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354A -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 Google Patents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354A
KR20100120354A KR1020090039125A KR20090039125A KR20100120354A KR 20100120354 A KR20100120354 A KR 20100120354A KR 1020090039125 A KR1020090039125 A KR 1020090039125A KR 20090039125 A KR20090039125 A KR 20090039125A KR 20100120354 A KR20100120354 A KR 2010012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pattern
metal layer
decorative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종
안경수
장재혁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354A/ko
Publication of KR2010012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재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른 다수의 곡률 패턴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곡률패턴부와 상기 곡률패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를 형성시킨 곡률패턴부 상에 금속층을 배치하여 단순한 금속의 질감뿐만 아니라 문양의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금속층의 형성을 곡률패턴부 상에 다양하게 구현시킴으로써, 자연광이 입사 후 반사에 따른 광의 반사각도 및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 구현을 극대화시키며, 광의 조도분포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문양의 위치와 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의 달라지는 금속질감의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식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장식재, 곡률패턴부

Description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Ornament within Flexural Pattern}
본 발명에서는 요철패턴 면의 패턴형상이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장식재를 구현하여, 금속질감뿐만 아니라 문양의 입체감을 나타내는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제품이나 휴대폰 등의 다양한 기기에 외양을 형성하는 장식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장식재는 이제 단순한 도안이나 문안을 인쇄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식의 몰드를 가지고 장식을 인쇄하는 단계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특히, 무늬형 장식재는 각종 제품의 장식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최근 들어 휴대폰의 표시창 또는 외부케이스의 장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재는 합성수지계 필름이나 금속 박막을 소재로 한 무늬 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소재에 무늬 형이 형성되어 독특한 질감을 발현한다. 통상적으로, 합성 수지 장식재는 합성 수지 시트, 필름, 패널 등에 패턴을 평면 인쇄하고 색상효과를 부여한 후 투명한 표면층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합성 수지 장식재는, 평면 패턴의 단순 반복 및 패턴 색상의 단순성 등으로 인해, 소비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도 1은 이러한 무늬 형이 도안 된 장식재를 제조하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한 것이다.
종래의 장식재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a)~(b) 무늬 형이 형성된 마스터(110)에 몰드수지(120)를 도포하고, 지지체(130)를 합착하는 단계, (c)~(e)몰드수지(120)과 지지체(130)로 구성된 몰드(140)를 기판(135)과 무늬형성용 수지(121)에 압착하는 단계, (f) 몰드를 제거하여 무늬 형이 형성된 층(150)과 기판(135)을 형성하고, (g)~(h) 굴절반사층(160)이나 오버코팅층(170)을 형성하여 장식재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무늬 형에 형성된 굴절층의 반사작용을 통해 광택과 질감을 구현하는 장식재를 구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서처럼, 일정한 몰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패턴이 형성된 몰드수지에 패턴을 압인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거나, 다른 예로는 기계가공,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한 패턴형성, 에칭, 전주 도금 등의 방식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 제작가능한 패턴은 일정한 양식을 구현하여 금속제 코팅을 통한 금속질감을 형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의 배열이나 제조공법으로는 금속의 질감의 구현이 획일화되며, 상하좌우 방향에서 바라보는 문양의 변화가 없으며, 입체감의 형성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는 다양한 심미감과 입체감, 금속질감을 구현하고 자 하는 현 장식재의 전자제품에의 적용 면에서 매우 낙후된 미감을 형성하는 문제로 귀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를 형성시킨 곡률패턴부 상에 금속층을 배치하여 단순한 금속의 질감뿐만 아니라 문양의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재 제공함과 아울러, 금속층의 형성을 곡률패턴부 상에 다양하게 구현시킴으로써, 자연광이 입사 후 반사에 따른 광의 반사각도 및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 구현을 극대화시키며, 광의 조도분포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문양의 위치와 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의 달라지는 금속질감의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른 다수의 곡률 패턴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곡률패턴부와 상기 곡률패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보다 효율적인 입체감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곡률패턴부는, 패턴변환선(X)의 상부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제1곡률부와 상기 패턴변환선(X)의 하부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제2곡률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는 교차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배치간격이나 구도는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상기 제1 및 제2곡률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영역인 피치스페이스는 공기층 또는 접착물질로 충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입체감과 질감의 구현을 달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곡률부 또는 제2곡률부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곡률부의 지름(R)이 0.1~300um 를 만족하는 구면 또는 비구면의 곡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본이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와 금속층의 배열로 구성되는 입체형성층은, 그 상하면에 투명지지체, 투명필름,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적층 시킨 구조의 장식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는 자외선경화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서의 본 발명에서의 금속층은 상기 금속층은 Al, Ti, Ni, Sn, F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며, 그 외각에 스테인레스층(SUS)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복합금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금속층은 상기 곡률패턴부에 경사 증착을 통해 일부 영역에 증착되는 국소금속층영역을 적어도 1 이상 구비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곡률패턴부에 형성되는 국소금속층영역은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층이 2 이상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곡률패턴부는 축광안료물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를 형성시킨 곡률패턴부 상에 금속층을 배치하여 단순한 금속의 질감뿐만 아니라 문양의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금속층의 