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771A - 메쉬 패드를 갖는 치과교정 뼈 고정판 - Google Patents

메쉬 패드를 갖는 치과교정 뼈 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771A
KR20100119771A KR1020107018407A KR20107018407A KR20100119771A KR 20100119771 A KR20100119771 A KR 20100119771A KR 1020107018407 A KR1020107018407 A KR 1020107018407A KR 20107018407 A KR20107018407 A KR 20107018407A KR 20100119771 A KR20100119771 A KR 2010011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ttachment plate
orthodontic
mating surfac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맥퀼란
리차드 리씨그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0011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1Juxtaosseous implants, i.e. implants lying 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jaw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뼈 부착부(20), 브라켓 부착판(40), 및 상기 뼈 부착부(20)와 브라켓 부착판(40) 사이에 연결된 점막관통 넥(30)을 갖는 치과교정 고정 시스템(10)이 제공된다. 브라켓 부착판(40)은 치과교정 브라켓(51)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50)에 접착성 부착하도록 구성된 정합용 표면(41)을 갖는다. 브라켓 부착판의 정합용 표면은 치과교정 브라켓이 브라켓 부착판에 부착될 때 접착제(53)의 일부분을 유지하는 내부 보이드(4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메쉬 패드를 갖는 치과교정 뼈 고정판{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본원은 2008년 2월 1일자 출원된 미국 가명세서 출원번호 제61/025,442호의 이득을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로 하고 있다.
본원은 대체로 치과교정 기구들(orthodontic appliance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과교정 브라켓들을 임시 부착 또는 영구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을 갖는 치과교정 뼈 앵커(bone anchor)에 관한 것이다.
치과교정 골막하 뼈 앵커들은 당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들은 치과교정 전문의 또는 구강 외과의사가 앵커들로서 환자의 치아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입안에 치과교정 기구들을 배치할 수 있게 허용한다. 치과교정 전문의는 어금니 정박(molar anchorage)이 너무 약하게 될 수 있는 조건들, 즉 절치의 견인(en masse retraction)과 같은 것을 위한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대안의 치과교정 앵커들을 사용할 것을 원할 수 있다. 치과교정 뼈 앵커들은 종래 방식의 어금니 정박이 실행되는 경우에 비하여 환자 결과가 더 양호할 때의 케이스들에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치과교정 뼈 앵커들은 일체형 치과교정 브라켓 또는 다른 치과교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앵커들은 환자의 치료를 완성하기 위해서 통합된 브라켓 또는 뼈 앵커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추가의 수술을 요구하는 문제점을 나타난다. 일부의 치과교정 뼈 앵커들은 치과교정 용도에 적응시키기 위해 나사들 및 다른 기구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는 치과교정 기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앵커들은 어떤 치과교정 전문의에게나 넓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표준 치과교정 브라켓들과 함께 사용될 수 없다.
이 요약은 개념들의 선택을 간단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며,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이 요약은 중요한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구별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며, 또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뼈 앵커는 통상의 이식된 치과교정 뼈 앵커의 이득들을 많이 가지지만, 치과교정 전문의가 치과교정 브라켓들 및 기타 치과교정 기구들을 통합된(incorporated) 브라켓 부착판에 부착하기 위해 보통의 접합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한다. 접합 부착은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방편으로 가능하며, 이는 부착된 치과교정 브라켓의 신속한 제거를 허용하며, 이에 의해 치과교정 브라켓 또는 다른 기구가 손상되거나 또는 더 이상 특정 형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치과교정 브라켓 또는 다른 기구를 교체하거나 재배치하기 위해 추가의 환자 수술을 할 필요를 제거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뼈 앵커는 또한 치아의 외부면과 같이 다소 굴곡이 있거나 패시트(facet)되어 있는 표면을 포함한다. 이것은 사람이 환자의 치아를 사용하는 것처럼 치과교정 전문의가 치과교정 치료중에 뼈 앵커를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한다. 보통의 접합 재료는 마치 통합된 브라켓 부착판이 치아인 것처럼, 공통적으로 이용가능한 치과교정 브라켓들을 앵커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부착판과 치과교정 브라켓 사이의 접합 강도가 환자의 치아과 치과교정 브라켓 사이의 접합 강도와 유사하기 때문에, 뼈 앵커로부터 브라켓의 제거는 환자의 치아에서 브라켓을 제거하는 것처럼 아주 용이하고 편리하다.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상기 요약뿐만 아니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과 연결지어 읽을 때 더 잘 이해된다. 복원(reconstruction) 디바이스 및 관련된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도면들에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복원 디바이스 및 관련된 방법들은 설명된 특정 실시예 및 방법들로 제한하지 않는다.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도면들의 여러 실시예들 전체를 통해 대응하는 부품들을 언급하고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치과교정 뼈 앵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교정 뼈 앵커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과교정 뼈 앵커의 측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치과교정 뼈 앵커의 브라켓 부착판 부분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브라켓 부착판의 전방 횡단면도.
도 4c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 정면도.
도 4d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내부 보이드들을 형성하고 있는 브라켓 부착판의 전방 횡단면도.
도 5a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 평면도.
도 5b는 다른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 평면도.
도 5c는 또 다른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 평면도.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적인 전방 횡단면도.
도 5e는 여전히 다른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 평면도.
