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713A - 의료용 석션 카테터 - Google Patents

의료용 석션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713A
KR20100118713A KR1020090037535A KR20090037535A KR20100118713A KR 20100118713 A KR20100118713 A KR 20100118713A KR 1020090037535 A KR1020090037535 A KR 1020090037535A KR 20090037535 A KR20090037535 A KR 20090037535A KR 20100118713 A KR20100118713 A KR 2010011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medical
tube
suction tub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03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713A/ko
Publication of KR2010011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의료용 석션 카테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석션 카테터는 환자 체내로의 삽입 과정이나 석션 과정에서 체내 기관 내벽의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이 둥근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선단이 막혀 있는 유연한 재질의 석션튜브를 포함한다. 선단이 둥근면으로 된 석션튜브는 그 삽입과정에서 기관 내벽의 점막과 부드럽게 접촉하여 미끄러진다. 또한 그 선단이 막혀있으므로 석션 압력에 의해 점막이 흡착하여 손상되는 일도 없는 것이다.
석션카테터, 석션튜브, 점막손상

Description

의료용 석션 카테터{MEDICAL SUCTION CATHETER}
본 발명은 체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석션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내 기관 점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의료용구 중 의료용 석션 카테터는, 이를테면 기관 내부의 가래나 이물질의 제거시 유용하게 사용된다. 가령 전신마취를 하는 수술의 경우 환자의 자발호흡이 정지하지 않도록 기관에 관을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는데, 이 때 기도 내에 타액이나 가래 등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관을 통해 기관 내에 의료용 석션 카테터를 삽입하여 타액이나 가래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석션카테터는 도 1과 같이 석션튜브(13)와 커넥터(15)로 이루어진다. 석션튜브(13)는 유연한 재질의 긴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제 도관을 사용한 것으로서 그 선단 부근의 측벽부에 흡입구멍(13a)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은 횡방향으로 커트된 단면(13b)과 개구(13c)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5)는 석션튜브(13)를 도시하지 않은 흡입기와의 연결하고 또 간단한 조작으로 석션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기구(15a)가 있는 손가락밀착판(15b)과 연결부(15c)를 갖는다. 손가락밀착판(15b)에 손가락을 갖다 대면 통기구(15a)가 막혀 석션작용이 이행되고 손가락을 떼면 통기구(15a)가 열려서 석션작용이 해제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A)의 목을 통해 체내의 기관지(B)로 가이드 튜브(16)가 삽입하여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상태에서 그 가이드 튜브(16)를 통해 석션 카테터의 석션 튜브(13)가 환자의 기관지(B) 내부로 삽입되고, 커넥터(15)의 연결부(15c)는 연결튜브(17)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흡입기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흡입기가 작동하고 손가락밀착판(15b)에 손가락을 갖다 대어 그 통기구(15a)를 막으면 석션튜브(13)의 흡입구멍(13a)과 개구(13c)를 통해 체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석션튜브(13)와 커넥터(15) 및 연결튜브(17)를 통해 흡입기 측으로 배출되고, 통기구(15a)를 개방시키면 그 석션 동작이 해제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의료용 석션 카테터는, 석션튜브(13)의 선단이 횡방향으로 커트된 상태로 개구되어 그 단면(12b)의 그 모서리가 비교적 날카롭기 때문에, 도 2의 원내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석션튜브(13)를 환자의 기관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그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기관 내벽의 점막(도 1의 C)이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또한 석션 동작시 그 선단의 개구(13c)에 기관 내벽의 점막이 흡착하는 경향이 있고, 이 경우 석션 압력에 의해 점막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입되거나 그 삽입후 석션 과정에서 기관 내벽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개선된 의료용 선셕카테 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석션 카테터는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고 외부의 흡입기와 연결되어 그 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 체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긴 도관으로서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멍이 있는 석션튜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석션튜브의 선단이 둥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션튜브 선단의 둥근면이 막혀 있고, 상기 흡입구멍이 그 둥근면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 카테터는, 석션튜브의 선단이 둥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과정에서 환자의 기관 내벽의 점막이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석션튜브 선단의 둥근면이 막히고 그 선단 부근의 측벽부에 흡입구멍이 형성되므로, 석션 과정에서 기관 내벽의 점막이 들러붙어 석션 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각 구성요부가 과장되거나 생략되는 등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 카테터(3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유형의 의료용 석션 카테터(3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의료용 석션카테터(30,30′)의 석션튜브 선단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석션 카테터(30)는 연질의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제 도관을 사용한 석션튜브(33)와 이 석션튜브(33)를 도시하지 않은 흡입기와 연결하고 또 간단한 조작으로 석션작용을 제어할 수 있는 커넥터(35)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석션튜브(33)는 선단 이외의 측벽부에 이물질 흡입을 위한 흡입구멍(33a)이 형성되고 그 선단은 둥근면(33b)으로 형성되고 막혀 있다.
커넥터(35)는 통상과 같은 것으로 통기구(35a)가 있는 손가락밀착판(35b)과 연결부(35c)로 이루어진다.
도 4에 실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유형의 의료용 석션 카테터(30′)는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의 석션튜브(33′)와 이 석션튜브(33′)의 확장단부(33c)에 끼워서 전술한 흡입기측 연결튜브(17)와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35′)로 이루어진다. 이 고무재질의 석션튜브(33′)는 그 중간부위를 손으로 꾹 누르거나 꺾어줌으로써 흡입동작을 일시 정지킬 수 있으며, 고무재질이므로 인체 내 기관의 점막에 대해서 더욱 부드러운 접촉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석션튜브(33,3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이 이 둥근면(33b)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과정에서 환자의 기관 내벽의 점막을 용이하게 미끄러지므로 그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석션튜브(33) 선단의 둥근면(33b)이 막혀 있으므로 석션 동작시에도 기관 내벽의 점막이 흡착 및 손상되는 문제도 없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의료용 석션 카테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의료용 석션 카테터의 사용방법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 카테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유형의 의료용 석션 카테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 카테터의 석션튜브 선단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33′: 석션튜브
33a : 선단
33b : 흡입구멍
35 : 커넥터

