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163B1 -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 Google Patents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163B1
KR101845163B1 KR1020160104633A KR20160104633A KR101845163B1 KR 101845163 B1 KR101845163 B1 KR 101845163B1 KR 1020160104633 A KR1020160104633 A KR 1020160104633A KR 20160104633 A KR20160104633 A KR 20160104633A KR 101845163 B1 KR101845163 B1 KR 10184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main
lead
auxiliary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394A (ko
Inventor
길종진
Original Assignee
길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종진 filed Critical 길종진
Priority to KR102016010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163B1/ko
Priority to CN201611258440.2A priority patent/CN107768194B/zh
Publication of KR2018002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37/761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37/761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 H01H2037/762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using a spring for opening the circuit when the fusible element m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한 온도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저항에 연결되어 온도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저항에서 분리되어 온도저항으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탄성체를 병렬로 구성(이하 병렬로 구성되는 탄성체를 "병렬 탄성체"라 함)하여 탄성체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Temperature fuse with parallel elastic body}
본 발명은 온도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한 온도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저항에 연결되어 온도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저항에서 분리되어 온도저항으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탄성체를 병렬로 구성(이하 병렬로 구성되는 탄성체를 "병렬 탄성체"라 함)하여 탄성체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에는 회로를 보호하고 화재를 방지하며,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순간적인 높은 전원이 인가될 때 높은 전원에 의해 차단되어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가 사용되고, 회로에 높은 전력이 사용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구성되는 전자회로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열 발생 시 발생된 열의 온도에 의해 단선되어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퓨즈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온도퓨즈는 고온에서 액체로 변하는 가온체, 브라켓, 복수의 스프링, 가동단자, 리드 단자 등을 포함하여 복잡하게 구성되므로 그 크기가 커지고 그 생산 공정이 복잡해져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도저항과 탄성체만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생산 공정의 단순화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저항형 온도퓨즈가 개발되어 전자회로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저항형 온도퓨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항형 온도퓨즈는 온도저항(10) 및 탄성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항형 온도퓨즈는 기판(5)에 연결되는 세 개의 리드를 구비한다. 2개의 리드(12a, 14a)는 온도저항(10)의 양단에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리드인 탄성체 리드(22)는 탄성체(20)의 일단에 구성된다.
온도저항(10)은 양측에 제1캡부(12) 및 제2캡부(14)가 구성되며 제1캡부(12)의 단부에서 제1리드(12a)가 접촉하여 연결되고, 제2캡부(14)의 단부에서 제2리드(14a)가 접촉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탄성체(20)의 타단은 온도저항(10)의 제1캡부(12) 및 제2캡부(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온도저항(10)의 일단으로 입력하는 전류는 제1리드(12a)(또는 제2리드(14a)), 제1캡부(12)(또는 제2캡부(14)), 제1캡부(12)에 연결된 탄성체(20)의 타단 및 탄성체(20)의 탄성체 리드(22)를 통해 기판(5)의 회로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부(12, 14)와 탄성체(20)의 타단은 일정 온도에서 녹는 납으로 솔더링된다.
