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997A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997A
KR20100120997A KR1020090039919A KR20090039919A KR20100120997A KR 20100120997 A KR20100120997 A KR 20100120997A KR 1020090039919 A KR1020090039919 A KR 1020090039919A KR 20090039919 A KR20090039919 A KR 20090039919A KR 20100120997 A KR20100120997 A KR 2010012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quat
loquat extract
extract
preparation example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556B1 (ko
Inventor
강현식
김기환
이혁재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비파(Eriobotrya japonica seed)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료는 피부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추출물인 비파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뛰어나다.
비파 추출물, 화장료, 노화방지, 항산화, 콜라겐 섬유, 히아루론라제

Description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Seed―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aging Effect}
본원발명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파(Eriobotrya japonica Seed)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방지용 화장료의 개발의 기초가 되는 피부 노화 메카니즘은 피부가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현상(주름)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부 노화 메카니즘은 세포막의 지질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체내의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에 관여하여 기미, 주금깨 및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피부 노화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연령 증가에 따른 전신적, 내인성의 생리적 노화, 장기간 노출된 자외선에 의한 국소적인 외인성 광노화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미용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안면, 두부 등은 광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밝혀져, 인체 피부나 동물 모델의 광노화 및 주름 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노화에 따라 피부 내부 구조가 변화하는데, 그 예로서 표피, 진피의 비후화 또는 엘라스틴의 축적, 또는 탄성섬유의 입체구조 변화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피부구조의 주요 구성성분 골격인 콜라겐과 관련하여 콜라겐 섬유의 미세섬유화, 섬유형태의 약화 등이 밝혀지고 있다.(Zheng P. and Kligman L. H., uvA-induced ultrastructur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 A comparison to uvB-induced damage.J. Invest. dermatol., 100, 194-199(1993)) 그러나, 콜라겐 섬유가 묶여서 형성된 콜라겐 섬유다발에 대해서는, 광노화에 의한 구조 변화, 피부 물성의 변화 등에 대하여 지금까지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피부 상처 치료 과정의 연구 등에 의해 피부의 강인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관해서 알려져 있을 뿐이다.
최근, 피부 노화 연구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진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인한 태양광의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상기 태양광이 주름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여러가지 생약성분들을 사용하여 콜라겐 섬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기존의 방법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SOD 등을 함유한 화장료나 의약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나 의약품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 뿐 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가격이 높지 않고 인체에 안전한 천연 물질을 함유한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뿐만 아니라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하의 효과를 갖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파(Eriobotrya japonica Seed)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비파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뿐만 아니라 히아루론라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 가 뛰어나다.
또한,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는 피부 탄력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추출물인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뛰어나다.
본원발명은 비파(Eriobotrya japonica Seed)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파(Eriobotrya japonica Seed)는 비파나무의 종자를 의미하며, 상기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그것의 열매, 뿌리, 줄기껍질 및 잎은 약용으로 한방에서 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파 추출물은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에 의해 비파가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추출 용매에 한하지 않고, 추출시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비파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탄올에 한하지 않고, 탄소수 1 ~ 4인 저급 알코올로서, 무수 알코올(無水 alcohol) 또는 함수 알코올(含水 alcohol)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 비교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제조예, 비교예는 본원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제조예,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조예 1> :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포함한 추출 용매를 이용한 비파 추출물의 제조
본원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비파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국내에서 자생하는 비파나무의 종자인 비파를 구입하여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켰다. 그 후, 완전히 건조된 비파는, 균질화기(AM-7, 하이론켐)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비파 분쇄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 용매 1500 g을 준비한 후, 상기 비파 분쇄물 100 g을 첨가하였다. 이때, 비파 분쇄물과 추출 용매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 : 20 으로 하였다. 다만, 본 제조예에서는, 비파 분쇄물과 추출 용매를 1 : 20 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으나, 1 : 10 내지 1 : 30 의 비율에서 자유롭게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혼합 비율의 범위에서 추출할 때, 추출 효율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비파 분쇄물과 혼합한 추출 용매를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 넣어서 60℃에서 7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에 의해 얻어진 물질은, 200메쉬 여과포(청계상공사)를 사용하여 1차 추출 용매하고,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추출 용매지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 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16.2 g 였다.
<제조예 2> : 에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한 추출 용매를 이용한 비파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제조예 1과 다른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비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비파 추출물을 제조하되, 추출 용매는 에탄올 : 증류수 =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건조중량으로 18.4 g의 비파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포함한 추출 용매를 이용한 비파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제조예 1과 다른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비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비파 추출물을 제조하되, 추출 용매는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 =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건조중량으로 14.6 g의 비파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 :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영양크림 을 제조하되, 영양크림 총중량 대비 비파 추출물이 8.00 중량% 함유되도록 하였다.
