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068A - 선반 - Google Patents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068A
KR20100118068A KR1020100036907A KR20100036907A KR20100118068A KR 20100118068 A KR20100118068 A KR 20100118068A KR 1020100036907 A KR1020100036907 A KR 1020100036907A KR 20100036907 A KR20100036907 A KR 20100036907A KR 20100118068 A KR20100118068 A KR 2010011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headstock
spindle
tool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사쿠 스즈키
다카시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토메 세이미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토메 세이미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무라 토메 세이미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16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30Turning-machines with two or more working-spindles, e.g. in fixed arrangement

Landscapes

  • Turn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주축 축선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아래 날붙이대의 가이드 구조에 특징이 있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주축 축선의 하방에 배치되는 아래 날붙이대나 주축대의 하방부분 및 그러한 가이드 구조를 컴팩트하게 한다.
수평인 주축 축선은, 베드의 앞가장자리보다 전방측의 상방에 위치한다. 베드는, 대략 연직인 앞면을 구비하고, 아래날붙이대의 Z축가이드가, 상기 앞면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아래날붙이대의 X축가이드는, Z축가이드에 배면측이 안내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Z축이동대의 앞면에 배치되고, 날붙이대는, 그 배면측을 X축가이드에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탑재되어 있다. 날붙이대는, 그 주축대 반대측에 공구 타렛을 구비하고 있다. 주축대는, 상방부의 날붙이대보다 높은 위치에 날붙이대측으로 연장되는 장출부를 구비한 주축대 베이스의 상기 장출부의 전방측에 일체로 또는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날붙이대가 주축대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 날붙이대가, 주축대의 하방에 수납된다.

Description

선반{A LATHE}
본 발명은, 주축 축선의 상하에 날붙이대를 구비한 복합 선반에 특히 적합한 선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축대의 고정 구조 및 주축 축선의 바로 아래에 배치한 아래날붙이대의 가이드 구조에 특징이 있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주축에 파지된 워크를 주축에 대해서 주축의 축선방향인 Z축방향 및 절개 방향인 X축방향으로 이동 위치 결정되는 공구로 절삭 가공하는 공작기계이다. 일반적으로는, 주축은, 베드에 고정된 주축대에 수평으로 축으로 지지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기계의 좌측에 위치하고, 공구는, 주축 축선의 전방(오퍼레이터측) 내지 전방측의 하방에 배치한 날붙이대의 공구 타렛에 장착되어 있다. 날붙이대를 2개 이상 구비한 2주축 대향 선반에서는, 주축 축선을 따라서 이동 위치 결정되는 이동 주축을 기계의 우측에 배치하고, 날붙이대는 주축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방측 하방과 안쪽 상방에 배치된다.
프라이스 등의 비교적 대형의 회전 공구를 장착하여 워크의 바깥둘레에 평면 가공이나 대지름구멍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 복합 선반은, 주축 축선의 상방에 Z축, X축 및 상기 양축과 직교하는 Y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고 또한 Y축 둘레로 자유롭게 선회 위치 결정되는 위날붙이대를 배치하고, 상기 위날붙이대에 회전 공구를 부착한 공구축을 설치하고, 주축의 후방에 상기 공구축에 장착되는 교환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매거진을 배치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위날붙이대의 공구축에 중(重)가공할 수 있는 대형의 회전공구를 장착하고 싶을 때는, 머시닝 센터와 같이, 공구축을 워크의, 따라서 주축 축선의, 바로 위에 하향으로 배치한다. 