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095A -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095A
KR20100121095A KR1020090040078A KR20090040078A KR20100121095A KR 20100121095 A KR20100121095 A KR 20100121095A KR 1020090040078 A KR1020090040078 A KR 1020090040078A KR 20090040078 A KR20090040078 A KR 20090040078A KR 20100121095 A KR20100121095 A KR 20100121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session
content service
session record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김태현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09004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1095A/ko
Publication of KR2010012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기반으로 디지털컨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실시간으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을 인터넷상의 녹화서버에 저장하고 저장된 세션을 다른 사용자단말들이 실시간 혹은 미래에 재생할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션녹화시스템,녹화및 동시재생, 타임머신, 서버녹화

Description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Internet based session recording system for digital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디지털컨텐츠가 결합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할때 실시간으로 서비스세션을 녹화하고 이것을 향후 재사용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할수 있는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PTV, 온라인게임, 인터넷방송, 인터넷 강의, 영상회의, 온라인세미나, 원격교육, 프리젠테이션, 온라인강좌 등 디지털컨텐츠를 기반으로 온라인으로 정보를 교류할수 있는 모든 서비스 시스템 및 단말기기에 적용가능하며, 이후 모바일 디지털컨텐츠 기기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디지털컨텐츠를 활용한 인터넷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는 온라인게임, 인터넷방송이다. 온라인게임 사용자들은 게임공급사가 제공하는 기본 게임서비스외에 타사가 공급하는 여러부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방송은 동영상외에도 채팅, 게시판등 다양한 사용자입력이 가능하고 다른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온라인게임의 경우는 회원및 팀원간의 통신을 위해서 인터넷전화기능 을 따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강의 경우 강의자료외에 선생님의 동영상, 학생의 동영상 그리고 채팅을 통한 질문과 답변이 오고간다. 즉 하나의 디지털컨텐츠는 오늘날 많은 부분 다른 디지털컨텐츠와 결합되어 사용되고 이로서 새로운 디지털컨텐츠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온라인게임을 녹화해서 다시 TV로 방송을 해주거나 영상단말기기에서 재생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시키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모습을 가진 디지털컨텐츠의 변환은 비교적 간단해서 구현하는데 오래걸리지 않고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수 있는 여러도구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두개이상의 디지컬컨텐츠가 결합된 서비스의 경우 새로운 디지털컨텐츠를 쉽게 만들수 있는 구조가 되질 않는다. 여러가지 도구의 제약과 한계가 따른다. 예를 들어 온라인강의를 하면서 여러명의 학생과 상호작용을 해야하는 선생님의 경우 그러한 강의세션을 향후 재생가능한 디지털컨텐츠로 어떻게 변환시킬것인가? 먼저 어떤 디지털컨텐츠 형태로 만들것인가 가 중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PC에서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경우 선생님 PC의 모든 화면과 소리를 녹화하는 방식이 있다. 이것은 온라인강의 경우 강의를 하고 있는 선생님의 PC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과정의 결과로 동영상파일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사용자들이 나중에 다시 재생해볼수 있는 강의 동영상파일이 된다. 실시간으로 인터넷강의를 실시하는 동안 그 선생님의 PC화면과 소리는 녹화저장된다. 이후 강의가 종료되면 저장된 녹화파일을 선생님의 PC에서 변환시킨다. 이후 이것을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올려서 학생들이 다운로드 받아서 복습할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경우 선생님의 PC가 아주 성능이 뛰어나야 하고 또한 저장 변환을 위해서 많은 량의 하드디스크 공간이 필요하다. 보통 1시간짜리 강의를 녹화하는데 60GByte의 하드디스크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컨텐츠의 변환은 CPU의 성능에 많이 의존적이며 변환을 위해서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이외에도 동영상만으로 저장된 세션은 향후 개별적으로 분석 및 관리가 가능한 정보를 담고 있지 못하므로 사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강의 세션중 채팅형태로 주고받은 정보가 동영상형태로 저장되면 향후 검색과 정보추출이 불가능해서 관련강의의 효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단순 동영상파일 변환이 디지털컨텐츠 2차시장의 기본기술로 자리잡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예를들어 동영상과 음성, 그리고 채팅내용을 따로 저장하여 향후 각각을 결합 재생하는 형태의 디지털컨텐츠 서비스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자기PC에서 키보드와 마우스, 응용프로그램을 모두 녹화하는 응용프로그램은 있지만 이것은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의 PC사용을 모두 녹화하는 방식이기에 제3자가 사용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의 저장 및 녹화에 사용하기 적합한 기술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의 성능에 영향을 많이 받지않고 실시간으로 사용자단말의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을 사용자의 단말기기가 아닌 인터넷상의 서버에 녹화하고 향후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 녹화시스템은
말미의 <특허청구범위> 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기재되는 부분이므로 검토의 편의를 위해 초안에는 내용을 생략합니다.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은 디지털컨텐츠가 서비스되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세션을 녹화하지 않고 인터넷기반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녹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에 대한 부담을 덜고 사용자 단말의 성능상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간단하게 인터넷에서 녹화가 가능하도 록 해준다. 또한 서비스와 동시에 녹화가 됨으로써 녹화시간이 세션진행시간 외에 추가로 소요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들이 손쉽게 디지털컨텐츠를 제작할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시스템은 초기 디지털컨텐츠가 재생되는 사용자단말(10)과 해당 디지털컨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 디지털컨텐츠와 사용자입력을 녹화저장하는 세션녹화제공서버(30), 녹화된 세션을 읽어와서 재생시키는 재생용 사용자단말(40) 으로 구성될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컨텐츠는 동영상, 게임, 실시간강의, 인터넷방송, 인터넷영상회의, 채팅, 음성채팅, 원격교육, 온라인세미나 등 네트워크와 항상연동하는 온라인형태의 디지털컨텐츠와 저장형태의 오프라인 디지털컨텐츠 모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디지털컨텐츠는 사용자단말(10)에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제공서버 (20)을 통해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조금씩 계속보내는 방식이나 혹은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자단말(10) 에서는 디지털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듈(110) 과 디지털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용한 사용자입력을 저장하는 모듈(120) 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의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의 녹화와 동시에 재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디지털컨텐츠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세션을 녹화를 하지 않고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을 녹화 및 재생하는 시스템 으로서,
    녹화를 요청한 단말에 의해 서버에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이 실시간 녹화되고 이렇게 서버에 녹화된 세션을 재생하기 위해 단말들의 요구가 있을시 실시간 혹은 파일다운로드 방식으로 단말에서 재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디지털 서비스세션녹화시스템은
    디지털컨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이 서버로 부터 디지털컨텐츠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 디지털컨텐츠및 사용자입력이 포함된 세션을 녹화 저장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녹화 서버, 그리고 녹화된 세션파일을 재생하는 재생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파일기반의 디지털컨텐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저작하여 제공하는 영상, 음성, 문자, 이미지, 제어정보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디지털컨텐츠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단말은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부터 받는 정보이외에 사용자의 입력내용과 그에 따른 변화 생성된 어떠한 컨텐츠도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녹화서버로 전송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디지털컨텐츠서비스세션 녹화서버는 사용자단말로 부터 컨텐츠정보와 실시간 입력정보, 사용자 생성 디지털컨텐츠정보를 받아서 세션녹화 파일로 저장하는 세션녹화파일 생성모듈과 세션녹화파일을 관리하는 세션DB, 재생사용자 단말로 부터 요구를 받아서 세션녹화파일을 전송하는 세션녹화파일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세션녹화파일 생성모듈은 실시간 전송을 위해 세션데이터를 파일과 메모리에 동시에 저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입력과 디지털컨텐츠를 동기화 시키기 위하여 수신받은 데이타에 타임스탬프 ( Time stamp ) 를 삽입하여 저장하고 이것을 세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재생 사용자 단말에 세션녹화파일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파일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재생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세션녹화파일로 부터 디지털컨텐츠와 사용자입력부분을 분리하는 세션녹화파일추출모듈과 추출된 디지털컨텐츠와 사용자입력, 그리고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동기화 된 세션을 재생하는 디지털컨텐츠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재생사용자 단말은 일명 타임머신 기능으로 실시간으로 저장된 세션녹화파일을 재생하여 현재 녹화중인 디지털서비스세션을 재생할 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의 세션을 실시간 탐색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서비스 세션 녹화 시스템
KR1020090040078A 2009-05-08 2009-05-08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KR20100121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78A KR20100121095A (ko) 2009-05-08 2009-05-08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78A KR20100121095A (ko) 2009-05-08 2009-05-08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95A true KR20100121095A (ko) 2010-11-17