우선,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비파 추출물, 카보머(Carbomer),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 마카데미아 넛 오일(Macademia Nut o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메치콘(Dimethicon),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를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유상(oi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상(oil phase)을 수상(water phase)에 첨가하면서 두 개의 상(phase)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에멀젼 형태의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에 중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첨가하고 45 ℃까지 냉각시킨 후, 향료(Argeville社, M.A. CO 25106B)를 첨가하고 35 ℃까지 냉각시켜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 종류의 영양크림 1, 영양크림 2, 영양크림 3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의 중량비를 84.95%로 하여,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대조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1]
구분 원료명 중량(%)
영양크림 1 영양크림 2 영양크림 3 대조군
영양크림
수상 1 정제수 76.95 76.95 76.95 84.95
2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8.00
3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8.00
4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8.00
5 카보머 0.15 0.15 0.15 0.15
6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7 부틸렌글리콜 4.00 4.00 4.00 4.00
8 메틸파라벤 0.20 0.20 0.20 0.20
유상 9 프로필파라벤 0.10 0.10 0.10 0.10
10 마카데미아 넛 오일 4.00 4.00 4.00 4.00
11 미네랄 오일 3.00 3.00 3.00 3.00
12 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2.00 2.00
중화제 14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첨가제 15 향료 0.30 0.30 0.30 0.30
<제조예 5> : 유연 화장수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되, 유연 화장수 총중량 대비 비파 추출물이 8.00 중량% 함유되도록 하였다.
우선, 하기의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비파 추출물, 글리세린(Glycerin), 소듐 피씨에이(Sodium PCA) 용액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변성 알코올(95% 에탄올),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알코올상(alcoho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상(water phase)과 알코올상(alcohol phase)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에 향료(Argeville社, M.A. CO 25106B)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멤브레인 필터(삼덕여과상사, 페이퍼필터)로 불순물을 여과하여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 종류의 유연 화장수 1, 유연 화장수 2, 유연 화장수 3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의 중량비를 85.81%로 하여, 하기의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대조군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2]
구분 원료명
중량(%)
유연 화장수1 유연화장수2 유연화장수3 대조군
유연화장수
수상




1 정제수 77.81 77.81 77.81 85.81
2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8.00
3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8.00
4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8.00
5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6 소듐 피씨에이 용액 3.00 3.00 3.00 3.00
알코올상

7 변성 알코올 10.00 10.00 10.00 10.00
8 메틸파라벤 0.10 0.10 0.10 0.10
9 프로필파라벤 0.02 0.02 0.02 0.02
첨가제 10 향료 0.07 0.07 0.07 0.07
<제조예 6> : 영양 화장수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되, 영양 화장수 총중량 대비 비파 추출물이 8.00 중량% 함유되도록 하였다.
우선, 하기의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비파 추출물, 카보머, 디소듐 이디티에이, 부틸렌글리콜, 메틸파라벤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프로필파라 벤, 마카데미아 넛 오일, 미네랄 오일, 디메티콘,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유상(oi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상(oil phase)을 수상(water phase)에 첨가하면서 두 개의 상(phase)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에멀젼 형태의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에 중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45 ℃까지 냉각시킨 후, 향료(Argeville社, M.A. CO 25106B)를 첨가하고 35 ℃까지 냉각시켜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 종류의 영양 화장수 1, 영양 화장수 2, 영양 화장수 3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의 중량비를 86.13%로 하여, 하기의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대조군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3]
구분 원료명 중량(%)
영양 화장수 1 영양 화장수 2 영양 화장수 3 대조군
영양 화장수
수상 1 정제수 78.13 78.13 78.13 86.13
2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8.00
3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8.00
4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8.00
5 카보머 0.15 0.15 0.15 0.15
6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7 부틸렌글리콜 1.00 1.00 1.00 1.00
8 메틸파라벤 0.20 0.20 0.20 0.20
유상 9 프로필파라벤 0.10 0.10 0.10 0.10
10 마카데미아 넛 오일 2.00 2.00 2.00 2.00
11 미네랄 오일 6.00 6.00 6.00 6.00
12 디메티콘 2.00 2.00 2.00 2.00
13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0.40 0.40 0.40 0.40
14 폴리소르베이트 60 1.60 1.60 1.60 1.60
중화제 15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0.15
첨가제 16 향료 0.25 0.25 0.25 0.25
<제조예 7> : 에센스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되, 에센스 총중량 대비 비파 추출물이 8.00 중량% 함유되도록 하였다.