특허문헌 2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봐서 좌우방향을 Z축방향, 상하방향을 X축방향, 전후방향을 Y축방향으로 하고, 주축 축선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공구축과, 주축 축선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공구 타렛을 구비한 2주축 대향 복합선반이 제안되어 있다. 이 2주축 대향 복합선반의 공구축은, Z축, X축 및 Y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고 또한 Y축둘레(B축)로 자유롭게 선회 위치 결정되는 위날붙이대에 설치되고, 공구 타렛은, Z축 및 X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는 아래날붙이대에 설치되어, 공구 타렛은 아래날붙이대의 오른쪽 주축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2주축 대향 복합 선반에서는, 베드의 앞쪽 상면에 좌우의 주축대 및 아래날붙이대가 설치되고, 베드의 안쪽 상면에 고정된 틀 형상의 컬럼에 위날붙이대용의 좌우이동대(위쪽 Z축이동대)가 설치되고, 이 위쪽 Z축이동대의 앞면에 위날붙이대용의 상하이동대(위쪽 X축이동대)가 설치되고, 이 위쪽 X축이동대에 위날붙이대가 Y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고 또한 Y축 둘레로 자유롭게 선회 위치 결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측 주축대는, 베드 앞쪽의 한단(一段) 높아진 좌단(左端)의 상면에 하면을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아래날붙이대와 우측 주축대는, 좌단에 대해서 한단 낮아진 베드의 앞쪽 상면에 설치한 좌우가이드(아래쪽 Z축가이드)를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측 주축대는, 아래날붙이대측으로부터 보아 하향 ⊃자형으로, 좌측 주축의 바로 아래의 부분에 터널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날붙이대는, 그 우단(右端)에 타렛을 구비하고 있고, 타렛의 좌측이 되는 아래날붙이대 및 이것을 X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아래 Z축이동대는, 타렛을 좌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 좌측 주축 바로 아래의 상기 터널부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2003-2054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7561호
공구축을 주축 축선의 바로 위에 하향으로 배치하고, 주축 축선의 바로 아래에 공구 타렛을 배치한 종래 구조의 복합 선반은, 위날붙이대의 지지 강성이 크고, 또한 위날붙이대가 Y축 둘레로 선회 가능하기 때문에, 공구축에 대형의 회전 공구를 부착할 수 있고, 자동공구 교환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넓은 평면이나 경사진 구멍의 가공 등도 가능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선반은, 베드가 대형이 된다고 하는 문제나, 워크 절삭 위치의 하방의 베드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아래날붙이대용의 Z축가이드(아래 Z축가이드) 및 그 이송나사를 낙하해 오는 절분(切粉)이나 절삭액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나, 대형의 선반에서는, 주축 축선의 위치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베드의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이고, 가공 위치로부터 낙하해 오는 절분이나 절삭액이 원활하게 배출되고, 주축 축선의 하방에 배치되는 날붙이대나 주축대 내지 주축대 베이스의 하방부분의 구조 및 그들의 가이드 구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복합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반은, 수평인 주축 축선(a)의 바로 아래에, 공구 타렛(4)을 구비한 아래날붙이대(41)가 배치되어 있다. 베드(11)는, 대략 연직인 앞면(오퍼레이터측을 향하는 면)을 구비하고, 아래날붙이대(41)의 Z축가이드(12u,12d)가, 상기 앞면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2주축 대향 선반에서는, 이동 주축(3)을 축으로 지지하는 이동 주축대(31)가, 이 Z축가이드(12u,12d)에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탑재된다. 즉, 아래날붙이대(41)와 이동 주축대(31)는, 베드의 대략 연직인 앞면의 상하에 설치한 동일한 Z축가이드(12u,12d)로 안내되고 있다. Z축은 오퍼레이터에서 봐서 좌우의 수평방향, X축은 상하방향, Y축은 전후방향이고, 오퍼레이터측은 전방이다.
아래날붙이대(41)의 X축가이드(43)는, 상기 Z축가이드(12u,12d)에 배면측(오퍼레이터 반대측)이 안내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Z축이동대(42)의 앞면에 배치되고, 아래날붙이대(41)는, 그 배면측을 X축가이드(43)에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하여 Z축이동대(42)에 탑재되어 있다. 아래날붙이대(41)는, 그 주축대 반대측{2주축 대향 선반에서는 이동 주축대(31)측}에 공구 부착부(일반적으로는 공구 타렛)(4)를 구비하고 있다.
