산가스의 반응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이다. 즉, 침출수의 온도가 2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산가스의 용해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침출수를 중화시키는 효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침출수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비용과 탄산가스의 용해율을 고려하여 최적의 운적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침출수의 온도는 0~20도 사이에서 유지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냉각단계(S110)에서 냉각된 침출수는 가압단계(S120)에서 탄산가스로 3~5㎏/㎠ 정도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는 침출수의 하부에서 산기 되며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산가스가 가급적 미세한 기포형태로 공급되는 경우 침출수와 더욱 효과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다.
상기 탄산가스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다른 가스에 비해 확보 및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탄산가스는 별도로 구비된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공급하는 방법과 발전소 및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인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 고, 탄산가스의 공급되는 압력은 상기의 가압단계(S120)의 가압 압력인 3~5㎏/㎠보다 높은 5~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단계(S120)에서 침출수와 탄산가스의 중화반응으로 생성된 처리수에는 입자형태의 탄산칼슘이 존재한다. 배출단계(S130)에서는 상기 처리수와 탄산칼슘을 분리시킨 뒤 각각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비중 차를 이용한 탄산칼슘의 침전으로 인해 처리수와 탄산칼슘을 분리시키거나 필터를 사용해 강제로 처리수와 탄산칼슘이 분리되게 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강알카리수 중화방법을 통해 강알카리성의 침출수를 중화시키기 위한 장치는 원수 저장조(100), 냉각수조(200), 가압 반응 탱크(300), 가스 공급조(400), 침전조(500)로 구성된다.
상기 원수 저장조(100)는 강알카리성인 침출수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출수의 수리 부하량 및 오염 부하량의 균등화를 위해 수집된 침출수를 12간정도 체류시킨다. 따라서 침출수가 체류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전체 장치에서 일일 처리할 수 있는 침출수의 양을 저장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조(200)는 원수 저장조(100)로부터 침출수를 공급받은 뒤 중화반응 시키기에 적당한 온도까지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침출수와 탄산가스의 용해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조(200)에는 침출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기(210), 온도계(220), 유량계(240) 등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조(200)에 포함된 냉동기(210)는 냉각수조(200) 내부의 침출수 온도를 냉각 시키는 것이고, 온도계(220)는 침출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침출수의 온도는 경제성 및 처리 효율을 고려하여 약 0~20도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수조(200)에는 산도계(220)가 포함된다. 상기 산도계(220)는 냉각수조(200)에 담겨진 침출수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의 산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측정된 침출수의 산도를 기반으로 가압 반응 탱크(300)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가압 반응 탱크(300)는 냉각수조(200)로부터 공급된 침출수에 탄산가스를 공급하여 침출수와 탄산가스가 중화반응 되게 하는 곳으로서, 침출수와 탄산가스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력용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가압 반응 탱크(300)는 강알카라성의 침출수를 내부에 담은 뒤 공기 압축기로 3~5㎏/㎠로 탄산가스를 가압하여 탄산가스의 유실을 방지하는 한편, 탄산가스가 침출수로 용해되게 한다. 이때, 가압 반응 탱크(300) 내로 공급되는 탄산가스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가스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 공급조(400)에서 공급된다. 가스 공급조(400)는 별도로 구비된 탱크에 탄산가스를 담아 보관하였다 공급하거나, 연료 연소 후 배출되는 10% 이상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5~8㎏/㎠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가압 반응 탱크(300)에 공급되는 탄산가스는 산기관(340)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산가스를 미세 기포 형태로 침출수 내부로 공급하는 경우 침출수와 탄산가스 간의 반응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가스 공급조(400)로부터 탄산가스를 공급받아 침출수를 중화시키는 가압 반응 탱크(300)에는 유량계(330) 및 산도계(32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유량계(330)는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로 공급되는 침출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산도계(320)는 침출수가 탄산가스에 의해 중화반응 될 때 침출수의 산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한 산도까지 침출수가 중화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가압 반응 탱크(300)에는 마그네틱믹서(3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마그네틱믹서(310)는 침출수에 강한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탄산가스와 반응되고 있는 침출수를 충분히 교반시켜 침출수가 중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탄산칼슘이 가압 반응 탱크(300) 바닥으로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탄산가스와 침출수의 반응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침전조(500)는 상기 가압 반응 탱크(300)의 내부에서 침출수가 중화반응 되어 생성된 처리수로부터 탄산칼슘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이 배출구에 침하되어 수집되도록 콘 형상의 경사면(510)이 구비된다.