우선, 하기의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비파 추출물, 메틸파라벤, 하이알루론산 추출물, 글리세린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프로필파라벤, 레시틴, 마카데미아 넛 오일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유상(oi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상(oil phase)을 수상(water phase)에 첨가하면서 두 개의 상(phase)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에멀젼 형태의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에 향료(Argeville社, M.A. CO 25106B)를 첨가하고 35 ℃까지 냉각시켜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 종류의 에센스 1, 에센스 2, 에센스 3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파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의 중량비를 78.58%로 하여, 하기의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대조군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표 4]
구분 원료명 중량(%)
에센스1 에센스2 에센스3 대조군
에센스
수상 1 정제수 70.58 70.58 70.58 78.58
2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8.00
3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8.00
4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8.00
5 메틸파라벤 0.15 0.15 0.15 0.15
6 하이알루론산 추출물 2.50 2.50 2.50 2.50
7 글리세린 8.00 8.00 8.00 8.00
유상 8 프로필파라벤 0.10 0.10 0.10 0.10
9 레시틴 0.60 0.60 0.60 0.60
10 마카데미아 넛 오일 10.0 10.0 10.0 10.0
첨가제 11 향료 0.07 0.07 0.07 0.07
<비교예 1> : 비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비파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펜톤 반응에 의한 지질 과산화 반응계(Lipid peroxidation system)를 이용하여 티오부틸레이트 아세트산(TBA)시험을 하였다.
우선, 에틸리놀레이트 10 mL에 0.2% 소듐도데실설폭시드(SDS), 염화제일철 10 mol, 과산화수소 2 mol을 첨가하여, 25 mM 트리즈마(Trizma)염산/0.75 mM 염화칼륨 완충용액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0.01 g을 디메틸설폭시드(DMSO)용액 0.1 mL에 용해시켰다. 상기 비파 추출물이 용해된 용액과 25 mM 트리즈마(Trizma)염산/0.75 mM 염화칼륨 완충용액 5 mL를 혼합한 후, 55 ℃에서 16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4% 부틸히드록실 톨루엔 50 mL 를 첨가한 후,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0.3 mL 시험관에 넣었다. 상기 0.3 mL 시험관에 0.05M 염산 3.0 mL 및 부탄올 4.0 mL 를 넣고, 원심분리하여 535 nm에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과,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넣은 시료들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넣지 않은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나타냈다.
[표 5]
시료 흡광도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함유 0.145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함유 0.142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함유 0.123
대조군 0.080
상기 표 5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계산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27532664-PAT00001
[표 6]
시료 항산화 효과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함유 81.25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함유 77.50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함유 53.75
비타민 E 45.20
상기의 표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은 항산화 효과는 81.25 의 수치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예 2 의 비파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 효과가 77.50 의 수치로 나타났고,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53.75 의 수치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는 비타민 E의 항산화 효과는 45.20 에 불과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 비파 추출물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 효과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비파 추출물이 콜라겐 섬유를 생합성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우선, 인간의 섬유 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 ATCC-28)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70 ~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 아세포에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로 각각 처리하되, 섬유 아세포 총 중량대비, 0.01 중량%, 0.10 중량%, 1.00 중량% 의 세 종류의 비율로 처리하였다. 그 후, 상용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 측정용 키트(BCA protein assay kit, pierce 23225)를 사용하여, 비파 추출물로 처리된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섬유 아세포를 대조군으로 하되,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는 대조군 1로 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는 대조군 2로 하여,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측정된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은 하기의 표 7에 나타냈다.
[표 7]
시료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
비파 추출물
(0.01 중량%)
비파 추출물
(0.10 중량%)
비파 추출물
(1.00 중량%)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 아세포
158 170 189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 아세포
115 130 141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 아세포
99 110 119
대조군 1 96 96 96
대조군 2 68 68 68
상기의 표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로 처리한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은 다른 섬유 아세포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였다. 비파 추출물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1 또는 대조군 2에 비해서 2배 이상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을 보였다.
또한, 제조예 2 또는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로 섬유 아세포를 처리할 때, 섬유 아세포 총 중량대비 1.00 중량%의 비파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은 각각 141% 와 119% 였다. 반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로 섬유 아세포를 처리할 때에는 섬유 아세포 총 중량대비 0.01 중량% 의 비파 추출물만 처리하여도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이 158%에 이르렀다.
상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이 높다는 사실은,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노화, 특히 광노화에 생기는 주름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교예 3> : 비파 추출물의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비파 추출물이 히아루론라제(sigma, 타입 4)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히아루론라제는 세포의 수분 보유에 관여하는 히아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히아루론라제의 활성이 저해되면 히아루론산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세포의 수분 보유능이 높아질 수 있다.