주축대(21)는, Z축가이드(12u,12d)에 걸쳐져 베드(11)의 앞면(2축가이드를 장착한 면과 동일한 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면측 하방부가 고정된 주축대 베이스(22)의 상방부에 전방측 및 날붙이대측으로 내뻗어진 상태로 일체로 또는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주축 축선(a)은, 베드(11)의 앞가장자리보다 전방측(오퍼레이터측)의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그 하방부에 절삭액이나 절분의 회수 탱크 (13)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나 이송나사를 배치한 기구부에 절삭액이나 절분이 침입하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해, 아래날붙이대(41)가 주축대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아래날붙이대(41)의, 특히 공구 타렛(4)의 산출축을 축으로 지지하고 있는 산출기구부가, 주축대 하방의 공간에 수납된다. 상기 주축대 베이스(22)를, 그 상방부의 아래날붙이대보다 높은 위치에 아래날붙이대(41)측으로 연장되는 장출부(張出部)(28)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주축대(21)를 이 장출부(28)의 전방측에 일체로 또는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아래날붙이대(41)가 주축대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의, 주축대(21) 하방의 아래날붙이대(41)의 수용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구조의 경우는, 주축대(21)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하기 위해서, 장출부(28)의 배면측을 베드(11)의 앞면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하는 보강판부(2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구조에 있어서는, 아래날붙이대(41)가 주축대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에, Z축이동대(42)의 주축대측으로 연장시킨 연장부(46)를 이 보강판부(26)의 하방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Z축이동대(42)의 안내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주축(2)을 구동하는 주축 모터(29)를, 주축대 베이스(22)의 앞면 하방부에 장착하면, 주축 모터(29)의 보수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주축대(21)의 주축대 베이스(22)의 배면의 하단과 높이 중간 위치에 배후 측으로 연장되는 다리부(25u,25d)를 설치하고, 주축대 베이스(22)를 이 다리부로부터 베드(11)의 앞면에 고정하면, 주축대 베이스(22)의 하방부 배면과 베드(11)의 앞면과의 사이에, 좌우로 관통하는 공간(23)을 형성할 수 있다. Z축가이드(12u,12d) 및 이송나사(45)는, 이 공간(23)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아래날붙이대(41)의 좌우방향의 가이드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Z축이동대(42)에 설치하는 연장부(46)나, 절삭액이나 절분으로부터 Z축가이드(12u,12d) 및 그 이송나사(45)를 보호하는 커버를, 이 공간(23)을 관통시켜 자유롭게 좌우 이동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2주축 대향 선반에서는, Z축이동대의 연장부(46)를 고정 주축대(21)측에 설치할 수 있고, 아래날붙이대용의 Z축 이송나사(45)와 이동 주축대(31)용의 Z축 이송나사(35)를 동일 축선상에 배치해도 아래 Z축이동대와 이동 주축대(3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컴팩트한 기기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주축 축선(a)의 바로 위에 공구축(5)을 설치하여 복합 선반으로 할 때는, 베드(11)를 대략 수평인 상면과 대략 연직인 앞면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공구축(5)을 탑재하는 위날붙이대(51)는, 베드(11)의 상면의 앞쪽과 안쪽에 배치한 위쪽 Z축가이드(14,14)에 안내되는 위쪽 Z축이동대(52)와, 이 위쪽 Z축이동대의 상면에 배치된 위쪽 Y축가이드(53,53)에 안내되는 위쪽 Y축이동대(54)와, 이 위쪽 Y축이동대의 세로로 긴 앞면에 배치한 위쪽 X축가이드(56,56)에 안내되는 하향 방향을 워크에 대한 공구의 절개 방향으로 하는 위쪽 X축이동대(57)를 사이에 두고, 위쪽 X축이동대(57)에 Y축 둘레로 자유롭게 선회 위치 결정되도록 설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대형의 회전 공구를 구동하는 위날붙이대(51)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공구 매거진이나 공구 교환장치의 합리적인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공구의 절개방향인 X축을 연직 방향으로 하고, 또한 주축 축선(a)의 하방에 아래날붙이대(41)를 배치한 선반에 있어서, 아래날붙이대(41)가 주축측(고정 주축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의 아래날붙이대(41)와 주축대 베이스 (22)와의 기계적인 간섭을 피하면서, 주축대 베이스(22) 및 아래날붙이대(41) 및 이 아래날붙이대를 지지하고 있는 Z축이동대(42)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아래날붙이대(41)를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좌우방향의 가이드(12u,12d)를 설치한 면} 및 상하방향의 안내면{상하방향의 가이드(43,43)를 설치한 면}을 주축 축선(a)의 바로 아래보다 안쪽(베드측)의 위치에 대략 연직 방향의 면으로서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안내면 등으로의 절삭액이나 절분의 침입을 방지하는 커버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더욱이, 베드(11)의 전방의 주축 축선(a)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회수 탱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절삭액이나 절분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구비한 2주축 대향 복합 선반의 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반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A부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B부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선반의 전체 정면도.
