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614A -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 - Google Patents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614A
KR20100117614A KR1020107018565A KR20107018565A KR20100117614A KR 20100117614 A KR20100117614 A KR 20100117614A KR 1020107018565 A KR1020107018565 A KR 1020107018565A KR 20107018565 A KR20107018565 A KR 20107018565A KR 20100117614 A KR20100117614 A KR 2010011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ection
short circuit
surge arrester
fusibl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보버트
Original Assignee
에프코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코스 아게 filed Critical 에프코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1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4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for protecting it against overload or for disconnecting it in case of failure

Landscapes

  • Fus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전기 단락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가 개시되며, 상기 전기 보호 소자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2)을 포함하는 가스 봉입식 서지 피뢰기(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 하나의 전극(2)은 서지 피뢰기(1)의 단부에 배열된다. 전기 보호 소자는 열적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열적 단락 회로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섹션들(4, 5)을 구비하는 클립(3)을 포함한다. 클립(3) 중 적어도 제 1 섹션(4)은 스냅 방식으로 서지 피뢰기(1)에 부착된다. 클립(3) 중 적어도 제 2 섹션(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4)을 둘러싸고 가용성 소자(7)에 의해 제 1 섹션(4)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2 섹션(5)은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6)를 구비한다. 가용성 소자(7)가 녹는 경우, 단락 회로 링크(6)는 서지 피뢰기(1)의 전극들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Description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ELECTRIC PROTECTION ELEMENT WITH A SHORT CIRCUIT DEVICE}
본 발명은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EP 0962037 B1은 외부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가스 주입형 서지 피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장착성을 가지는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항에 따른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전기 보호 소자의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에 기술된다.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가 기술되며, 상기 전기 보호 소자는 서지 피뢰기를 포함한다. 서지 피뢰기는 중공형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형 몸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이 배열된다. 두 개의 전극들을 구비한 서지 피뢰기는 일체형 세라믹 중공형 몸체를 가진다. 3-전극식 어레스터의 경우, 세라믹 중공형 몸체는 중앙 전극에 의해 두 개의 분리된 부분들로 분할된다. 두 개의 부분들은 중앙 전극의 제 1 측에 배열된다. 단부 전극은 각각 두 개의 부분들의 제 2 측에 배열된다.
전기 보호 소자는 열적 단락 회로 장치를 포함한다. 단락 회로 장치는 스냅 방식에 의해 전기 보호 소자의 서지 피뢰기에 부착된 클립을 포함한다.
클립은 적어도 두 개의 섹션들을 구비한다. 클립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섹션은 스냅 방식에 의해 서지 피뢰기에 부착되고 상기 서지 피뢰기의 절반 이상에 걸쳐 결합된다. 따라서, 단락 회로 링크의 제 1 섹션은 바람직하게 단락 회로 링크를 서지 피뢰기에 고정시키도록 기능한다. 적어도 제 1 섹션의 단부는 서지 피뢰기와 기계적으로 접촉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섹션의 단부는 서지 피뢰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 1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역은 단락 회로 장치가 여전히 서지 피뢰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서지 피뢰기에 배열된다. 제 1 섹션의 나머지 영역은 서지 피뢰기에 구비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클립은 제 1 섹션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섹션을 포함하고 가용성 소자에 의해 제 1 섹션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2 섹션은 일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단락 회로 링크는 서지 피뢰기로부터 방사상 이격되어 구비된다. 가용성 소자가 녹는 경우, 단락 회로 링크는 서지 피뢰기의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전극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클립의 제 1 섹션은 바람직하게 서지 피뢰기의 절반 이상에 걸쳐 결합된다. 이는, 단락 회로 메커니즘이 트리거링되는 경우 클립이 서지 피뢰기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클립의 제 1 섹션은 단락 회로 링크를 위한 카운터베어링(counterbearing)으로서 기능한다.