즉, 온도저항(10)으로 설계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흘러 온도저항(10)의 온도가 상기 일정 온도를 초과하면 납이 녹아 상기 탄성체(20)의 타단이 온도저항(10)에서 떨어져 온도저항(1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형 온도퓨즈는 온도저항과 탄성체만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그 생산 공정 또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저항형 온도퓨즈의 탄성체는 일단이 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온도저항에 강제적으로 고정되므로, 피로누적에 의한 고착화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저항형 온도퓨즈의 탄성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성을 잃어 고착화되고 탄성체의 타단과 온도저항을 접합시키는 납땜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아도 탄성체의 타단이 온도저항에서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4115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저항에 연결되어 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온도저항에서 분리되어 온도저항으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탄성체를 병렬로 구성한 병렬 탄성체로 구성하여 탄성체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는: 일측 리드로 전류를 입력받고 도통되는 전류의 세기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온도저항; 및 일측부인 접촉부가 상기 온도저항과 납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측부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장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탄성체 리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접촉부분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저항의 일측 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상기 접촉부로 입력받아 본체부를 거쳐 상기 탄성체 리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온도저항에서 발생하는 상기 열에 의한 온도가 상기 납땜의 용융점을 초과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온도저항으로부터 분리되는 주 탄성체 및 상기 주 탄성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력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더 부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병렬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탄성체는, 상기 주 탄성체를 기준으로 주 탄성체의 탄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탄성체는, 상기 주 탄성체보다 짧게 형성되되,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체 리드에서 주 탄성체의 굴곡점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렬 탄성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들 중 최 외측의 접촉부에서 상기 주 탄성체의 측면을 따라 주 탄성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보조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렬 탄성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 탄성체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기판에 접하는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보조 탄성체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렬 탄성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들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 탄성체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기판에 접하는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보조 탄성체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저항은, 저항체; 상기 저항체의 내측에서 일측 단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를 입력받는 일측 리드인 제1리드; 상기 저항체의 내측에서 타측 단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제2리드; 상기 제1리드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체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캡부; 상기 제2리드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체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병렬 탄성체의 주 탄성체 접촉부가 상기 제1캡부 및 제2캡부 중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제1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병렬 탄성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저항에 연결되는 탄성체를 병렬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탄성체의 탄성력을 더 강하게 할 수 있고, 탄성체의 고착화를 방지하거나 탄성력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저항형 온도퓨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탄성체가 온도저항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와 떨어진 경우의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를 병렬 탄성체의 중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가)의 A-A'절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탄성체가 온도저항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와 떨어진 경우의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를 병렬 탄성체의 중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가)의 A-A'절단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상기 도 5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 퓨즈는 온도저항(100) 및 병렬 탄성체(200)를 포함한다.
온도저항(100)은 저항체(110), 상기 저항체(110)의 양 측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캡부(120) 및 제2캡부(130), 상기 저항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저항체(110)의 일측 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판(5)의 홀(미도시)에 삽입되고 상기 제1캡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리드(121), 상기 저항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저항체(110)의 타측 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판(5)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캡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리드(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캡부(120) 및 제1캡부(130), 제1리드(121) 및 제2리드(131)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제1리드(121) 및 제1캡부(120)로 전류가 입력될 수도 있고, 제2리드(131) 및 제2캡부(130)로 전류가 입력될 수도 있으나, 이하 제1리드(121) 및 제1캡부(120)로 전류가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캡부(120) 및 제2캡부(130)는 철(Fe)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온도저항(100) 및 병렬 탄성체(200)를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열을 발생한다.
상기 제1캡부(120) 및 제2캡부(130) 중 하나에 병렬 탄성체(200)의 접촉부(211)가 접촉된 후 땜납으로 솔더링되는 경우 접촉부(211)가 접촉된 캡부(제1캡부(120) 또는 제2캡부(130))에는 납땜부(30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병렬 탄성체(200)는 주 탄성체(2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22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는 보조 탄성체(220)가 하나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둘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보조 탄성체(220)의 수가 증가할수록 탄성력이 강해질 수 있으며,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이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조 탄성체(220)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면 병렬 탄성체(20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탄성력이 강해져 구부리기 힘들어지고 온도저항에 납땜하기 어려워지거나 탄성력에 의해 납땜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1개에서 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주 탄성체(210)는 두께가 얇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저항(100)의 제1캡부(120) 및 제2캡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 후 땜납으로 솔더링되어 접착되는 접착부(211), 상기 접착부(211)에서 연장되고 기판(5)에 연결 시 도 3의 (가)와 같이 굴곡점(214)을 형성하는 본체부(212) 및 상기 본체부(2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기판(5)의 홀에 삽입되는 탄성체 리드(21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 리드(213)는 기판(5)의 홀에 삽입 후 솔더링되어 기판(5)에 형성되는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저항(100)의 제1리드(121)로 입력되는 전류는 제1캡부(120) 및/또는 제2캡부(130)를 통해 주 탄성체(210)의 접착부(211)로 흐르고, 접착부(211)로 입력된 전류는 본체부(212) 및 탄성체 리드(213)를 통해 기판(5)의 회로로 흐른다.