도 6은 주축대(고정 주축대)의 사시도.
도 7은 날붙이대(아래날붙이대)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구조를 구비한 2주축 대향 복합 선반이고, 동일 축선(a)상에서 대향하는 2개의 주축(2,3)과, 주축 축선의 바로 위에 배치된 공구축(5)과, 주축 축선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공구 타렛(4)을 구비하고 있다. 주축 축선(a)의 방향이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좌우방향, 공구축(5) 및 공구 타렛(4)의 공구 절개방향이 연직방향, 이것들에 직교하는 방향이 전후방향이며, 좌우가 선반의 Z축, 상하가 X축, 전후가 Y축이고, 오퍼레이터측이 전방이다.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좌측의 주축대(21)는, 베드(11)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의 주축대(31)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된다. 공구축(5)이 설치된 위날붙이대(51)는, 좌우,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고, 또한 전후방향 축둘레로 자유롭게 선회 위치 결정된다. 공구축(5)의 좌우의 주축대 (21,31)의 상방의 위치에 공구축(5)에 장착하는 공구를 수용한 공구 매거진(7,7)이 배치되어 있다. 공구 타렛(4)을 장착한 아래날붙이대(41)는, 공구 타렛(4)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된다.
베드(11)는, 베이스(1)의 전방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상면에 고정되어 또는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베드(11)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앞가장자리부가 한단 높아진 수평인 상면과, 아래가장자리부가 한단 전방으로 돌출된 연직인 앞면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의 상면을 전방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한 것은, 베드를 지나 낙하해 오는 윤활유 등을 베이스(1)의 전방에 배치되는 회수 탱크(13)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베드(11)의 앞면의 상하에 상기 앞면의 거의 좌우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좌우방향의 가이드(12u,12d)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아래쪽의 가이드(12d)는, 베드 앞면 아래가장자리부의 돌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위쪽과 아래쪽의 가이드(12u,12d)의 사이에 아래날붙이대(41)를 가이드(12u,12d)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45)와, 우측 주축대(31)를 가이드(12u,12d)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35)가, 전자를 베드 앞면의 좌측에 위치시키고 후자를 베드 앞면의 우측에 위치시켜,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이송 나사를 회전구동하는 이송모터(48,38)는, 베드 앞면의 좌우의 단부(端部)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좌측의 좌측 주축대(21)는, 주축대 베이스(22)를 사이에 두고 베드(11)의 앞면에 고정되어 있다. 주축대 베이스(22)는, 주축대의 일부가 되는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좌측 주축(2)을 축으로 지지하고 있는 부분을 좌측 주축대(21)로 하고, 이 좌측 주축대와 베드(11)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부분을 주축대 베이스(22)로 하여 설명한다.