형성을 곡률패턴부 상에 다양하게 구현시킴으로써, 자연광이 입사 후 반사에 따른 광의 반사각도 및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 구현을 극대화시키며, 광의 조도분포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문양의 위치와 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의 달라지는 금속질감의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식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른 다수의 곡률 패턴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곡률패턴부와 상기 곡률패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으로 형성되는 입체형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재를 구현하는 것을 그 기본 요지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곡률패턴부는 도시된 것과 같이, 패턴변환선(X)의 상부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제1곡률부(10)와 상기 패턴변환선(X)의 하부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제2곡률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는 반대 곡률을 형성하며, 그 배치는 도시된 것처럼 제1곡률부의 패턴 종결점에서 제2곡률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순환적인 배치 이외에도 상기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가 규칙적인 배열을 형성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전체 곡률패턴부에서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를 적어도 1 이상 배치하는 구성이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의 하면에는 장식재를 형성하는 다양한 층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기저층(Y)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기 각 곡률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30)을 '피치스페이스'라고 정의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저층(Y)는 향후 장식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재질의 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치스페이스(30)에는 빈공간(공기층)으로 두거나 아니면 다른 물질층(예를 들면, PSA와 같은 접착물질층)으로 채워 광투과율이나 반사율에 변동을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률패턴부의 각 패턴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특히 상기 제1곡률부 또는 제2곡률부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형성하거나, 각 곡률부의 지름(R)이 0.1~300㎛를 만족하는 구면 또는 비구면의 곡률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곡률패턴부는 자외선경화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수지를 말한다. 물론 열경화방식의 수지도 사용될 수 있으나, 열경화 방식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발생 및 온도차에 의한 부피의 수축 등의 문제를 고려한다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곡률패턴부의 상면에는 금속층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자연광이 금속층을 통해 반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은 입사되는 자연광을 반사시키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상기 곡률패턴부의 곡률에 따라 반사각도를 변환시킴으로써, 형성한 문양의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는 자연광이 입사되는 경우, 종래의 기술처럼 단순히 광을 반사부를 통해 반사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음의 곡률을 모두 가지는 미세패턴을 통해 형성된 문양이 빛의 반사율이 자유롭게 변경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어 문양의 입체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문양이 양, 음의 곡률을 가지는 미세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어, 양각, 음각 그리고 금속층면 또는 반대 면에 관계없이 입체감을 가지는 금속질감의 외장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입체감의 형성을 보다 다양하고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다른 입체감을 형성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금속층의 배치를 달리할 수 있는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층의 배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상술한 실시예처럼 기저층(Y)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10, 20)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금속층(40)이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금속층은 Al, Ti, Ni, Sn, Fe, Cr, Ag, Au, Cu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금속은 일례를 든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금속으로서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금속층의 형성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기저층(Y)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10, 20)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금속층(40)이 형성하되, 상기 곡률패턴부의 일부 면에만 금속층이 형성(이하, '국소금속층영역'이라 한다.)되도록 금속층을 증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국소금속층영역이 곡률패턴부 영역에 적어도 1 이상 존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금속층을 플라즈마 증착 등의 방법으로 경사 증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사 증착은 입사되는 증착 물질의 입사방향에 상기 곡률패턴부를 소정각도(0도~90도)만큼 기울이거나, 또는 곡률패턴부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입사되는 플라즈마의 입사각도를 소정각도(0도~90도)만큼 기울이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금속층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 3a에서 구현되는 문양의 입체감과는 다른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곡률패턴부의 곡률을 그대로 투과하거나 금속 층에 반사되는 광의 변화를 통해 심미감을 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c는 도 3b에 제시된 국소금속층영역을 경사 증착을 통해 형성하되, 1차적으로 한 방향으로 국소금속층영역(40)을 형성하고, 다시 반대 면에 경사 증착을 통해 다른 재질의 금속층을 형성(41)하는 방식으로 금속층을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조는 곡률패턴부 면이 전혀 보이지 않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경사 증착의 경사각도의 형성에 따라 국소금속층영역이 곡률패턴부의 일부 면에만 형성되며, 곡률패턴부 면을 가리지 않는 부분도 구비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금속층을 형성한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기저층(Y)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10, 20)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금속층(42)을 형성하되, 복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부의 최외각층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층(43)을 형성하여 메탈 느낌을 더욱 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금속층은 불투명재질로 광은 일부만 차단하여 일정부분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율을 구비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술한 구조의 곡률패턴부와 금속층으로 형성되는 입체형성층을 포함하는 장식재의 적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a)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10, 20)와 상기 곡률패턴부의 상면에 금속층(40)이 형성된 입체형성층이 구비되며, 그 상면에는 투명지지체(50), 그 하면에는 투명필름(60)이 적층되며, 상기 투명필름의 하부에는 접착층(31)으로 접착되는 