보조 탄성체(22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탄성체(210)를 기준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방향(D)의 반대 방향인 주 탄성체(210)의 본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탄성체(220)의 기판(5)측 끝부는 보조 탄성체 리드(미도시)를 구비하여 기판(5)의 홀에 삽입 후 솔더링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주 탄성체(220)의 본체부(212)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조 탄성체(220)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온도저항(100)에 접착되는 접착부(211)를 고려하여 주 탄성체(210)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러나 보조 탄성체(220)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조 탄성체(220)의 길이는 주 탄성체(210)의 본체부(212)의 시작부에서 굴곡점(214)까지의 길이(이하 "굴곡점 길이"라 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보조 탄성체(220)의 길이가 굴곡점 길이보다 짧으면 보조 탄성체(220)의 탄성력이 약하고, 보조 탄성체(220)의 길이가 굴곡점 길이보다 길면 보조 탄성체(220)의 탄성력은 커진다.
상기 보조 탄성체(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끝부가 고정되고 타측 끝부는 접촉만 되는 경우 상기 타측 끝부가 주 탄성체(210)의 옆으로 이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탄성체(220)의 타측 끝부에서 주 탄성체(210)의 측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이탈방지 가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조 탄성체(220)가 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이탈방지 가드(230)는 최외각에 위치하는 보조탄성체(220)에만 구성되어 다른 보조 탄성체(220)들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 탄성체(210)는 상기 주 탄성체(210)의 탄성체 리드(213)에 연장되는 본체부(212)의 시작부분에서 보조 탄성체(220)의 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조 탄성체(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 가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5: 기판 100: 온도저항
110: 저항체 120: 제1캡부
121: 제1리드 130: 제2캡부
131: 제2리드 200: 병렬 탄성체
210: 주 탄성체 211: 접촉부
212: 본체부 213: 탄성체 리드
220: 보조 탄성체 230: 제1이탈방지 가드
240: 제2이탈방지 가드 300: 납땜부

Claims (7)

  1. 일측 리드로 전류를 입력받고 도통되는 전류의 세기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온도저항; 및
    일측부인 접촉부가 상기 온도저항과 납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측부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장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탄성체 리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접촉부분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저항의 일측 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상기 접촉부로 입력받아 본체부를 거쳐 상기 탄성체 리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온도저항에서 발생하는 상기 열에 의한 온도가 상기 납땜의 용융점을 초과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온도저항으로부터 분리되는 주 탄성체 및 상기 주 탄성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력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더 부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병렬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탄성체는,
    상기 주 탄성체를 기준으로 주 탄성체의 탄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들 중 최 외측의 접촉부에서 상기 주 탄성체의 측면을 따라 주 탄성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보조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2. 일측 리드로 전류를 입력받고 도통되는 전류의 세기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온도저항; 및
    일측부인 접촉부가 상기 온도저항과 납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측부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장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탄성체 리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접촉부분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저항의 일측 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상기 접촉부로 입력받아 본체부를 거쳐 상기 탄성체 리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온도저항에서 발생하는 상기 열에 의한 온도가 상기 납땜의 용융점을 초과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온도저항으로부터 분리되는 주 탄성체 및 상기 주 탄성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력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더 부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병렬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탄성체는,
    상기 주 탄성체를 기준으로 주 탄성체의 탄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 탄성체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기판에 접하는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보조 탄성체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3. 삭제
  4. 일측 리드로 전류를 입력받고 도통되는 전류의 세기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온도저항; 및
    일측부인 접촉부가 상기 온도저항과 납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측부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장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탄성체 리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접촉부분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저항의 일측 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상기 접촉부로 입력받아 본체부를 거쳐 상기 탄성체 리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온도저항에서 발생하는 상기 열에 의한 온도가 상기 납땜의 용융점을 초과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온도저항으로부터 분리되는 주 탄성체 및 상기 주 탄성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력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더 부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병렬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탄성체는,