주축대 베이스(2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보아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에 우측 주축대(31)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장출부 (28)를 구비한 정면에서 보아 폭이 넓은 역 L자형의 블록 형상의 주요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상방의 장출부(28)의 앞면에 좌측 주축대(21)가 일체로,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주축대 베이스(22)의 배면(뒤쪽의 면)의 아래가장자리부와 높이 중간 위치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25u,25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주축대 베이스(22)는, 위쪽의 다리부(25u)가 베드(11)의 앞면 좌단의 위쪽 가이드(12u)의 상방의 위치에서 베드(11)에 고정되고, 아래쪽의 다리부(25d)가 아래쪽의 가이드(12d)의 하방의 위치에서 베드(11)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주축대 베이스(22)의 장출부(28)의 배면측의 하방에는, 상기 장출부와 우측 주축대(31)측으로 연장시킨 위쪽 다리부(25u)를 연결 일체화하는 보강판부(2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좌측 주축(2)을 회전구동하는 좌측 주축 모터(29)는, 주축대 베이스 (22)에 고정되어, 벨트(27) 구동에 의해, 좌측 주축(2)을 회전구동하고 있다.
주축대 베이스(22)의 상기 형상은, 공구 타렛(4)이 좌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공구 타렛의 좌측에 위치하는 아래날붙이대(41)가 좌측 주축대(21) 및 주축대 베이스의 장출부(28)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즉, 공구 타렛(4)이 좌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아래날붙이대(41)는, 좌측 주축대(21) 및 상기 좌측 주축대를 지지하고 있는 장출부(28)의 하방의 공간에 위치하며, 이 공간내는, 아래날붙이대(4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높이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판부(26)는, 공구 타렛(41)이 좌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의 아래날붙이대(41) 및 이것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X축이동대(후술)와의 사이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좌측 주축(2)의 지지 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다.
주축대 베이스(22)와 베드(11)의 앞면과의 사이에서, 또한 위쪽과 아래쪽의 다리부(25u,25d)의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23)이 형성되고, 베드 앞면의 Z축가이드(12u,12d) 및 공구 타렛(4)용의 Z축 이송나사(45)의 기초단은, 이 공간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워크 가공시에 Z축가이드(12u,12d)나 좌우 이송나사 (45)를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절삭액이나 절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Z축가이드(12u,12d)에 안내되어 있는 아래날붙이대용의 Z축이동대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차폐 커버도 또한 이 공간(23)을 통하여 좌우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타렛(4)은, 산출축(공구 타렛을 간헐 회전시켜 공구를 산출(인덱싱)하는 축)을 주축 축선(a)과 평행하게 하여, 아래날붙이대 (41)의 우단에 지지되고 있다. 아래날붙이대(4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고, 베드 앞면의 Z축가이드(12u,12d)에 안내되고 또한 좌우 이송나사(45)로 이동 위치 결정되는 Z축이동대(42)의 앞면에 설치한 X축가이드(43,43)에 안내되고, 또한 이들 가이드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한 상하 이송나사(47)에 나사식 맞춤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위치 결정된다. 상하 이송나사(47)를 회전구동하는 이송모터(49)는, 아래날붙이대(41)의 하방의 위치에서 Z축이동대(4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하방을 향한 출력축과 상하 이송나사(47)의 하단을 연결하는 회전전달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송나사(47)를 회전구동하고 있다.