세 개의 전극들을 구비하는 서지 피뢰기의 경우, 제 3의 중앙 전극은 두 개의 중공형 몸체들 및 두 개의 단부 전극들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중앙 전극은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으로 중공형 몸체 및 단부 전극보다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은 구부러진 납작한 조각을 포함하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컷아웃(cutouts)을 구비할 수 있다. 컷아웃은, 3-전극식 피뢰기의 경우 클립이 중앙 전극의 영역에서 미끄러지는 것에 대해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컷아웃은 바람직하게 중앙 전극과 같은 폭을 가져, 중앙 전극이 부분적으로 클립의 컷아웃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에 의해, 축 방향으로 클립이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게, 치수가 가용성 소자보다 다소 작은 컷아웃이 가용성 소자의 영역에 위치되어, 가용성 소자가, 스냅 동작에 의해 단락 회로 클립이 서지 피뢰기에 부착되기 어려워지는 방식으로 컷아웃을 통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용성 소자는 적어도 일측에 단차부를 구비하여, 가용성 소자 중 적어도 한 부분이 컷아웃으로 돌출하도록 한다. 그 결과, 가용성 소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지 피뢰기의 중앙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서지 피뢰기로부터 가용성 소자로의 가상적으로 최적화된 열전달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용성 소자의 영역에 위치한 컷아웃은 바람직하게 중앙 전극이 컷아웃을 통해 소정 규모로 돌출하도록 사이즈가 구성되어, 중앙 전극은 가용성 소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서지 피뢰기로부터 가용성 소자로의 가상적으로 최적화된 열전달이 역시 제공된다.
클립은 바람직하게 장형의 납작한 조각을 포함하며, 단락 회로 링크는 클립의 다른 부위보다 더 넓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클립의 제 1 및 제 2 섹션은 일체형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립이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의 제 1 섹션은 제 1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섹션은 제 2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섹션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부분들로 구성된 클립의 경우, 클립의 부분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다.
그러나, 클립의 부분들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단락 회로 링크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물질이 이를 위해 적절하다. 단락 회로 장치의 클립이 영구적으로 가용성 소자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베릴륨 구리를 포함한 물질이 이를 위해 적절하다. 베릴륨 구리는 특히 단락 회로 클립에 적절하며, 이는 베릴륨 구리가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에도 스프링의 힘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베릴륨 구리는 장시간 지속되는 스프링 힘을 가진다. 스프링용 강과 비교하여, 베릴륨 구리는 보다 나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클립을 위한 납작한 조각은, 비용 효율적이고 기술적 복잡도가 높지 않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탬핑에 의해 베릴륨 구리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작한 조각은 예를 들어 구부림에 의해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된다.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클립의 경우, 두 개의 준비된 부분들은 함께 결합되고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예로서, 두 부분들은 용접에 의해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클립은 바람직하게 상기 서지 피뢰기의 중앙 전극의 영역에서 스냅 방식에 의해 서지 피뢰기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2-전극식 피뢰기가 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락 회로 링크는 예를 들어, 중공형 몸체의 영역 내의 링 또는 클램프에 의해 서지 피뢰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가용성 소자는 바람직하게 서지 피뢰기가 허용불가능한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녹도록 설계된다. 가용성 소자는 납을 포함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을 포함한 물질은 더 적합하다. 특히, 소량의 물질로 가능한 한 가장 큰 부피를 가지는 형태가 적합하다. 이 경우, 특히, 예를 들어 관형 몸체와 같은 중공형 몸체가 적합하다.
단락 회로 링크는 이러한 가용성 소자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서지 피뢰기가 허용불가능한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캐비티를 구비한 몸체는 동일한 사이즈를 가진 납으로 구성된 몸체보다 더 신속하게 녹는다. 그 결과, 전기 보호 소자는 빠른 응답 시간을 가진다.
가용성 소자는 바람직하게 단락 회로 링크가 가용성 소자에 의해 외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가용성 소자가 녹는 경우, 클립은 서지 피뢰기의 외부 전극을 가압하고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추가적인 중앙 전극을 구비한 서지 피뢰기의 경우, 단락 회로 링크는 외부 전극을 중앙 전극에 연결시킨다.
SMD 설계로 제작된 서지 피뢰기가 바람직하게 제시된다. 와이어 접촉을 가지는 서지 피뢰기가 종래의 장착을 위해 제시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클립은, 가용성 소자를 포함한 미리 조립된 단락 회로 클립이 특히 서지 피뢰기가 장착 기판에 납땜된 후에 스냅 방식에 의해 서지 피뢰기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단락 회로 클립은 실제로 장착 전에 스냅 방식에 의해 서지 피뢰기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락 회로 클립은 서지 피뢰기가 납땜된 후에 스냅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가용성 소자는 기조립된 단락 회로 클립에 미리 배열되어 있어, 그 후 가용성 소자가 더 이상 도입될 필요가 없어진다.
