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561A -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 Google Patents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561A
KR20100120561A KR1020090039437A KR20090039437A KR20100120561A KR 20100120561 A KR20100120561 A KR 20100120561A KR 1020090039437 A KR1020090039437 A KR 1020090039437A KR 20090039437 A KR20090039437 A KR 20090039437A KR 20100120561 A KR20100120561 A KR 20100120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atic
tailbone
support
cushion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548B1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환 filed Critical 김기환
Priority to KR102009003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5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의 좌골결절 부위를 받쳐주는 좌골결절 받침부와,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받쳐주며 꼬리뼈 받침부가 따로 구비되어, 정상인이 사용하면 디스크 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디스크 환자가 사용하면 증상을 완화 또는 치료 할 수 있는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질환, 방석, 좌골결절, 꼬리뼈

Description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Sea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k disease}
본 발명은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의 좌골결절 부위를 받쳐주는 좌골결절 받침부와,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받쳐주며 꼬리뼈 받침부가 따로 구비되어, 정상인이 사용하면 디스크 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디스크 환자가 사용하면 증상을 완화 또는 치료 할 수 있는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척추 사이의 판, 즉 추간판이 노화되면 그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에 원심성 균열(circumferential fissure)과 방사성 파열(radial tear)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척추가 과다하게 굴곡된 상태에서 압박력과 염전력을 받으면, 추간판 중앙의 수핵이 더 이상 섬유륜에 쌓여있지 못하고 방사성 균열 사이로 비집고 나와 소위 추간판 탈출증(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k)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일반적으로 디스크(disk) 또는 퇴행성 디스크 질 환(degenerative disc disease)이라 하며, 발병 부위에 따라 허리 디스크와 목 디스크로 분류 한다.
허리 디스크 환자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요통과 함께 다리가 아프고 저린 방사통으로서,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근을 자극하여 신경근이 분포하는 다리에 감각 이상을 초래하게 되며, 돌출된 수핵이 크고 중앙에 위치한 경우에는 대소변 기능이나 성기능 장애 및 하지 마비가 올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는 전통적으로 좌식생활을 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에 두 다리를 꼬고 앉는 소위 양반다리 자세로 앉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자세에서는 체중의 대부분이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에 집중된다.
이때, 엉덩이 양쪽에 툭 튀어 나온 좌골결절은 무릎보다 낮게 위치하기 때문에 골반과 척추가 전방으로 굴곡된 척추 전만(kyphosis)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자세에서는 허리디스크에 큰 하중이 미치게 되어 결국 디스크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람이 바닥에 앉았을 때, 척추가 앞으로 휘는 전만(kyphosis) 현상 개선하고, 나아가 척추가 S자 형태로 펴진 후만(lordosis) 상태를 유지하여 허리 디스크 및 목 디스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방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은 인체의 양쪽 좌골결절 부위를 바닥면에서 3~5 Cm의 높이로 받쳐주는 좌골결절 받침부와,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어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좌골결절 부위보다 약 1.5 내지 2.0배 높이로 받쳐주는 꼬리뼈 받침부와,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와 꼬리뼈 받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 좌골결절 받침부에는 각각 좌골결절의 전방에 배치되는 미끄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리뼈 받침부는 꼬리뼈를 수용하는 꼬리뼈 수용홀과, 꼬리뼈 주위의 대둔근(musculus glutaeus maximus)을 받쳐주는 대둔근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의 전방에는 인체의 무릎관절 및 양쪽 발을 받쳐주는 바닥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은 정상인이 사용하면 디스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디스크 환자가 사용하면 디스크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경감하고, 나아가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의 엉덩이 부분 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서 좌골결절과 고리뼈의 높이에 따른 척추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 선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석을 사용하기 전후의 척추 상태를 찍은 X-ray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인체에서 엉덩이 부위의 골격은 두개의 좌골결절(1)과 한 개의 꼬리뼈(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체로 삼각형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골결절(1) 보다는 꼬리뼈(2)가 약간 높게 위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예컨대 양반다리 자세로 바닥에 앉으면, 도 2의 (A)와 같이 좌골결절(1)이 무릎관절(3)보다 낮아지면서 척추(4)가 앞으로 휘는 소위 전만(kyphosis)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자세가 지속 또는 반복되면 각종 디스크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상태에서 도 2의 (B)와 같이, 좌골결절(1)의 높이를 무릎관절(3)의 높이로 들어 올려주면, 척추 전만이 상당히 완화된다.