한편, 베드(11)의 형상에 있어서, 베드 상면 앞가장자리에 한단 높아진 부분을 설치하고, 앞면 아래가장자리부에 한단 전방으로 돌출한 부분을 설치한 것은, 아래날붙이대(41) 및 후술하는 우측 주축대의 중량이나 가공 반력(反力)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를 역학적으로 보다 강성이 높은 형태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우측 주축대(31)는, 우측 주축(3)을 축으로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부(32)의 배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구조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구조부의 배면측 하방부가 아래날붙이대(41)와 공통의 Z축가이드(12u,12d)로 안내되어, 이송나사(35)에 나사식 맞춤되어 있다. 즉, 우측 주축대의 베어링부(32)는, 배면 하방부를 Z축가이드(12u,12d)와 이송나사(35)에 의해 베드(11)의 대략 연직인 앞면에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안내된 지지 구조부(33)의 상단에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우측 주축(3)을 구동하는 우측 주축 모터(39)는, 우측 주축대의 지지 구조부(33)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벨트(37) 구동에 의해, 우측 주축(3)을 회전구동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에 나타낸 2주축 대향 복합 선반에서는, 좌측 주축대(21)가 베드(11)에 고정되어 정위치에, 우측 주축대(3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위치 결정이 자유롭게, 공구 타렛(4)을 장착한 아래날붙이대(41)가 좌우 및 상하 이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지만, 이들은 베드(11)의 대략 연직인 앞면에 고정되고, 또는 이 앞면에 고정된 가이드(12u,12d)와 이송나사(35 또는 45)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주축(2)과 우측 주축 (3)과의 사이의 워크 가공 위치의 하방의 아래날붙이대(41)의 더 하방에, 워크 가공시에 그 가공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절삭액이나 절분을 받는 좌우로 가늘고 긴 형상의 회수 탱크(13)가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베드(11)의 전방 양측에 좌우의 지지기둥(15)이 세워 설치되고, 이 좌우의 지지기둥의 상단을 연결하는 위 도리(16)가 설치되어 있다. 베드(11)의 상부에는, 위쪽 Z축가이드(14)와 위쪽 좌우 이송나사(5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위쪽 Z축가이드(14)에 안내되고 또한 위쪽 좌우 이송나사(55)에 나사식 맞춤되어, 위쪽 Z축이동대(52)가, 위쪽 좌우 이송나사(55)를 회전구동하는 이송모터(58)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쪽 Z축가이드(14)의 가장 가까운 쪽의 것은, 베드 앞가장자리부의 한단 높아진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위쪽 Z축이동대(52)의 상면에는, Y축가이드(53)와 전후 이송나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기계 정면으로부터 보아 키가 큰 직사각형의 앞면을 구비한 Y축이동대(54)가 Y축가이드(53)에 안내되고, 또한 이송모터(59)로 회전구동되는 전후 이송나사에 나사식 맞춤되어,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Y축이동대(54)의 앞면에는, 위쪽 X축가이드(56)와 위쪽 상하 이송나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고, 위쪽 X축이동대(57)가 위쪽 X축가이드(56)에 안내되고, 또한 이송모터(60)로 회전구동되는 위쪽 상하 이송나사에 나사식 맞춤되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위치 결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위쪽 X축이동대(57)에는, 각통(角筒)형상의 지지통(61)이 전방으로 돌출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통(61)의 앞면에는, 위날붙이대(51)가 전후방향의 축둘레로 자유롭게 선회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날붙이대(51)의 선회 지지기구 및 선회용 이송모터는, 지지통(61)내에 설치되어 있다. 위날붙이대(51)에는, 공구축 (5)이 그 공구 파지끝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공구축(5)의 회전구동기구는, 위날붙이대(51)내에 설치되어 있다.
베드(11)의 좌우에 세워 설치한 지지기둥(15)의 앞면에는, 공구 매거진의 지지부재(71)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71)는, 지지기둥(15)의 전방측에서 좌우방향 안쪽으로 연장되고, 그 안쪽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이 전방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공구 매거진(7,7)과 공구 교환장치(72,72)가 장착되어 있다. 도면의 공구 매거진(7,7)은, 좌우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하여 공구를 선택하는 원판구조의 것으로, 지지 원판(73)의 바깥쪽면(공구축 반대측의 면)의 원둘레 상에 다수의 공구유지부(74)가 배치되어 있다. 공구축에 장착되는 교환공구는, 그 축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공구유지부(74)에 유지되어 있다. 각 공구유지부(74)는, 최하단에 회동한 위치에서 유지한 공구의 방향을 하방으로 향하는 방향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교환장치(72,72)는, 하향의 공구축(5)에 장착된 공구와 공구 매거진(7,7)의 최하단에 산출되어 하향으로 된 공구와의 사이에서 공구 교환을 행한다.