정확히 SMD 설계 방식으로 구성된 서지 피뢰기의 경우, 납땜 작업 도중 서지 피뢰기가 허용불가능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그에 의해 단락 회로 장치의 열응답 범위에 진입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는 특히 SMD 설계 방식으로 제조되는 서지 피뢰기의 경우 제조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제한을 야기한다. 그 결과, 손수 납땜된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하는 종래의 서지 피뢰기와 비교하여, 서지 피뢰기가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납땜 작업 중 추가적인 냉각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웨이브 납땜(wwave soldering) 또는 리플로우 납땜(reflow soldering)의 경우,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는 특별히 조절된 온도 프로파일이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이어지는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반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 기술되는 도면은 진정한 축적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대신, 보다 나은 도시를 위해 개개의 치수는 사이즈가 확대되거나 축소되거나 심지어 왜곡되어 도시될 수 있다. 서로 일치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지시된다.
도 1a는 일체화된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c는 도 1a로부터의 단락 회로 클립의 정확한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여러 부분으로 분할된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로부터의 단락 회로 클립의 정확한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여러 부분으로 분할된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로부터의 단락 회로 클립의 정확한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체화된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단면도로서, 가용성 소자가 서지 피뢰기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가용성 소자를 구비한 단락 회로 클립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a는 일체화된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단면도로서, 가용성 소자가 서지 피뢰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가용성 소자를 구비한 단락 회로 클립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a는 일체화된 단락 회로 클립을 구비한 추가적인 전기 보호 소자의 단면도로서, 가용성 소자가 서지 피뢰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가용성 소자를 구비한 단락 회로 클립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서지 피뢰기(1)를 포함한 전기 보호 소자를 도시한다. 서지 피뢰기(1)는 단부에 각각 전극(2)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은 도 1b에 도시된다. 서지 피뢰기(1)는 반경 방향으로 중공형 몸체(9) 및 전극(2)보다 더 돌출된 중앙 전극(8)을 구비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은 스냅 방식으로 서지 피뢰기(1)에 부착되며, 상기 클립은 제 1 섹션(4)을 구비하고, 그 단부(4a 및 4b)는 서지 피뢰기(1)에 의해 지탱된다. 두 단부들(4a 및 4b) 사이의 제 1 섹션(4)의 영역은 서지 피뢰기(1)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서지 피뢰기(1)에 안착될 필요는 없다.
클립(3)의 제 2 섹션(5)은 서지 피뢰기(1)로부터 이격된다. 제 2 섹션(5)은 일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6)를 구비한다. 제 2 섹션(5)의 단락 회로 링크(6)는 가용성 소자(7)에 의해 제 1 섹션(4b)으로부터 이격되며, 따라서 서지 피뢰기(1)로부터도 이격된다. 정상적인 경우에서, 단락 회로 링크(6)는 클립(3)의 스프링 힘에 의해 사전에 응력이 작용되고 가용성 소자(7)를 가압한다. 단락 회로 링크(6)는 가용성 소자(7)가 녹는 경우 두 개의 전극들(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설계된다. 서지 피뢰기(1)가 허용불가능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가용성 소자(7)는 녹으며 그에 의해 가용성 소자(7)를 가압하고 있는 단락 회로 링크(6)를 위한 경로를 마련한다. 따라서, 단락 회로 클립(3)의 스프링 힘으로 인해, 단락 회로 링크(6)는 서지 피뢰기(1)의 외부 전극(2)을 가압한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로부터의 단락 회로 클립(3)의 정확한 전개도를 도시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은 제 2 섹션(5)의 일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6)를 구비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친 폭은 바람직하게 단락 회로 링크(6)의 폭보다 더 작다. 