도 5f는 도 5e에 도시된 브라켓 부착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치과교정 뼈 앵커(10)는 뼈 부착부(20), 점막관통 넥(transmucosal neck)(30), 및 브라켓 부착판(40)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치과교정 뼈 앵커(10) 및 이의 컴포넌트들은 생체적합성 및 가단성 금속 재료, 즉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생체적합성 재료로서 제조될 수 있다. 치과교정 뼈 앵커(10)는 티타늄과 같은 단일 일체형 피스(piece)로서 제조되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다중 컴포넌트들{예로서, 뼈 부착부(20), 점막관통 넥(30), 및 브라켓 부착판(40)}이 용접, 접착(gluing), 또는 다른 적절한 임시 또는 영구 부착기구에 의하여 함께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치과교정 뼈 앵커(10)는 제1 피스(11) 및 제2 피스(12)를 갖는 2피스 구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피스(11)는 뼈 부착부(20)를 포함하고, 제거가능한 제2 피스(12)는 점막관통 넥(30) 및 브라켓 부착판(40)을 포함한다. 치과교정 뼈 앵커(10)가 구강의사에 의하여 환자내에 설치될 때, 2개의 컴포넌트 피스들은 임시 부차기구, 즉 미니나사 또는 볼트, 또는 접착제 또는 유사한 체결구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피스(11)는 넥의 일부 또는 기다란 넥(30)에 연결하기에 적절한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피스들(11, 12)이 연결될 때, 점막관통 넥(30) 및 브라켓 부착판(40)이 환자의 구강에 노출된다. 치과교정 처리가 완료된 후에, 치과교정 전문의는 제1 피스로부터 제2 피스{넥(30) 및 부착판(40)을 포함}를 분리하여 제2 피스를 환자의 입에서 제거하고, 환자의 입안에 제1 피스{뼈 부착부(20)를 포함}를 남겨둔다. 환자의 입안에 남겨진 피스는 환자의 구강에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뼈 앵커(10) 조립체 전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의 구강 수술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대안으로서, 뼈 앵커(10)는 뼈 부착부(20)를 포함하는 제1 피스와, 점막관통 넥(30)을 포함하는 제2 피스, 및 브라켓 부착판을 포함하는 제3 피스를 갖는 3피스 구조로서 제공될 수 있다. 3개의 피스들은 2피스 구조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은 뼈 앵커(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키트(modular kit)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뼈 앵커의 하나의 탈착식 피스 또는 피스들과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트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치과교정 브라켓들(51)과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키트들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크기 및/또는 형상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가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례로서, 넥(30)은 길이, 단면형상, 재료 등이 변할 수 있으며,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다른 실례로서, 뼈 부착부(20)는 구멍들(holes)(22)의 개수의 변화, 다른 직경들의 구멍들(22)을 가질 수 있으며,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또 다른 실례로서, 브라켓 부착판(40)은 다른 치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따라서 제1 키트는 하나의 크기 및 형상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갖는 것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른 키트들은 제1 키트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1 키트의 것과 다른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키트들은 제1 키트와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키트는 다만 치수들 및/또는 형상들이 다른 동일한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는 뼈 앵커(10)의 다수의 제1 피스들, 뼈 앵커(10)의 제2 피스들, 체결구들, 및/또는 치수들 및 형상들이 변하는 치과교정 브라켓들(51)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보관되어 있다가 차후에 뼈 앵커(10), 또는 뼈 앵커 및 치과교정 브라켓(51)을 포함하는 뼈 고정시스템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술 과정에 융통성을 부여한다.
뼈 앵커(10)는 표준 치과교정 또는 구강 수술 도구들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또는 더 딱딱하며 굽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치과교정 뼈 앵커(10)가 부착될 지점에서 환자의 아래턱뼈 또는 턱(27)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 치과교정 뼈 앵커(10)의 부분들{예로서, 뼈 부착부(20) 또는 점막관통 넥(30)}을 구부릴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환자의 뼈에 뼈 앵커(10)를 결합시키는 강도가 증가된다.
이제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뼈 부착부(20)는 다수의 뼈 부착 장소들(22)을 형성하는 뼈 부착 몸체(2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뼈 부착 장소들(22)은 뼈 부착 몸체(21)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구멍들(23)로서 제공된다. 특히, 뼈 부착 몸체(21)는 다수의 내부표면들(24)을 포함하며, 다음에 이 내부표면들은 대응하는 다수의 뼈 부착 구멍들(23)을 형성한다.