그리고 다시 도 2의 (C)와 같이 꼬리뼈(2) 부위를 좌골결절(1) 보다 더 높이 들어올려 주면, 척추 전만이 더욱 완화되고, 이러한 자세가 지속 또는 반복되면, 궁극적으로 굽은 척추(4)가 S자 형태의 후만(lordosis)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인체는 이러한 자세 일 때 척추, 특히 추간판에 미치는 부담이 가장 적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석은 양쪽 좌골결절 받침부(10)와, 꼬리뼈 받침부(20)가 삼각형 구도를 형성하고,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와 꼬리뼈 받침부(20)가 각각 경사면(30)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는 인체의 양쪽 좌골결절(1) 부위가 바닥면에서 3~5 Cm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받쳐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쪽 좌골결절 받침부(10)에는 사람이 그 위에 앉았을 때 양쪽 좌골결절(1)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람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턱(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꼬리뼈 받침부(20)는 양쪽 좌골결절 받침부(10)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어 인체의 꼬리뼈(2) 부위를 받쳐주며 좌골결절(1) 부위보다 약 1.5 내지 2.0 배 높게 받쳐 준다.
이때, 꼬리뼈(2) 부위는 민감하기 때문에 인체의 하중이 장시간 동안 직접 꼬리뼈(2)에 미치면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꼬리뼈 받침부(20)는 꼬리뼈(2)를 수용하는 꼬리뼈 수용홈(21)과, 꼬리뼈(2) 주위의 대둔근을 받쳐주는 대둔근 지지부(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인체의 하중이 꼬리 뼈(2)에 직접 미치지 않으면서 꼬리뼈(2) 부위를 들어올려 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와 꼬리뼈 받침부(20)는 경사면(30)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상기 경사면(30)은 도 3A와 같이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와 꼬리뼈 받침부(20) 및 경사면(30)이 전체적으로 삼각형 구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석 위에 사람이 앉으면, 도 2의 (C)와 같이 양쪽 좌골결절 받침부(10)가 인체의 좌골결절(1) 부위를 받쳐주며, 꼬리뼈 받침부(20)는 인체의 꼬리뼈(2) 부위를 받쳐준다.
이때,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의 높이가 3 Cm 미만이거나, 꼬리뼈 받침부(20)의 높이가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 보다 약 1.5 배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원하는 충분한 척추 후만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좌골결절 받침부(10)의 높이가 5 Cm 이상이거나, 꼬리뼈 받침부(20)의 높이가 2.0 배 이상이면,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오히려 인체에 무리를 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석은 쿠션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와 꼬리뼈 받침부(20)의 높이는 당연히 사람이 방석 위에 앉았을 때의 높이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턱(15)은 좌골결절(1)의 전방에 밀착되어 인체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착석 안정감을 높여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꼬리뼈(2) 는 꼬리뼈 수용홈(21) 내에 위치하고, 대둔근 지지부(22)가 꼬리뼈(2) 주위의 대둔근을 받쳐 주기 때문에 인체의 하중을 좌골결절, 꼬리뼈, 대둔근 및 그 주변 근육으로 분산시켜서 장시간 동안 앉아 있어도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석에 사람이 앉았을 때 무릎관절 및 양쪽 발이 위치하는 부위, 즉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10)의 전방에는 좌골결절 받침부(10) 보다 낮은 바닥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바닥부(도시하지 않음)과 좌골결절 받침부(10) 및 꼬리뼈 받침부(20)가 차례로 3단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사람이 앉았을 때 바닥부(도시하지 않음)와 좌골결절 받침부(10) 사이가 3~5 Cm의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석을 사용한 사람의 척추를 촬영한 X-ray 사진이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석을 사용한 사람의 척추를 촬영한 X-ray 사진이다. 상기 도 4의 (A) 및 (B)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석을 사용한 사람의 경우, 척추가 S자 형태로 펴진 후만(lordosis)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은 통상적인 방석 제작용 소재, 예컨대 천연솜이나 미세사, 또는 스펀지, 쿠션이 좋은 발포수지 재질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방바닥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의자용이나 차량용 방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의 엉덩이 부분 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서 좌골결절과 고리뼈의 높이에 따른 척추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을 보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 선단면도,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석을 사용하기 전후의 척추 상태를 찍은 X-ray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좌골결절 2 ; 꼬리뼈
3 ; 무릎관절 4 ; 척추
10 ; 좌골결절 받침부 15 ; 미끄럼 방지턱
20 ; 꼬리뼈 받침부 21 ; 꼬리뼈 수용홈
22 ; 대둔근 지지부 30 ; 경사면