우선,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10 mg을 0.1M 아세트산 완충용액(pH 4.0) 100 mL에 용해시켜서 시험관에 넣어 두었다. 그 후, 히아루론라제 0.1 mg 을 용해시킨 아세트산 50 mL를 상기 시험관에 첨가하고, 37 ℃에서 20 분동안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히아루론산 나트륨 200 mg을 용해시킨 아세트산 완충용액 250 mL를 상기 시험관에 첨가하여, 37 ℃에서 40 분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상기 시험관에 0.4M 수산화나트륨 100 mL를 가하고, 냉각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관에 붕소산 완충용액(pH 9.0) 100 mL를 첨가하여 37 ℃에서 20 분동안 항온시킨 시료를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과,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넣은 시료들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을 넣지 않은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8에 나타냈다.
[표 8]
시료 흡광도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함유 0.195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함유 0.181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함유 0.168
대조군 0.102
상기 표 8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계산하였다.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는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9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27532664-PAT00002
[표 9]
시료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 함유 91.17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 함유 77.45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 함유 64.71
상기의 표 9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의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는 91.17% 였다. 반면,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의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는 각각 77.45%와 64.71% 였다. 상기의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은 히아루론라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매우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 영양크림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영양크림 1 내지 영양크림 3 및 대조군 영양크림 이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시험을 위하여, 28 세 이상 40 세 미만의 건강한 여성 32명(평균 연령 34세)을 선정하여 4그룹으로 나눈 후, 각각의 그룹에 영양크림 1, 영양크림 2, 영양크림 3, 대조군 영양크림을 눈가를 중심으로 12주 동안 1일 2회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영양크림을 사용하기 전(0주)의 피부탄력과 상기 영양크림을 12주 동안 사용한 후의 피부 탄력은 20 ~ 25℃의 온도 및 상대습도 60%의 분위기에서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575, Courage+Khazaka社)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실탄성계수(Net elasticity, R5)를 계산할 수 있으며, 실탄성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피부 탄력 증진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실탄성계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되며, 그 결과는 표 10에 나타냈다.
실탄성계수(R5) = R5(12주) - R5(0주)
[표 10]
실험군 실탄성계수(R5)
영양크림 1을 사용한 경우 0.19
영양크림 2를 사용한 경우 0.09
영양크림 3을 사용한 경우 0.05
대조군 영양크림을 사용한 경우 0.015
상기의 표 10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영양크림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0.19 였다. 상기 영양크림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 2를 사용한 경우보다 210% 높았고,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 3을 사용한 경우보다 380% 높았으며, 비파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 영양크림에 비 해 1267%나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은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 : 영양크림의 안전성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 1 내지 영양크림 3 이 인체 피부에 대해 안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시험을 위하여, 성인 남녀(남자 15명, 여자 15명)을 선정하여, 영양크림 1, 영양크림 2, 영양크림 3을 상박부 내측 연한 피부에 도포하였다. 상기 영양크림을 도포한 때로부터 24시간 경과한 후 및 48시간 경과한 후에, 피부 상태(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를 관찰하고, 그 결과(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 수/총 대상자수)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냈다.
[표 11]
실험군 24시간 경과후 48시간 경과후
영양크림 1을 사용한 경우 0/30 0/30
영양크림 2를 사용한 경우 0/30 1/30
영양크림 3을 사용한 경우 0/30 0/30
상기의 표 1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양크림 1, 영양크림 2, 영양크림 3을 도포한 후 24시간 경과한 후에는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는 아무도 없었고, 48시간 경과한 후에도, 영양크림 2를 사용한 경우에 한해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1명만 있었다. 대체적으로, 비파 추출물은 피부에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영양크림 1을 사용한 대상자 중에서,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는 아무도 없었다. 그 결과, 본원발명의 비파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은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6> : 유연 화장수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유연 화장수 1 내지 유연 화장수 3 및 대조군 유연 화장수가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얻은 실탄성계수(R5)는 하기의 표 12에 나타냈다.
[표 12]
실험군 실탄성계수(R5)
유연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 0.100
유연 화장수 2를 사용한 경우 0.030
유연 화장수 3을 사용한 경우 0.010
대조군 유연 화장수를 사용한 경우 0.007
상기의 표 1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0.100 였다. 상기 유연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 2를 사용한 경우보다 330% 높았고,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 3을 사용한 경우보다 1000% 높았으며, 비파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 유연 화장수에 비해 1428%나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는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7> : 유연 화장수의 안전성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유연 화장수 1 내지 유연 화장수 3이 인체 피부에 대해 안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비교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의 표 13에 나타냈다.