재질 및 중량을 절약하기 위해, 단락 회로 클립(3)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컷아웃(9a, 9b)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컷아웃(9a, 9b)은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1 섹션(4)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 2 섹션(5)이 추가적인 컷아웃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a는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클립(3)은 스냅 방식으로 서지 피뢰기(1)에 부착되며, 상기 서지 피뢰기는 단부에 각각 전극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클립(3)은 두 부분들로 구성되며, 제 1 부분은 제 1 섹션(4)을 형성하고 제 2 섹션(5)은 제 2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섹션(4)은 두 개의 단부(4a 및 4b)를 구비하며, 두 단부들은 서지 피뢰기(1)에 안착한다. 두 단부들(4a 및 4b) 사이의 제 1 섹션(4)의 영역은 서지 피뢰기(1)로부터 이격되거나 서지 피뢰기(1)에 안착된다. 단락 회로 링크(6)는 제 2 섹션(5)의 일 단부에 배열된다. 단락 회로 링크(6)는 단락 회로 링크(6)와 제 1 섹션(4)의 단부 사이에 배열된, 그 결과 단락 회로 링크(6)와 서지 피뢰기(1) 사이에 배열된 가용성 소자(7)를 가압한다. 서지 피뢰기(1)가 허용불가능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가용성 소자(7)는 녹으며, 그에 의해 단락 회로 링크(6)를 위한 경로가 마련된다. 따라서, 가용성 소자(7)가 녹은 경우, 단락 회로 링크(6)는 전극(2)을 가압하고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2b는 도 2a로부터의 단락 회로 클립(3)의 정확하게 전개된 두 부분들을 도시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은 제 1 섹션(4)을 구비한다. 복수의 컷아웃들(9a, 9b)은 제 1 섹션(4)의 두 단부들(4a 및 4b) 사이에 배열된다. 컷아웃(9a, 9b)은 중앙 전극(8) 상에서 클립(3)의 가이딩을 위해 기능한다. 컷아웃(9a, 9b)은 바람직하게 중앙 전극(8)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가용성 소자(7)는 적어도 컷아웃(9a)의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컷아웃(9a)을 통해, 컷아웃(9a)의 사이즈로 구성된 단차부를 구비하는 가용성 소자(7)는 중앙 전극(8)과 직접적인 열접촉을 가진다.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2 섹션(5)은 일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6)를 구비한다. 제 1 섹션(4)은 적어도 두 개의 연결지점에 의해 제 2 섹션(5)과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 2 섹션(5)은 용접 지점, 하나 또는 복수의 용접선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용접영역에 의해 제 1 섹션(4)에 연결된다. 제 1 섹션(4)의 폭은 바람직하게 제 2 섹션(5)의 폭에 대응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친 폭은 바람직하게 제 2 섹션(5)의 단부에서의 단락 회로 링크(6)의 폭보다 더 작다.
도 3a는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은 스냅 방식으로 서지 피뢰기(1)에 부착되며, 상기 서지 피뢰기는 단부에 각각 외부 전극(2)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락 회로 클립(3)은 두 부분들로 구성되며, 제 1 부분은 제 1 섹션(4)을 형성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2 섹션(5)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러그(4c)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섹션(5)의 두 부분들은 적어도 두 개의 연결지점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다. 제 1 섹션(4)은 두 개의 단부(4a 및 4b)를 구비하며, 두 단부들은 서지 피뢰기(1)에 안착된다. 두 단부들(4a 및 4b) 사이의 제 1 섹션(4)의 영역은 서지 피뢰기(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단락 회로 링크(6)는 제 2 섹션(5)의 일 단부에 배열된다. 단락 회로 링크(6)는 단락 회로 링크(6)와 제 1 섹션(4)의 단부(4b) 사이에 배열된 가용성 소자(7)를 가압하며, 그 결과 서지 피뢰기(1)를 가압한다. 따라서, 가용성 소자(7)가 녹는 경우, 단락 회로 링크(6)는 외부 전극(2)을 가압하고 이들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중앙 전극(8)으로 연결시킨다.
도 3b는 도 3a로부터의 단락 회로 클립(3)의 정확하게 전개된 두 부분들을 도시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은 제 1 섹션(4)을 구비한다. 컷아웃(9a)은 제 1 섹션(4)의 두 단부들(4a 및 4b) 사이에 배열된다. 제 1 섹션(4)의 러그(4c)는 제 2 부분과 함께 제 2 섹션(5)을 형성하며, 러그(4c)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지점에 의해 제 2 부분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부분은 용접ㅈ에 의해 제 1 섹션(4)의 러그(4c)에 연결된다.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2 섹션(5)은 일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6)를 구비한다. 제 1 부분의 영역(4c)의 폭은 제 2 섹션(5)의 폭에 대응한다. 단락 회로 클립(3)은 바람직하게 제 2 섹션(5)의 단부에서 단락 회로 링크(6)의 영역 중 가장 큰 폭을 가진다.