Claims (4)

  1. 인체의 양쪽 좌골결절 부위를 바닥면에서 3~5 Cm의 높이로 받쳐주는 좌골결절 받침부와,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어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좌골결절 부위보다 약 1.5 내지 2.0배 높이로 받쳐주는 꼬리뼈 받침부와,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와 꼬리뼈 받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좌골결절 받침부에는 각각 좌골결절의 전방에 배치되는 미끄럼 방지턱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뼈 받침부에는 꼬리뼈를 수용하는 꼬리뼈 수용홈과, 꼬리뼈 주위의 대둔근(musculus glutaeus maximus)을 받쳐주는 대둔근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골결절 받침부의 전방에는 인체의 무릎관절 및 양쪽 발을 받쳐주는 바닥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질환 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KR1020090039437A 2009-05-06 2009-05-06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KR10110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437A KR101107548B1 (ko) 2009-05-06 2009-05-06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437A KR101107548B1 (ko) 2009-05-06 2009-05-06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561A true KR20100120561A (ko) 2010-11-16
KR101107548B1 KR101107548B1 (ko) 2012-01-31

Family

ID=4340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437A KR101107548B1 (ko) 2009-05-06 2009-05-06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82A1 (ko) * 2012-12-03 2014-06-12 주식회사 알파메딕 골반저근 강화용 디바이스
WO2017160099A1 (ko) * 2016-03-18 2017-09-21 주식회사 티앤아이 척추자세를 교정하는 골반 방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41B1 (ko) * 2001-06-04 2003-12-31 정한기 화장비누 조성물
KR20030058808A (ko) * 2001-12-31 2003-07-07 권석수 방석
KR200292585Y1 (ko) * 2002-07-27 2002-10-25 차준민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된 미용의자
KR20030014743A (ko) * 2003-01-20 2003-02-19 김인호 매트릭스 코드를 이용한 에스엠에스 티켓팅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14743Y1 (ko) * 2003-03-12 2003-05-27 주식회사 울타리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82A1 (ko) * 2012-12-03 2014-06-12 주식회사 알파메딕 골반저근 강화용 디바이스
WO2017160099A1 (ko) * 2016-03-18 2017-09-21 주식회사 티앤아이 척추자세를 교정하는 골반 방석
KR20170108707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티앤아이 척추자세를 교정하는 골반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548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CN102481220A (zh) 姿势系统
JP3988169B1 (ja) 椅子用姿勢改善補助椅子
US4500137A (en) Physiological chair
US4555139A (en) Patient&#39;s defined-motion chair
KR20110117193A (ko)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1461336B1 (ko) 피멀리스 시트
KR101107548B1 (ko)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CN202191018U (zh) 一种人性化保健座椅
KR102358047B1 (ko) 척추 스트레칭용 의자
US5833708A (en) Method for improved lumbar spine disc flexion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CN106974465A (zh) 四姿态办公椅
JP2014046131A (ja) 椅子の座部構造
TWM504517U (zh) 用於預防脊椎疾病的坐式裝置
WO1991003969A1 (en) Seat
WO2013045481A1 (en) Ergonomic therapeutic seat structure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KR102487012B1 (ko) 다리의 벌어짐을 고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 의자
CN210056385U (zh) 一种腰间盘突出康复矫正座椅
KR102542760B1 (ko) 방석형 기구
KR20210097608A (ko) 허리 디스크 보호 및 요통방지 시트
KR200285597Y1 (ko) 에어쿠션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