뼈 부착부(20)는 4개의 뼈 부착 구멍들(2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뼈 부착부(20)는 뼈 앵커(10)와 환자의 아래턱뼈 또는 턱(27) 사이의 적절한 부착을 달성하도록 5개 이상 또는 4개보다 작은 수의 뼈 부착 구멍들(23)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뼈 부착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뼈 부착 구멍(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체결구(25), 즉 미니나사, 볼트, 못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구가 하나 이상 또는 모든 부착 장소들(22)에 있는 뼈 부착 몸체(21)를 통해 삽입되어 환자의 아래턱뼈 또는 턱(27)에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구들은 사용되는 체결구들에 따라 나사연결되거나 나사 풀림이 될 수 있는 뼈 부착 구멍들(23)을 통해 삽입된다. 예를 들어, 뼈 부착 구멍들(23)은 미니나사들, 나사볼트 등이 상기 뼈 부착 구멍들(23)의 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점막관통 넥(30)은 뼈 부착부(20)와 브라켓 부착판(40) 사이로 연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한다. "수평" 및 "수직"와 같은 방향성 용어들은 수평 방위(orientation)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뼈 앵커(10)에 대하여 사용되며, 이 방향들은 사용되는 동안에 뼈 앵커의 실제 방위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넥(30)은 예를 들어 어떤 특정 환자에게서 치과교정 뼈 앵커가 가지게 될 필요한 치과교정 시스템 적용에 따라 어떤 원하는 길이 및 어떤 원하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점막관통 넥(30)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넥(30)은, 넥(30)에 원하는 굽힘강도를 부여하며 그리고 환자의 입 안에 있는 주변 잇몸 조직들을 상하게 하거나 자극하지 않는, 원형, 타원형, 눈물방울형, 둥근 모서리를 갖는 정사각형, 둥근 모서리를 갖는 6각형, 또는 어떤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적용시에, 브라켓 부착판(40)의 정합용(mating) 표면(41)이 치과교정 시스템에 가장 적절한 방위를 가지도록 점막관통 넥(30){또는 브라켓 부착판(40)}의 부분들을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교정 시스템내에서 브라켓 부착판(40)에 접합되는 치과교정 브라켓을 아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게 허용하는 특정 각도로 브라켓 부착판(40)이 배치되도록, 점막관통 넥(30)이 환자의 혀를 향하여 내부로 또는 환자의 어금니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점막관통 넥(30)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점막관통 넥(30)은 대안으로서 수평에 대해 각진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더구나, 점막관통 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또는 곡선을 이루거나, 또는 서로에 대하여 각이 진 다수의 일직선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 하나의 점막관통 넥(30)이 뼈 부착부(20)와 브라켓 부착판(40)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뼈 부착부(20)와 브라켓 부착판(40) 사이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어떤 개수의 점막관통 넥들이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브라켓 부착판(40)은 브라켓 부착판 몸체(47)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는, 치과교정 또는 구상 수술 목적(예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치아를 이동하기 위해)을 달성하기 위해 치과교정 브라켓들이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접합되는 정합용 표면(41)과, 비정합용(non-mating) 표면(42)과, 그리고 상기 표면들(41, 42) 사이에서 연장하며 이 표면들(41, 42)에 연결되는 측방향 표면들(43a, 43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 부착판(40)은 원하는 기하학적 형태라면 어떤 것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하나의 정합용 표면(41)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부착판(40)은 이 부착판(40)에 부착되어야 할 브라켓들의 원하는 개수에 따라 다중 정합용 표면들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착판은 이 부착판(40)상의 어떤 적절한 장소, 예로서 브라켓 부착판(40)의 대향 측면들상에 배치된 2개의 정합용 표면(41)들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3개 이상의 정합용 표면(41)들이 부착판(40)상의 어떤 적절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부착판(40)은 적어도 하나의 정합용 표면(41)을 포함하며, 이 정합용 표면에 치과교정 브라켓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이 접착성 재료(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종류의 체결구에 의해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브라켓 부착판 몸체(47)는 브라켓 부착판 몸체(47)내로 또는 이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내부 보이드들(internal voids)(44)과 같은 하나 이상의 보강된 부착위치들(48)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보이드들(44)은 대안으로서, 수직방향에 대해 어떤 원하는 각도로 물론 연장될 수 있다. 정합용 표면(41)은 한 쌍의 측면 세그먼트들(segments)(41a, 41c)과 같은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들, 및 중앙 표면 세그먼트(41b)를 포함할 수 있다. 평평한 중앙 표면 세그먼트(41b)는 실질적으로 비정합용 표면(42)에 평행하고, 측면 세그먼트들(41a, 41c)은 평평한 중앙 표면 세그먼트(41b)에 대해 각이 지고, 따라서 3개의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들이 외부로 볼록한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평평한 중앙 표면 세그먼트(41b)는 측면 세그먼트들(41a, 41c) 각각에 대해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각도는 예를 들어 치과교정 브라켓의 정합용 표면의 형상에 따라 0° 내지 90° 사이의 어떤 것이 될 수 있다.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들(41a, 41b, 41c)은 어떤 형상이라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표면(41)의 전체 형상은 외부로 볼록하거나, 평평하거나, 또는 외부로 오목하게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정합용 표면(41)은 2개, 또는 3개 이상의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합용 표면(41)은 단일 평평한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다함께 모였을 때 대략 외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많은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들(41)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용 표면(41')은 매끄러운 단일 굴곡 형상이 될 수 있다. 굴곡진 정합용 표면(41')은 구형 또는 타원형의 일부를 포함하여 어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복잡한 또는 단순한 물결 패턴과 유사한 다중 굴곡 세그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브라켓 부착판(40)은 굴곡지거나 또는 평평하게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합용 표면 세그먼트를 갖는 정합용 표면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치과교정 브라켓들이 구강내의 치아의 표면들과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굴곡질 수 있으며, 추가로 특정한 치아에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브라켓 부착판(40)의 외부로 볼록한 정합용 표면(41)은 특정한 치아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브라켓들을 포함하여 치과교정 브라켓들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과 유사한 일반적(generalized)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내부 보이드들(44)은 브라켓 부착판(40)을 통해 메쉬형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브라켓 부착판 몸체(47)는 이 몸체내에서 또는 이 몸체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내부 보이드들(44)의 메쉬 패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보이드들(44)은, 치과교정 브라켓의 정합용 표면이 부착판(40)의 정합용 표면(41)에 대해 가압될 때 부착판(40)상에 침착된(즉, 완전히 짜내지 않고) 채로 유지되도록 접합재의 일부를 위한 영역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보이드들(44)은 부착판(40)내에서 정합용 표면(41)으로부터 어떤 깊이까지 침투(부분 침투 또는 완전한 침투, 또는 여러 침투 레벨들의 조합)시키는 어떤 형상, 어떤 치수를 가지거나, 또는 단일 보이드(44){단일 보이드(44)의 실례가 도 5e 및 도 5f에 도시되어 있다} 조차도 포함하는 어떤 개수의 내부 보이드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보이드들이 도 4a에서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내부 보이드들은 어떤 기하학적 형상이라도 취할 수 있으며, 또는 구멍들(holes), 슬롯들과 같은 형상, 또는 타원, 삼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기타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다각형과 같은, 블라인드 트렌치들(blind trenches)과 같은 형상들의 조합을 취할 수 있다. 