도 4a는 도 1a에 따른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섹션(4) 및 제 2 섹션(5)을 구비한 일체형 단락 회로 클립(3)은 서지 피뢰기(1)에 배열된다.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2 섹션(5)은 단락 회로 링크(6)의 영역 내의 가용성 소자(7)에 의해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1 섹션(4)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용성 소자(7)는, 가용성 소자(7)가 적어도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1 섹션(4)의 컷아웃(9a)의 가장자리의 두 측면에 안착하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한 사이즈를 가진다. 도 4a에서, 가용성 소자(7)는 중앙 전극(8)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며, 그 결과 서지 피뢰기(1)와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1 섹션(4)의 단부(4b)를 도시하며, 상기 단부(4b)는 컷아웃(9a)을 가진다. 가용성 소자(7)는 컷아웃(9a)의 영역에 배열된다. 가용성 소자(7)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컷아웃(9a)의 가장자리의 두 측면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1 섹션(4)과 제 2 섹션(5) 사이에 배열된 가용성 소자(7)는 적어도 일 측면에 단차부(10)를 가진다. 단차부(10)는 바람직하게 가용성 소자(7)가 단차부(10)를 구비한 컷아웃(9a)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사이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용성 소자(7)의 두드러진 부분은, 적어도 가용성 소자(7)가 컷아웃(9a)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측면에 안착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사이즈를 가진다. 가용성 소자(7)는 바람직하게 단차부(10)에 의해 중앙 전극(8)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도 5a에서, 가용성 소자(7)는 중앙 전극(8)과 가능한 최적의 열접촉을 형성하며, 그 결과 서지 피뢰기(1)와도 최적으로 열접촉을 형성한다.
도 5b는 도 1a에 따른 단락 회로 클립(3)의 제 1 섹션의 단부(4b)를 도시한다. 단부(4b)는 컷아웃(9a)을 구비하며, 컷아웃의 영역에는 가용성 소자(7)가 배열된다. 가용성 소자(7)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10)가 컷아웃(9a)으로 돌출되어, 바람직하게 가용성 소자(7)가 중앙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범위까지 돌출된다.
도 6a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보호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컷아웃(9a)은, 바람직하게 중앙 전극(8)이 가용성 소자(7)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범위까지 컷아웃(9a)으로 돌출되는 사이즈를 가진다. 가용성 소자(7)는 바람직하게 컷아웃(9a)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측면에 안착하는 사이즈로 구성되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가용성 소자는 바람직하게 컷아웃(9a)에 의해 생성된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중앙 전극(8)이 가용성 소자(7)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범위까지 컷아웃(9a)으로 돌출되는 점으로 인해, 가용성 소자(7)와의 가능한 최적의 열접촉이 형성된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단락 회로 클립의 제 1 섹션의 단부(4b)를 도시하며, 상기 단부(4b)는 컷아웃(9a)을 구비한다. 가용성 소자(7)는 컷아웃(9a)의 영역에 배열된다. 컷아웃(9a)은 바람직하게 중앙 전극(8)의 일부가 가용성 소자(7)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제한된 개수의 가능한 실시예만이 예시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클립을 둘 이상의 부분들로부터 연결시키거나 클립의 다른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로서, 스냅 방식으로 서지 피뢰기에 부착된 두 개의 제 1 섹션들을 일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를 구비한 제 2 섹션에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단락 회로 클립이 서지 피뢰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시된 개수의 구성요소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 기술된 기술내용은 개별적인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대신 개별적인 실시예의 특징은 기술적으로 편의적인 한 서로 간에 임의의 요구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1: 서지 피뢰기 2: 전극
3: 클립 4: 제 1 섹션
4a, 4b: 제 1 섹션(4)의 단부들 4c: 러그
5: 제 2 섹션 6: 단락 회로 링크
7: 가용성 소자 8: 중앙 전극
9a, 9b: 컷아웃 10: 단차부

Claims (16)

  1.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2)을 포함하는 서지 피뢰기(1);
    적어도 두 개의 섹션들(4, 5)을 구비한 클립(3)을 포함하는 열적 단락 회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3) 중 적어도 제 1 섹션(4)은 스냅 방식으로 상기 서지 피뢰기(1)에 부착되고,
    상기 클립(3) 중 적어도 제 2 섹션(5)은 가용성 소자(7)에 의해 상기 제 1 섹션(4)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2 섹션(5)은 단부에 단락 회로 링크(6)를 구비하고,
    상기 가용성 소자(7)가 녹는 경우, 상기 단락 회로 링크(6)는 상기 서지 피뢰기(1)의 전극들(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 보호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의 제 1 섹션(4) 및 제 2 섹션(5)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전기 보호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은 적어도 두 개의 부분들로 구성되는 전기 보호 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의 상기 제 1 섹션(4)은 제 1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섹션(5)은 제 2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보호 소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4)은 상기 서지 피뢰기(1)의 절반 이상에 걸쳐 결합되는 전기 보호 소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4) 중 적어도 단부(4a, 4b)는 상기 서지 피뢰기(1)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전기 보호 소자.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의 일부는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전기 보호 소자.