Family

ID=4340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078A KR20100121095A (ko) 2009-05-08 2009-05-08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10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bin Commentary: Learner-based listening and technological authenticity
US8150918B1 (en) Client controllable server-side playlists
TW53370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application layer packets of information in a network
Feeney et al. A description of the new technologies used in transforming dental education
Chen et al. Towards supporting programming education at scale via live streaming
CN104540026A (zh) 一种课堂内容录像及回放方法及系统
KR20060035729A (ko) 가상교실에서의 수업내용을 제공 및 기록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06095905A (zh) 基于ppt播放的互联网交互平台
Simpson Asynchronous access to conventional course delivery: a pilot project
JP5359199B2 (ja)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端末、コメン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9240B1 (ko)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Defranceschi et al. Video-lectures in a traditional mathematics course on iTunes U: Students' feedback
JP2008066794A (ja) テレビ会議予約・実施制御・記録制御装置、テレビ会議予約・実施制御・記録制御方法およびテレビ会議予約・実施制御・記録制御プログラム
Braun Listen up!: podcasting for schools and libraries
KR20100121095A (ko) 인터넷기반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서비스 세션녹화 시스템
TWI270831B (en) A multimedia learning system with digital archives
Viksilä Effectiveness of Video Lecturing Technology in ICT Learning
Osamnia et al. A novel automated course generation system embedded in the online lecturing platform for higher education
CN111726692B (zh) 音视图数据的互动播放方法
Syaifudin et al. The design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software in school computer laboratory
Kandzia et al. Course production-quick and effective
Naely et al. Using YouTube as unlimited educational video resources in teaching English skills
Ebner et al. TU Graz goes podcast
Follansbee Hands-on Guide to Windows Media
Padfield Broaden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radio: investigating methods for inclusion and wellbe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