보이드들의 메쉬 패턴(메쉬 패드 디자인)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의 내부 보이드들(44)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메쉬 패턴은 11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그러나 적어도 하나) 어떤 개수의 내부 보이드들(44)을 수용할 수 있다. 내부 보이드들(44)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직경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서 상이한 형상들(및 직경들을 가질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내부 보이드들(44)은 부착판(40)을 단지 부분적으로 침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보이드들(44)은 매우 얕아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여기서 정합용 표면(41)이 널링되거나(knurled) 또는 거칠다. 이러한 상황에서, 치과교정 브라켓이 부착된 후에 부착판(40)상에 침착된 채로 남아있는 어떤 접합재의 이득을 제공하기 위해 널링된 또는 거친 정합용 표면(41)내에 작은 내부 보이드들이 여전히 포함된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에서, 정합용 표면(41)은 매끄러운 평평한 표면이 될 수 있으므로, 내부 보이드들(44)은 정합용 표면(41)내로 연장하지 않지만, 오히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용 표면(41)과 치과교정 브라켓(51)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5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내부 보이드들(44)이 정합용 표면(41)내로 연장하거나 연장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에, 예를 들어 정합용 표면(41)이 치과교정 브라켓(51)의 정합용 표면(50)의 곡률반경과는 다른 곡률반경을 가질 때, 일부 접합재(53)는 부착판(40)(부착강도 이점을 제공함)상에 침착된 채로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다. 예로서, 부착판(40)의 정합용 표면(41)의 곡률반경은 평평하고 매끄러울 때 무한하며, 한편 치과교정 브라켓(51)의 정합용 표면(50)의 곡률반경은 정합용 표면들(41, 50) 사이에 내부 보이드(44)가 형성되도록 유한하다. 따라서, 뼈 앵커(10) 및 치과교정 브라켓(51)을 포함하는 치과교정 고정 시스템(55)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내부 보이드들(44)이 정합용 표면(41)내로 연장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내부 보이드들(44)이 정합용 표면들(41, 5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가 하는 것은, 부착판(40) 또는 부착판 몸체(4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내부 보이드들(44)을 형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내부 보이드들(44)은 정합용 표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정합용 표면(41)을 통과하는 내부 보이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보이드들(44)이 정합용 표면(41)내로 또는 그를 통과하여 연장할 때, 정합용 표면(41)이 내부 보이드들(44)을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내부 보이드들(44)이 완전히 형성되어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50)이 정합용 표면(41)과 결합하거나 또는 이에 부착될 때, 정합용 표면은 내부 보이드들(44)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f를 참고하면, 내부 보이드들은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 이외의 형상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는 브라켓 부착판(40)의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여 20을 더한 도면부호들을 갖는 브라켓 부착판(60)을 도시한다. 도 5b 내지 도 5f는 브라켓 부착판(40)의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며 이미 설명한 실시예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면부호들에 대하여 10을 더한 도면부호들을 갖는 브라켓 부착판들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판(60)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슬롯들(66)로서 내부 보이드들(6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부착판 몸체(47)를 가지며, 상기 슬롯들은 점막관통 넥(30)의 신장(elongation)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6개의 슬롯들(66)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부착판(60)은 6개보다 적은 슬롯들(66) 및 6개보다 많은 슬롯들(66)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롯(66)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슬롯들(66)은 부착판 몸체(67)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침투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서 내부 보이드들(44)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판(70)은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기다란 슬롯들(76)로서 내부 보이드들(7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부착판 몸체(77)를 가지며, 상기 슬롯들은 점막관통 넥(30)의 신장(elongation)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4개의 슬롯들(76)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부착판(70)은 4개보다 적은 슬롯들(76) 및 4개보다 많은 슬롯들(76)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롯(76)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슬롯들(76)은 부착판 몸체(77)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침투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서 내부 보이드들(44)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점막관통 넥(3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롯들에 추가하여, 다른 실시예들은 점막관통 넥(30)에 대하여 0° 내지 90° 사이의 다른 각도들을 형성하는 슬롯들을 갖는다. 주어진 부착판의 슬롯들은 점막관통 넥(30)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점막관통 넥에 대하여 다른 각도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제 도 5c 내지 도 5d를 참고하면, 부착판(80)은 실질적으로 수직의 다수의 노치들(86)을 포함하는 부착판 몸체(87)를 갖는다. 당연히, 노치들(86)은 대안으로서 수직에 대하여 어떤 원하는 각도로 연장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노치들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측방향으로 인접한 노치들(86)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내부 보이드들(84)을 형성한다. 내부 보이드들(84) 및 노치들(86)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 될 수 있고, 또는 삼각형 단면, 부등변 사각형 단면 및 포물형(parabolic) 단면을 포함하여 어떤 다른 원하는 형상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노치된 부착판 몸체(87)는 또한 노치들(86)의 상부단에 배치된 핀들(fins)(8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 5d에서 볼 수 있듯이, 핀들(85)의 외부 상향 표면들은 조합하여서 부착판 몸체(87)의 정합용 표면(81)을 형성한다. 핀들(85)이 조합하여 치과교정 브라켓의 정합용 표면에 대하여 볼록하게 정합용 표면(81)을 형성하는 반면에, 정합용 표면(81)은 도 5a, 도 5b, 도 5e 및 도 5f에 도시된 다른 대안의 정합용 표면들과 함께, 치과교정 브라켓의 정합용 표면과 결합하여 정합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어떤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서로에 대하여 어떤 원하는 각도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평평한 표면 부분들, 또는 치과교정 브라켓의 정합용 표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굴곡진 정합용 표면 부분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5c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보이드들(84)과, 노치들(86) 및 대응하는 핀들(85)의 형태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어떤 개수의 내부 보이드들, 노치들 및 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더구나, 노치들 및 핀들은 넥(30)에 대하여 어떤 각도로 연장할 수 있다.