  8.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의 일부는 상이한 물질로 구성되는 전기 보호 소자.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4, 5)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9a, 9b)을 구비하는 전기 보호 소자.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은 상기 서지 피뢰기의 중앙 전극(8)의 영역에서 스냅 방식으로 상기 서지 피뢰기(1)에 부착되는 전기 보호 소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9a, 9b)은 상기 중앙 전극(8)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전기 보호 소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은 상기 컷아웃(9a, 9b)에 의해 상기 중앙 전극(8)의 영역에 고정되는 전기 보호 소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은 상기 가용성 소자(7)가 녹는 경우 상기 중앙 전극(8)을 외부 전극(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 보호 소자.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소자(7)는 상기 서지 피뢰기(1)가 허용불가능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녹도록 설계되는 전기 보호 소자.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보호 소자는 표면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보호 소자.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소자(7)는 상기 중앙 전극(8)과 직접적인 열접촉을 형성하는 전기 보호 소자.
KR1020107018565A 2008-01-31 2009-01-27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 KR20100117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6991.4 2008-01-31
DE102008006991 2008-01-31
DE102008022794.3 2008-05-08
DE102008022794A DE102008022794A1 (de) 2008-01-31 2008-05-08 Elektrisches Schutzbauelement mit Kurzschluss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614A true KR20100117614A (ko) 2010-11-03

Family

ID=4082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565A KR20100117614A (ko) 2008-01-31 2009-01-27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03819B2 (ko)
EP (1) EP2238659B1 (ko)
JP (1) JP5303576B2 (ko)
KR (1) KR20100117614A (ko)
CN (1) CN101983462B (ko)
AT (1) ATE533213T1 (ko)
DE (1) DE102008022794A1 (ko)
WO (1) WO2009095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6183B4 (de) * 2007-11-21 2020-01-30 Tdk Electronics Ag Überspannungsableiter mit thermischem Überlastschutz, Verwendung eines Überspannungsableiters und Verfahren zum Schutz eines Überspannungsableiters
JP5248374B2 (ja) * 2009-03-13 2013-07-31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3極避雷管
DE102010038070B4 (de) 2010-08-06 2012-10-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Thermische Überlastschutzvorrichtung
DE102010036909B3 (de) * 2010-08-06 2012-02-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Thermische Überlastschutzvorrichtung
DE102011052390A1 (de) 2011-08-03 2013-02-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Thermische Überlastschutzvorrichtung
US20150079425A1 (en) * 2012-04-23 2015-03-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ypass switch
DE102013019391B4 (de) 2013-04-11 2022-04-28 Dehn Se Anordnung zum Überlastschutz von Überspannungsschutzgeräten
DE202014100428U1 (de) * 2014-01-31 2014-02-12 Epcos Ag Schaltungsanordnung zum Überspannungsschutz
DE102014103419B4 (de) 2014-03-13 2018-05-24 Epcos Ag Überspannungsableiter mit Schutz vor Erwärmung
DE102014116440B4 (de) * 2014-11-11 2016-05-19 Epcos Ag Ableiter
DE102015121438B4 (de) * 2015-12-09 2023-12-28 Tdk Electronics Ag Elektrisches Schutzbauelement mit Kurzschlusseinrichtung
DE202018006385U1 (de) 2018-11-26 2020-03-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Überspannungsschutzvorrichtung mit thermischer Überlastschutzvorrichtung
DE102018129679B4 (de) 2018-11-26 2020-07-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Überspannungsschutzvorrichtung mit thermischer Überlastschutz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664A (en) * 1975-07-28 1976-08-17 Reliable Electric Company Line protector for communication circuit
JPS5933690U (ja) * 1982-08-27 1984-03-01 富士通株式会社 ガス入り放電管
WO1987006399A1 (en) * 1986-04-09 1987-10-22 Schaltbau Gesellschaft Mbh Device for protecting a surge arrester against overheating
EP0308553A1 (en) * 1987-09-24 1989-03-29 Semitron Industries Limited Transient suppressor device assembly
JPH01122585A (ja) * 1987-11-05 1989-05-15 Sankooshiya:Kk 避雷器装置
FR2670624A1 (fr) * 1990-12-14 1992-06-19 Pensar Ind Court-circuit et boitier pour parafoudre.