[표 13]
실험군 24시간 경과후 48시간 경과후
유연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 0/30 0/30
유연 화장수 2를 사용한 경우 0/30 1/30
유연 화장수 3을 사용한 경우 1/30 1/30
상기 표 1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유연 화장수 2, 유연 화장수 3을 도포한 후 48시간 경과한 후에는,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1명씩 있었다. 그러나,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 1을 사용한 대상자 중에서는, 48시간 경과후에도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아무도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가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8> : 영양 화장수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상기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영양 화장수 1 내지 영양 화장수 3 및 대조군 영양 화장수가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얻은 실탄성계수(R5)는 하기의 표 14에 나 타냈다.
[표 14]
실험군 실탄성계수(R5)
영양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 0.140
영양 화장수 2를 사용한 경우 0.070
영양 화장수 3을 사용한 경우 0.035
대조군 영양 화장수를 사용한 경우 0.011
상기의 표 1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영양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0.140 였다. 상기 영양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 화장수 2를 사용한 경우보다 200% 높았고,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 화장수 3을 사용한 경우보다 400% 높았으며, 비파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 유연 화장수에 비해 1272%나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 화장수는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9> : 영양 화장수의 안전성
상기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영양 화장수 1 내지 영양 화장수 3이 인체 피부에 대해 안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비교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의 표 15에 나타냈다.
[표 15]
실험군 24시간 경과후 48시간 경과후
영양 화장수 1을 사용한 경우 0/30 0/30
영양 화장수 2를 사용한 경우 1/30 0/30
영양 화장수 3을 사용한 경우 0/30 1/30
상기 표 15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양 화장수 2를 도포한 후 24시간 경 과한 후에는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1명 있었으나, 48시간 경과한 후에는 피부 트러블이 가라앉아서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아무도 없었다. 그리고, 영양 화장수 3의 경우에는, 48시간 경과한 후에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1명 있었다.
반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영양 화장수 1을 사용한 대상자 중에서는, 24시간 경과후 뿐만 아니라 48시간 경과후에도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아무도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 화장수가,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0> : 에센스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상기 제조예 7에서 제조한 에센스 1 내지 에센스 3 및 대조군 에센스가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얻은 실탄성계수(R5)는 하기의 표 16에 나타냈다.
[표 16]
실험군 실탄성계수(R5)
에센스 1을 사용한 경우 0.161
에센스 2를 사용한 경우 0.075
에센스 3을 사용한 경우 0.041
대조군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 0.012
상기의 표 16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에센스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0.161 였다. 상기 에센스 1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제조예 2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 2를 사용한 경우보다 214.67% 높았고, 제조예 3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 3을 사용한 경우보다 392.68%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는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1> : 에센스의 안전성
상기 제조예 7에서 제조한 에센스 1 내지 에센스 3이 인체 피부에 대해 안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비교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의 표 17에 나타냈다.
[표 17]
실험군 24시간 경과후 48시간 경과후
에센스 1을 사용한 경우 0/30 0/30
에센스 2를 사용한 경우 1/30 0/30
에센스 3을 사용한 경우 0/30 1/30
상기 표 17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에센스 2를 도포한후 24시간 경과한 후에는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1명 있었으나, 48시간 경과한 후에는 피부 트러블이 진정되어서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아무도 없었다. 그리고, 에센스 3의 경우에는, 48시간 경과한 후에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1명 있었다.
반면, 제조예 1의 비파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에센스 1을 사용한 대상자 중에서는, 24시간 경과후 뿐만 아니라 48시간 경과후에도 피부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가 아무도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가,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우수 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3)

  1. 비파(Eriobotrya japonica Seed)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 추출물은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비파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 추출물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39919A 2009-05-07 2009-05-07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19A KR101199556B1 (ko) 2009-05-07 2009-05-07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19A KR101199556B1 (ko) 2009-05-07 2009-05-07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997A true KR20100120997A (ko) 2010-11-17
KR101199556B1 KR101199556B1 (ko) 2012-11-12

Family

ID=4340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19A KR101199556B1 (ko) 2009-05-07 2009-05-07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556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149562A (ja) 皮膚外用剤
KR20080107565A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50074537A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104426A1 (en) Skin-care agent containing pleurotus ferulae fruit body extract or pleurotus ferulae mycelium extract
KR101199556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9610A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801B1 (ko)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010596B1 (ko) 에틸헥실갈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34720A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046A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46360A (ko)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lauroyl methylglucamide laur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7501B1 (ko) 들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115A (ko)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112546A (ko) 시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