이제 도 5e 및 도 5f를 참고하면, 부착판(90)은 실질적으로 수직의 주변 노치(96)를 갖는 부착판 몸체(97)를 갖는다. 당연히, 노치(96)는 대안으로서 수직에 대하여 어떤 원하는 각도로 연장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노치(96)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노치 세그먼트들(96a-96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노치 세그먼트들은 모두 함께 넥(30)과 연합하여 단일 내부 보이드(94)를 제한한다(circumscribe).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치는 부착판 몸체(97)의 외주를 형성하지만, 이 노치는 부착판 몸체(97)상의 어떤 원하는 장소에 배치될 수 있는데, 즉 부착판 몸체(97)의 외주에 대하여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장소를 포함한다. 내부 보이드(94)는 부착판(40)을 부분적으로 침투하는 팬(pan)형 구멍 또는 보이드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 보이드(94)는 어떤 개수의 측면들을 가지면서, 매끄럽게 변하는 곡선, 정다각형, 또는 불규칙 다각형과 같은 어떤 원하는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갖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5개의 노치 세그먼트들(95a-96e)이 도시되어 있지만, 노치(96)는 하나 이상의 굴곡진 또는 직선형 노치 세그먼트들을로부터 형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더구나, 팬형 보이드(44)는 부착판 몸체(47)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침투할 수 있다.
부착판 몸체(97)는 노치(96)의 상부단에, 또는 각각의 노치 세그먼트(96a-96e)에 배치된 핀(95)을 형성한다. 각각의 노치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핀(95)이 넥(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각각의 핀(95)은 대안으로서 넥(30)보다 낮게 또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핀들(45)의 표면 상향 표면들(surface upward-facing surfaces)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원하는 형상을 갖는 정합용 표면(91)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치과교정 브라켓(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은, 치과교정 전문의 또는 구강외과의사가 환자의 치료(예로서, 하나 이상의 치아를 이동시키는 것)를 위해 필요로 할 수 있는 어떤 치과교정 브라켓이라도 될 수 있다. 치과교정 브라켓과 정합될 수 있는 어떤 치과교정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치과교정 전문의는 아치와이어들(archwires), 결찰강선들(ligature wires), 고무밴드들(elastics), 스프링들, 동력 체인(power chain), 및 기타 여러 종류의 치과교정 기구들을 치과교정 브라켓에 직접 적용할 수 있고, 이 브라켓은 치아에 접합되었던 치과교정 브라켓인 것처럼 여기에 설명된 유형의 브라켓 부착판에 접합된다. 다음에 브라켓 부착판은 어떤 치과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교정 기구들을 수용하였던 치과교정 브라켓을 위치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치과교정 뼈 앵커(10) 및 이에 통합된 브라켓 부착판은 또한 치과교정 수술 적용(예를 들어, 구조, 성장, 수면성 무호흡, 및 TMJ 장애와 관련된 턱 및 얼굴의 상태들을 교정하는 것, 또는 치아교정기들로 쉽게 치료될 수 없는 치과교정 문제들을 교정하는 것)에도 사용될 수 있다.
치과교정 브라켓은 본원에서 설명된 유형의 브라켓 부착판의 정합용 표면에 접합재료 또는 접착제 재료{도 4d에 도시된 재료(53)와 같은 것}에 의하여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접합될 수 있는 치과교정 브라켓 정합용 표면을 형성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접착제 재료는 치과교정 브라켓을 브라켓 부착판에 접합하는 UV 접착제이다. 그러나, 기술에 공지된 임시 및 영구 치과교정 접합 작용제들의 어떤 유형들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본사가 있는 3M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Unitek 상표 UV 경화 접착제 재료가 치과교정 브라켓을 치아 에나멜에 접합하는데 사용될 때, 평균 전단강도들은 대략 19 내지 28 MPa(메가파스칼)에서 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과교정 브라켓과 금속 표면 사이에 배치된 Unitek 상표 UV 경화 접착제 재료의 부착 본드(bond)는 대략 10 내지 30 MPa의 결합 전단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치과교정 브라켓이 Unitek 상표 UV 경화 접착제 재료를 사용하여 브라켓 부착판(40)에 부착될 때, 결합강도는 치과교정 브라켓이 부착판으로부터 부주의로 분리될 가능성을 감소시키지만, 사용자가 필요시에 치과교정 브라켓을 부착판(4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허용한다.