Claims (2)

  1.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고 외부의 흡입기와 연결되어 그 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 체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긴 도관으로서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멍이 있는 석션튜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석션튜브의 선단이 둥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선셕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튜브 선단의 둥근면이 막혀 있고, 상기 흡입구멍이 그 둥근면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석션 카테터.
KR1020090037535A 2009-04-29 2009-04-29 의료용 석션 카테터 KR20100118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535A KR20100118713A (ko) 2009-04-29 2009-04-29 의료용 석션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535A KR20100118713A (ko) 2009-04-29 2009-04-29 의료용 석션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13A true KR20100118713A (ko) 2010-11-08

Family

ID=4340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535A KR20100118713A (ko) 2009-04-29 2009-04-29 의료용 석션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7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35U (ko) * 2017-07-06 2019-01-16 이현우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CN109620115A (zh) * 2019-02-19 2019-04-16 吉林大学 一种儿童支气管镜取痰装置
KR20190041083A (ko) * 2017-10-12 2019-04-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흡입 핸드피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35U (ko) * 2017-07-06 2019-01-16 이현우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KR20190041083A (ko) * 2017-10-12 2019-04-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흡입 핸드피스
CN109620115A (zh) * 2019-02-19 2019-04-16 吉林大学 一种儿童支气管镜取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920B2 (en) Endotracheal tube with dedicated evacuation port
US8602030B2 (en) Tracheal tubes with improved secretion removal systems
NZ597652A (en) Artificial airway
JP2008023105A (ja) 気管チューブ
KR101409236B1 (ko)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
KR20100118713A (ko) 의료용 석션 카테터
JP3181583U (ja) 吸引カテーテル
CN212817362U (zh) 防吸伤气管黏膜的吸痰管
US20240139451A1 (en) Connectors and assemblies
CN203447602U (zh) 一种气管插管
CN209809123U (zh) 一种能准确取样的吸痰管
CN215608029U (zh) 一种降低口腔粘膜损伤的吸痰管
CN214807606U (zh) 改良版吸痰吸氧一体管
JP2013192911A (ja) 気管チューブ
CN210873627U (zh) 一种新型封堵器
CN209751746U (zh) 自动防回流吸痰管
CN215690772U (zh) 一种清洁牙垫
JP6373136B2 (ja) 医療用の取り外し具
JP2002017862A (ja) オブチュレーター
CN215135255U (zh) 一种湿热交换器
CN212522540U (zh) 一种负压吸痰用吸痰管
AU2017356021B2 (en) Tracheotomy tube having freely openable/closable lateral hole
CN208838831U (zh) 一种鼻胆胰管鼻腔引导管
CN215083704U (zh) 一种经鼻腔插入通气管保护结构
WO2023037546A1 (ja) 被吸引物誘導管、及び被吸引物吸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