DE4118738C1 (ko) * 1991-06-05 1992-12-24 Krone Ag, 1000 Berlin, De
US5450269A (en) * 1993-09-17 1995-09-12 Hsieh; Kin L. Grounding arrangement for a protector in telecommunications
DE19708651A1 (de) 1997-02-21 1998-09-03 Siemens Ag Gasgefüllter Überspannungsableiter mit äußerer Kurzschlußeinrichtung
DE10162916A1 (de) * 2001-12-20 2003-07-10 Epcos Ag Federbügel, Überspannungsableiter mit dem Federbügel und Anordnung eines Überspannungsableiters
US7974063B2 (en) * 2007-11-16 2011-07-05 Corning Cable Systems, Llc Hybrid surge protector for a network interfa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13335A1 (en) 2011-01-20
JP5303576B2 (ja) 2013-10-02
CN101983462A (zh) 2011-03-02
JP2011511406A (ja) 2011-04-07
US8203819B2 (en) 2012-06-19
CN101983462B (zh) 2013-03-13
WO2009095206A1 (de) 2009-08-06
EP2238659B1 (de) 2011-11-09
EP2238659A1 (de) 2010-10-13
ATE533213T1 (de) 2011-11-15
DE102008022794A1 (de)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7614A (ko) 단락 회로 장치를 구비한 전기 보호 소자
JP5709229B2 (ja) 熱過負荷保護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構成
US7564337B2 (en) Thermally decoupling fuse holder and assembly
US20120299692A1 (en) Fuse providing overcurrent and thermal protection
TWI500063B (zh) 包含電阻及熔線元件之電路保護裝置
WO2014171515A1 (ja) 保護装置
KR20160021715A (ko) 전기회로용 퓨즈 및 퓨즈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JP4290224B2 (ja) 外部短絡装置を備えたガス入りサージ保護避雷器
JPH09503624A (ja) 電気的アッセンブリ
KR102481793B1 (ko) 온도 퓨즈 및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KR100912215B1 (ko) 반복 퓨즈
US20050030690A1 (en) Spring clip, surge diverter with a spring slip and a surge diverter arrangement
KR100318397B1 (ko) Ntc서미스터
JP7013517B2 (ja) 金属ワイヤ型ヒューズエレメントを備えたチップ型ヒュ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8274775B2 (en) Electrical protection component with a short-circuiting device
KR101979226B1 (ko) 멀티퓨즈용 버스바
JP5401559B2 (ja) 短絡手段を有するサージアレスタ
JP5242241B2 (ja) ヒューズ
CN213425414U (zh) 过压保护元件和用于过压保护元件的结构元件组件
KR101845163B1 (ko)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CN112017920B (zh) 过载保护组件
KR100429382B1 (ko) 엑시알 타입의 폴리머 정온도계수 저항소자
US11128107B2 (en) Electrical protection component having a thermal short-circuit device
JP2634467B2 (ja) 2端子形の小形タイムラグヒューズ
CN118056256A (zh) 保险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