상기 기재는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양호한 실시예들 또는 양호한 방법들을 참고하여 기재되었지만, 본원에서 사용된 단어들은 제한하기 위한 단어들이 아니라 설명 및 예시를 위한 단어들임을 이해할 것이다. 더구나, 실시예들이 본원에서 특정 구조, 방법들 및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세부사항들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 명세서의 가르침의 이익을 가진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여러 가지 변경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9)

  1. 치과교정 기구를 아래턱뼈에 부착하기 위한 치과교정 앵커로서,
    뼈 부착부를 아래턱뼈에 고정하기 위해 뼈 나사들을 위한 다수의 뼈 부착 장소들을 갖는 뼈 부착 몸체를 포함하는 상기 뼈 부착부;
    치과교정 기구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정합용 표면을 포함하는 브라켓 부착판으로서, 상기 정합용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이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브라켓 부착판; 및
    상기 뼈 부착부와 상기 브라켓 부착판 사이에 연결된 점막관통 넥을 포함하는, 치과교정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제거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2개의 피스(piece)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1 피스는 상기 뼈 부착부를 포함하고, 제2 피스는 상기 브라켓 부착판을 포함하는, 치과교정 앵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는 상기 점막관통 넥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과교정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용 표면은 외부로 볼록한 표면을 형성하는, 치과교정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착판은 상기 정합용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보이드를 형성하는 브라켓 부착판 몸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보이드는 상기 정합용 표면내로 연장되는 구멍인, 치과교정 앵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를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치과교정 앵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지만 전체적으로 관통하지는 않는, 치과교정 앵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이드는 기다란 슬롯인, 치과교정 앵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내로 연장하지만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는, 치과교정 앵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의 외부 주변에 의해 형성되는, 치과교정 앵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이드는 치과교정 브라켓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과 조합한 상기 정합용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치과교정 앵커.
  12. 치과교정 앵커에 사용하기 위한 브라켓 부착판으로서,
    치과교정 브라켓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정합용 표면을 형성하는 브라켓 부착판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는 상기 정합용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이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브라켓 부착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이드는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를 통해 연장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브라켓 부착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이드는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내로 연장하지만 관통하지는 않는 구멍을 포함하는, 브라켓 부착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의 정합용 표면은 외부로 볼록한, 브라켓 부착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의 정합용 표면은 서로에 대하여 각진 다수의 정합용 표면들을 포함하는, 브라켓 부착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이드는 상기 치과교정 브라켓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과 조합한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의 상기 정합용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브라켓 부착판.
  18. 모듈러 치과교정 뼈 앵커 키트로서,
    치과교정 앵커에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 부착판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브라켓 부착판은,
    치과교정 브라켓의 상호보완 정합용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정합용 표면을 형성하는 브라켓 부착판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부착판 몸체는 상기 정합용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이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브라켓 부착판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특성을 갖는. 모듈러 치과교정 뼈 앵커 키트.
  19. 치과교정 기구를 아래턱뼈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뼈 부착부와 브라켓 부착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뼈 부착부가 상기 브라켓 부착판에 결합되도록 상기 뼈 부착부를 상기 아래턱뼈에 고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이드가 정합용 표면에서 상기 브라켓 부착판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브라켓 부착판의 정합용 표면에 상기 치과교정 기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착방법.
KR1020107018407A 2008-02-01 2009-01-29 메쉬 패드를 갖는 치과교정 뼈 고정판 KR20100119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44208P 2008-02-01 2008-02-01
US61/025,442 2008-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71A true KR20100119771A (ko) 2010-11-10

Family

ID=4056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407A KR20100119771A (ko) 2008-02-01 2009-01-29 메쉬 패드를 갖는 치과교정 뼈 고정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008745A1 (ko)
EP (1) EP2234558A1 (ko)
JP (1) JP2011510746A (ko)
KR (1) KR20100119771A (ko)
CN (1) CN101925334A (ko)
BR (1) BRPI0907468A2 (ko)
CA (1) CA2713050A1 (ko)
CO (1) CO6251224A2 (ko)
WO (1) WO20090973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54B1 (ko) * 2011-12-16 2012-05-09 박기봉 임플란트용 인공뼈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356B1 (ko) 2010-03-22 2011-11-10 김성훈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WO2013093927A1 (en) * 2011-12-19 2013-06-27 Madan Guatam Three dimensional dental implants
EP3847995A1 (en) 2012-10-30 2021-07-1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KR20160026885A (ko) * 2013-07-01 2016-03-09 마뉴엘 앙헬 마르티네즈 나바로 치과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JP2016077630A (ja) * 2014-10-17 2016-05-16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歯科矯正用支持体
JP6936146B2 (ja) 2015-01-07 2021-09-15 トリース メディカル コンセプ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骨プレート固定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134160A1 (en) 2015-02-18 2016-08-25 Treace Medical Concepts, Inc. Bone plating kit for foot and ankle applications