    상기 주 탄성체를 기준으로 주 탄성체의 탄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주 탄성체보다 짧게 형성되되,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체 리드에서 주 탄성체의 굴곡점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들 중 최 외측의 접촉부에서 상기 주 탄성체의 측면을 따라 주 탄성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보조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5. 일측 리드로 전류를 입력받고 도통되는 전류의 세기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온도저항; 및
    일측부인 접촉부가 상기 온도저항과 납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측부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장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탄성체 리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접촉부분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저항의 일측 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상기 접촉부로 입력받아 본체부를 거쳐 상기 탄성체 리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온도저항에서 발생하는 상기 열에 의한 온도가 상기 납땜의 용융점을 초과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온도저항으로부터 분리되는 주 탄성체 및 상기 주 탄성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력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더 부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병렬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탄성체는,
    상기 주 탄성체를 기준으로 주 탄성체의 탄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주 탄성체보다 짧게 형성되되, 상기 주 탄성체의 탄성체 리드에서 주 탄성체의 굴곡점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 탄성체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기판에 접하는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보조 탄성체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탄성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탄성체들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 탄성체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기판에 접하는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보조 탄성체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이탈방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저항은,
    저항체;
    상기 저항체의 내측에서 일측 단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를 입력받는 일측 리드인 제1리드;
    상기 저항체의 내측에서 타측 단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기판에 연결되는 제2리드;
    상기 제1리드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체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캡부; 및
    상기 제2리드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체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병렬 탄성체의 주 탄성체 접촉부가 상기 제1캡부 및 제2캡부 중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제1리드로 입력되는 전류를 병렬 탄성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KR1020160104633A 2016-08-18 2016-08-18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KR10184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33A KR101845163B1 (ko) 2016-08-18 2016-08-18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CN201611258440.2A CN107768194B (zh) 2016-08-18 2016-12-30 具有并列弹性体的温度熔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33A KR101845163B1 (ko) 2016-08-18 2016-08-18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94A KR20180020394A (ko) 2018-02-28
KR101845163B1 true KR101845163B1 (ko) 2018-04-05

Family

ID=6126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633A KR101845163B1 (ko) 2016-08-18 2016-08-18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5163B1 (ko)
CN (1) CN107768194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5917A1 (de) * 2007-06-04 2009-01-08 Littelfuse, Inc., Des Plaines Hochspannungssicherung
JP5177810B2 (ja) * 2007-10-01 2013-04-10 コーア株式会社 ヒューズ抵抗器
DE102010038070B4 (de) * 2010-08-06 2012-10-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Thermische Überlastschutzvorrichtung
JP5634322B2 (ja) * 2011-05-09 2014-12-03 コーア株式会社 ヒューズ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94A (ko) 2018-02-28
CN107768194A (zh) 2018-03-06
CN107768194B (zh)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942B2 (ja) 電気素子を保護するための熱過負荷保護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構成
KR20160021715A (ko) 전기회로용 퓨즈 및 퓨즈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JP5303576B2 (ja) 短絡回路装置付き電気保護部品
JP5992576B2 (ja) 複合保護素子
KR20120014244A (ko)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표면 장착 온도 퓨즈
US20150340181A1 (en) Reflowable thermal fuse
US10903032B2 (en) Fuse
KR102481793B1 (ko) 온도 퓨즈 및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US4096464A (en) Thermistor assembly having overload protection
KR101845163B1 (ko) 병렬 탄성체를 구비하는 온도퓨즈
CN107995785B (zh) 印刷电路板组件
WO2017041242A1 (zh) 可回焊式温度保险丝
TW201546857A (zh) 具防雷擊功能之電流過載保護開關
KR101447490B1 (ko) 고용량 휴즈
TWI547967B (zh) 複合保護裝置
JP2001297904A (ja) 温度ヒューズ内蔵型バリスタ
KR101741563B1 (ko) 회로 보호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40144B1 (ko) 하이브리드 온도 퓨즈 저항기
KR101547439B1 (ko) 복합보호소자
KR200339202Y1 (ko) 형상기억써말리미트
JPS6341752Y2 (ko)
JP5189919B2 (ja) ヒューズ
US802684A (en) Heat-coil.
US1096915A (en) Thermostatic cut-out for electric circuits.
KR101547427B1 (ko) 복합보호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