보호필름(70)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치스페이스(30)에는 접착물질로 충진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투명지지체(50)과 접착 시키는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b) 또는, 상기 피치스페이스(30)을 빈공간으로 형성하고, 별도의 접착층(51)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조와는 약간 다른 구조의 장식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로 형성되는 곡률패턴부를 도 4a에서 제시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a) 즉, 곡률패턴부(10, 20)의 양의 곡률 방향이 보호필름(7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배치하며, 곡률패 턴부의 상부에는 투명필름(60)과 접착층(51), 그리고 투명지지체(50)을 적층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필름(70)과 피치스페이스(30) 사이에는 접착물질을 충진하여 접착을 형성할 수 있다. (b) 또는, 상기 피치스페이스(30)을 빈공간으로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별도의 접착층(31)을 통해 상기 보호필름과 접착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a)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에서 제2곡률부(20)가 음의 곡률을 갖는 구조이되, 상기 제2곡률부를 제1곡률부(10) 보다 더 큰 구조로 형성하는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상기 곡률패턴부(10, 20)의 상면에 접착층(51)과 투명지지체(50), 그 하면에 투명필름(60)과 접착층(31)에 의해 부착되는 보호필름(70)이 적층되며, 상기 피치스페이스(30) 부분은 빈공간(공기층)으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b)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피치스페이스(30)을 접착물질로 충진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a) 상기 도 4c의 구조와 유사하되, 상기 곡률패턴부의 곡률형성 방향이 반대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a)는 피치스페이스(30)를 공기층으로 구성한 구조이며, (b)는 피치스페이스(30)를 접착물질로 충진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도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성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변형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에는 축광안료를 혼합한 자외선 경화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축광안료란 광이 입사하는 경우 소정의 광을 흡수하여 자체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이러한 축광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방출되 는 빛이 서로 상이한 금속재질에 반사, 굴절 등을 통해 합성되어 보임으로써 금속성의 질감이 뛰어난 심미감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도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률패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층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재의 적용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른 다수의 곡률 패턴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곡률패턴부;
    상기 곡률패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률패턴부는,
    패턴변환선(X)의 상부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제1곡률부;
    상기 패턴변환선(X)의 하부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제2곡률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는 교차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4.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곡률부에 의해 형성되는 피치스페이스는 공기층 또는 접착물질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부 또는 제2곡률부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부 또는 제2곡률부는,
    각 곡률부의 지름(R)이 0.1~300㎛를 만족하는 구면 또는 비구면의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곡률패턴부와 피치스페이스로 형성되는 입체형성층의 상하면에,
    투명지지체, 투명필름,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적층 시킨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곡률패턴부는 자외선경화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Al, Ti, Ni, Sn, Fe, Cr, Ag, Au, Cu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며,
    그 외각에 스테인레스층(SUS)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복합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곡률패턴부에 경사 증착을 통해 일부 영역에 증착되는 국소금속층영역을 적어도 1 이상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곡률패턴부에 형성되는 국소금속층영역은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층이 2 이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곡률패턴부는 축광안료물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KR1020090039125A 2009-05-06 2009-05-06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KR20100120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25A KR20100120354A (ko) 2009-05-06 2009-05-06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25A KR20100120354A (ko) 2009-05-06 2009-05-06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54A true KR20100120354A (ko) 2010-11-16

Family

ID=4340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125A KR20100120354A (ko) 2009-05-06 2009-05-06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0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23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금속증착층에 의한 장식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장식패턴을 포함한 플라스틱 장식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23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금속증착층에 의한 장식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장식패턴을 포함한 플라스틱 장식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1747B2 (ja) 光学可変素子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4922562B2 (ja) 時計用表示板
WO2019154020A1 (zh) 光学装饰膜、制备方法及消费电子产品盖板
CN111049959B (zh) 壳体组件、壳体组件的制备方法及电子设备
JP2006507527A5 (ko)
CN111447776A (zh) 壳体组件、壳体组件的制备方法及电子设备
CN102871334A (zh) 闪光指甲贴及其制造方法
CN111491793A (zh) 装饰元件及其制备方法
CN211106668U (zh) 一种膜片
KR101926648B1 (ko)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KR20110019899A (ko) 입체패턴을 나타내는 인서트 몰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8051517A (ja) 時計用文字板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時計
US11597177B2 (en) Decorative film
CN108697012A (zh) 塑胶壳体和电子设备
CN201312451Y (zh) 一种电子产品外壳
JP5564413B2 (ja) 時計用表示板
CN109203825A (zh) 一种壳体、其制造工艺及电子设备
CN109274786B (zh) 外观件、手机后盖及电池组件
KR20100120354A (ko) 곡률패턴부를 구비한 장식재
JP6110541B1 (ja) 積層体
WO2018103142A1 (zh) 一种聚光变炫光装饰片及生产工艺
CN209132455U (zh) 彩色氛围光效光学膜及制造该光学膜的模具
JP2000155181A (ja) 時計用文字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132454U (zh) 消色散氛围光效果光学膜及制造该光学膜的模具
CN109445009A (zh) 彩色氛围光效光学膜及制造该光学膜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