또한, 침전조(500)에는 탄산칼슘이 분리된 처리수만을 회수할 수 있는 필터(52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사용되는 필터(520)는 중공사막 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침전조(500)에 필터(520)를 구비시킨 것은 침출수의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는 필터(520)를 사용해 강제로 침전조(500) 내의 처리수를 배출시킴으 로 전체 장치를 가동시키는 가동률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침전조(500)에서 비중 차를 이용해 탄산칼슘을 자연 침전시키는 경우에는 처리수를 침전조(500)에 적어도 1시간 정도는 담아두어야만 하지만, 필터(520)를 이용해 처리수를 배출시킬 경우에는 침전과정을 거치지 않고 처리수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출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자연 침전을 이용해 처리수를 배출시켜 가동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침출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필터(520)를 이용해 침출수를 배출시킴으로 신속하게 침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전조(500)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 전체 설비를 작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장치의 작동되는 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강알카리성 침출수는 수로를 통해 원수 저장조(100)에 수집 된다. 침출수는 원수 저장조(100)에 수집된 뒤 원수 저장조(100)에서 12시간 정도 체류되면서 수리 부하량 및 오염 부하량이 균등화된다.
상기 원수 저장조(100)에서 12시간 정도 체류된 침출수는 펌프에 의해 냉각수조(200)로 이동된다. 침출수는 상기 냉각수조(200)에서 냉각기(210)에 의해 0~20도 정도의 온도로 냉각된다. 침출수는 냉각수조(200)에서 적정온도에 도달되면 펌프에 의해 가압 반응 탱크(300)로 공급된다.
침출수가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로 일정량 공급되면 가압 반응 탱크(300) 는 밀폐된다. 이후, 탄산가스가 가스 공급조(400)에서 가압 반응 탱크(300) 공급된다. 탄산가스는 5~8㎏/㎠의 압력으로 공급되되 침출수의 하부에서 산기 되게 공급된다. 이때,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의 압력은 3~5㎏/㎠이 유지된다.
또한,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에서는 마그네틱믹서(310)가 가동되어 침출수에는 강한 와류가 발생된다. 탄산가스와 침출수의 반응으로 생성된 탄산칼슘은 상기 마그네틱믹서(310)에 의해 발생된 와류로 인해 가압 반응 탱크(300)의 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불어 상기 와류는 탄산가스와 침출수가 더욱 활발하게 중화반응이 이루어지게 한다.
침출수가 상기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에서 탄산가스와 중화반응이 완료되면, 가스 공급조(400)에서는 탄산가스의 공급이 중단되고, 가압 반응 탱크(300)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게 하강된다. 그 후 침출수의 중화반응으로 생성된 처리수는 가압 반응 탱크(300) 로부터 침전조(500)로 배출된다.
처리수의 양이 많을 경우 침전조(500)에서는 필터(520)를 사용해 강제로 탄산칼슘과 처리수를 분리시킨 뒤 탄산칼슘이 포함되지 않은 처리수만을 배출시킨다.
처리수의 양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자연 침전을 위해 처리수를 1시간 정도 침전조(500)에 담아둔다. 이때,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은 물과의 비중 차에 의해 침전조(500)의 하부로 침전된다. 따라서 처리수는 침전조(500)의 측면을 통해 방류시키고, 탄산칼슘은 적정량이 쌓이면 침전조(500) 하부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알카리수 중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원수 저장조 200: 냉각수조
210: 냉각기 300: 가압 반응 탱크
310: 마그네틱믹서 340: 산기관
400: 침전조 500: 침전조
510: 경사면 520: 필터
S100: 수집단계 S110: 냉각단계
S120: 가압단계 S130: 배출단계

Claims (6)

  1. 강알카리성 침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침출수를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탄산가스와 중화반응 되어 생성된 처리수와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을 분리시킨 뒤 각각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침출수의 온도를 0~20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는 압력을 3~5㎏/㎠으로 가압하고 침출수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4. 슬래그와 접촉된 뒤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집 및 저장하는 원수 저장조;
    상기 원수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침출수에 이산화탄소 용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침출수를 냉각시키는 냉동기가 포함된 냉각수조;
    상기 냉각수조에서 냉각된 침출수와 탄산가스를 가압하여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 반응 탱크;
    상기 가압 반응 탱크로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조; 및
    상기 가압 반응 탱크에서 침출수와 탄산가스의 중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탄산칼슘을 비중차를 이용해 처리수 하부로 침전시키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강알카리수의 중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반응 탱크에는 침출수와 이산화탄소의 중화반응 시 발생되는 탄산칼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출수와 이산화탄소의 중화반응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침출수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마그네틱믹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카리수의 중화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처리수에 포함된 탄산칼슘이 배출구에 침하되도록 하부를 향해 콘 형상의 경사면이 구비되고, 침전조의 상부에는 탄산칼슘이 분리된 처리수만을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카리수 중화장치.