US11197701B2 (en) * 2016-08-17 2021-12-14 Globus Medical, Inc. Stabilization systems
EP3547951A4 (en) 2016-12-02 2020-07-01 Swift Health Systems Inc. SYSTEM FOR INDIRECT ORTHODONTIC BINDING AND METHOD FOR BRACKET PLACEMENT
EP3576667B1 (en) 2017-01-31 2023-12-06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US11058517B2 (en) 2017-04-21 2021-07-1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non-sli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registration systems for use thereof
WO2019178673A1 (en) 2018-03-21 2019-09-26 Panthera Dental Inc. Subperiosteal dental implant
US11583323B2 (en) 2018-07-12 2023-02-21 Treace Medical Concepts, Inc. Multi-diameter bone pin for installing and aligning bone fixation plate while minimizing bone damage
CN109620434A (zh) * 2019-01-28 2019-04-16 中南大学湘雅二医院 正畸骨支抗型扁平导管
KR102163283B1 (ko) * 2019-03-22 2020-10-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앵커링 장치 및 시스템
US11890039B1 (en) 2019-09-13 2024-02-06 Treace Medical Concepts, Inc. Multi-diameter K-wire for orthopedic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23089A (fr) * 1965-10-06 1966-10-31 Ritter Theo Procédé de confection d'un redressement dentair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US3675327A (en) * 1970-01-13 1972-07-11 Us Army Filled cold-curing acrylic resin as a splinting material
US3919772A (en) * 1973-06-04 1975-11-18 Joseph J Lenczycki Dental implant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to the jaw bone
US4292025A (en) * 1979-06-07 1981-09-29 Bernhard Forster Gmbh Orthodontic device for rotating a tooth
US4330273A (en) * 1980-07-21 1982-05-18 Kesling Peter C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occlusion
GB2084468B (en) * 1980-09-25 1984-06-06 South African Inventions Surgical implant
US4459111A (en) * 1981-06-18 1984-07-10 Maurice Valen Crown and bridge prefabricated system and implant
US5015186A (en) * 1987-09-24 1991-05-14 Detsch Steven G Dental implant attachment system
US4959065A (en) * 1989-07-14 1990-09-25 Techmedica, Inc. Bone plate with positioning member
US4988292A (en) * 1989-07-26 1991-01-29 Rosen David B Abutment for orthodontic anchorage to a dental implant fixture
DE3943098C2 (de) * 1989-12-27 1997-01-23 Krenkel Christian Einrichtung zur Festlegung oder Regulierung der gegenseitigen Stellung von Zähnen
US5123838A (en) * 1990-12-13 1992-06-23 Cannon James L Orthodontic bracket
FR2672202B1 (fr) * 1991-02-05 1993-07-30 Safir Implant chirurgical osseux, notamment pour stabilisateur inter-vertebral.
US5066224A (en) * 1991-02-25 1991-11-19 Oasis Implants Incorporated Orthodontic anchor
US5078597A (en) * 1991-04-29 1992-01-07 Caplin Sidney N Lingual attachment
GB9217578D0 (en) * 1992-08-19 1992-09-30 Surgicarft Ltd Surgical implants,etc
US5427906A (en) * 1993-05-27 1995-06-27 Hansen; Gorm P. System for bracing dental implants or natural tooth roots to secure artificial teeth
US5599183A (en) * 1994-04-04 1997-02-04 Razdolsky; Yan Assembly tool for assembling a mandibular distraction device
ATE168877T1 (de) * 1994-12-23 1998-08-15 Straumann Inst Ag Befestigungsanordnung zur fixierung kieferorthopädischer apparaturen an einem dentalimplantat
US5697779A (en) * 1995-06-07 1997-12-16 Ormco Corporation Temporary implant for use as an anchor in the mouth
US5841137A (en) * 1995-08-11 1998-11-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uplicative detector sensor
WO1997018771A1 (de) * 1995-11-20 1997-05-29 Harald Schiel Suprakonstruktion für ein enossales zahnimplantat
EP0791337A1 (en) * 1996-02-22 1997-08-27 Yan Razdolsky Device for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US5921774A (en) * 1996-08-08 1999-07-13 Sankin Kogyo Kabushiki Kaisha Supporting body for use i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US6322566B1 (en) * 1997-07-21 2001-11-27 Albino Triaca Intraoral distractor for callus distraction in the lower jaw
US5853291A (en) * 1997-10-10 1998-12-29 Devincenzo; John Subperiosteal bone anchor
US5925048A (en) * 1998-03-13 1999-07-20 Osteomed Bone screw
US6193509B1 (en) * 1998-04-02 2001-02-27 John Devincenzo Bony anchor extender
US5938437A (en) * 1998-04-02 1999-08-17 Devincenzo; John Bony anchor positioner
ITVI980181A1 (it) * 1998-09-25 2000-03-25 Bortolo Giuliano Maino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apparecchi adatti ai trattamenti di correzione ortodontica.
US5967772A (en) * 1998-12-09 1999-10-19 Gray; James B. Orthodontic anchor system
US6716030B1 (en) * 1999-04-23 2004-04-06 Imtec Corporation Universal O-ball mini-implant, universal keeper cap and method of use
US6267766B1 (en) * 1999-05-28 2001-07-31 Stephen S. Burkhart Suture anchor reel device kit and method
US6517542B1 (en) * 1999-08-04 2003-02-11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Bone anchoring system
US6379154B2 (en) * 1999-10-19 2002-04-30 John Devincenzo Subperiosteal bone anchor
IT1307114B1 (it) * 1999-11-26 2001-10-23 Nicos Sas Di De Toni Nicoletta Vite di ancoraggio per trattamenti di correzione ortodontica.
US6312259B1 (en) * 1999-12-17 2001-11-06 Nobel Biocare Ab Bone implant
JP3706517B2 (ja) * 1999-12-28 2005-10-12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列矯正用支持体
DE20003634U1 (de) * 2000-02-29 2000-05-18 Paulus Werner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zur Bewegung und/oder Einordnung von Zähnen
KR200196064Y1 (ko) * 2000-04-17 2000-09-15 정규림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BE1013630A3 (nl) * 2000-06-30 2002-05-07 Mommaerts Maurice Orthodontisch en orthopedisch kaakbotanker.