2 : 고정 주축
3 : 이동 주축
4 : 공구 타렛
5 : 공구축
11 : 베드
12u, 12d : Z축가이드
21 : 고정 주축대
31 : 이동 주축대
41 : 아래날붙이대
43 : X축가이드
51 : 위날붙이대
a : 주축 축선

Claims (4)

  1. 주축 축선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날붙이대의 Z축가이드가 베드의 대략 연직인 오퍼레이터측을 향한 앞면의 상하에 배치되고,
    상기 날붙이대의 X축가이드가 상기 Z축가이드에 배면측이 안내되어 이동하는 Z축이동대의 앞면에 배치되며,
    상기 날붙이대가 그 주축대 반대측에 날붙이 부착부를 구비하고,
    주축대는 상기 Z축가이드에 걸쳐져 베드의 상기 앞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면측 하방부가 고정된 주축대 베이스의 상방부 전방측에 일체로 또는 고정하여 설치되어,
    날붙이대가 주축대측 이동단(移動端)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날붙이대가 주축대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 베이스가 그 상부의 날붙이대보다 높은 위치에서 날붙이대측으로 연장되는 장출부(張出部)를 구비하고, 주축대가 이 장출부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이 장출부의 배면측을 베드 앞면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하는 보강판부를 구비하고,
    날붙이대가 주축대측 이동단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Z축이동대의 주축대측의 부분이 이 보강판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축 모터가 상기 주축대 베이스의 앞면 하방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에 축으로 지지된 주축과 대향하는 이동 주축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주축이, 상기 Z축가이드에 배면 하방부가 안내된 이동 주축대의 상방부로부터 오퍼레이터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반.
KR1020100036907A 2009-04-27 2010-04-21 선반 KR20100118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8062A JP2010253635A (ja) 2009-04-27 2009-04-27 旋盤
JPJP-P-2009-108062 2009-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68A true KR20100118068A (ko) 2010-11-04

Family

ID=4299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907A KR20100118068A (ko) 2009-04-27 2010-04-21 선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53635A (ko)
KR (1) KR20100118068A (ko)
CN (1) CN101869992A (ko)
TW (1) TW2010383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9827A (ja) 2011-09-13 2013-04-04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工作機械及びワークのロードアンロード方法
TWI555606B (zh) * 2012-03-26 2016-11-01 Citizen Holdings Co Ltd 工作機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5745B2 (ja) * 1989-08-17 1998-12-14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2主軸対向旋盤
CN2178574Y (zh) * 1993-09-03 1994-10-05 刘继林 双转塔多工位车床
JP3737938B2 (ja) * 2000-08-18 2006-01-25 株式会社森精機製作所 工作機械
JP2005028482A (ja) * 2003-07-09 2005-02-03 Mori Seiki Co Ltd 旋盤
JP2007075922A (ja) * 2005-09-12 2007-03-2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複合旋盤
JP4171507B2 (ja) * 2006-09-08 2008-10-22 株式会社森精機製作所 工作機械
JP2008093808A (ja) * 2006-10-16 2008-04-24 Tsugami Corp 旋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8343A (en) 2010-11-01
CN101869992A (zh) 2010-10-27
JP2010253635A (ja)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403B2 (en) Machine tool, in particular a drilling and milling machine
KR101689403B1 (ko) 2주축 대향 복합 선반
JP5562446B2 (ja) 工作機械
US8714535B2 (en) Universal machine tool including a chip collecting space
CN104039499B (zh) 机床
US4951376A (en) Machine tool
CN109689289B (zh) 机床
JP2003136352A (ja) フライスおよび穿孔マシニングセンター
US7621029B2 (en) Multi-spindle machining center
US11167354B2 (en) Machine tool, in particular lathe
US8517901B2 (en) Horizontal machine tool
JP4741351B2 (ja) 小型旋盤
JP2009279697A (ja) 工作機械
JP2003266257A (ja) 工作機械
KR102057727B1 (ko)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KR20100118068A (ko) 선반
KR20190068027A (ko) 멀티형 공구교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JP7036843B2 (ja) 工作機械
JP4522684B2 (ja) 工作機械
KR20240019028A (ko) 인덱스 가공기
KR20190044639A (ko) 공작기계
JP2005118890A (ja) 工作機械
AU5371700A (en) A la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