KR1020090041229A 2009-05-12 2009-05-12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KR20100122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29A KR20100122271A (ko) 2009-05-12 2009-05-12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29A KR20100122271A (ko) 2009-05-12 2009-05-12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271A true KR20100122271A (ko) 2010-11-22

Family

ID=4340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229A KR20100122271A (ko) 2009-05-12 2009-05-12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227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051B1 (ko) * 2011-09-06 2013-09-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69572B1 (ko) * 2013-11-06 2014-03-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고압 가축 사체 처리장치
KR101373800B1 (ko) * 2013-07-23 2014-03-1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슬래그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탄산칼슘 제조장치
KR20190009916A (ko) * 2017-07-20 2019-01-30 한양수 이산화탄소 가스(탄산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및 연수화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폐수의 처리 방법
KR101926090B1 (ko) * 2017-08-31 2019-02-26 한양수 액화 탄산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폐수의 처리 방법
KR102178595B1 (ko) * 2020-04-28 2020-11-13 코스모이엔텍 (주) 탄산가스를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의 ph 저감장치
KR102406985B1 (ko) 2022-02-15 2022-06-10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폐수 중화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051B1 (ko) * 2011-09-06 2013-09-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73800B1 (ko) * 2013-07-23 2014-03-1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슬래그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탄산칼슘 제조장치
KR101369572B1 (ko) * 2013-11-06 2014-03-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고압 가축 사체 처리장치
KR20190009916A (ko) * 2017-07-20 2019-01-30 한양수 이산화탄소 가스(탄산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및 연수화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폐수의 처리 방법
KR101926090B1 (ko) * 2017-08-31 2019-02-26 한양수 액화 탄산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폐수의 처리 방법
KR102178595B1 (ko) * 2020-04-28 2020-11-13 코스모이엔텍 (주) 탄산가스를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의 ph 저감장치
KR102406985B1 (ko) 2022-02-15 2022-06-10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폐수 중화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2271A (ko) 강알카리수의 중화방법 및 중화장치
US7431834B2 (en) Waste water and sludge treatment apparatus
US6929423B2 (en) Gas recovery from landfills using aqueous foam
EP184975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and sludge
CN100537458C (zh) 一种垃圾渗滤液中氨氮的去除方法
CN101870536B (zh) 油页岩干馏污水处理工艺
CN109879510B (zh) 一种高氨氮废水氨回收方法
CN101157471B (zh) 一种以电石渣生产石灰的方法及装置
Arguillarena et al. Life cycle assessment of zinc and iron recovery from spent pickling acids by membrane-based solvent extraction and electrowinning
CN1903750A (zh) 电石渣上清液的循环回用方法
JP5952132B2 (ja) リン除去回収装置およびリン除去回収方法
CN108557978A (zh) 去除碱渣中硫化物的常温常压空气催化氧化设备及方法
JP4735561B2 (ja) 硫黄系cod成分を含有する廃水の処理方法
KR101393554B1 (ko) 음식물 쓰레기로 제설제를 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201121134Y (zh) 一种从电石渣中获得晶石灰的装置
JP3999520B2 (ja) 骨材再生方法及び装置
KR101146412B1 (ko) 구리 제련 슬래그의 수쇄 처리 방법
Rodriguez et al. Optimization of oxygen transfer through membrane diffusers for biological sweetening of biogas
CN202558671U (zh) 一种臭氧气浮装置
KR101269379B1 (ko) 폐수 처리 방법
CN102633385B (zh) 一种炸药生产废水的处理方法
CA3059673C (en) Active biodegradation of light hydrocarbons from fluid tailings
KR100391567B1 (ko) 수재스택에서발생하는증기및황화수소제거방법및장치
JP2016175083A (ja) リン除去回収装置およびリン除去回収方法
JP2014028746A (ja) 鉄鋼スラグの硫黄除去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