KR200207524Y1 (ko) * 2000-07-12 2000-12-15 박영철 교정틀 고정구
KR200233786Y1 (ko) * 2001-03-07 2001-09-26 박효상 치열 교정용 스크류
US6827574B2 (en) * 2001-04-12 2004-12-07 Kevin L. Payton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DE50208954D1 (de) * 2001-05-10 2007-01-25 Roger Minoretti Vorrichtung für kieferorthopädische und/oder kieferchirurgische zwecke
BE1013760A6 (nl) * 2001-05-17 2002-07-02 Clerck Hugo De Orthodontisch implantaat.
DE10132088B4 (de) * 2001-07-05 2005-09-29 Altatec Medizintechnische Elemente Gmbh & Co. Kg Kieferorthopädisches Implantatsystem zur Zahnmobilisierung
KR100404243B1 (ko) * 2001-08-28 2003-11-03 김중한 치아교정용 앵커식립장치
US20030044746A1 (en) * 2001-08-31 2003-03-06 Leonard Marotta User removable fasteners
DE50312765D1 (de) * 2002-01-23 2010-07-15 Albino Triaca Distraktionsvorrichtung für kieferorthopädische/kieferchirurgische zwecke am unterkiefer
US7232441B2 (en) * 2002-02-13 2007-06-19 Cross Medicalproducts, Inc. Occipital plate and rod system
US6942667B1 (en) * 2002-04-02 2005-09-13 Vanderbilt University Bone anchor
TW532144U (en) * 2002-06-04 2003-05-11 Jeng-Yi Lin Screw device for jaw correction
US20050095550A1 (en) * 2002-06-27 2005-05-05 Jung-Moon Kim Orthodontic implant
JP2004081565A (ja) * 2002-08-27 2004-03-18 Shoichi Miyawaki 把持型歯科矯正固定装置
US6863528B2 (en) * 2002-10-03 2005-03-08 Fu Yi Lin Orthodontic pin
US20040127909A1 (en) * 2002-12-16 2004-07-01 Morgan Vincent J. Threaded dental or medical implants
EP1589896A4 (en) * 2002-12-27 2007-03-07 Bernard Weissman IMPROVEMENTS I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BITES AND BRIDGES
US6896514B2 (en) * 2003-02-20 2005-05-24 John Devincenzo Orthodontic implant
US20040166460A1 (en) * 2003-02-25 2004-08-26 John Devincenzo Orthodontic anchor
US7662157B2 (en) * 2003-08-21 2010-02-16 Osteomed L.P. Bone anchor system
JP2005066068A (ja) * 2003-08-26 2005-03-17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KR20050044214A (ko) * 2003-11-07 2005-05-12 경희문 브라켓 헤드 타입의 치열 교정용 스크류
JP3928173B2 (ja) * 2003-12-26 2007-06-13 堀田 康記 歯科矯正用支持体
US7559764B2 (en) * 2004-01-06 2009-07-14 John Devincenzo Orthodontic bone anchor
US20050165401A1 (en) * 2004-01-26 2005-07-28 Larry Pack Pelvic fixation plate
US20050197700A1 (en) * 2004-02-18 2005-09-08 Boehm Frank H.Jr. Facet joint prosthesis and method of replacing a facet joint
JP2005270175A (ja) * 2004-03-23 2005-10-06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WO2005120383A1 (de) * 2004-06-14 2005-12-22 Bruehlmann Juerg Intraorale orthodontische verankerung
WO2006011693A1 (en) * 2004-07-27 2006-02-02 Jeil Medical Corporation Bone screw for medical treatments
DE102004046414B4 (de) * 2004-09-24 2006-10-12 Stryker Leibinger Gmbh & Co. Kg Chirurgische Verankerungsvorrichtung
US7281923B1 (en) * 2006-05-01 2007-10-16 John Devincenzo Orthodontic anchor appliance
US20070259306A1 (en) * 2006-05-05 2007-11-08 Osteomed L.P.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54B1 (ko) * 2011-12-16 2012-05-09 박기봉 임플란트용 인공뼈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6251224A2 (es) 2011-02-21
CN101925334A (zh) 2010-12-22
BRPI0907468A2 (pt) 2015-08-11
CA2713050A1 (en) 2009-08-06
EP2234558A1 (en) 2010-10-06
US20110008745A1 (en) 2011-01-13
WO2009097386A1 (en) 2009-08-06
JP2011510746A (ja)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9771A (ko) 메쉬 패드를 갖는 치과교정 뼈 고정판
US20230371985A1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38198B1 (ko) 가요성 상하악골 고정 장치
US20070259306A1 (en)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US8992582B1 (en) Fixation devices and method
US20080138759A1 (en) Eyelet for coil spring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JP6720397B2 (ja) 可撓性上下顎固定デバイス
US7033171B2 (en) Molar tube lock
WO2014088116A1 (ja)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結合力維持具付きスクリュー
US10470849B2 (en) Stati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using same
US11654000B2 (en) Anteroposterior correction devices
US20070231766A1 (en) Orthodontic transpalatal intrusion ar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6733287B2 (en) Molar tube lock
WO2016115122A1 (en) Orthodontic bracket
RU158334U1 (ru) Небная ортодонтическая платформа
KR200464089Y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KR200411875Y1 (ko)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WO20191780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maxillary deficiencies
JP7317711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ための調整可能なフック
KR20170072672A (ko) 치과 교정치료용 고정원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899B1 (ko) 임플랜트와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JP5548298B1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20230013342A (ko) 교정용 앵커
TW201735872A (zh) 具有彈性鏈的齒列矯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